KR20190017610A -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10A
KR20190017610A KR1020170153267A KR20170153267A KR20190017610A KR 20190017610 A KR20190017610 A KR 20190017610A KR 1020170153267 A KR1020170153267 A KR 1020170153267A KR 20170153267 A KR20170153267 A KR 20170153267A KR 20190017610 A KR20190017610 A KR 2019001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h
sul
base station
pres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훈
김용옥
김찬홍
김태영
유현일
임종부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UPLINK CARRI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주파수 관점에서 5G 통신 시스템은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함에 따라 고주파 대역과 저주파 대역이 모두 고려 대상이 된다. 하지만 고주파 대역으로 가게 되면 채널 특성상 전파손실(pathloss)이 커지기 때문에 커버리지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기존 LTE 사업자들이 기존 LTE와 동일한 지점에 NR의 기지국을 배치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제약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커버리지를 제한하는 것은 상향링크 이므로, 저주파 대역에 상향링크를 추가 배치함으로서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즉, 고주파 대역에 TDD로 상/하향링크를 배치하고, 저주파 대역에 FDD 상향링크를 추가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향링크와 짝을 이루지 않고 상향링크 단독만 배치하는 것을 보조상향링크 (SUL: supplementary uplink)로 부르기로 한다. 이렇게 보조상향링크가 추가되면, 이를 고려한 단말의 초기 접속 절차 및 초기 이후의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 송수신 방법 등이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가 더 많은 시스템에서 단말의 초기 접속 절차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신기 혹은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감안하여 초기 접속 이후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상향 링크를 가질 때, 초기 RACH 접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접속에 성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상향 링크를 가질 때,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능력 별로 초기 및 초기 이후의 RACH 접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복수개의 시점에서 전송되는 지시 정보들을 연계하여 상향 링크를 전송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RACH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에 대한 매핑 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ubframe (혹은 slot)과 시스템 frame 번호에 대한 매핑 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에 대한 매핑 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부반송파 간격에 따른 RACH 설정 주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다른 단말이 PRACH를 전송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SUL,UL)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쪽을 모두 알려주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중 어떤 RACH를 이용할지를 결정하여 알려주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현재 단말이 사용중인 UL의 RACH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초기 접속에서 단말은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고, 이후 나머지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RMSI에 보조상향링크(SUL)의 존재 및 위치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가능하다.
1) 보조상향링크의 존재 여부 + 위치정보 (일례로, ARFCN: Absolute radio-frequency channel number 이 가능)
A. 존재하는 경우만 위치정보가 뒤따라 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치정보가 뒤따라 오지 않음.
B.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위치정보를 위한 bit field는 정의됨. 존재하지 않는 경우 0 혹은 의미 없는 값 혹은 다른 정보를 전달 하기 위한 목적으로 채워서 전송됨.
C. 보조상향링크의 존재 여부는 SUL의 RACH 설정 정보 전송에 암시적(implicit)인 방법으로 매핑. 이는, SUL의 RACH설정 정보와 일반 UL의 RACH설정 정보가 별도로 전송되는 경우에 가능. 즉, SUL의 RACH 설정 정보가 전송되면 보조상향링크가 존재함을 의미하고, SUL의 RACH 설정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보조상향링크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 이후 보조상향 링크의 위치정보는 상기 A또는 B로 전송 가능.
2) 위치정보만 전송, 값이 0이면 존재하지 않음을 뜻함
또한 기지국은 SUL이 존재한다면 SUL에서 사용할 부반송파 간격을 내려줄 수 있다. 이는 암시적(implicit) 혹은 직접적(explicit)한 방법으로 알려줄 수 있는데, 암시적인 방법으로는 SUL의 주파수 대역 정보에 부반송파 간격을 매핑시켜 놓는 방법이 가능하고, 직접적인 방법은 SUL에서 사용할 부반송파 간격을 비트 정보화 시켜 전송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기지국은 RMSI내에 RACH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SUL의 RACH 설정 정보와 UL의 RACH 설정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가능하다.
1) SUL의 RACH 설정 정보와 일반 UL의 RACH 설정 정보를 별도로 전송
A. 상기에서 RMSI내에 보조 상향링크가 존재한다고 전송하는 경우만, SUL의 RACH 설정 정보 전송, 존재하지 않는 경우 RACH 설정 정보 전송하지 않음.
B. 상기에서 RMSI내에 보조 상향링크의 존재 유무 전송과 상관없이 보조 상향링크의 RACH 설정 정보를 위한 bit field는 정의됨. 보조 상향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 혹은 의미 없는 값 혹은 다른 정보를 전달 하기 위한 목적으로 채워서 전송됨. 존재하는 경우 보조 상향링크의 RACH 설정 정보 전송
2) SUL의 RACH 설정 정보와 일반 UL의 RACH 설정 정보를 하나의 공통된 RACH 설정 정보로 전송
A. SUL과 일반 UL의 부반송파 간격이 다를 경우, 기준이 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해당하는 RACH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쪽의 RACH 설정 정보를 정의. 여기서 기준이 되는 부반송파 간격은 SUL의 부반송파 혹은 UL의 부반송파 중 하나일 수 있다.
B.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RACH 설정 정보가 사전의 정의되어 있는 경우로, 기지국은 공통된 RACH 설정 인덱스를 1개로 내려주고, 단말은 각 부반송파에 맞는 RACH 설정 정보를 따름.
상기 2-A)의 경우, SUL과 UL의 부반송파 간격이 다를 경우, 하나의 공통된 RACH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단위 시간당 RACH 전송 기회가 동일 혹은 유사하려면, 부반송파 간격이 클수록 RACH 전송이 가능한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의 개수가 줄어야 한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해당하는 RACH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부반송파가 n배가 되면, 기준이 되는 부반송파에 해당하는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를 n배 줄인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kHz 부반송파 간격에 해당하는 RACH 설정 정보가 하기 도1과 같이 주어진 경우, 30kHz 부반송파 간격에 해당하는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는 이를 1/2 배로 줄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기 예에서, 14번으로 설정된 경우,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는 0,1,2,3,4, 5,6,7,8,9 인데, 30kHz 반송파의 경우, 0,2,4,6,8 이 된다. 이를 일반화 시키면, 기준이 되는 부반송파 간격에서 특정 RACH 설정 인덱스에서 RACH 전송이 가능한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를 x0,x,…,xk -1 라고 할 경우, n배의 부반송파 간격에서의 RACH 전송이 가능한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는 y0,y,…,yceil (k/n-1)가 되고, 여기서 yi=xni가 된다.
상기에서 subframe (혹은 slot)의 의미는 각 부반송파 간격을 기준으로 14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RACH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외에도 별도의 table로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격에 해당하는 RACH 전송가능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의 매핑 룰을 정의하여 하나의 공통된 RACH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subframe 번호(혹은 slot 번호)에 대한 매핑 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ubframe과 시스템 frame 번호에 대한 매핑 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는 RACH의 설정 주기가 각 부반송파 별로 다르다는 가정하에 기술하였고, 이와는 다르게, 부반송파 간격과는 독립적으로 RACH의 설정 주기가 10/20/40/80/100ms 와 같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RACH 전송이 가능한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를 x0,x,…,xk -1 라고 할 경우, , 2^u 배의 부반송파 간격에서의 RACH 전송이 가능한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는 (x0,x,…,xk -1)*2^u 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RACH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여러 개의 데이터의 부반송파 간격 (15/30/60/120)kHz을 고려하더라도, RACH 전송의 밀도(density)를 유지하기 위해, 파라메터 'u'를 도입하였다. 여기서, 파라메터 'u'는 2bit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0,1,2,3). 즉, u=0인 경우, 부반송파 간격이 (15*2^(u=0) = 15)kHz로 설정되며, u의 값이 1,2, 또는 3인 경우 각각 30/60 또는 12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도5와 같이, 데이터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subframe 번호 (혹은 slot 번호)를 scale함으로써 RACH 전송 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단말은 상기에서 기술된 SUL의 존재 및 위치정보, SUL의 부반송파 간격, RACH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초기 RACH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은 SUL 전송에 대하여 서로 다른 능력(capability)들을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능력들이 가능하다.
1) 일반 UL만 전송 가능
2) SUL, 일반 UL 전송가능하나 동시 전송은 불가능
3) SUL, 일반 UL 동시 전송 가능
하지만, 초기 RACH 전송 시점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SUL 전송 관련 능력을 알지 못하므로 이를 감안한 동작 방법이 필요하다. 기지국이 SUL을 운용하는 경우, 이와 관련 다음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
1) 초기 RACH 전송에 대한 자원을 SUL로 할지 일반 UL로 할지에 대한 결정권이 기지국에게 있는 경우.
A. 기지국이 RMSI로 SUL 이 존재한다고 알려주는 경우 (SUL의 위치 정보 포함), SUL의 전송 능력이 있는 단말의 경우 SUL로 초기 RACH를 전송하고, SUL의 전송 능력이 없는 단말은 일반 UL로 초기 RACH 전송. 이를 통해 기지국은 특정 단말의 SUL 전송 능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기지국은 SUL이 있더라도, SUL이 존재하지 않다고 알려줄 수도 있음. 이 경우 모든 단말은 일반 UL로 초기 RACH전송)
2) 초기 RACH 전송에 대한 자원을 SUL로 할지 일반 UL로 할지에 대한 결정권이 단말에게 있는 경우,
A. 기지국이 RMSI로 SUL이 존재한다고 알려주는 경우 (SUL의 위치 정보 포함), 모든 단말은 초기 RACH 접속을 일반 UL을 이용하여 시도. 이후 송신 파워를 높여가면서 (Power ramping) 초기 RACH 전송을 시도하고, RACH 접속이 실패하는 경우, SUL 전송 능력이 있는 단말은 SUL로 초기 RACH 전송 시도.
B. 기지국이 RMSI로 SUL이 존재한다고 알려주는 경우 (SUL의 위치 정보 포함), SUL 전송 능력이 있는 단말은 하향링크 동기 신호 수신파워를 기반으로, 이 값이 일정 수준 이하면 SUL로 초기 RACH 접속을 시도.
C. 기지국이 RMSI로 SUL이 존재한다고 알려주는 경우 (SUL의 위치 정보 포함), SUL 전송 능력이 있는 단말은 SUL과 UL중 임의로 선택하여 초기 RACH 전송
이제 단말이 초기 RACH 전송 후, 즉, Msg1인 PRACH 프리앰블 전송 후, 기지국이 이를 수신하여 Msg2인 PRACH 응답(response)을 전송함에 있어 운용방법을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다른 단말이 PRACH를 전송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단말 중, 1개의 단말은 SUL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다른 단말은 일반 UL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였을 경우, 상기 2개의 단말이 서로 같은 RACH 시퀀스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 Msg2를 전송할 때, 이를 구별해 주는 방법이 필요한데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가능하다.
1) RA-RNTI 값을 생성함에 있어, SUL로 전송하는 경우와 일반 UL로 전송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RA-RNTI값을 가지도록 디자인 할 수 있다. 즉, RA-RNTI = (1 + t_id + 10 f_id + f(SUL,UL))와 같이 디자인 할 수 있다, 여기서 f(SUL,UL)은 일례로 도 7과 같은 예시들로 정의될 수 있다.
2) 기지국이 Msg2 전송 시, 수신된 Msg1이 SUL에 해당하는 RACH 시퀀스를 수신 성공한 경우인지, 일반 UL에 해당하는 RACH 시퀀스를 수신 성공한 경우인지를 구별해주는 식별자를 같이 전송한다.
상기에서 기지국이 RMSI에 SUL 존재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다루었다.
도8 및 도9는 상기 여러 방법들 중 하나에 해당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기지국이 RMSI에 SUL 존재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다루었고, 이후부터는 RMSI에 SUL 존재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를 다룬다. 모든 단말은 초기 RACH 전송시에 SUL의 존재유무 자체를 알 수가 없으므로,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한 DL의 페어가 되는 일반 UL로 초기 RACH를 전송한다. 이후, RRC 연결이 성립된 이후에는 기지국과의 능력 협상 (Capability Negotiation)을 통해 상기에서 언급된 단말들의 SUL에 대한 능력들에 정보 교환 및 시스템 정보 블록 (SIB)혹은 RRC를 통해 기지국이 SUL을 운용하는 지에 대한 여부 및 운용하고 있다면 SUL의 위치정보 및 사용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초기가 아닌 RACH 전송에 대해서는 SUL 과 일반 UL에 대해 동시 전송 능력이 있는 단말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가능하다.
1) 기지국은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쪽을 모두 알려주고, 단말은 SUL과 일반 UL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
A. 처음엔 일반 UL을 선택하여 전송하고, 실패 시 파워 증가(power ramping)를 통해 전송하다, 파워 임계점에 다다르면, SUL의 RACH 자원을 선택하여 전송
B. 하향링크 Pathloss를 추정을 통해 이 값이 일정값 이하이면, SUL로 RACH전송, 일정 값 이상이면 일반 UL로 전송
C. SUL과 UL중 현재 Pcell로 설정된 UL로 RACH 전송
D. SUL과 UL중 임의의 RACH영역을 선택하여 RACH 전송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쪽을 모두 알려주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1)에 해당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면 도 10과 같다.
2) 기지국은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중 어떤 RACH를 이용할지를 결정하여 알려줌.
A. SUL과 UL중 결정된 UL에 대한 RACH 설정 정보만 전송. 단말은 해당 UL로만 RACH 전송 가능.
B. SUL과 UL중 어떤 RACH를 이용할지를 알려주되, RACH 설정 정보는 SUL,UL 모두 알려줌. 단말은 기지국이 정해준 UL을 통해 RACH 전송을 시도하되, 실패할 경우 (파워 증가 임계치까지 도달한 경우), SUL을 통해서 RACH 전송 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SUL과 일반 UL 중 어떤 RACH를 이용할지를 결정하여 알려주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2)에 해당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면 도 11과 같다.
다음으로, SUL과 일반 UL전송이 가능하나 동시 전송은 불가능한 단말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들이 가능하다.
1) SUL, 일반 UL 모두 전송가능하나, 동시 전송 불가능한 단말은, SUL과 일반 UL을 스위칭하여 쓰고 있을 것이고, 따라서 SUL과 일반 UL중 현재 송신 중인 UL 있게 된다. 기지국은 RACH 설정 정보를 알려줄 때, 현재 해당 단말이 사용 중인 UL에 대한 RACH 설정 정보만을 알려준다. 이 경우 단말은 수신된 RACH 설정 정보가 현재 사용중인 UL에 대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단말은 RACH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중인 UL로 RACH를 송신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이 현재 단말이 사용중인 UL의 RACH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1)에 해당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면 도 12와 같다.
2) 기지국은 SUL과 일반 UL에 해당하는 RACH 설정 정보를 모두 내려준다. 단말은 현재 사용중인 UL을 우선순위로 하여 해당 RACH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RACH를 전송한다. 만약 현재 사용중인 UL이 일반 UL인데, RACH 실패시 (파워 증가 임계치까지 도달한 경우), SUL로 스위칭하여 RACH를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블록 (RMSI 혹은 SIB)을 통해 SUL과 일반 UL의 RACH 설정 index와 부반송파 간격 정보 (u)를 전송 받고, SUL과 일반 UL중 한 개를 택하여 수신된 RACH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에 RACH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SUL과 일반 UL의 부반송파 간격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RMSI 혹은 SIB)을 통해 SUL과 일반 UL의 RACH 설정 index 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SUL과 일반 UL중 한 개를 택하여 수신된 RACH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에 RACH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일반 UL의 경우 이미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일반 UL의 부반송파 간격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 (RMSI 혹은 SIB)을 통해 SUL의 경우 RACH 설정 index와 부반송파 간격 정보 (u)를 전송하고, 일반 UL의 경우, RACH 설정 index 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SUL과 일반 UL중 한 개를 택하여 수신된 RACH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에 RACH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SUL을 선택하는 경우, 수신된 RACH 설정 정보와 부반송파 간격 정보를 토대로 이에 해당하는 자원에 RACH 전송을 하게되고, 일반 UL을 선택하는 경우 수신된 RACH 설정 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부반송파 간격 정보를 토대로 이에 해당하는 자원에 RACH 전송을 하게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610), 제어부 (1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6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6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도 1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한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710), 제어부 (17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7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7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30)는 도 1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한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170153267A 2017-08-10 2017-11-16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17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1917 2017-08-10
KR1020170101917 2017-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10A true KR20190017610A (ko) 2019-02-20

Family

ID=6556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67A KR20190017610A (ko) 2017-08-10 2017-11-16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6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330A1 (ja) * 2019-02-28 2020-09-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CN113545160A (zh) * 2019-03-06 2021-10-2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330A1 (ja) * 2019-02-28 2020-09-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CN113475139A (zh) * 2019-02-28 2021-10-0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CN113545160A (zh) * 2019-03-06 2021-10-2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038B2 (en) Method for random acces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5890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20511028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プリアンブルを送信する方法とユーザ機器、及びランダムアクセスプリアンブル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US11323945B2 (en)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handover
US11963232B2 (en) Beam refinement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random access procedure
US11997726B2 (en) Beam-specific coverage enhancement for random access procedure
US20240008120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201900282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534909A (zh) 用于发送指示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KR20160036649A (ko)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5428574A (zh) 重复的随机接入传输
KR20230131841A (ko) 무선 통신을 위한 그룹 자원 공유
CN115804229A (zh) 动态rach msg1/msga配置
KR20130112853A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965103A (zh) 通过定向感测和通信在非授权频谱中进行的初始信道接入
CN11515215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波束故障恢复过程的方法及其设备
US20210212043A1 (en)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for resources
KR20190017610A (ko) 복수개의 상향링크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30247511A1 (en) Cell selection techniques for dual-connectivity operation
US11617203B2 (en) Sounding reference signals triggered by random access message 2 for random access message 4 quasi co-location
WO2021109115A1 (en) Fixed frame period configuration for listen-before-talk bandwidth
US20230370240A1 (en) Network indication of full-duplex capability
US11838956B2 (en) Techniques for prioritizing multiple sets of random access channel parameters
EP4270852A2 (en)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US20240049291A1 (en) Random access channel type selection and fallback mechanism related to sli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