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115A -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 Google Patents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115A
KR20190017115A KR1020170101414A KR20170101414A KR20190017115A KR 20190017115 A KR20190017115 A KR 20190017115A KR 1020170101414 A KR1020170101414 A KR 1020170101414A KR 20170101414 A KR20170101414 A KR 20170101414A KR 20190017115 A KR20190017115 A KR 2019001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orous
saliva
varnish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화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115A/ko
Publication of KR2019001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불소바니시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는 불소바니시 도포 시술을 받는 환자의 치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치아에 장착시 외부의 타액이 치면에 침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불소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는 불소바니시를 보호함으로써 저작, 타액 등으로 인해 치아에 도포된 불소바니시가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트레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타액이 통과할 수 있어 불소바니시와 타액이 서로 접촉할 수 있어, 타액 내 무기질 이온과 불소 이온이 목표 치면에 직접 작용하여, 해당 치면에 대한 재광화 효율을 높이고 약물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Porous Individual dental tray for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본 발명은 불소 도포에 사용되는 다공성 개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불소바니시의 구강 내 불소방출이 지속 가능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된 시트를 이용해 제작하는 다공성 개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불소는 치아우식증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병소의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것으로, 치아의 재석회화(재광화, remineralization)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이온이다.
최근 예방 치과 진료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치아우식 예방에 효과적인 불소 도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내외 제품들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불소도포법 중 하나인 불소바니시(Fluoride varnish)는 치아에 도포 후, 얇은 막을 형성하여 치아에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불소를 지속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이다.
현재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소바니시 제품은 약재와 약재를 묻혀 치아에 도포하기 위한 브러시가 한 세트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도와 물성이 다양한 형태의 불소바니시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불소바니시는 끈적한 물성으로 인해 구강 내에 도포 후 저 농도의 불소가 제품에 따라 1일 내지 7일 동안 유지되는데, 다른 고농도의 도포용 불화물이 10-15분 이후에 구강 내에서 소실되는 점을 감안하면 불소바니시는 비교적 오랫동안 치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소바니시는 기성 트레이를 이용해야 하는 불소겔(APF gel, NaF gel)과 달리 치면에 브러시를 이용해 단순 도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치면세정 등 전 처치 없이 바로 치아에 도포가 가능하며, 불소섭취에 대한 부작용 우려도 다른 제품에 비해 적은 장점이 있다.
다른 국소 불소 도포 제제와 대비되는 불소바니시의 대표적인 특징은 구강 내 도포 후, 일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불소가 구강 내 타액에 유리됨으로써 타액에 의한 치아의 재 광화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즉, 불소바니시는 구강 내 치아에 도포시 타액과 접촉하여, 타액 속으로 불소 이온을 소진될 때까지 방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불소바니시 도포 시술은 불소바니시 재료 자체의 물성, 치아의 저작과 혀 등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구강 내에서 바니시 재료가 쉽게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니시의 부착능력 향상과, 타액 내에서 불소이온의 유리를 지속시키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9416호(2001.09.2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불소바니시의 도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치아에 도포된 불소바니시의 손실을 막으면서 타액과는 접촉하여 치아의 재광화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개인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불소바니시 도포 시술을 받는 환자의 구강에 부합하도록 형성되며, 치아에 장착시 외부의 타액이 치면에 침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바니시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홀이 형성된 시트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에 형성된 복수의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개인 트레이가 불소바니시를 보호함으로써 저작, 타액 등으로 인해 치아에 도포된 불소바니시가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트레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타액이 투과할 수 있어 불소바니시와 타액이 서로 접촉하여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타액 내 무기질 이온과 불소바니시로부터 용출되는 불소 이온이 목표 치면에 직접 작용하여, 해당 치면에 대한 재광화 효율을 높이고 약물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존 불소바니시 사용량보다 소량을 사용하여 불소섭취로 인한 부작용의 우려는 줄이고 치료효과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동의 불소과다섭취 위험을 줄임으로써 치아불소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진료실에서뿐만 아니라 자가 처치도 가능하여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구강 내 시술 방법이 간단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 제작용 다공성 시트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 제작용 다공성 시트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인 트레이는, 개인 트레이를 사용하게 될 환자의 치아 본을 떠 석고로 만든 뒤 치아 모형에 맞춰 제작하는 플라스틱 치아 외형 틀이다. 이러한 개인트레이는 시술받을 환자 치열의 본을 떠 제작한 것이어서, 다른 환자의 치아에는 적용될 수 없다.
개인트레이의 종류 중 하나인 미백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옴니백(Vacuum former)이라고 하는 기계의 상부에서 트레이 시트를 가열한 뒤, 하부에 위치한 치아의 석고 모형(cast)에 가열된 시트를 빠르게 내림으로써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알지네이트 등의 인상재를 이용해 환자 구강의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체(impression body)에 흐르는 석고를 부은 뒤 굳혀 석고모형(cast)을 얻는다.
모형이 얻어지면, 개인 트레이 내부에 약물이 수용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약물을 도포하고자 하는 타겟 치면에 해당하는 모델의 부분에 레진을 도포한 뒤, 광중합하여 레진을 굳힌다.
레진으로 약물 수용 공간을 확보하고 나면, 옴니백과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진 모형에 부합하는 개인 트레이를 만든다. 옴니백의 상단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시트를 녹일 수 있다. 시트가 장착되는 부분은 옴니백의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하부에는 석고모형이 위치된다. 상부에서 시트가 적당히 녹여지면 하부의 석고모형을 향해 빠르게 내린다. 이에 의해 모형과 접촉한 가열된 시트는 석고모형의 형태를 따른 형상을 얻는다. 이때, 하부에서 강한 흡입 공기를 발생시켜 진공에 의해 시트가 석고모형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석고모형의 형태에 부합하는 개인 트레이를 얻는다.
이때 사용되는 시트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소재는 폴리에틸렌의 한 종류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개인트레이는 내부에 약물을 담아 구강 내에 장착하여 치아에 대한 약물의 접촉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타액의 접촉은 막아 약물만의 순수한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그러나 불소바니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액과 함께 공존해야만 재광화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어 종래의 개인 트레이는 불소바니시 도포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트레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11)이 형성된 다공성 개인트레이(20)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20)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다공성 시트(sheet)(10)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시트와 동일한 소재이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다공성 시트(10)는 복수개의 홀(11)을 구비한다.
홀(11)은 트레이(20)와 치면 사이로 타액이 침투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홀(11)의 직경(d)이 너무 작으면 트레이 내면의 불소제재가 녹아나오기 어렵고, 너무 크면 트레이의 구조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약 1-2mm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홀(11)은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홀(11)과 홀(11) 사이의 간격(D)은 적어도 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트레이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도 1의 다공성 시트(10)를 이용하여 제작된 다공성 개인 트레이(2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20)의 제작 방법은 상술한 공지의 미백 트레이 제작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다공성 시트(10)는 옴니백에 의해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다공성 시트(10) 위에 분리가 가능한 별도의 시트를 결합하여 진공을 형성한 뒤, 별도의 시트를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시트(10)와 별도의 시트 사이에 분리제를 도포할 수 있다.
다공성 개인 트레이(20)는 환자의 구강에 장착시 외부의 타액이 내부로 투과하도록 홀(11)이 형성된다.
또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20)의 내측은 트레이(20)가 적용될 환자의 치아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구강 내에 적용하기 전에 불소바니시가 도포되어 진다.
불소바니시가 도포된 다공성 개인 트레이(20)는 치아와 밀착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타액 내의 무기질 이온과 불소바니시의 불소 이온이 치면에 직접 작용하여 재광화 효율이 높아지며, 약물의 지속시간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개인 트레이(20)는 치아에 도포된 불소바니시의 손실을 막으면서 타액과 공존할 수 있어 치아의 무기질 재침착 증가를 돕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0 : 다공성 시트
11 : 홀
20 : 다공성 개인 트레이

Claims (3)

  1. 불소바니시 도포 시술을 받는 환자의 구강에 부합하도록 형성되며,
    치아에 장착시 외부의 타액이 치면에 침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바니시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바니시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에 형성된 복수의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바니시 도포용 다공성 개인 트레이.
KR1020170101414A 2017-08-10 2017-08-10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KR20190017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14A KR20190017115A (ko) 2017-08-10 2017-08-10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14A KR20190017115A (ko) 2017-08-10 2017-08-10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15A true KR20190017115A (ko) 2019-02-20

Family

ID=6556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414A KR20190017115A (ko) 2017-08-10 2017-08-10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1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16Y1 (ko) 2001-07-03 2001-11-16 이경환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기 위한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16Y1 (ko) 2001-07-03 2001-11-16 이경환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기 위한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943A (en) Methods for treating a person's teeth using sticky dental compositions in combination with passive-type dental trays
US6368576B1 (en) Methods for bleaching, opacifying and desensitizing teeth
US5846058A (en) Dental trays having thin walls for increased patient comfort
US630637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hitening and desensitizing teeth
US5985249A (en) Sticky dental compositions for adhering a passive-type dental tray over a person's teeth
US5098303A (en) Method for bleaching teeth
US8287277B2 (en) Reshapable device for fixation at a dental site
JP4718440B2 (ja) 予め成形されたデンタルトレイ及び処置装置並びにかかるデンタルトレイを利用する方法
US5851512A (en) Dental compositions having a sticky matrix material for treating sensitive teeth
US6730316B2 (en) Dental bleach
US20090238778A1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9827082B2 (en) Fluoride releasing bite plate
RU2005140047A (ru) Каппа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околозубные ткани
UA82878C2 (en) Oral treatment device that includes a thin, flexible barrier layer and an endoskeleton treatment or adhesive composition
JPH032126A (ja) 口腔内抗真菌予防薬およびその使用法
JP2003527356A (ja) 活性物質を歯科部位に制御された状態で投与するシステム
JP2007501671A (ja) 経口薬物を送達するためのトレイ様構造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組成物および装置を製造および使用する方法
JP5550202B2 (ja) 歯を白くし且つ感受性を減じ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08086566A1 (en) Bioactive delivery device
WO200002895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KR20190017115A (ko) 불소바니시 도포를 위한 다공성 개인 트레이
RU2610114C1 (ru) Способ финиш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пломбы кариозной полости
US8936778B2 (en) Methods for bleaching and desensitizing teeth
Rosianu et al. Low viscosity resin penetration degree in incipient caries lesions
JP2007503251A (ja) 固体の接着性層および治療用ゲルを有する治療用組成物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