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548A -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548A
KR20190016548A KR1020197000452A KR20197000452A KR20190016548A KR 20190016548 A KR20190016548 A KR 20190016548A KR 1020197000452 A KR1020197000452 A KR 1020197000452A KR 20197000452 A KR20197000452 A KR 20197000452A KR 20190016548 A KR20190016548 A KR 20190016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ference signal
scheduling inform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089B1 (ko
Inventor
릴리 장
리차드 스터링-갈라커
시아오동 순
빈 리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042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 제1 UE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임 ―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구현되는 경우,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준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Description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특히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표준 중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롱 텀 에볼루션)는 2가지 방식, 즉,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및 TDD(Time Division Duplex, 시간 분할 듀플렉스)를 지원할 수 있다. FDD 시스템에 있어서, UE(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는 2개의 대칭 스펙트럼 리소스 상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식은 음성 서비스 통신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요건이 비대칭 및 시변 특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FDD 방식은 해당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수도 있다. TDD 시스템에 있어서, UE는 동일한 스펙트럼 리소스 상의 상이한 타임슬롯들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렇게,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은 네트워크의 트래픽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지만, 기지국과 UE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핸드오버에 대하여 엄격한 시간 동기화가 보장될 필요가 있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량의 요건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뿐만 아니라, 영역에 따라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TDD 방식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의 변경되는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GPP는 유연한 듀플렉스 기술을 도입한다. 다운링크 트래픽량이 업링크 트래픽량보다 큰 경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서 업링크 트래픽량과 다운링크 트래픽량의 변화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업링크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설계의 경우, 해당 시스템의 모든 DMRS가 동일한 위치를 가지며 각 타임슬롯의 제4 심볼에 위치되므로, 셀간 사용자는 상이한 주파수 호핑 패턴 및 시퀀스 시프트를 구성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설계의 경우, 균일한 분포의 원리가 뒤따르기 때문에, 셀간 사용자는 물리-계층 셀 아이덴티티에 기초하여 시프트를 수행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이 유연한 듀플렉스 방식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이웃하는 셀들이 상이한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예컨대, 셀 1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반면, 셀 2는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함), 전술한 기준 신호 설계 방법이 여전히 사용된다면 셀들 사이의 업링크 기준 신호와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심각하게 간섭된다. 따라서,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해결되어야 할 긴급한 현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 양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하며,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임 ―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2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제2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준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를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UE가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2 양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하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제1 기지국은 제1 UE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송신됨 ―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에 의해,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에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UE에 의해,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UE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UE에 의해, 간섭 측정 정보,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3 양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하며, 방법은, 제2 기지국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단계;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제1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준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사용자 장비(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기지국에 의해,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2 UE가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제2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제1 UE에게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결정하도록,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4 양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하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기지국은 제2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1 UE는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 하에서 제2 UE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제2 UE에 의해,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5 양태는 기지국을 개시하고, 기지국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 제1 UE는 기지국 하의 UE임 ―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송신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기 전에,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2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제2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준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를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제1 UE가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데, 즉, 결정 유닛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이,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데, 즉, 결정 유닛이, 간섭 측정 정보,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6 양태는 사용자 장비(UE)를 개시하고, UE는,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제1 기지국은 UE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송신됨 ―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에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간섭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억제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수신 유닛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데, 즉, 수신 유닛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7 양태는 기지국을 개시하고, 기지국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제1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및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준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사용자 장비(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이고, 제2 UE는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2 UE가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제2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결정 유닛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이,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은, 제1 기지국이,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제1 UE에게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결정하도록,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8 양태는 사용자 장비(UE)를 개시하고, UE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기지국은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1 UE는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 하에서 UE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9 양태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개시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0 양태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개시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2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1 양태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개시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3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2 양태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개시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4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13 양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5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기지국,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6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UE,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7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기지국,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제8 양태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에 따른 UE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또한 제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하의 제1 UE에 제1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은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기술적인 해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본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확히는, 하기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만을 도시하고,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해법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확히는,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전부가 아니라 단지 일부이다.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취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아래에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을 제각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아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의 응용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적어도 2개의 UE(예를 들어, UE 1, UE 2, UE 3, 및 UE 4)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기지국은 소형 셀(Small Cell)이 속하는 기지국이다. 다시 말해, 소형 셀은 기지국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들 기지국은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이다. 다시 말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이웃해 있다. UE는 모바일 폰, 팜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밴드)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UE 1 및 UE 2는 제1 기지국 하의 UE들이며 제1 기지국의 에지 UE들이다(즉, UE 1 및 UE 2는 제1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의 에지 구역에 위치된다). UE 3 및 UE 4는 제2 기지국 하의 UE들이며 제2 기지국의 에지 UE들이다(즉, UE 3 및 UE 4는 제2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의 에지 구역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UE 1 및 UE 2와의 기준 신호 전송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고, 제2 기지국은 UE 3 및 UE 4와의 기준 신호 전송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 속하는 UE와 업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제2 기지국도 마찬가지로 제2 기지국에 속하는 UE와 업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 속하는 UE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제2 기지국도 마찬가지로 제2 기지국에 속하는 UE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셀들 사이의 기준 신호들은 간섭된다. 소형 셀들이 밀집 배치되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소형 셀의 전송 전력은 UE의 전송 전력에 가깝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보다 심각하게 간섭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유연한 듀플렉스 기술이 도입되어, 유연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트래픽이 업링크 트래픽보다 극심할 경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어 다운링크 전송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이 UE 1 또는 UE 2와 업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경우, 제2 기지국은 UE 3 또는 UE 4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1 기지국이 UE 1 또는 UE 2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경우, 제2 기지국은 UE 3 또는 UE 4와 업링크 기준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서, 간섭 조정을 구현하는 한편,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가능한 한 감소시킨다. 이 방식은 특히, 소형 셀들이 밀집 배치되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기지국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201. 제1 기지국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은 서비스 요건에 기초하여 변환될 수 있다. 다운링크 트래픽이 업링크 트래픽보다 극심할 경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될 수 있거나; 또는 업링크 트래픽이 다운링크 트래픽보다 극심할 경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주파수 대역을 유연한 주파수 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 주파수 대역은 캐리어일 수도 있고 또는 캐리어 상의 부분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은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다. 즉, 임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은 상이하며,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은 0이고,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은 1이며; 및/또는 임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의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이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할 경우, 제2 기지국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 기지국이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경우, 제2 기지국은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은 전체 대상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고, 또는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서브프레임들 중 일부일 수도 있다.
202. 제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사용자 장비(UE)에 제1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이고, 제1 기지국 하의 에지 UE일 수 있다(즉, 제1 UE는 제1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의 에지 구역에 위치되는 UE이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소정 시퀀스, 제1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이 유연한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결정된 후에, 제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에 제1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셀들이 기준 신호를 전송할 경우,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은 최대한 감소될 수 있고, 기준 신호 전송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에 제1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제1 UE가 먼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지 UE가 결정된다. 제1 UE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는, 제1 기지국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파라미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지표) 파라미터, 및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기준 신호 수신 품질)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UE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202)가 수행되기 전에,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21)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
이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은 제2 기준 신호 또는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또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준 신호는, 제2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이며,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소정 시퀀스, 제2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의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직교 코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현예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 또는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현예는,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1 기준 신호를 제2 기준 신호에 직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2)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23)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이 구현예에 있어서는, 기준 신호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를 더욱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제1 기준 신호 또는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기준 신호 또는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제2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의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직교 코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24) 제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다.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의 에지 UE일 수 있다.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24)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4a) 제1 기지국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24b)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24c)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즉 측정 서브프레임이 제2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
선택적으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5) 제1 기지국이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스케줄링 정보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이웃하는 셀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6) 제1 기지국이 대상 구성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제1 UE의 간섭 신호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과 UE 3 및 UE 4와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간섭 행렬은 [H31,H41]이고, UE 2와 UE 3 및 UE 4와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간섭 행렬은 [H32,H42]이다.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대상 구성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7) 제1 기지국이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응하여,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8) 제1 기지국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제1 UE가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9) 제1 기지국이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는 단계.
제1 기지국이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28)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제1 기지국이, 간섭 측정 정보,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의 조정된 스케줄링 및 전송은 다음 3가지 방식, 즉, 1. 상정되는 DMRS 간섭이 식별될 경우, 완전히 분리된 시간-주파수 리소스 분할이 수행되고; 2. 셀들 사이의 간섭 신호 및 데이터가 전송시에 중첩되지만 간섭 소거에 의존하고; 3. 셀들 사이의 간섭 신호가 전송시에 중첩되지만 간섭 소거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조정된 스케줄링 및 간섭 소거 방법은 적어도 다음 3가지 방법, 즉, 방법 1: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유연한 듀플렉스 구성을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의 기준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방법 2: 측정이 수행되며 소형 셀에 대하여 간섭 행렬이 확립되고, 유연한 듀플렉스 구성을 사용하는 이웃하는 셀의 서비스 신호로부터의 간섭이 먼저 삭제되고 나서, 기준 신호 검출이 수행되고; 방법 3: 측정이 수행되며 소형 셀에 대하여 간섭 행렬이 확립되고, 유연한 듀플렉스 구성을 사용하는 이웃하는 셀에 의해 야기되는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이 먼저 삭제되고 나서, 서비스 신호 검출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조정된 스케줄링 방법들에 기초하면, 방법 1의 경우, 이웃하는 기지국의 상응하는 DMRS가 지워지고, 간섭 소거가 불필요해지고, UE의 수신기의 성능에 대한 요건이 낮아진다. 방법 2의 경우, 업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에 대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간섭이 소거되고, 여기서 소거는 순간 측정 및 기지국 수신기의 동작에 기초하고, 로컬 DMRS 수신에 대한 이웃하는 셀의 데이터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이 소거되고; 제1 기지국에 속하는 UE에 대하여, 로컬 셀에 대한 이웃하는 셀의 업링크 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UE-특정 간섭이 도출되고, 마지막으로, 로컬 DMRS 수신에 대한 데이터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은 UE ID, PRB 인덱스, 전송 전력, 또는 H 행렬의 순간 측정에 기초하여 소거된다. 방법 3의 경우, 업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에 대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간섭이 소거되고, 여기서 소거는 순간 측정 및 기지국 수신기의 동작에 기초하고, 로컬 DMRS 수신에 대한 이웃하는 셀의 데이터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이 소거되고; 제1 기지국에 속하는 UE에 대하여, 로컬 셀에 대한 이웃하는 셀의 업링크 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UE-특정 간섭이 도출되고, 마지막으로, 로컬 DMRS 수신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은 UE ID, PRB 인덱스, 전송 전력, 또는 H 행렬의 순간 측정에 기초하여 소거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는 저-주파수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주파수 밀리미터파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모든 관련 기준 신호, 스케줄링 정보, 간섭 측정 등은 빔형성(beamforming)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에서는, 기지국이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UE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301. 제1 UE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즉 유연한 주파수 대역이다. 대상 주파수 대역은 캐리어일 수도 있고 또는 캐리어 상의 부분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1 UE는 제1 기지국의 에지 UE일 수 있고,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이웃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UE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02.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소정 시퀀스, 제1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0) 제1 UE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또는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송신된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이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UE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응하여,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1)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제3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2) 제1 UE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행렬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3) 제1 UE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응하여,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4) 제1 UE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기지국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5) 제1 UE가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6) 제1 UE가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응하여, 제1 UE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34)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제1 UE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UE는,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기지국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401. 제2 기지국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즉 유연한 주파수 대역이다.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다. 대상 주파수 대역은 캐리어일 수도 있고 또는 캐리어 상의 부분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402.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이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소정 시퀀스, 제1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403.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제2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제2 기준 신호를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0)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41)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직교 코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2) 제2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이며 제1 기지국 하의 에지 UE일 수 있고,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제2 기지국 하의 에지 UE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기지국이 제2 UE를 결정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제2 기지국이 RSRP 파라미터, RSSI 파라미터, 및 RSRQ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UE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42)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2a) 제2 기지국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42b)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42c)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3) 제2 기지국이 대상 구성 정보를 제2 UE에 송신하는 단계.
대상 구성 정보는, 제2 UE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2 UE에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UE에 의해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제3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대상 구성 정보를 제2 UE에 송신한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4) 제1 기지국이,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제1 UE에게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결정하도록, 제2 기지국이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은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이웃하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업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UE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501. 제2 사용자 장비(UE)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기지국은 제2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2 UE는 제2 기지국의 에지 UE일 수 있고, 제1 UE는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 하에서 제2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고, 제1 UE는 제1 기지국의 에지 U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 등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2 UE에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UE에 의해 사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UE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0) 제2 UE가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제3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UE는, UE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웃하는 UE가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지국을 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1 기지국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601) ― 여기서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이 상이함 ― ;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UE ― 제1 UE는 기지국 하의 UE임 ― 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6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제1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은 도 6에 도시된 기지국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통해 얻어진다. 도 6에 도시된 기지국에 비해,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은, 송신 유닛(602)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기 전에,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6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 신호는 제2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이다.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준 신호는 제2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송신 유닛(602)은,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준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직교 코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정 유닛(601)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601)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결정 유닛(601)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601)이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601)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03)은,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유닛(602)은 대상 구성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UE가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602)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대상 구성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이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제3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 유닛(603)은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결정 유닛(601)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제1 UE가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은,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6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 유닛(601)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결정 유닛(601)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을 구현함으로써, 기지국이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기지국을 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1 기지국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8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01),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802),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803), 및 메모리(804)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버스(805)를 사용해서 접속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8에 도시된 기지국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은 버스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성형(st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컴포넌트를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되거나,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802)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방향으로 UE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웃하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하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803)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방향으로 신호를 UE에 전송하거나, 신호를 이웃하는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하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804)는 고속 RAM 메모리일 수도 있고,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804)는 또한, 프로세서(801)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804)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801)는 메모리(80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800)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UE― 제1 UE는 기지국(800) 하의 UE임 ―에 송신하도록 출력 장치(803)를 기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의 프로세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UE를 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UE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1 UE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제1 기지국은 UE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901);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9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제1 소정 기준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90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제2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902)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UE는 도 9에 도시된 UE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통해 얻어진다. 도 9에 도시된 UE에 비해, 도 10에 도시된 UE는,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유닛(9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응하여, 도 10에 도시된 UE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904); 및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9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일 수 있다.
수신 유닛(902)은,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응하여, 도 10에 도시된 UE는,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억제 유닛(9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송신 유닛(905)은,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응하여, 수신 유닛(902)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및/또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수신 유닛(905)이,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측정 결과,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UE를 구현함으로써, UE는,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UE를 개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UE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1 UE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1), 예를 들어 CPU,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102),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1103), 및 메모리(1104)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버스(1105)를 사용해서 접속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UE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UE는 버스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성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UE는 또한, 컴포넌트를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UE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되거나,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1102)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방향으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이다. 출력 장치(1103)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방향으로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1104)는 고속 RAM 메모리일 수도 있고,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104)는 또한, 프로세서(1101)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1104)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UE에 있어서,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제1 기지국은 UE(1100)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력 장치(1102)를 기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의 프로세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기지국을 개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2 기지국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1201);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제1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1202); 및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유닛(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는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을 더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기지국은 도 12에 도시된 기지국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통해 얻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기지국에 비해, 도 13에 도시된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준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제1 기지국이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12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1201)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제1 UE는 제1 기지국 하의 UE이다. 제2 UE는 기지국 하에서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1201)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결정 유닛(1201)이 운영 관리 및 유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1201)이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 유닛(1201)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송신 유닛(1204)은 대상 구성 정보를 제2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상 구성 정보는, 제2 UE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1204)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대상 구성 정보를 제2 UE에 송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1204)은, 제1 기지국이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제1 UE에게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기지국을 구현함으로써, 기지국은 유연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이웃하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업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한 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 다른 기지국을 개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2 기지국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1), 예를 들어 CPU,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402),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1403), 및 메모리(1404)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버스(1405)를 사용해서 접속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4에 도시된 기지국(1400)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은 버스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성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컴포넌트를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되거나,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1402)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방향으로 UE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웃하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하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1403)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방향으로 신호를 UE에 전송하거나, 신호를 이웃하는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하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1404)는 고속 RAM 메모리일 수도 있고,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404)는 또한, 프로세서(1401)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404)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기지국(1400)에 있어서, 프로세서(1401)는 메모리(140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동작;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제1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 하의 U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도록 입력 장치(1402)를 기동하는 동작; 및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준 신호는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의 프로세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른 UE를 개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UE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2 UE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기지국은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1 UE는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 하에서 UE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150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1501)은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대상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을 더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UE는 도 15에 도시된 UE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통해 얻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UE에 비해, 도 16에 도시된 UE는,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 제1 신호는 제1 UE에게 제1 UE와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1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제2 UE의 아이덴티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제2 UE의 전송 전력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UE를 구현함으로써, UE는, UE가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웃하는 UE가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셀들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 다른 UE를 개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또 다른 U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UE(1700)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수반되는 제2 UE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1), 예를 들어 CPU,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702),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1703), 및 메모리(1704)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버스(1705)를 사용해서 접속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7에 도시된 UE(1700)의 구조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UE는 버스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성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UE는 또한, 컴포넌트를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UE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되거나,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1702)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방향으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이다. 출력 장치(1703)는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방향으로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1704)는 고속 RAM 메모리일 수도 있고,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704)는 또한, 프로세서(1701)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1704)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UE(1700)에 있어서, 프로세서(1701)는 메모리(170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UE(1700)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UE(1700)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제2 기지국은 UE(1700)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제1 UE는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 하에서 UE(1700)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도록 입력 장치(1702)를 기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U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도 5에서 설명된 방법의 프로세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은 제1 기지국(1801), 제2 기지국(1802), 제1 UE(1803), 및 제2 UE(18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E(1803)는 하나의 UE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UE일 수도 있다. 제2 UE(1804)는 하나의 UE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UE일 수도 있다.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기지국(1801)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제1 기지국과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고; 제2 기지국(1802)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제2 기지국과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고; 제1 UE(1803)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제1 UE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고; 또한 제2 UE(1804)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제2 UE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개시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대하여 판독될 경우, 컴퓨터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모든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모듈 또는 서브모듈은 범용 집적 회로, 예를 들어 CPU를 사용해서,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주문형 집적 회로)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은 일련의 동작으로 표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단계들이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동작들의 설명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형태들이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며, 관련된 동작 및 모듈이 반드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은 각각의 주안점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방법의 단계들의 시퀀스는 조정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들은 조합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 및 UE의 유닛들은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조합, 분할, 또는 배제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제공된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해서 설명된다. 실시형태들에 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아이디어에 따라 구체적인 구현예 및 응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23)

  1. 기준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 상기 제1 UE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임 ―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상기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UE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UE가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를 상기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제1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인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운영 관리 및 유지(OAM)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제1 UE의 상기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기준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UE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UE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됨 ―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인
    방법.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에 의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2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9. 기준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2 기지국에 의해,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9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사용자 장비(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1 UE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이고, 상기 제2 UE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UE가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상기 제2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운영 관리 및 유지(OAM)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0.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1. 제4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54. 기준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2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제2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상기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2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상기 제1 UE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제2 UE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UE에 의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방법.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0. 기지국으로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준 신호를 제1 사용자 장비(UE)― 상기 제1 UE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임 ―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이며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인
    기지국.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65.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66. 제62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8. 제60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상기 제1 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UE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되며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UE가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를 상기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기지국.
  72. 제70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73. 제68항 내지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UE에 의해 송신되는 간섭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1 UE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제1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기지국.
  76. 제73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인
    기지국.
  77. 제70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78. 제70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79. 제68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이 운영 관리 및 유지(OAM)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2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인
    기지국.
  80. 제74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기지국.
  82. 사용자 장비(UE)로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UE가 속하는 기지국임 ―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UE.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84. 제82항 또는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상기 UE와 상기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UE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이며,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됨 ―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UE.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UE.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87. 제84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해서 측정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UE.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89. 제87항 또는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측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UE.
  90. 제87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또는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UE.
  91. 제89항 또는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측정 정보는 간섭 행렬인
    UE.
  92. 제89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UE.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억제 유닛을 더 포함하는
    UE.
  94. 제92항 또는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UE.
  95. 제92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UE의 간섭 소거 능력을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UE.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간섭 측정 정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제1 UE의 간섭 소거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UE.
  97. 제84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UE.
  98. 기지국으로서,
    대상 주파수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방향이 구성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타임슬롯 구성 및/또는 전송 방향은 상이함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기준 신호―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기준 신호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제1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제2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제1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00. 제98항 또는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업링크 DMRS, 업링크 SRS, 및 제2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01. 제98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직교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02. 제98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것들인 시퀀스 길이, 순환 시프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포맷, 셀 아이덴티티,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의 초기값, 및 직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04. 제98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측정 서브프레임―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사용자 장비(UE)와 제2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1 UE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이고, 상기 제2 UE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제1 UE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UE임 ―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UE가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제2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상기 제2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기지국.
  107. 제105항 또는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DMRS, 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08. 제104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이 운영 관리 및 유지(OAM)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교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인
    기지국.
  109. 제105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10. 제105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11. 제105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에 대하여 의도된 제2 스케줄링 정보―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2 UE로부터의 신호 간섭을 소거 또는 억제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2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기지국.
  113. 사용자 장비(UE)로서,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 구성 정보―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측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기 UE의 제1 스케줄링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은 간섭 측정이 제1 UE와 상기 UE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UE가 속하는 기지국이고, 상기 제1 UE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인접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상기 UE에 의해 간섭되는 UE임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UE.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제1 신호―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UE에게 상기 제1 UE와 상기 UE 사이의 간섭을 측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UE.
  115.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제1 소정 스케줄링 정보인
    UE.
  116. 제114항 또는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시퀀스 코드, 프리앰블, 및 제3 소정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117. 제113항 내지 제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2 UE의 아이덴티티, 상기 제2 UE에 의해 점유되는 물리 리소스 블럭(PRB)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UE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118. 제113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성 정보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및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를 포함하는
    UE.
  119.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제1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20.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제23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
  121.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제39항 내지 제5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22.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제54항 내지 제5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
  123. 제60항 내지 제8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82항 내지 제9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UE, 제98항 내지 제1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및 제113항 내지 제1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UE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
KR1020197000452A 2016-06-08 2016-06-08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102205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5327 WO2017210903A1 (zh) 2016-06-08 2016-06-08 一种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相关设备、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48A true KR20190016548A (ko) 2019-02-18
KR102205089B1 KR102205089B1 (ko) 2021-01-19

Family

ID=6057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52A KR102205089B1 (ko) 2016-06-08 2016-06-08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5009B2 (ko)
EP (1) EP3457774B1 (ko)
JP (1) JP6930713B2 (ko)
KR (1) KR102205089B1 (ko)
CN (1) CN109314955B (ko)
WO (1) WO20172109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189A (ko) * 2017-01-12 2019-08-26 소니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21246541A1 (ko) * 2020-06-02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4071775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4403A (zh) * 2017-01-06 2023-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0848258B2 (en) * 2017-01-17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1356860B2 (en) * 2017-11-10 2022-06-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crosslink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US20210144569A1 (en) * 2019-11-08 2021-05-13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user equipment capability for beam failure detection and beam management
CN112383595B (zh) * 2020-11-02 2022-08-26 河南工学院 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生产线设备运行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US20240056854A1 (en) * 2022-08-11 2024-02-15 Qualcomm Incorporated Cross-link interference (cli) cancell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375A (ja) * 1987-12-22 1989-06-29 Nonogawa Shoji:Kk サボテン科植物の組織培養による色素の製造方法
WO2014161592A1 (en) * 2013-04-05 2014-10-09 Huawei Technologies Co.,Lt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20140369221A1 (en) * 2011-12-28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tdd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KR20150013722A (ko) * 2012-05-17 2015-02-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저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한 협대역 파티셔닝 및 효율적인 리소스 할당
KR20150016529A (ko) * 2012-05-01 2015-02-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응형 시분할 듀플렉싱(tdd) 구성들에 기초한 간섭 완화
WO2015043633A1 (en) * 2013-09-25 2015-04-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50110650A (ko) * 2013-01-18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5560C (zh) * 2004-09-13 2008-03-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载波时分双工移动通信系统灵活支持非对称业务的方法
AU2010250200B2 (en) * 2009-05-21 2013-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multi-antenna system
CN101931437A (zh) * 2009-06-19 2010-12-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解调参考信号设置方法及装置
WO2012149673A1 (en) 2011-05-03 2012-11-08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tdd systems allowing allocation of flexible subframes for uplink or downlink transmission
EP2941933A1 (en) * 2013-01-04 2015-11-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tigating cross-link interference when using reconfigurable tdd
CN109905225B (zh) * 2013-04-01 2021-07-2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通信装置以及通信方法
US10243707B2 (en) * 2013-05-10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downlink operation for eIMTA
WO2015042176A1 (en) * 2013-09-17 2015-03-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downlink ue-specific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facilitate inter -cell interference supression
CN104735789B (zh) * 2013-12-19 2018-06-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小区间干扰消除方法、装置及系统
CN104753647B (zh) * 2013-12-30 2018-06-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方法及装置
US9525466B2 (en) * 2014-04-14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apparatus therefor
CN105099631A (zh) 2014-04-17 2015-11-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处理灵活双工的方法和设备
CN105407474B (zh) 2014-09-04 2021-01-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资源管理方法及基站
WO2016037305A1 (en) 2014-09-08 2016-03-17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transmissions on one or more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resour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375A (ja) * 1987-12-22 1989-06-29 Nonogawa Shoji:Kk サボテン科植物の組織培養による色素の製造方法
US20140369221A1 (en) * 2011-12-28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tdd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KR20150016529A (ko) * 2012-05-01 2015-02-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응형 시분할 듀플렉싱(tdd) 구성들에 기초한 간섭 완화
KR20150013722A (ko) * 2012-05-17 2015-02-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저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한 협대역 파티셔닝 및 효율적인 리소스 할당
KR20150110650A (ko) * 2013-01-18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61592A1 (en) * 2013-04-05 2014-10-09 Huawei Technologies Co.,Lt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WO2015043633A1 (en) * 2013-09-25 2015-04-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189A (ko) * 2017-01-12 2019-08-26 소니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21246541A1 (ko) * 2020-06-02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4071775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7774A1 (en) 2019-03-20
EP3457774B1 (en) 2021-02-24
JP2019524023A (ja) 2019-08-29
CN109314955B (zh) 2023-10-20
KR102205089B1 (ko) 2021-01-19
US10785009B2 (en) 2020-09-22
CN109314955A (zh) 2019-02-05
US20190260557A1 (en) 2019-08-22
WO2017210903A1 (zh) 2017-12-14
EP3457774A4 (en) 2019-04-24
JP6930713B2 (ja)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089B1 (ko) 기준 신호 전송 방법과 관련 장치 및 시스템
US116118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base sequen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80338256A1 (en)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EP2719216B1 (en) Signal quality measurements of a user equipment on a subset of radio resource elements
US20210099332A1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CN104303585A (zh) 减少直接设备至设备通信导致的干扰的动态资源选择
TWI693840B (zh) 接收訊號強度指示測量之方法及其使用者設備
KR20160138553A (ko) 참조 신호 검출 방법과 수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KR102201832B1 (ko) 공유되는 통신 매체 상의 공존
CN108023701B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
KR20200082230A (ko) 자원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165474B (zh) 一种测量方法和设备
EP4087173A1 (en)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947937B1 (en) Base station device, communi 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407168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230012951A (ko)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