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27A -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27A
KR20190016327A KR1020170100417A KR20170100417A KR20190016327A KR 20190016327 A KR20190016327 A KR 20190016327A KR 1020170100417 A KR1020170100417 A KR 1020170100417A KR 20170100417 A KR20170100417 A KR 20170100417A KR 20190016327 A KR20190016327 A KR 2019001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radiators
radiator
radiation pattern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605B1 (ko
Inventor
이제민
박광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6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형성되는 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은,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방사체;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급전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에 공급하는 급전부;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를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Radiation Pattern}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장치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LTE(Long Term Evolution)나 5세대(5G) 이동통신기술과 같은 차세대 무선통신 서비스를 자동차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나선형(Helix Type)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는 미앤더 타입(Meander Type)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나선형 안테나 및 도 2a에 도시된 미앤더 타입 안테나의 경우 방사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접지판(Ground)이 방사체의 크기보다 커, 상기 접지판이 반사판 역할을 하게 되어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패턴이 방사체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자동차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패턴이 상측(310)이 아니라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송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방사패턴이 상측으로 형성되는 기존의 나선형 안테나 또는 미앤더 타입 안테나를 자동차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송수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지판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되면 방사판으로써의 역할이 감소되어 하측으로 방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자동차의 여러 가지 설계 요소 때문에 접지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접지판 크기의 감소를 통해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원하는 각도 이하의 방사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6682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튜너 어셈블리, 공개일: 2014년 12월 01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형성되는 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패턴의 형상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가 실장되는 통신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은,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에 배치된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면(402)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타단에 연결되고, 급전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에 공급하는 급전부(410);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를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안테나 모듈은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상에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426~4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과 제2 면(404)을 연결하는 제3 면(406)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면(406) 은 복수개의 모따기면(406a)과 복수개의 모따기면(406a)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둘레면(406b)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복수개의 모따기면(406a)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급전부(410)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포트(41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내에서 상기 급전포트(412)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에서 상기 급전포트(412)를 중심으로 상기 방사체(420~45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안테나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방사패턴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428~258)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는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에 의한 방사패턴이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형성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되며, 미리 정해진 각도는 기지국과 자동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정해진 각도는 30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는 다른 회로소자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410)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포트(412);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타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접속포트(414); 및 상기 지지블록(400)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급전포트(4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포트(414)에 연결되는 관통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전포트(412)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414)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서 상기 접속포트(414)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상기 방사체(420~450)의 개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1회 이상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400)은 유전율이 기준값 이상인 저손실 고유전율 물질, 예컨대, 세라믹이나 테프론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안테나 모듈은,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400)을 인쇄회로기판(600)에 표면 실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426~456), 상기 접지라인, 및 상기 급전라인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00)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과 제2 면(404)을 연결하는 제3 면(406)은 복수개의 모따기면(406a)과 상기 복수개의 모따기면(406a)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둘레면(406b)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는 상기 제2 면(404)에서부터 상기 복수개의 둘레면(406b)의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안테나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들 중 적어도 2개의 패드부(426~456)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패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은,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에 배치된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면(402)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를 인쇄회로기판(600)에 형성된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에 형성된 급전라인에 연결시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급전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안테나 모듈은,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에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과 제2 면(404)을 연결하는 제3 면(406)을 따라 상기 각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상기 각 접지포트(424~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패턴이 상측이 아니라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를 접지라인에 연결시키기 위한 패드부에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로 구현되는 회로소자를 실장하고, 회로소자의 임피던스 값 또는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시킴에 의해 방사체의 공진 주파수 대역, 방사패턴의 형상, 및 방사패턴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이 적용되는 통신장치의 종류에 따라 조절부의 임피던스 값이나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함으로써 해당 통신장치에 최적화된 방사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방사체 연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소자들의 임피던스 값이나 커패시턴스 값을 다르게 설정함에 의해 다중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나선형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b는 나선형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지그재그형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는 지그재그형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방사패턴의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공진 주파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사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회로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배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이하, '안테나 모듈'이라 함, 1000)은 지지블록(400), 급전부(410),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 및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를 포함한다.
지지블록(400)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블록(400)은 비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블록(400)은 유전율이 기준값 이상인 저손실 고유전율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블록(400)은 세라믹이나 테프론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400)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4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각기둥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블록(400)이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지지블록(400)은 상면에 해당하는 제1 면(402), 하면에 해당하는 제2 면(404),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시키는 측면에 해당하는 제3 면(4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400)의 제3 면(406)은 n개의 모따기면(406a)과 n개의 둘레면(40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지지블록(400)이 사각기둥 형상인 예를 도시하였기 때문에, 지지블록(400)의 제3 면(406)이 4개의 모따기면(406a)과 4개의 둘레면(406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모따기면(406a)의 개수와 둘레면(406b)의 개수는 지지블록(4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블록(400)이 오각기둥 형상인 경우 지지블록(400)의 제3 면(406)은 5개의 모따기면(406a)과 5개의 둘레면(406b)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급전부(410)는 급전라인(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를 각 방사체(410~440)에 공급한다. 급전부(410)는 방사체(420~25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급전부(4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및 관통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포트(412)는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상에 배치되고, 급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포트(412)는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포트(414)는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 배치되고, 관통부(416)를 통해 급전포트(4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포트(414)에는 복수개의 방사체(410~440)들의 일단이 공통으로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포트(414)는 제1 면(402)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부(416)는 지지블록(4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부(416)의 일단은 급전포트(4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속포트(414)에 연결되어, 급전포트(412) 및 접속포트(41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전부(410)가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및 관통부(416)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및 관통부(4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에 배치되어, 방사패턴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사체(420~250)들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균일한 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들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방사체(420~450)들이 모두 동일한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을 구현하기 위해 각 방사체(420~450)들은 1회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각 방사체(420~450)들이 2회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각 방사체(420~450)들은 1회 절곡되거나 3회 이상 절곡될 수도 있다.
방사패턴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들은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서 접속포트(414)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들은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 방사체(420~450)의 개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420~450)가 4개인 경우, 각 방사체(420~450)는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 90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를 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420~440)가 제1 방사체(420), 제2 방사체(430), 제3 방사체(440), 및 제4 방사체(450)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방사체(420)의 일단은 접속포트(414)에 연결되고 제1 방사체(420)의 타단은 제1 면(402)과 제1 모따기면(406a_1)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체(430)의 일단은 접속포트(414)에 연결되고 제2 방사체(430)의 타단은 제1 면(402)과 제2 모따기면(406a_2)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사체(440)의 일단은 접속포트(414)에 연결되고 제3 방사체(440)의 타단은 제1 면(402)과 제3 모따기면(406a_3)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방사체(450)의 일단은 접속포트(414)에 연결되고 제4 방사체(450)의 타단은 제1 면(402)과 제4 모따기면(406a_4)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제1 면(402) 상에 형성된 각 방사체(420~450)의 타단에서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상에 형성된 각 접지포트(424~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각 모따기면(406a)을 따라 각 방사체(420~450)의 일단에서 각 접지포트(424~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사체 연장부(422)는 제1 방사체(420)의 타단에서 제1 모따기면(406a_1)을 따라 제2 면(404)에 형성된 제1 접지포트(42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방사체 연장부(432)는 제2 방사체(430)의 타단에서 제2 모따기면(406a_2)을 따라 제2 면(404)에 형성된 제2 접지포트(43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3 방사체 연장부(442)는 제3 방사체(440)의 타단에서 제3 모따기면(406a_3)을 따라 제2 면(404)에 형성된 제3 접지포트(44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4 방사체 연장부(452)는 제4 방사체(450)의 타단에서 제4 모따기면(406a_4)을 따라 제2면(404)에 형성된 제4 접지포트(45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는 각 방사체(420~450)들을 접지시키기 위해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은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를 통해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방사체(420~450)가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방사패턴의 방향이 상측이 아니라 지지블록(400)의 제1 면(402)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도 내지 60도)로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 자동차 내에서 통신기기의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모따기면(406a_1, 406a_2, 406a_3, 406a_4)에 각 방사체 연장부(422~452)를 형성함으로써 방사체 연장부(422~452)간의 간격을 최대로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사체 연장부(422~452)간의 간섭으로 인한 방사패턴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지블록(400) 상에서 방사체 연장부(422~452)들이 서로대각선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들을 복수개의 패드부(426~45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각 방사체 연장부(422~452)들은 각 방사체(420~45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들은 접지라인(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가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4)들을 복수개의 패드부(426~45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복수개의 방사체(420~450)들이 접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에 상에서 급전포트(412)를 중심으로 각 방사체(420~45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급전포트(412)를 중심으로 90도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내에서 급전포트(412)와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400)이 사각기둥형상인 경우 급전포트(412)와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는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과 각 모따기면(406a)이 만나는 지점이기 때문에, 제2 면(404)과 제1 모따기면(406a_1)이 만나는 지점에 제1 접지포트(424)가 배치되고, 제2 면(404)과 제2 모따기면(406a_2)이 만나는 지점에 제2 접지포트(434)가 배치되며, 제2 면(404)과 제3 모따기면(406a_3)이 만나는 지점에 제3 접지포트(444)가 배치되고, 제2 면(404)과 제4 모따기면(406a_4)이 만나는 지점에 제4 접지포트(454)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각 방사체(420~450)들을 접지시키기 위해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및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및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방사체(420), 제1 방사체 연장부(422), 제1 접지포트(424)가 제1 안테나로 동작하고, 제2 방사체(430), 제2 방사체 연장부(432), 제2 접지포트(434)가 제2 안테나도 동작하며, 제3 방사체(440), 제3 방사체 연장부(442), 제3 접지포트(444)가 제3 안테나로 동작하고, 제4 방사체(450), 제4 방사체 연장부(452), 제4 접지포트(454)가 제4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는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를 접지라인에 각각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는 인쇄회로기판(600) 상에 실장되고, 각 패드부(426~456)가 해당 접지포트(424~454)에 연결됨에 따라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이 복수개의 패드부(426~454)를 통해 인쇄회로기판(600)에 형성된 접지라인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패드부(426)는 제1 접지포트(424)와 접지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제1 접지포트(424)를 접지시키고, 제2 패드부(436)는 제2 접지포트(434)와 접지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제2 접지포트(434)를 접지시키며, 제3 패드부(446)는 제3 접지포트(444)와 접지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제3 접지포트(444)를 접지시키고, 제4 패드부(456)는 제4 접지포트(454)와 접지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제4 접지포트(454)를 접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사체(420~450)의 공진 주파수, 각 방사체(420~450)의 방사패턴 형상, 또는 각 방사체(420~450)의 방사패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에 포함되는 인덕터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패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하로 형성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에 포함되는 인덕터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복수개의 방사체(420~450)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패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형성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회로소자(428~458)는 인쇄회로기판(600)상에 형성된 연결라인(미도시)를 통해 해당 패드부(426~456)에 연결되거나, 해당 접지포트(424~45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소자(428~458)은 해당 패드부(426~456) 또는 접지포트(424~454)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공진 주파수가 도시되어 있고, 도 8a 내지 도 8c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사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방사패턴을 3D형태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방사패턴을 X-Z Plane의 2D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c는 방사패턴을 Y-Z Plane의 2D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경우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하로 형성되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에 포함되는 인덕터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모두 동일한 값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이하, '제1 회로소자' 함)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다른 회로소자(이하, '제2 회로소자'라 함)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와 다른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소자에 연결된 방사체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회로소자에 연결된 방사체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해 지므로, 하나의 안테나 모듈(1000) 구조를 이용하여 다중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을 포함하기 때문에 안테나 모듈(1000)의 구성 변경 없이도 회로소자(428~458)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만을 조절하여 방사체(420~450)와 접지간에 매칭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모듈(1000)이 적용되는 통신장치의 접지특성에 관계없이 안테나 모듈(1000)을 적용할 수 있어 안테나 모듈(1000)의 공용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각 회로소자(428~45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 중 특정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다른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보다 큰 경우 각 스위칭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켜 매칭값을 변경시켜 특정방향으로의 방사패턴이 더 커지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칭 소자 각각은 각 회로소자(428~458)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로소자(428~458)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의 회로구성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방사체(420), 제1 방사체 연장부(422), 제1 접지포트(424)를 제1 안테나(A1)로 표시하였고, 제2 방사체(430), 제2 방사체 연장부(432), 제2 접지포트(434)를 제2 안테나(A2)로 표시하였으며, 제3 방사체(440), 제3 방사체 연장부(442), 제3 접지포트(444)를 제3 안테나(A3)로 표시하였고, 제4 방사체(450), 제4 방사체 연장부(452), 제4 접지포트(454)를 제4 안테나(A4)로 표시하였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각 회로소자(428~458)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다르게 적용하게 되면 각 안테나(A1~A4) 마다 전류 및 전압의 크기가 다르게 분포하게 되므로 각 안테나(A1~A4)의 주파수 대역은 물론 방사패턴의 형상이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은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6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400)을 인쇄회로기판(600) 상에 표면 실장 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 상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지지블록(400)의 제2 면(404)과 인쇄회로기판(60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2 면(404)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면(404) 상에서 제2 면(404)과 둘레면(406b)이 만나는 변의 중심 위치에 각 지지블록 고정부(4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제2 면(404)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 고정부(470)가 서브 방사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둘레면(406b)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되는 고정부(470)의 길이는 원하는 서브 방사체의 공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들은 접지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패드부(426~456)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로 인접한 패드부들을 패드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들을 하나의 접지라인에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4개의 패드부(426~456)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패드부(426) 및 제2 패드부(436)을 패드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 제1 방사체(420)-제1 방사체 연장부(422)-제1 접지포트(424)-제1 패드부(426)-패드연결부-제2 패드부(436)-제2 접지포트(434)-제2 방사체 연장부(432)-제2 방사체(4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제1 방사체(420) 및 제2 방사체(430)에 비해 그 전체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제1 방사체(420) 및 제2 방사체(430)와는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각 접지포트(424~454)가 패드부(426~456)를 통해 접지라인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접지포트(424~454)는 접지라인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쇄회로기판(600)은 통신장치(미도시)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장착되고, 급전부(410)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라인(미도시)과 방사체(420~450)를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600)에는 회로소자(428~458)를 복수개의 패드부(426~456) 또는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라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 및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프린팅기법을 통해 지지블록(400) 상에 도전체를 프린팅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지지블록(400) 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 및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지지블록(400)에 패턴을 형성한 후 패턴 내에 도전체를 도금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급전포트(412), 접속포트(414), 복수개의 방사체(420~450),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422~452), 복수개의 접지포트(424~454), 및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470)들은 지지블록(400) 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지지블록(400)의 각 면(402, 404, 406)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지지블록(400) 상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0: 안테나 모듈 400: 지지블록
402: 제1 면 404: 제2 면
406a: 모따기면 406b: 둘레면
410: 급전부 412: 급전포트
414: 접속포트 416: 관통부
420~450: 방사체 422~452: 방사체 연장부
424~454: 접지포트 426~456: 패드부
428~458: 회로소자 470: 지지블록 고정부

Claims (24)

  1.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방사체;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급전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에 공급하는 급전부;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를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 상에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지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복수개의 모따기면과 복수개의 모따기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둘레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는 복수개의 모따기면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 내에서 상기 급전포트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포트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서 상기 급전포트를 중심으로 상기 방사체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방사패턴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회로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는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에 의한 방사패턴이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형성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는 30도 이상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는 다른 회로소자에 포함된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와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로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특정방향으로의 방사패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포트;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타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접속포트; 및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급전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포트에 연결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포트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접속포트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는 상기 방사체의 개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는 1회 이상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을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 상기 접지라인, 및 상기 급전라인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은 복수개의 모따기면과 상기 복수개의 모따기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둘레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는 상기 제2 면에서부터 상기 복수개의 둘레면의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부들 중 적어도 2개의 패드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패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1.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방사체;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를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 및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급전라인에 연결시켜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지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지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사체 연장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따라 상기 각 방사체의 일단에서 상기 각 접지포트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 배치되고, 급전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포트;
    상기 지지블록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각 방사체의 타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접속포트; 및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급전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포트에 연결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KR1020170100417A 2017-08-08 2017-08-08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안테나 모듈 KR10232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17A KR102329605B1 (ko) 2017-08-08 2017-08-08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17A KR102329605B1 (ko) 2017-08-08 2017-08-08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27A true KR20190016327A (ko) 2019-02-18
KR102329605B1 KR102329605B1 (ko) 2021-11-19

Family

ID=6556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17A KR102329605B1 (ko) 2017-08-08 2017-08-08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807A (ja) * 1997-03-05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アンテナ
JP2000031724A (ja) * 1998-07-09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面実装アンテナと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KR20140136682A (ko) 2013-05-21 2014-12-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튜너 어셈블리
KR20150062734A (ko) * 2013-11-29 2015-06-08 한국과학기술원 접지-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빔 조향 가능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807A (ja) * 1997-03-05 1998-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アンテナ
JP2000031724A (ja) * 1998-07-09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面実装アンテナと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KR20140136682A (ko) 2013-05-21 2014-12-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튜너 어셈블리
KR20150062734A (ko) * 2013-11-29 2015-06-08 한국과학기술원 접지-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빔 조향 가능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605B1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0541B (zh) 移动基站天线
US7411554B2 (en) MIMO antenna operable in multiband
US8279121B2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3682507B1 (en) Antenna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339322B2 (en) Compact multi-band antennas
CN107925155B (zh) 车用外置天线
CN102812593A (zh) 电介质芯片天线
JP2004282109A (ja) 電子機器及びアンテナ実装プリント配線基板
CN111656612A (zh) 偶极天线
JP2001284954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CN1277470A (zh) 天线结构
US10965018B2 (en) Antenna device
US8648763B2 (en)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JP6990833B2 (ja) アンテナ装置
US20180123236A1 (en) Antenna System and Antenna Module With a Parasitic Element For Radiation Pattern Improvements
EP3154125B1 (en) Eight-frequency band antenna
US9570800B2 (en) Ground antenna and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JP6865072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90016327A (ko) 방사패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CN112216961B (zh) 用于多宽带以及多极化通信的天线
KR100922230B1 (ko) 다층 안테나
US7777686B2 (en) Multi-layer isolated magnetic dipole antenna
US20210218121A1 (en) Three-way divider
JP4661816B2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機
CN218448448U (zh) 一种宽带Sub-6GHz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