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462A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462A
KR20190015462A KR1020197000013A KR20197000013A KR20190015462A KR 20190015462 A KR20190015462 A KR 20190015462A KR 1020197000013 A KR1020197000013 A KR 1020197000013A KR 20197000013 A KR20197000013 A KR 20197000013A KR 20190015462 A KR20190015462 A KR 2019001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nstant
probability
management cent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9382B1 (en
Inventor
마나토 다카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기억부(6), 연산부(8), 생성부(9) 및 송신부(11)를 구비한다. 기억부(6)에 제1 상수 N 및 제2 상수 λ가 기억된다. 연산부(8)는 제1 상수 N, 제2 상수 λ 및 변수 l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한다. 생성부(9)는 비교치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송신부(11)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된 확률과 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 storage unit 6, a calculation unit 8, a generation unit 9, and a transmission unit 11. And the first constant N and the second constant lambda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probabilit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based on the first constant N, the second constant l, and the variable l. The generating unit 9 randomly generates a comparison value. The transmitting unit 11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based on the probability computed by the computing unit 8 and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ng unit 9. [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특허 문헌 1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로부터 원격의 관리 센터에 정보가 송신된다. 예를 들면 진도 4의 지진이 발생하면, 송신하는 정보의 긴급도가 기준보다 높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정보의 긴급도가 기준보다 높으면, 관리 센터에 대해서 즉석으로 정보가 송신된다. 정보의 긴급도가 기준보다 낮으면, 관리 센터에 대한 정보의 송신이 일단 보류된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In the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when an earthquake occur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to a remote management center. For example, if an earthquake of magnitude 4 occur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rgency of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f the urgency of the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criterion, information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If the urgency of the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criterio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is temporarily suspended.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4-2342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4-234255

관리 센터는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한다. 광역 재해가 발생하면,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로부터 관리 센터에 대해서 일제히 정보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회선이 폭주하거나, 부하의 증대에 의해서 관리 센터의 서버가 다운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The management center manages a plurality of elevators. When a wide area disaster occurs,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from the plurality of elevators. For this reason, there is a fear that the line is congested or the server of the management center is down due to an increase in the load.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정보의 긴급도에 따라 정보의 송신 타이밍이 조정된다. 그러나 광역 재해가 발생하면, 다수의 엘리베이터로부터 관리 센터에 대해서, 같은 긴급도의 정보가 송신되어 버린다. In the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transmission timing of informa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rgency of information. However, when a wide-area disaster occurs, the same urgency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elevators to the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역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회선의 폭주 혹은 서버 다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congestion of a line or a server down when a wide-area disaster or the like occur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상수 및 제2 상수가 기억된 기억 수단과,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상수, 제2 상수 및 변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비교치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확률과 생성 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제1 상수는 송신 조건이 성립함으로써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변수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값이 커진다. 제2 상수는 관리 센터가 일정 시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변수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되는 확률이 커진다.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a first constant and a second constant; management means for managing, based on a first constant, a second constant and a variable, A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a probabilit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center, a generation means for randomly generating a comparison value, a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and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means, And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data. The first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as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every time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t a certain time by the management center.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becomes larger, the probability of being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becomes large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상수, 제2 상수 및 변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이 연산된다. 또, 연산된 확률과 생성된 비교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에 정보가 송신된다. 제1 상수는 송신 조건이 성립함으로써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변수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값이 커진다. 제2 상수는 관리 센터가 일정 시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변수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연산되는 확률이 커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광역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회선의 폭주 혹은 서버 다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babilit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constant, the second constant and the variable.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based on the calculated probability and the generated comparison value. The first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as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every time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t a certain time by the management center.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operation becomes larger. With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gestion of the line or the server down when the wide area disaster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연산부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정보의 송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정보의 송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연산부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통신 장치의 다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통신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state of informa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state of informa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 is a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uplicate descriptions may be simplified or omitted as appropriate.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관리 센터(1)와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구비한다. 관리 센터(1)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보수 회사에 마련된다. 관리 센터(1)는 원격에 구비된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has a management center 1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The management center 1 is provided, for example, in a maintenance company of an elevator. The management center 1 manages a plurality of elevators provided remotely.

도 1은 각 건물에 1대의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다. 각 엘리베이터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2) 및 제어 장치(3)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각 건물에 지진 검지기(4)가 마련된다. 지진 검지기(4)는 지진의 발생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지진 검지기(4)는 건물의 가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지진의 발생을 검지한다. 제어 장치(3)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2)는 네트워크(5)를 통해서 관리 센터(1)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2)는 제어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네트워크(5)를 통해서 관리 센터(1)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2)는 네트워크(5)를 통해서 관리 센터(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 장치(3)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2)는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의 예이다. 1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elevator is installed in each building. Each of the elevators include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2 and a control device 3.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n earthquake detector 4 is provided in each building equipped with an elevator.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For example,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building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 device 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ommunication device 2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center 1 via the network 5.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3 to the management center 1 via the network 5. [ The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1 via the network 5 to the control device 3.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an example of a terminal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

도 1은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1개의 건물에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도 된다. 1대의 엘리베이터에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칸이 구비되어도 된다. 복수 대의 제어 장치(3)에 대해서 1대의 통신 장치(2)가 구비되어도 된다. 1 shows an example of the present elevator system. A plurality of elevators may be provided in one build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may be provided in one elevator. One communication apparatus 2 may be provided for a plurality of control apparatuses 3. [

도 2는 통신 장치(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통신 장치(2)는 예를 들면 기억부(6), 조건 판정부(7), 연산부(8), 생성부(9), 송신 판정부(10) 및 송신부(11)를 구비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Fig. The communication device 2 includes a storage unit 6, a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7, an operation unit 8, a generation unit 9, a transmission determination unit 10, and a transmission unit 11, for example.

기억부(6)에 제1 상수 N 및 제2 상수 λ가 기억된다. 조건 판정부(7)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조건은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조건이다.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된다. 송신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는 개시되지 않는다. And the first constant N and the second constant lambda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ection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s started. If the transmission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s not started.

연산부(8)는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연산부(8)가 연산하는 확률을 송신 확률이라고도 한다. 연산부(8)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송신 확률을 연산한다. 예를 들면, 연산부(8)는 송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조건 판정부(7)에 의해서 판정되면, 송신 확률을 연산한다. 연산부(8)는 변수 l와 기억부(6)에 기억된 제1 상수 N 및 제2 상수 λ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을 행한다.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probabilit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Hereinafter, the probability that the calculating unit 8 calculates is also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probability.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7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arithmetic operation unit 8 performs the arithmetic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variable l and the first constant N and the second constant lambda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

생성부(9)는 비교치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비교치는 연산부(8)가 연산한 송신 확률과 비교하기 위한 값이다. 생성부(9)는, 예를 들면 난수 발생기여도 된다. 생성부(9)가 비교치를 생성하기 위해서, 기억부(6)에 난수표를 기억시켜도 된다. The generating unit 9 randomly generates a comparison value. The comparison value is a value to be compared with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 The generating unit 9 may be, for example, a random number generator. The generating unit 9 may store the random number table in the storage unit 6 in order to generate the comparison value.

송신 판정부(10)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된 송신 확률과 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를 비교한다. 송신부(11)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된 송신 확률과 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에 기초하여,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 The transmission determination section 10 compar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computed by the computation section 8 with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section 9. The transmitting unit 11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based o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computed by the computing unit 8 and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ng unit 9. [

다음에, 도 3 내지 도 6도 참조하여,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통신 장치(2)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Next,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present elevator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As shown in Fig.

통신 장치(2)에서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가 조건 판정부(7)에 의해서 판정된다(S101). 이하에 있어서는, 지진의 발생이 지진 검지기(4)에 의해서 검지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건물의 가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지진 검지기(4)는 지진의 발생을 검지한다. 조건 판정부(7)는 지진 검지기(4)에 의해서 지진의 발생이 검지되면, 송신 조건이 성립한 것을 판정한다.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 the condition determining section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S101).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s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or 4 and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building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When the occurrence of earthquake is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or (4),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established.

송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조건 판정부(7)에 의해서 판정되면, 연산부(8)는 송신 확률을 연산한다(S102). 연산부(8)는, 예를 들면 다음 식에 의해서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If the condition determining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satisfied, the calculating section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S102).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by, for example,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제1 상수 N은 송신 조건이 성립하는 것에 의해서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2)의 총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일례로서, 일본의 도쿄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는, 관동 지역에 설치된 통신 장치(2)의 대수가 제1 상수 N으로서 기억부(6)에 기억된다. 제1 상수 N은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2)의 예상 대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상수 N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총수를 기억부(6)에 기억시켜도 된다. 끝수를 버린 값을 제1 상수 N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The first constant N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2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s are established. As an example, in an elevator installed in Tokyo, Japa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2 installed in the Kanto area is stored as a first constant N in the storage section 6. The first constant N is also the expected ratio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For example, the total number of elevator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as the first constant 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nite number may be set as the first constant N.

변수 l는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값이 커진다. 변수 l는, 예를 들면, 1초마다 1씩 증가한다. 변수 l는 5초마다 1씩 증가해도 된다. 변수 l의 값이 증가하는 예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 일정 시간을 타임 슬롯 시간이라고도 한다. 변수 l는 타임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The variable l becomes larger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variable l increases, for example, by 1 every 1 second. The variable l may be incremented by 1 every 5 seconds. Examples in which the value of the variable l increases are not limited to these. Hereinafter, the predetermined time is also referred to as a time slot time. The variable l indicates a time slot number.

제2 상수 λ는 관리 센터(1)가 타임 슬롯 시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2)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제2 상수 λ는, 예를 들면 회선 속도 혹은 관리 센터(1)에 구비된 서버의 처리 능력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관리 센터(1)가 타임 슬롯 시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2)의 대수로부터 일정한 값을 감산한 값이, 제2 상수 λ로서 기억부(6)에 기억된다. 끝수를 버린 값을 제2 상수 λ로서 설정해도 된다. The second constant [lambda] is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2) for which the management center (1) i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t timeslot time. The second constant lambda is set according to the line speed or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server provided in the management center 1, for example. For exampl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certain value from the number of communication devices 2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in the time slot time by the management center 1 is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6 as a second constant?.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nite number may be set as the second constant [lambda].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 Pl는, 변수 l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커진다.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increases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l increases.

도 4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 Pl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수 l=0일 때, 송신 확률 Pl는 λ/N이다. 송신 확률 Pl는 변수 l=(N-λ)/λ가 될 때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변수 l=(N-λ)/λ일 때, 송신 확률 Pl는 1이다. 도 4는 변수 l가 (N-λ)/λ를 초과하면, 연산부(8)가 송신 확률 Pl로서 일정치를 출력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기 일정치는 1이다. 또, (N-λ)/λ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규정치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Fig. When the variable l = 0,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 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ncreases linearly until the variable l = (N-lambda) / lambda. When the variable l = (N-lambda) / lambda,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1.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when the variable l exceeds (N-lambda) / lambda, the operation unit 8 outputs a constant value a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predetermined value is 1. (N-lambda) / lambda is a specified value in the claims.

송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조건 판정부(7)에 의해서 판정되면, 생성부(9)는 비교치를 생성한다(S103).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 Pl는 1 이하의 값이다. 이 때문에, 생성부(9)는 1 이하의 값을 비교치로서 생성한다.If the condition determining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satisfied, the generating section 9 generates a comparison value (S103).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is a value of 1 or less. For this reason, the generator 9 generates a value of 1 or less as a comparison value.

다음에, 송신 판정부(10)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된 송신 확률 Pl이 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면, 송신부(11)는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S105). 관리 센터(1)에 송신되는 정보에는, 예를 들면, 지진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와 갇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된다. S105에 있어서, 다른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관리 센터(1)에 송신되어도 된다. Next, the transmission judgment unit 10 judg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is larger than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9 (S104). Whe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is greater l is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section 10 than the comparative value, the transmitter 11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1) (S105).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1 includes, for example, a signal indicating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and a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a trapped state has occurred. In S105, information indicating other contents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1. [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지 않은 경우, 송신부(11)는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송신부(11)는 정보의 송신을 일단 보류한다.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지 않으면,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6). 상기 일정 시간은 타임 슬롯 시간 T이다. Whe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not determined by the comparative value transmission determining section 10 is larger than, the transmitter 11 does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1). The transmission unit 11 temporarily suspend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f the transmission decision unit 10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greater than the comparison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transmission condition was established (S106).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slot time T.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1회째의 타임 슬롯 시간 T가 경과하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가 재개된다. 즉, 연산부(8)는 그때의 변수 l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재연산한다(S102). 2번째로 연산되는 송신 확률 Pl는, 1회째로 연산된 송신 확률 Pl보다 커진다. When the first time slot time T elapses after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s resumed. That is, the operation unit 8 re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based on the variable l at that time (S102). Second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a second operation is greater than the calculated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to the first time.

또한, 생성부(9)에 의해서 비교치가 새롭게 생성된다(S103). 생성부(9)는 비교치를 랜덤하게 생성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2번째에 생성되는 비교치는 1회째에 생성된 비교치와 상이한 값이 된다. 송신 판정부(10)는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된 최신의 송신 확률 Pl이 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최신의 비교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면, 송신부(11)는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S105).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지 않으면, 전회의 타임 슬롯 시간 T가 경과하고 나서 추가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6). In addition, a comparison value is newly generated by the generator 9 (S103). Since the generating unit 9 randomly generates the comparison value, basically, the second comparison value is different from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at the first time. The transmission judgment unit 10 judges whether the latest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is larger than the latest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9 (S104). Whe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is greater l is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section 10 than the comparative value, the transmitter 11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1) (S105). If the transmission decision unit 10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larger than the comparison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previous time slot time T elapsed (S106).

관리 센터(1)에 정보가 송신되어 있지 않으면, 타임 슬롯 시간 T가 경과할 때마다,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가 재개된다. S104에 있어서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다고 송신 판정부(10)에 의해서 판정되면, S105에 있어서 관리 센터(1)에 정보가 송신된다. When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1, the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s resumed every time the time slot time T elapses. Whe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determined by the comparative value transmission determining section 10 is larger than in the S104,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1) in S105.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광역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회선의 폭주 혹은 서버 다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gestion of a line or the occurrence of a server down when a wide area disaster or the like occurs.

각 통신 장치(2)는 통신 조건이 성립하면, 송신 확률 Pl와 비교치를 비교한다.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면, 통신 장치(2)로부터 관리 센터(1)에 정보가 송신된다. 송신 확률 Pl이 비교치보다 크지 않으면, 타임 슬롯 시간 T가 경과할 때마다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최종적으로, N대의 통신 장치(2)로부터 관리 센터(1)에 대해서 정보가 송신된다. Each communication apparatus 2 compar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with a comparison value when the commun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larger than the comparison valu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 to the management center 1. I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not larger than the comparison value, the same processing is performed every time the time slot time T elapses.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is finally transmitted from the N communication apparatuses 2 to the management center 1. [

도 5 및 도 6은 정보의 송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처음 타임 슬롯 시간에서, 단말 No.1 및 단말 No.7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의 타임 슬롯 시간에서, 단말 No.6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의 타임 슬롯 시간에서, 단말 No.2 및 단말 No.N이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의 타임 슬롯 시간에서는, 어느 단말도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도 6은 예를 들면 지진이 발생하고 나서 어느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송신 상황을 나타낸다.Fig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state of informa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terminal No. 1 and the terminal No. 7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n the first time slot time. At the next timeslot time, the terminal No. 6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The terminal No. 2 and the terminal No. 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in the next time slot time. In the next time slot time, no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6 shows a transmission situation when, for example, an elapsed time has elapsed since an earthquake occurred.

본 시스템에서는,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2)의 순번을 결정하고 있지 않다.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각 통신 장치(2)에서 판단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항상 같은 대수의 통신 장치(2)가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통신 장치(2)로부터도 정보가 송신되지 않는 시간대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타임 슬롯 시간 T의 동안에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2)의 대수의 기대치는, 다음 식에 나타나는 것처럼 항상 일정하게 된다. In this system, the order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 that transmits information is not determined.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s judged by each communication device 2. [ Therefor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same number of communication devices 2 do not always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 A time period during which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any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2 may occur. However, the expected value of the number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2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during the time slot T is always constan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E[Pl]= λE [P l ] = λ

즉, 본 시스템에서는, 타임 슬롯 시간마다 평균 λ대의 통신 장치(2)가 관리 센터(1)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이 제어된다. That is, in this system, the communic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 of the average lambda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1 every time slot time.

N대의 통신 장치(2)에서 송신 확률 Pl이 연산되었을 경우, k대의 통신 장치(2)가 정보를 송신할 확률은, 이항 분포를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Whe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is computed in the N communication apparatuses 2, the probability that the k communication apparatuses 2 transmit information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using the binomial distribution.

[수학식 2]&Quot; (2) "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λ<<N이라고 하면, 상기 식은 대기 행렬 이론으로 알려진 프와송 분포로서 다음 식처럼 나타낼 수 있다. λ << N, the above equation can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as a Pawson distribution known as the queuing theory.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이것은 단위 시간당 평균 λ회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단위 시간당 k회 일어나는 사상(事象)의 확률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프와송 분포의 평균은 λ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예에 나타나는 것처럼, 송신 확률 Pl에 기초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단위 시간당 평균 λ대가 정보를 송신하는 프와송 분포에 따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과 등가이다. 본 시스템이면, 회선 속도 및 서버의 처리 능력에 맞춘 트래픽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This shows the probability of an event occurring k times per unit time for a phenomenon that occurs on average λ times per unit time. In addition, the average of the Pawsong distribution is λ. Therefore,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is embodiment,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s equivalent to constructing a system according to a pseudo transmission distribution in which the average? Price information per unit time is transmitted. With this system,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the traffic according to the line speed and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server.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확률 Pl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도 7은 연산부(8)에 의해서 연산되는 송신 확률 Pl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곡선 A는, 변수 l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송신 확률 Pl의 증가율이 작아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곡선 B는, 변수 l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송신 확률 Pl의 증가율이 커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변수 l가 (N-λ)/λ를 초과하면, 연산부(8)는 송신 확률 Pl로서 일정치를 출력한다.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linearly increases with the lapse of time has been describ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8. FIG. Curve A shown in Fig. 7,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variable l becomes larger, an example where the reduced rate of increase in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The curve B shown in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ate of increase o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increases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l increase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when the variable l exceeds (N-lambda) / lambda, the operation unit 8 outputs a constant value a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

도 7에 도시하는 곡선 A는 연산부(8)가 다음 식에 의해서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예를 나타낸다.The curve A shown in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4]&Quot; (4) &quot;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재해가 발생한 직후에, 대응해야 할 엘리베이터의 대수의 견적을 세우는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통신 장치(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는, 식 1을 사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것보다, 식 4를 사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estimating the number of elevators to be responded to immediately after a disaster occurs, it is preferable to receive information from many communication apparatuses 2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by using Equation 4, rather tha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using Equation 1. [

도 7에 도시하는 곡선 B는, 연산부(8)가 다음 식에 의해서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예를 나타낸다.The curve B shown in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5]&Quot; (5) &quot;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재해가 돌발적으로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보수 체제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관리 센터(1)가 다수의 통신 장치(2)로부터 정보를 수신해도, 즉시 대응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식 1을 사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것보다, 식 5를 사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5에 있어서, k는 송신 확률 Pl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계수이다. If a disaster occurs suddenly,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maintenance system of the elevator is not equipped. Under this situation, even if the management center 1 receives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2, it is difficult to respond immediately. Therefore,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using Equation 5, rather tha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using Equation 1. [ In Equation 5, k is a coefficient for determining the rate of increase of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l.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수 l의 값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연산부(8)가 송신 확률 Pl로서 일정치를 출력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연산부(8)는 변수 l의 값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임의의 함수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when the value of the variable l exceeds a specified value, the arithmetic unit 8 outputs a constant value a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 The calculation unit 8 may calculate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based on an arbitrary function when the value of the variable 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진 검지기(4)가 지진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송신 조건이 성립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지진 검지기(4)는 특정의 사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일례이다. 지진 이외의 다른 사상이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제어 장치(3)로부터 특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해도 된다. 특정의 일시가 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has been described. The earthquake detector 4 is an example of a detector for detecting a specific event. The transmission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by detecting the event other than the earthquake by the detector. As another example, a transmission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by receiving a specific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 [ The transmission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by becoming a specific date and time.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6)에 1개의 제1 상수 N이 기억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기억부(6)에, 복수의 제1 상수 N이 기억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억부(6)에, 제1 상수 N으로서 제1 값 N1과, 제2 값 N2가 기억된다. 이러한 경우, 연산부(8)는 송신 확률 Pl를 연산할 때 제1 값 N1 혹은 제2 값 N2를 이용한다.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one first constant 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has been described. A plurality of first constants 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 For example, the first value N 1 and the second value N 2 are stored as the first constant N in the storage unit 6. 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8 uses the first value N 1 or the second value N 2 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

예를 들면, 지진 검지기(4)는 제1 레벨의 지진의 발생과 제2 레벨의 지진의 발생을 검출한다. 제2 레벨의 지진은 제1 레벨의 지진보다 크다. 이러한 경우, 조건 판정부(7)는 지진 검지기(4)에 의해서 제1 레벨의 지진의 발생이 검지되면, 송신 조건이 성립한 것을 판정한다. 연산부(8)는 지진 검지기(4)가 제1 레벨의 지진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값 N1, 제2 상수 λ 및 변수 l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For example,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level earthquake and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level earthquake. The second-level earthquake is greater than the first-level earthquake. In this case, when the occurrence of the first level earthquake is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or 4,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established. When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of the first level and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ased on the first value N 1 , the second constant λ, .

마찬가지로, 조건 판정부(7)는 지진 검지기(4)에 의해서 제2 레벨의 지진의 발생이 검지되면, 송신 조건이 성립한 것을 판정한다. 연산부(8)는 지진 검지기(4)가 제2 레벨의 지진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2 값 N2, 제2 상수 λ 및 변수 l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이 예에서는, 제2 값 N2는 제1 값 N1보다 크다. 지진 검지기(4)는 제1 사상 및 제2 사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일례이다. Similarly, when occurrence of the second level earthquake is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or 4,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ased on the second value N2, the second constant lambda, and the variable l when the earthquake detector 4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level earthquake and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do. In this example, the second value N 2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N 1 . The earthquake detector 4 is an example of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first mapped image and the second mapped image.

도 8은 통신 장치의 다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2) 및 제어 장치(3)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2)는, 도 2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기억부(6), 조건 판정부(7), 연산부(8), 생성부(9), 송신 판정부(10) 및 송신부(11)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건물에 검출기(12) 및 검출기(13)가 마련된다.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ig. 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each elevator h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2 and a control device 3. [ 2, the communication device 2 includes, for example, a storage unit 6, a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7, an operation unit 8, a generation unit 9, a transmission determination unit 10, And a transmitter 1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 detector 12 and a detector 13 are provided in a building provided with an elevator.

검출기(12)는 제1 사상을 검출한다. 제1 사상은, 예를 들면 지진의 발생이다. 검출기(13)는 제2 사상을 검출한다. 제2 사상은, 예를 들면 정전의 발생이다. 제1 사상의 종류와 제2 사상의 종류는 같아도 된다. 예를 들면, 검출기(12)가 제1 레벨의 지진의 발생을 검출하고, 검출기(13)가 제2 레벨의 지진의 발생을 검출해도 된다. 각 사상의 예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detector 12 detects the first event. The first idea is, for example,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The detector 13 detects the second event. The second idea is, for example, the occurrence of a power failure. The kind of the first idea and the kind of the second idea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detector 12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first level earthquake and the detector 13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level earthquake. Examples of each event are not limited to these.

예를 들면, 기억부(6)에, 제1 상수 N으로서 제1 값 N1과 제2 값 N2가 기억된다. 조건 판정부(7)는 검출기(12)에 의해서 제1 사상이 검출되면, 송신 조건이 성립한 것을 판정한다. 연산부(8)는 검출기(12)가 제1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값 N1, 제2 상수 λ 및 변수 l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For example, the first value N 1 and the second value N 2 are stored as the first constant N in the storage unit 6. When the detector 12 detects the first event, the condition determining unit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ased on the first value N 1 , the second constant λ and the variable 1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the detector 12 detecting the first event.

마찬가지로, 조건 판정부(7)는 검출기(13)에 의해서 제2 사상이 검출되면, 송신 조건이 성립한 것을 판정한다. 연산부(8)는, 검출기(13)가 제2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2 값 N2, 제2 상수 λ 및 변수 l에 기초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Similarly, when the detector 13 detects the second event, the condition determining unit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alcul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ased on the second value N 2 , the second constant λ, and the variable 1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by the detector 13 detecting the second event.

기억부(6)에 3개 이상의 제1 상수 N이 기억되어도 된다. 표 1은 3개 이상의 제1 상수 N이 기억부(6)에 기억되는 예를 나타낸다.Three or more first constants 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 Table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or more first constants N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사상thought 지진Earthquake 정전blackout ... 침수Flooding 제1 상수 NThe first constant N 100000100000 50005000 ... 10001000

도 9는 통신 장치(2)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의 S201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3의 S101에 나타내는 처리와 같다. 도 9의 S204 내지 S207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3의 S103 내지 S106에 나타내는 처리와 같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기억부(6)에 표 1에 나타내는 내용이 기억된다. 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As shown in Fig. The processing shown in S201 in Fig. 9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shown in S101 in Fig. The processing shown in S204 to S207 in Fig. 9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shown in S103 to S106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contents shown in Table 1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 for example.

송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조건 판정부(7)에 의해서 판정되면, 연산부(8)는 송신 확률 Pl를 연산하기 위해서, 제1 상수 N의 값을 취득한다(S202). 연산부(8)는 취득한 제1 상수 N의 값을 이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S203). If the condition determining section 7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has been satisfied, the calculating section 8 acquires the value of the first constant N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S202). The calculating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using the obtained value of the first constant N (S203).

예를 들면, 지진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연산부(8)는 제1 상수 N=100000을 이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연산부(8)는 정전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상수 N=5000을 이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연산부(8)는 침수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제1 상수 N=1000을 이용하여 송신 확률 Pl를 연산한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by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the oper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using the first constant N = 100000. The arithmetic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l using the first constant N = 5000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by the occurrence of the power failure. The arithmetic operation unit 8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P 1 by using the first constant N = 1000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the submergence.

도 9에 도시하는 예이면, 사상에 맞춰서 제1 상수 N의 값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9,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value of the first constant N in accordance with the mapping.

부호 6~11에 나타내는 각부는, 통신 장치(2)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10은 통신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2)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14)와 메모리(15)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기억부(6)가 가지는 기능은 메모리(15)에 의해서 실현된다. 통신 장치(2)는 메모리(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4)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7~11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The leg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6 to 11 denote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10 is a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As shown in Fig. The communication device 2 ha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for example, a processor 14 and a memory 15 as hardware resources. Th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6 is realized by the memory 15. [ The communication device 2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5 by the processor 14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7 to 11.

프로세서(1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15)로서,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를 채용해도 된다. 채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및 EEPROM 등이 포함된다. The processor 14 is also referred to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central processing unit, a processing unit, a computing unit, a microprocessor, a microcomputer, or a DSP. As the memory 15, a semiconductor memory, a magnetic disk, a flexible disk, an optical disk, a compact disk, a mini disk, or a DVD may be employed. Examples of the semiconductor memory that can be employed include a RAM, a ROM, a flash memory, an EPROM, and an EEPROM.

통신 장치(2)가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통신 장치(2)의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As the hardware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a single circuit, a composite circuit, a programmed processor, a parallelized programmed processor, an ASIC, an FPGA,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employ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복수의 단말을 구비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management center.

1: 관리 센터
2: 통신 장치
3: 제어 장치
4: 지진 검지기
5: 네트워크
6: 기억부
7: 조건 판정부
8: 연산부
9: 생성부
10: 송신 판정부
11: 송신부
12: 검출기
13: 검출기
14: 프로세서
15: 메모리
1: Administration Center
2: communication device
3: Control device
4: Earthquake detector
5: Network
6:
7: condition judgment section
8:
9:
10: Transmission judgment section
11: Transmitter
12: detector
13: Detector
14: Processor
15: Memory

Claims (7)

제1 상수 및 제2 상수가 기억된 기억 수단과,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1 상수, 상기 제2 상수 및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비교치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확률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수는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함으로써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되고,
상기 변수는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값이 커지고,
상기 제2 상수는 상기 관리 센터가 상기 일정 시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단말의 대수에 따라 미리 설정되고,
상기 변수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되는 확률이 커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 storage means for storing a first constant and a second constan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probability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based on the first constant, the second constant and the variable when a transmission condi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is established;
Generating means for randomly generating a comparison value,
And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on the basis of the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and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means,
Wherein the first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as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value increases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Wherein the second consta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he management center i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t the predetermined time,
Wherein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operated by the calculating means increa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확률이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상기 제1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면,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확률이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비교치보다 크다고 상기 제2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면,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said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Further comprising seco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robability calculated by said calculating means is larger than a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said generating means,
The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the probability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means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rmination means that the probability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is larger than the comparison value generated by the generation mean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사상(事象)을 검출하는 제1 검출기와.
제2 사상을 검출하는 제2 검출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상기 제1 상수로서 제1 값과 제2 값이 기억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검출기가 상기 제1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1 값, 상기 제2 상수 및 상기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제2 검출기가 상기 제2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2 값, 상기 제2 상수 및 상기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detector for detecting a first event;
And a second detector for detecting a second event,
A first value and a second value are stored as the first constant in the storage means,
Wherein said calculation means is configured to calculate, based on said first value, said second constant, and said variable when said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said first detector detecting said first mapping, Calculates the probability,
Wherein said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a second condi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said management center based on said second value, said second constant and said variable when said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said second detector detecting said second event The elevator system calculates the probabilit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사상 및 제2 사상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상기 제1 상수로서 제1 값과 제2 값이 기억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검출기가 상기 제1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1 값, 상기 제2 상수 및 상기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검출기가 상기 제2 사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송신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2 값, 상기 제2 상수 및 상기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센터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확률을 연산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first and second events,
A first value and a second value are stored as the first constant in the storage means,
The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a probability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based on the first value, the second constant and the variable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the detector detecting the first event And,
The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a probability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based on the second value, the second constant and the variable when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the detector detecting the second event The elevator system for calculat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되는 확률의 증가율이 커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the rate of increase of the probability computed by the computing means increase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되는 확률의 증가율이 작아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increases, the rate of increase of the probability computed by the computing means becomes small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수의 값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확률로서 일정치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said calculation means outputs a constant value as a probability when the value of said variabl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KR1020197000013A 2016-11-10 2016-11-10 Elevator system KR1020793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3359 WO2018087860A1 (en) 2016-11-10 2016-11-10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62A true KR20190015462A (en) 2019-02-13
KR102079382B1 KR102079382B1 (en) 2020-04-07

Family

ID=6210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013A KR102079382B1 (en) 2016-11-10 2016-11-10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3549B2 (en)
KR (1) KR102079382B1 (en)
CN (1) CN109952261B (en)
WO (1) WO2018087860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60A (en) * 1994-07-28 1996-02-13 Hitachi Ltd Elevator monitoring center against wide area disaster
JP2003073050A (en) * 2001-08-30 2003-03-1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remote monitoring device
JP2014234255A (en) 2013-05-31 201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Monitoring device for elevator
JP2015024903A (en) * 2013-07-26 2015-02-0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monitor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7150B2 (en) * 2005-10-31 2012-03-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Remote monitoring system
CN101633461A (en) * 2009-05-22 2010-01-27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Remote monitoring system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60A (en) * 1994-07-28 1996-02-13 Hitachi Ltd Elevator monitoring center against wide area disaster
JP2003073050A (en) * 2001-08-30 2003-03-1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remote monitoring device
JP2014234255A (en) 2013-05-31 201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Monitoring device for elevator
JP2015024903A (en) * 2013-07-26 2015-02-0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monitor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87860A1 (en) 2019-03-22
KR102079382B1 (en) 2020-04-07
CN109952261A (en) 2019-06-28
WO2018087860A1 (en) 2018-05-17
CN109952261B (en) 2020-10-30
JP6593549B2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0976A (en) dynamic escape route generation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1760093B1 (en) Apparatus for realtime management of entry allowance number based service quality of user and method therof
CN106921587A (en) Message traffic control method, device and related system
CN110290428B (en) Congestion control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6040867B2 (en) Elevator monitoring equipment
JP2022061528A (en) Damage estimation system for building
JP2014166073A (en)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KR20190015462A (en) Elevator system
CN105490837B (en) A kind of network monitor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4401224B (en) Data current limi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8091328A1 (en) Vehicle telematics messaging
JP6358923B2 (en) Earthquake warning system
JP5085352B2 (e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6196591B2 (en) Backoff control method and backoff control device
JP6322821B2 (en) Seismoscope
JP2006211236A (en) Presence distribution system
EP3869740A1 (en) Network reliabilit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04769A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afety status of facilities
KR20160128149A (en)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JP6441144B2 (en) Major motion detection method of earthquake
JP6316921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JP659097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JP2019200670A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cyber attack
KR20130102221A (en) Decision engin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service based on smart device and sensor device
KR102342665B1 (en) Method for requesting service of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