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951A -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951A
KR20230012951A KR1020210149951A KR20210149951A KR20230012951A KR 20230012951 A KR20230012951 A KR 20230012951A KR 1020210149951 A KR1020210149951 A KR 1020210149951A KR 20210149951 A KR20210149951 A KR 20210149951A KR 20230012951 A KR20230012951 A KR 2023001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base station
resources
allocated
s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식
오진우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218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20715A1/en
Priority to US17/812,787 priority patent/US20230028317A1/en
Priority to CN202210836003.3A priority patent/CN115623490A/zh
Publication of KR2023001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AN USER EQUIPMENT, A BASE STATION THAT SUPPORT DYNAMIC SPECTRUM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release) 15에서는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의 주파수 대역으로의 원활한 NR(New Radio) 네트워크의 이주(migration)를 지원하기 위해 DSS(Dynamic Spectrum Sharing, 이하, DSS로 지칭) 기술이 제안되었다. DSS 기술은 동일 주파수 영역에서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가 상호 동적으로 공존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의 셀 기준 신호(Cell Reference Signal; 이하, CRS)는 항상-온 신호(always on signal)로서 LTE 단말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CRS가 항상 전송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이하, SSB)이 LTE 네트워크의 CRS가 할당되는 자원과 중첩되는 경우에, NR 네트워크의 SSB들과 CRS 간의 충돌(collision) 문제를 회피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로 인해, NR 네트워크의 SSB들 중 LTE 네트워크의 CRS이 할당된 자원들에 중첩된 SSB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NR 네트워크의 SSB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을 LTE 네트워크의 CRS가 할당되는 자원들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용 방식을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측면에 따른 NR(New Radio) 네트워크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RF(Radio Frequency) 송수신기들, 상기 복수의 RF 송수신기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 또는 상기 복수의 RF 송수신기들을 통해 전송될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상기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포함된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과 상기 기준 신호가 포함된 상기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2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상기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될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오프셋에 기반되어 상기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상기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중첩이 최소화된 채널 및 상기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싱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DSS에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와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측에서 이용 가능한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를 최대로 늘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연결 등에 이용되는 동기 신호 블록들을 유효하게 수신하여 통신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영역인 시간-주파수 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에서의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DSS에서의 중첩된 시간-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계 S2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이 적용된 IoT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CS)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기지국(BS1, BS2, BS3)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BS1, BS2, BS3)은 Node B, eNB(evolved-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5G의 g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1~26)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기지국(BS1, BS2, BS3)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21~26)는 단말(terminal),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CS)은 제1 내지 제3 기지국(BS1, BS2, B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지국(BS3)은 제1 및 제2 기지국(BS1, BS2)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지국(BS3)은 인터넷 또는 독점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4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BS1)은 제1 기지국(BS1)의 커버리지 영역(20) 내의 복수의 사용자 기기들(21~26)에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기기들(21~26)은 SB(Small Business; SB)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21), E(Enterprise)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22), HS(Wifi Hot Spot)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23), R(Residence)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24) 및 셀룰러 폰, 무선 랩톱, 무선 PDA 등과 같은 M(mobile device)일 수 있는 사용자 기기들(25, 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지국(BS2)은 제2 기지국(BS2)의 커버리지 영역(30) 내의 복수의 사용자 기기들(25, 26)에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내지 제3 기지국(BS1, BS2, BS3)은 NR(New Radio),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MAX, WiFi,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상호 또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들(21~26)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기지국(BS1)은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지원하고, 제2 기지국(BS2)은 LTE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지국(BS1)은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 및 LTE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기지국(BS1)은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26)는 LTE 네트워크의 주파수 대역과 중첩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1 기지국(BS1)과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한다. 즉, 사용자 기기(26)는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3GPP 표준 스펙에 명시된 'FR1'(Frequecy Range 1) 및 'FR2'(Frequency Range 2) 중 'FR1'을 통해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함을 전제한다. 상기 전제된 내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기지국(BS1)은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동기식 운용 방식은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정렬시켜 자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동기식 운용 방식은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정렬시키지 않고, 자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 및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를 고려하여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는 실시예들이 중심으로 서술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NR 네트워크의 임의의 신호와 LTE 네트워크의 임의의 신호를 이용하여 비동기식 운용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동기 신호 블록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로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기지국(BS1)은 LTE 네트워크 기반 통신만을 지원하는 때에,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에 관한 정보를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LTE 네트워크 기반 통신과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때에,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에 관한 정보는 자신이 설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기지국(BS1)은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Synchronization Signal Blocks)이 할당된 자원들과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해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의 비정렬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정렬 정도는 시간 오프셋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시간 오프셋은 LTE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와 LTE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에 대응하는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 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시간 오프셋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단위의 심볼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은 'FR1'을 통해 사용자 기기(26)에 제공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26)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로부터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상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은 'FR2'를 통해 사용자 기기(26)에 제공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26)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BS1)과 통신을 위한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는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기지국(BS1)은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된 자원들을 통해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을 사용자 기기(26)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BS1)은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NR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된 자원들을 통해 NR PDSCH를 사용자 기기(26)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BS1)은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기기(26)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사용자 기기(26)는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에 포함된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26)는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후술될 NR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때에,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26)는 상기 정보로부터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이 할당된 자원들 기준으로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위치를 인지하고, 인지된 위치를 기반으로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BS1)은 DSS에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26)와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26) 측에서 이용 가능한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를 최대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제2 기지국(BS2)은 CRS 관련 안테나 포트수를 4개까지 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랭크 3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가능하여 데이터 쓰루풋(throughput)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6)는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통신 연결 등에 이용되는 동기 신호 블록들을 유효하게 수신하여 통신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100)의 구현예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한편, 기지국(100)의 구현예는 도 1의 제1 기지국(BS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컨트롤러(110), 메모리(120), 프로세싱 회로(130), 복수의 RF 송수신기들(142_1~142_n) 및 복수의 안테나들(144_1~144_n)을 포함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들(142_1~142_n)은 안테나들(144_1~144_n)로부터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기기들에 의해 전송된 RF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들(142_1~142_n)은 수신된 RF 신호들을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30)는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데이터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130)는 컨트롤러(110)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3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들을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아날로그화 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들(142_1~142_n)은 프로세싱 회로(130)로부터 출력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들로서 안테나들(144_1~144_n)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10)는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기지국(100)의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DSS에서의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스케줄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스케줄러(112)는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포함된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과 기준 신호가 포함된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2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1 패턴 타입은 NR 네트워크에서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하나의 SSB 버스트 세트(burst set) 주기 동안의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 및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의 주파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제2 패턴 타입은 LTE 네트워크에서의 안테나 포트 수 및 MBSFN 서브프레임에 관한 설정(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컨트롤러(110)는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 제1 패턴 타입 및 제2 패턴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스케줄러(112)는 설정된 시간 오프셋에 따라 LTE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기준으로 NR 네트워크의 제1 신호들을 자원들을 시간 축을 중심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케줄러(112)는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제2 네트워크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과 중첩되도록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케줄러(112)는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과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스케줄러(112)는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프로세싱 회로(130), 복수의 RF 송수신기들(142_1~142_n) 및 복수의 안테나들(144_1~144_n)을 이용하여 NR 네트워크의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사용자 기기에 미리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전반적인 기지국(100)의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케줄러(112)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110)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스케줄러(112)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150)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기기(150)의 구현예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 기기(150)의 구현예는 도 1의 사용자 기기(26)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150)는 컨트롤러(160), 메모리(170), 프로세싱 회로(180), RF 송수신기(192) 및 복수의 안테나들(194_1~194_m)을 포함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192)는 안테나들(194_1~194_m)을 통해 기지국이 송신하는 RF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192)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80)는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데이터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180)는 컨트롤러(160)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8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들을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아날로그화 할 수 있다. RF 송수신기(192)는 프로세싱 회로(180)로부터 출력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RF 신호들로서 안테나들(194_1~194_n)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60)는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DSS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검출하기 위한 SSB 검출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사용자 기기(150)는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오프셋에 기반되어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중첩이 최소화된 채널(예를 들면, PDSCH) 및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사용자 기기(150)는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채널보다 먼저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SSB 검출기(162)는 사용자 오프셋을 이용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자원들로부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기 신호 블록을 검출하는 것은 동기 신호 블록에 포함된 통신 연결 등에 필요한 정보들을 복호 등의 프로세싱 동작을 통해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컨트롤러(160)는 사용자 오프셋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자원들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전반적인 단말(150)의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SSB 검출기(162)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160)는 메모리(17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SSB 검출기(162)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영역인 시간-주파수 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에서의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 영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서, Nsymb(202)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206)을 구성할 수 있다.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롯(206)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예로, 슬롯(206)의 구성에 따라 슬롯(206)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205)은 LTE 네트워크에 기반된 것으로 5G 네트워크에서는 슬롯(206)을 중심으로 시간-주파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프레임(2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205)들로 구성되는 시간영역 단위일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2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자원 엘리먼트(2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자원 블록(208, Resource Block, RB)은 시간 영역에서 Nsymb(2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2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B(208)는 (Nsymb * NRB)개의 RE(212)로 구성될 수 있다. RB 쌍(pair)이란 시간 축으로 두 개의 RB를 연접한 단위로 (Nsymb * 2NRB)개의 RE(21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a와 같은 시간-주파수 영역의 자원들에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들과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동기 신호 블록들과 기준 신호와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들 간의 중첩은 신호들이 할당된 자원들 간의 중첩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지국은 많은 개수의 유효한 동기 신호 블록들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동기 신호 블록들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를 더 참조하면,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300)은 10ms로 정의되고, 서브프레임(301)은 1ms로 정의될 수 있으며, 프레임(300)은 총 10개의 서브프레임(301)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302, 303)은 14개의 OFDM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즉, 하나의 슬롯 당 심볼 수(
Figure pat00001
)=14). 하나의 서브프레임(301)은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302, 303)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서브프레임(301) 당 슬롯(302, 303)의 개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또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설정 값
Figure pat00002
(304, 305), 슬롯(302, 303)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4b에서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값으로
Figure pat00003
(304)인 경우와
Figure pat00004
(305)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값으로
Figure pat00005
(304)인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301)은 1개의 슬롯(302)을 포함하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값으로
Figure pat00006
(305)인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301)은 2개의 슬롯(303)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설정 값
Figure pat00007
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 당 슬롯 수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당 슬롯 수가 달라질 수 있다. 각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설정 값
Figure pat00008
에 따른 하나의 서브프레임 당 슬롯수(
Figure pat00009
) 및 하나의 프레임 당 슬롯 수(
Figure pat00010
)는 [표 1]로 정의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11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 당 슬롯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당 슬롯수 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고려하여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시간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당 슬롯수 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기반으로 심볼 단위의 심볼 오프셋 및 서브프레임 단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동기 신호 블록(SSB1)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동기 신호 블록(SSB1)은 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파수 축 방향으로 소정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에 대응하는 곳에 PSS, SSS, PBCH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자원 블록(RB)은 12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첫 심볼에 대응하는 PSS는 127개의 서브 캐리어들을 통해 사용자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동기 신호 블록(SSB1)의 구성은 제2 내지 제8 동기 신호 블록(SSB2~SSB8)의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슬롯(slot)에 2개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소정의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동안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SSB1~SSB8)가 포함된 SSB 버스트 세트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시스템에서 15kHZ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적용된 NR임을 가정할 때에, 기지국은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동안 8개의 동기 신호 블록들(SSB1~SSB8)을 사용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슬롯(slot)의 길이는 1ms,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는 20ms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 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SSB 버스트 세트(SSB burst set)에 포함된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 SSB들의 개수, SSB 버스트 세트 주기(TSSB), 하나의 슬롯(slot)의 길이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크기, 기지국에서 설정한 동기 신호 블록 주기(SSB period), 셀 탐색을 위해 할당된 시간 구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DSS에서의 중첩된 시간-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와 LTE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가 정렬되도록 중첩된 것을 전제한다. 다만,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된 서브프레임의 예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고, NR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서브프레임들의 구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은 제1 내지 제10 서브프레임(SF#0~SF#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및 제3 서브프레임(SF#1, SF#2)에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configuration)될 수 있으며, 나머지 서브프레임들(SF#0, SF#3~SF#9)은 일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SF#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서브 프레임(SF#0)은 제1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은 제1 내지 제14 심볼(#0~#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은 12개의 서브캐리어들 및 14개의 OFDM 심볼들(#0~#13)에 부합하는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PRB에는 LTE PDCCH, LTE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NR PDSCH DMRS(DeModulate Reference Signal) 및 NR PDSCH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LTE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포트수(AP0, AP1, AP2, AP3)에 따라 LTE CRS의 패턴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LTE CRS는 LTE 네트워크의 CRS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수(AP0)가 1개인 때에, 제1, 제5, 제8 및 제12 심볼(#0, #4, #7, #11)에 대응하는 자원들(0)에 CRS가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수(AP1)가 2개인 때에, 제1, 제5, 제8 및 제12 심볼(#0, #4, #7, #11)에 대응하는 자원들(1)에 CRS가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수(AP2)가 3개인 때에, 제2 및 제9 심볼(#1, #8)에 대응하는 자원들(2)에 CRS가 할당되며, 안테나 포트수(AP3)가 4개인 때에, 제2 및 제9 심볼(#1, #8)에 대응하는 자원들(3)에 CRS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NR 네트워크의 제1 SSB는 제1 SSB 영역(R_SSB#0)에 할당될 수 있으며, 제1 SSB 영역(R_SSB#0)은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NR 네트워크의 제2 SSB는 제2 SSB 영역(R_SSB#1)에 할당될 수 있으며, 제2 SSB 영역(R_SSB#1)은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제1 SSB는 안테나 포트수(AP0, AP1)가 1개 또는 2개인 때의 CRS와 중첩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제1 SSB를 이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2 SSB는 안테나 포트수(AP0, AP1, AP2, AP3)가 1개 또는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인 때의 CRS와 중첩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제2 SSB를 이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LTE 네트워크의 CRS와 중첩되는 SSB를 사용자 기기와의 통신에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개수의 SSB들의 운용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도 6b에서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제2 서브프레임(#SF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b를 더 참조하면, 제2 서브프레임(#SF1)의 하나의 PRB에는 LTE PDCCH, LTE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NR PDSCH DMRS(DeModulate Reference Signal) 및 NR PDSCH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LTE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포트수(AP0, AP1, AP2, AP3)에 따라 LTE CRS의 패턴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제2 서브프레임(#SF1)의 LTE CRS의 패턴과 도 6a의 제1 서브프레임(#SF0)의 LTE CRS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수(AP0)가 1개인 때에, 제1 심볼(#0)에 대응하는 자원들(0)에 CRS가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수(AP1)가 2개인 때에, 제1 심볼(#0)에 대응하는 자원들(1)에 CRS가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수(AP2)가 3개인 때에, 제2 심볼(#1)에 대응하는 자원들(2)에 CRS가 할당되며, 안테나 포트수(AP3)가 4개인 때에, 제2 심볼(#1)에 대응하는 자원들(3)에 CRS가 할당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OFDM 심볼들(#0~#13)은 제2 서브프레임(#SF1)에 부합하는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OFDM 심볼들(#0~#13)과 상이하다.
일 예로, NR 네트워크의 제1 SSB는 제1 SSB 영역(R_SSB#0')에 할당될 수 있으며, 제1 SSB 영역(R_SSB#0')은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NR 네트워크의 제2 SSB는 제2 SSB 영역(R_SSB#1')에 할당될 수 있으며, 제2 SSB 영역(R_SSB#1')은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SSB는 CRS와 중첩되지 않는 바, 기지국은 유효한 제1 및 제2 SSB를 사용자 기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제1 및 제2 SSB를 검출하여 통신 연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자원 할당을 수행하여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MBSFN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기지국은 DSS에서의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포함된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과 기준 신호가 포함된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2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에 따른 시그널링을 사용자 기기와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LTE 네트워크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과 중첩되도록 제1 신호들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한 후, 제1 신호들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과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들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한 후, 제1 신호들을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기지국은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즉, 설정된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신호들로부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CRS의 자원 위치를 인지하여 CRS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DSS에서 중첩된 LTE 네트워크 자원들과 NR 네트워크 자원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LTE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NR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이고,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들의 패턴은 'Case A'인 것을 전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서브프레임(SF#0, SF#1)은 각각 제1 내지 제14 심볼(#0~#1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프레임(SF#0, SF#1)에서 제1, 제2, 제5, 제8, 제9 및 제12 심볼(#0, #1, #4, #7, #8, #11)은 안테나 포트수에 따라 LTE CRS가 할당될 수 있다. 제1 SSB(SSB#0)는 제1 서브프레임(SF#0)의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할당되고, 제2 SSB(SSB#1)는 제1 서브프레임(SF#0)의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되고, 제3 SSB(SSB#2)는 제2 서브프레임(SF#1)의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할당되며, 제4 SSB(SSB#3)는 제2 서브프레임(SF#1)의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SSB(SSB#0~SSB#3)는 CRS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과 중첩되어 기지국이 제1 내지 제4 SSB(SSB#0~SSB#3)를 이용하여 통신 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8b를 더 참조하면, 제2 서브프레임(SF#1)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서브프레임(SF#1)에는 제1 및 제2 심볼(#0, #1)에만 안테나 포트수에 따라 LTE CRS가 할당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및 제4 SSB(SSB#2, SSB#3)는 CRS가 할당된 심볼들과 중첩되지 않아 기지국은 제3 및 제4 SSB(SSB#2, SSB#3)를 이용하여 통신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설정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SSB와 LTE CRS와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도 8a 및 도 8b 등에서는 안테나 포트수에 따른 CRS의 모든 패턴을 고려하여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CRS의 임의의 패턴(예를 들면, 1개의 안테나 포트수인 경우의 CRS의 패턴)만을 고려하여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단계 S2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400) 및 사용자 기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기지국(400)은 NR 네트워크의 SSB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SSB 패턴은 NR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하나의 SSB 버스트 세트 주기 동안의 SSB들의 개수 및 SSB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의 주파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400)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Case A'로 SSB 패턴을 설정하거나,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Case B'로 SSB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서브프레임 단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지국(400)이 직접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SSB와 CRS 간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은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기지국(40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및 MA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기지국(40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에 따라 복수의 SSB들이 포함된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복수의 SSB들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들과 중첩되도록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서브프레임 오프셋만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기지국(400)은 단계 S230에서 자원 할당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운링크 신호는 PDSCH로서 사용자 기기(4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복수의 SS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NR PDSCH일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처리된 다운링크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4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은 다운링크 신호를 검출하거나, 복호화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단계 S240에 후속하여 단계 S251에서 기지국(40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기반으로 복수의 SSB들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252에서 기지국(400)은 검출된 SSB들을 통해 TCI 상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60이 후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400)은 다운링크 신호가 NR PDSCH인 때에,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기반으로 LTE 네트워크의 CRS에 대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NR PDSCH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및 제3 서브프레임(SF#1, SF#2)에 MBSFN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것을 전제하고, 도 8b에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서술한다.
도 8b 및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SSB의 패턴과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을 기반으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1' 서브프레임 오프셋만큼 도 8b의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도 8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프레임(SF#0, SF#1)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SSB(SSB#0~SSB#3)가 MBSFN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제2 및 제3 서브프레임(SF#1, SF#2)에 위치하도록 NR 네트워크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제1 내지 제4 SSB(SSB#0~SSB#3)와 LTE CRS가 중첩되지 않도록 NR 네트워크를 LTE 네트워크와 비동기식 운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SSB(SSB#0~SSB#3)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DSS에서 중첩된 LTE 네트워크 자원들과 NR 네트워크 자원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LTE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이고, NR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30kHz'이며,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들의 패턴은 'Case B'인 것을 전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프레임(SF#0)은 일반 서브프레임이고, 제2 서브프레임(SF#1)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것을 전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서브프레임(SF#0)은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4 심볼(#0~#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28 심볼(#0~#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SF#0)에서 LTE 네트워크의 제1, 제2, 제5, 제8, 제9 및 제12 심볼(#0, #1, #4, #7, #8, #11)은 안테나 포트수에 따라 LTE CRS가 할당될 수 있다. 제1 SSB(SSB#0)는 NR 네트워크의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할당되고, 제2 SSB(SSB#1)는 NR 네트워크의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되고, 제3 SSB(SSB#2)는 NR 네트워크의 제19 내지 제22 심볼(#18~#21)에 할당되며, 제4 SSB(SSB#3)는 NR 네트워크의 제23 내지 제26 심볼(#22~#25)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4 SSB(SSB#1, SSB#3)는 CRS가 할당된 LTE 네트워크의 심볼들(#4, #11)과 중첩되어 기지국이 제2 및 제4 SSB(SSB#1, SSB#3)를 이용하여 통신 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12b를 더 참조하면, 기지국은 SSB의 패턴과 MBFSN 서브프레임의 설정을 기반으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1'의 서브프레임 오프셋만큼 도 12a의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도 12a에서와 같이 제1 서브프레임(SF#0)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SSB(SSB#0~SSB#3)가 MBSFN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제2 서브프레임(SF#1)에 위치하도록 NR 네트워크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제1 내지 제4 SSB(SSB#1~SSB#4)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와의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400) 및 사용자 기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300에서 기지국(400)은 NR 네트워크의 SSB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400)은 후술될 도 14a 및 도 14b 같이 'Case C'로 SSB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심볼 단위의 심볼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심볼 오프셋은 NR 네트워크 기준으로 설정되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LTE 네트워크 기준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SSB와 CRS 간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심볼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은 LTE 네트워크의 안테나 포트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기지국(400)은 심볼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및 MA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심볼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기지국(400)은 심볼 오프셋에 따라 복수의 SSB들이 포함된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복수의 SSB들이 LTE 네트워크의 CRS와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중첩이 최소화되도록)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심볼 오프셋만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기지국(400)은 단계 S330에서 자원 할당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운링크 신호는 PDSCH로서 사용자 기기(4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복수의 SS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NR PDSCH일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심볼 오프셋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처리된 다운링크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DSS에서 중첩된 LTE 네트워크 자원들과 NR 네트워크 자원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LTE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이고, NR 네트워크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30kHz'이며,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들의 패턴은 'Case C'인 것을 전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프레임(SF#0)은 일반 서브프레임인 것을 전제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서브프레임(SF#0)은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4 심볼(#0~#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28 심볼(#0~#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SF#0)에서 LTE 네트워크의 제1, 제2, 제5, 제8, 제9 및 제12 심볼(#0, #1, #4, #7, #8, #11)은 안테나 포트수에 따라 LTE CRS가 할당될 수 있다. 제1 SSB(SSB#0)는 NR 네트워크의 제3 내지 제6 심볼(#2~#5)에 할당되고, 제2 SSB(SSB#1)는 NR 네트워크의 제9 내지 제12 심볼(#8~#11)에 할당되고, 제3 SSB(SSB#2)는 NR 네트워크의 제17 내지 제20 심볼(#16~#19)에 할당되며, 제4 SSB(SSB#3)는 NR 네트워크의 제23 내지 제26 심볼(#22~#25)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SSB(SSB#0~SSB#3)는 CRS가 할당된 LTE 네트워크의 심볼들(#1, #4, #8, #11)과 중첩되어 기지국이 제1 내지 제4 SSB(SSB#0~SSB#3)를 이용하여 통신 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14b를 더 참조하면, 기지국은 SSB의 패턴과 LTE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심볼 오프셋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2'의 심볼 오프셋만큼 도 14a의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도 14a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SSB(SSB#0~SSB#3)가 LTE CRS와 중첩되지 않도록 NR 네트워크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제1 내지 제4 SSB(SSB#1~SSB#4)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와의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운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400) 및 사용자 기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기지국(400)은 NR 네트워크의 SSB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SSB 패턴 및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을 기반으로 SSB와 CRS 간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LTE 네트워크의 CRS의 패턴은 MBFSN 서브프레임에 관한 설정 및 LTE 네트워크의 안테나 포트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기지국(40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및 MA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서브프레임 및 심볼 오프셋을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기지국(40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에 따라 복수의 SSB들이 포함된 NR 네트워크의 신호들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00)은 복수의 SSB들이 LTE 네트워크의 CRS와 중첩되지 않도록(또는, 중첩이 최소화되도록) NR 네트워크의 라디오 프레임 바운더리를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만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기지국(400)은 단계 S430에서 자원 할당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운링크 신호는 PDSCH로서 사용자 기기(4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복수의 SS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NR PDSCH일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사용자 기기(410)는 처리된 다운링크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0)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입출력 제어부(1040), 표시부(1050), 입력 장치(1060) 및 통신 처리부(10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010)는 복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010)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0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 SSB 검출 프로그램(101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여 생성된 오프셋 정보(Offset Info.)를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01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 및 SSB 검출 프로그램(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0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셋(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은 전자 장치(1000)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13)은 프로세서(1022)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코드들(또는, 커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SSB 검출 프로그램(1014)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셋 정보(Offset Info.)를 기반으로 SSB들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들(또는, 커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로, 프로세서(1022)는 SSB 검출 프로그램(1014)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또는, PDSCH)로부터 SSB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SSB들로부터 TCI 상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획득된 TCI 상태들을 기반으로 기지국(미도시)과의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0)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109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입출력 제어부(1040), 통신 처리부(1090),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 간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들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040)는 표시부(1050) 및 입력 장치(106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050)는 상태 정보, 입력되는 문자,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 영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50)는 프로세서(10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60)는 전자 장치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0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0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106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6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터치 움직임, 터치 해제 등의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040)를 통해 프로세서(1022)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7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이 적용된 IoT 네트워크 시스템(20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IoT 네트워크 시스템(2000)은 복수의 IoT 기기들(2100, 2120, 2140, 2160), 엑세스 포인트(2200), 게이트 웨이(2250), 무선 네트워크(2300), 서버(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사물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각 IoT 기기들(2100, 2120, 2140, 2160)은 각 IoT 기기의 특성에 따라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기기들은 홈가젯 그룹(2100), 가전제품/가구 그룹(2120), 엔터테인먼트 그룹(2140), 또는 이동수단 그룹(Vehicle; 2160) 등으로 그룹핑 될 수 있다. 복수의 IoT 기기들(2100, 2120 및 2140)은 엑세스 포인트(2200)를 통하여 통신망에 연결되거나 다른 IoT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2200)는 하나의 IoT 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250)는 엑세스 포인트(2200)를 외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IoT 기기들(2100, 2120 및 2140)은 게이트웨이(2250)를 통하여 외부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2300)는 인터넷 및/또는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IoT 기기들(2100, 2120, 2140, 2160)은 무선 네트워크(2300)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IoT 기기들(2100, 2120, 2140, 21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저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IoT 기기들(2100, 2120, 2140, 2160)은 각각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NR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동기식 운용 방식으로 NR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 블록들과 LTE 네트워크의 CRS 간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 이외에도 이종의 네트워크들에도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간의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NR(New Radio)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며,
    상기 기준 신호는, CRS(Cell Reference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타입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하나의 주기 동안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의 주파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타입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의 안테나 포트수 및 MBSFN 서브 프레임에 관한 설정(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식 운용 방식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상기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자원들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오프셋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단위의 심볼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중첩되게 자원 할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비동기식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상기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이 중첩되지 않게 자원 할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비동기식 운용 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자원들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NR(New Radio) 네트워크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간의 DSS(Dynamic Spectrum Sharing)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RF(Radio Frequency) 송수신기들;
    상기 복수의 RF 송수신기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 또는 상기 복수의 RF 송수신기들을 통해 전송될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제1 패턴 타입 및 상기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패턴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포함된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과 상기 기준 신호가 포함된 상기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2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 간의 시간 오프셋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오프셋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단위의 심볼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타입은,
    상기 NR 네트워크에서의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 하나의 SSB 버스트 세트 주기 동안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들의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의 주파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타입은,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의 안테나 포트 수 및 MBSFN 서브프레임에 관한 설정(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설정된 상기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상기 LTE 네트워크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을 시간 축을 중심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설정된 상기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상기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과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신호들이 할당되는 자원들을 시간 축을 중심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RF 송수신기들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NR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상기 NR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될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오프셋에 기반되어 상기 NR 네트워크의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이 할당된 자원들과 상기 LTE 네트워크의 기준 신호가 할당된 자원들의 중첩이 최소화된 채널 및 상기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싱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시간 오프셋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대한 처리 동작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들에 대한 검출 동작 및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레이트 매칭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KR1020210149951A 2021-07-16 2021-11-03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20230012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85022.5A EP4120715A1 (en) 2021-07-16 2022-07-14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7/812,787 US20230028317A1 (en) 2021-07-16 2022-07-15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2210836003.3A CN115623490A (zh) 2021-07-16 2022-07-15 支持动态频谱共享的用户设备和基站及包括其的通信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3749 2021-07-16
KR1020210093749 2021-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51A true KR20230012951A (ko) 2023-01-26

Family

ID=8511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951A KR20230012951A (ko) 2021-07-16 2021-11-03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9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7701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CN109075942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装置和装备
CN109479330B (zh) 用户终端和无线通信方法
JP6776337B2 (ja) 無線フレーム構成
KR1020406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27398B1 (ko) 측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측정을 제어하는 장치
US11330589B2 (en) Carrier switching and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EP337038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wnlink synchronization
WO2018144592A1 (en) Data transmissions during base station beamsweep
US105671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signal
WO201812402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23043A1 (en) TECHNIQUES FOR SEARCHING EXTENDED CELLS
US11425741B2 (en) Time mask technique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CN112368969A (zh) 设备对设备(d2d)信道测量技术
JPWO201703874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90036529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EP4009566A1 (en)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4946208B (zh) 用于l1/l2小区间移动性的用户设备(ue)能力和启用标志
JP7039571B2 (ja) 端末
US20170290042A1 (en)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to request resources for a buffer status report
CN108347767B (zh) 一种解调参考信号的收发方法及收发装置
CN116614212A (zh) 波束的指示方法及装置
KR20230012951A (ko)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EP4120715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JP7227410B2 (ja) 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