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423A -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423A
KR20190017423A KR1020170102264A KR20170102264A KR20190017423A KR 20190017423 A KR20190017423 A KR 20190017423A KR 1020170102264 A KR1020170102264 A KR 1020170102264A KR 20170102264 A KR20170102264 A KR 20170102264A KR 20190017423 A KR20190017423 A KR 2019001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ock
slid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태
김성규
노수철
조은숙
이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문화
Priority to KR102017010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423A/ko
Publication of KR2019001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5/00Bank protection devices
    • E05G5/003Entrance control

Abstract

본 개시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직선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 슬라이딩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동돌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 그리고, 양단을 포함하며, 잠금부와 슬라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잠금부와 일단이 맞닿아 슬라이딩부를 움직이지 못하게하고, 일단은 이동돌출부와 접촉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LOCKING APPARATUS AND SYSTEM OF DOOR FOR KEEPING STOREHOUS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하게 잠금을 해제하고, 잠그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7784호에 제시된 금고실문의 비상 조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금고실문(1) 배면 중앙에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간(5)을 설치하되 연결간(5) 일측단에는 2개의 회동편(6)(6') 일측이 포개진 상태로 장공(6a)(6b)이 힌지축(5')에 유착되고 상하로 위치한 회동편(6)(6') 절곡부는 회동축(7)(7')에 유설된 다음 말단부 장공(6c)(6b)에 상하 걸림봉(8)(8') 끝단 축을 유착시킨 것이며, 연결간(5) 타측단 저면에는 래크(9)를 고정시켜 금고실문(1)에 설치된 핸들축의 피니언(10)과 맞물려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연결간(5) 좌우측에 형성된 유격공(5a)(5b)에는 가이드축(11)(11')이 끼워져 연결간(5)이 슬라이딩시 일정하게 수평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간(5) 중앙 상부에는 제동편(2a)(2b)을 갖는 통상의 잠금 다이얼(2)(2')이 장착되고, 이의 저부에는 비상 다이얼(3)(3')이 장착되어 연결간(5)에 유착된 걸림편(4)(4')의 가이드공(4a)(4b')에 승하강편(3a)(3b)축이 각각 끼워진 것으로 걸림편(4)(4')에는 스프링(12)(12')이 개재된 것이다.
상기 금고실문(1)에는 표시부(L)와 개폐 콘트롤부(C)가 구비되어 베벨기어(B)로 연동된 모터(M)와 바퀴(13)를 구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좌우로 이동하는 연결간(5)과 연결간(5)의 이동을 제지하는 제동편(2a,2b)이 연결간(5)에 구비된 걸림편(4,4')과 맞닿아 연결간(5)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4071호에 제시된 수장고문용 출입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수장고문용 출입문의 정면 구조도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자국에서 발굴된 귀중한 문화재 및 유물을 보존하여 그 가치를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알리고자 안전하게 보존 및 관리하기 위하여 각 나라에서는 해당 관련 학계, 문화재 보존 박물관 및 문화재 보존과학분야 등에서 문화재 보관에 대하여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문화재 및 유물을 보관하는 박물관 등에서는 수장고의 출입문을 통해 문화재 및 유물을 훼손시키는 위험인자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수장고 내부는 항온항습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또 수장고 외부에서 발생된 불의의 화재로부터 연기 등의 위험인자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출입문을 방화문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수장고의 출입구에는 문을 양쪽으로 여닫을 수 있고 일측 문에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쪽문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쪽문이 없는 쌍문 여닫이식 방화문과, 문을 일측으로 여닫을 수 있는 외문 여닫이식 방화문이 있다.
도면부호 21은 수장고의 출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문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출입문(21)은 철판을 소재로 한 내,외면과 상기 외면의 내측에 단열기능을 하는 내화재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에는 수장고의 내,외부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내,외부 핸들(22b)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내부 핸들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수장고 내부에 들어가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출입문을 닫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위험인자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출입문의 외면(21b)에는 개폐하는 다이얼 번호를 수시로 변경시킬 수 있는 가변성 다이얼(Changeable Dial : 23a) 및 열쇠 등으로 개폐조작할 수 있는 실린더정(23b)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에는 복수개의 해치가 설치되어 있다. 수장고의 출입구에는 상부문틀(25a) 및 좌,우측 문틀(25b)(25c)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좌,우측 문틀 중에서 선택된 문틀에 출입문을 회전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측문틀(25c)의 상,하단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51)에 출입문(1)의 우측에 부착된 가동힌지(31)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조로 설치하였다. 수장고의 출입문 바닥에 하부문틀(26)이 상면만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3과 도 4는 종래의 수장고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수장고문의 외측의 모습이고, 도 4는 수장고문 내측의 모습이다. 수장고문은 복수의 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문(60) 내에 제2 문(70)이 구비되어 제2 문(70)으로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출입문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문(60)과 제2 문(70)에는 각각 잠금장치(61,71)가 구비된다. 제2 문(70)은 제1 문(60)에 고정하고, 제2 문(70)은 수장고문이 구비된 벽에 고정된다. 제1 문(60)에 구비된 잠금장치(61)는 슬라이딩부(62)가 구비되고, 슬라이딩부(62)에 부착된 고정돌출부(63)가 구비되며, 고정돌출부(63)와 맞닿아 슬라이딩부(6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이동돌출부(64)가 구비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직선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 슬라이딩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동돌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 그리고, 양단을 포함하며, 잠금부와 슬라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잠금부와 일단이 맞닿아 슬라이딩부를 움직이지 못하게하고, 일단은 이동돌출부와 접촉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7784호에 제시된 금고실문의 비상 조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4071호에 제시된 수장고문용 출입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4는 종래의 수장고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장고문용 잠금장치(100)에 있어서, 잠금장치(100)는 슬라이딩부(110), 고정돌출부(130), 잠금부(150), 및 제동부(17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10)는 슬라이딩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움직인다. 고정돌출부(130)는 슬라이딩부(110)에 구비되고, 슬라이딩부(1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잠금부(150)는 슬라이딩부(110)를 향해 돌출되는 이동돌출부(151)를 포함한다. 이동돌출부(151)는 잠금부(150)로부터 돌출되기도 하고, 잠금부(150) 속에 구비되기도 한다. 제동부(170)는 잠금부(150)와 슬라이딩부(110) 사이에 구비된다. 제동부(170)는 양단(173,175)을 포함하며, 제동부(170)의 일단(173)은 고정돌출부(130)와 맞닿아 슬라이딩부(11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다른 일단(175)은 이동돌출부(151)와 접촉한다. 제동부(170)는 슬라이딩부(11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동부(170)는 힘을 많이 받아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제동부(170)를 고정하는 고정부(171)가 제동부(170) 주위에 구비된다. 고정돌출부(130)는 복수개 구비되고, 고정돌출부(130)에 대응하도록 잠금부(150)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돌출부(151)가 잠금부(150)로부터 돌출되면서 제동부(170)를 밀어 고정돌출부(130)에 접촉하게 한다. 또한, 제동부(170)와 고정돌출부(130)는 평행하게 접촉된다.
슬라이딩부(110)는 슬라이딩부(110)로부터 잠금부(15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13)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13)에는 제1 센서(115)가 구비된다. 잠금부(150)에는 제2 센서(155)가 구비된다. 슬라이딩부(110)의 제1 센서(115)와 잠금부(150)의 제2 센서(155)가 슬라이딩부(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잠금부(150)가 잠기도록 한다. 제1 센서(115)와 제2 센서(155)는 광센서, 마그네틱센서 등일 수 있으며, 위치만 감지되면 상관없이 적용가능하다.
잠금부(150)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잠금부(150)로부터 이동돌출부(151)가 직선운동하여 잠금부(150)로부터 돌출되기도 하고 잠금부(150) 속에 구비되기도 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돌출부(151)와 제동부(170) 사이에는 자석(180)이 더 구비된다. 제동부(170)가 슬라이딩부(110)에 걸리도록 형성될 때, 도 3과 다르게 구조에 따라서 제동부(170)가 중력으로 제자리에 돌아오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자리에 돌아올 수 있도록 이동돌출부(151)와 제동부(170) 사이에 자석(180)을 구비하여 이동돌출부(151)가 제자리로 돌아갈 때, 제동부(170)도 함께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자석(180)은 전자석일 수도 있고, 영구자석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200)에 있어서,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200)은 입력부(210), 컨트롤부(230) 및 잠금장치(10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를 확인한다. 컨트롤부(230)는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면 잠금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한다.
입력부(210)에는 카드, 생체인식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인식방법에는 지문, 홍채인식 및 정맥스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 가능하다.
컨트롤부(230)에는 입력부(210)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면, 잠금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잠금장치(100)에 보낸다.
도 7에는 제1 문(300)이 구비되고, 제1 문(300)에는 잠금장치(310)가 구비된다. 제1 문(300)의 잠금장치(310)는 컨트롤부(230)에 연결되고, 입력부(210)에 사용자가 확인되면 잠금장치(310)가 해제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문(300)에는 제2 문(400)을 더 포함하고, 제2 문(400)에는 잠금장치(410)가 구비된다.
컨트롤부(230)에는 제2 문(400)의 잠금장치(410)가 더 연결된다. 입력부(210)가 사용자를 확인하면, 입력부(210)에서 컨트롤부(230)에 잠금장치(310)와 잠금장치(410)를 동시에 해제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후, 제1 잠금장치(310)와 제2 잠금장치(410)는 동시에 잠금이 해제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직선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 슬라이딩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동돌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 그리고, 양단을 포함하며, 잠금부와 슬라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잠금부와 일단이 맞닿아 슬라이딩부를 움직이지 못하게하고, 일단은 이동돌출부와 접촉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부로부터 잠금부 가까이까지 돌출되는 돌출부; 돌출부에 구비되는 제1 센서; 그리고, 잠금부에 구비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부의 제1 센서와 잠금부의 제2 센서가 슬라이딩부와 잠금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잠금부가 잠기도록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3) 잠금부는 모터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잠금부로부터 이동돌출부가 직선운동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4) 제동부와 고정돌출부는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5) 이동돌출부와 제동부 사이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6)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잠금장치에 구비된 제1 문; 사용자를 확인하는 입력부; 그리고,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면 잠금이 해제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7) 입력부에는 카드, 생체인식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8) 청구항 1내지 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잠금장치가 구비된 제2 문;을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9) 컨트롤부에는 제1 문의 잠금장치가 연결되고, 입력부에 사용자가 확인되면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10) 컨트롤부에는 제2 문의 잠금장치가 더 연결되고, 제1 잠금장치과 제2 잠금장치가 입력부에 사용자가 확인되면 잠금장치가 동시에 해제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본 개시에 의하면, 간편하게 문을 열고 닫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제동부가 어느방향으로 구비되더라도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100:잠금장치 110:슬라이딩부 130:고정돌출부 150:잠금부 170:제동부

Claims (10)

  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직선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
    슬라이딩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동돌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 그리고,
    양단을 포함하며, 잠금부와 슬라이딩부 사이에 구비되며, 잠금부와 일단이 맞닿아 슬라이딩부를 움직이지 못하게하고, 일단은 이동돌출부와 접촉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부로부터 잠금부 가까이까지 돌출되는 돌출부;
    돌출부에 구비되는 제1 센서; 그리고,
    잠금부에 구비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부의 제1 센서와 잠금부의 제2 센서가 슬라이딩부와 잠금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잠금부가 잠기도록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부는 모터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잠금부로부터 이동돌출부가 직선운동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동부와 고정돌출부는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돌출부와 제동부 사이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6.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잠금장치에 구비된 제1 문;
    사용자를 확인하는 입력부; 그리고,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면 잠금이 해제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입력부에는 카드, 생체인식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청구항 1내지 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잠금장치가 구비된 제2 문;을 포함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컨트롤부에는 제1 문의 잠금장치가 연결되고,
    입력부에 사용자가 확인되면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컨트롤부에는 제2 문의 잠금장치가 더 연결되고,
    제1 잠금장치과 제2 잠금장치가 입력부에 사용자가 확인되면 잠금장치가 동시에 해제되는 수장고문용 잠금 시스템.
KR1020170102264A 2017-08-11 2017-08-1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KR20190017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64A KR20190017423A (ko) 2017-08-11 2017-08-1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64A KR20190017423A (ko) 2017-08-11 2017-08-1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23A true KR20190017423A (ko) 2019-02-20

Family

ID=6556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64A KR20190017423A (ko) 2017-08-11 2017-08-11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4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5733A (en) Concealed magnetic lock for cabinet closure
EP2971417B1 (en) Interconnected locking system
US4070074A (en) Tamper-proof cabinet
US9328534B2 (en) Safe and lock mechanism
FI91910C (fi) Lukituslaite
US6357509B1 (en) Security closure for dwelling openings
KR102359747B1 (ko) 폴딩도어 잠금장치
US5623841A (en) Two-way locking system and method
US3820285A (en) Blocking device for locking sliding closures
US3811302A (en) Lock for sliding doors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US3608940A (en) Slidable door safety lock
KR20190017423A (ko) 수장고문용 잠금장치 및 잠금 시스템
EP1222349B1 (en) A method for control of in and out passage by means of a locking system, a lock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motor-lock integrated into said locking system
JPH1193482A (ja) ドア、引戸等の建具
KR101733112B1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GB2388154A (en) Locking apparatus with key retention
JP4428662B2 (ja) 金庫室等の横引き式扉装置
CN103299017A (zh) 含防撬门的安全容器
JPS6156381B2 (ko)
CN213247739U (zh) 封闭式储存空间件
JP3163296B2 (ja) 両開きドア
KR20240066584A (ko) 비상 탈출 방범창
AU2016101729A4 (en) MFB CLASS B and CLASS C LOCKING SYSTEM CONFIGURATION The innovation relates to an mechanical lock configuration for use in locking high security enclosures and containers typically used in the secure containment of 19” rack mounted equipment. Aspects of this locking system configuration may find application for in locking other closures doors.
JPH02217579A (ja) ロック装置の作動禁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