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278A - 단극 캐뉼러 - Google Patents

단극 캐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278A
KR20190015278A KR1020187034974A KR20187034974A KR20190015278A KR 20190015278 A KR20190015278 A KR 20190015278A KR 1020187034974 A KR1020187034974 A KR 1020187034974A KR 20187034974 A KR20187034974 A KR 20187034974A KR 20190015278 A KR20190015278 A KR 2019001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body portion
mounting portion
tube
contac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287B1 (ko
Inventor
셸링 시몬 파융크
마틴 하우저
Original Assignee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1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7Epidura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금속 캐뉼러 튜브(10), 캐뉼러 튜브(10)의 근위 단부에 장착되는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부착부(12), 액체를 캐뉼러 튜브(10) 내로 유입시킬 목적을 위해 부착부(12) 상에 배열되는 커넥터 피스, 및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부착부(12)의 영역 내의 캐뉼러 튜브(10)와 전기 접촉하는 자극 케이블(24)을 갖는, 마취를 위한 단극 캐뉼러로서, 자극 케이블(24)은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고정 부분(26)에 의해 부착부(12) 상에 측방으로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분(26)은 와이어에 연결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 부분(38)을 갖고, 접촉 부분(38)은 고정 부분(26)이 부착부(12) 상에 고정될 때에 부착부(12)의 리세스(16) 내에 결합하여 캐뉼러 튜브(10)와 접촉하는, 단극 캐뉼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극 캐뉼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단극 캐뉼러(unipolar cannula)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단극 캐뉼러에서, 예컨대 신경 상에서의, 원위 캐뉼러 팁의 위치는 전기 자극에 의해 결정된다. 전기 자극 펄스는 캐뉼러의 근위 본체 부분의 영역 내의 전기 전도성 캐뉼러 튜브와 접촉하는, 자극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타입의 단극 캐뉼러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022,115B1호 및 제EP 1 002 500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특히 말초 신경 차단의 목적을 위한 마취에 사용된다.
이들 공지된 단극 캐뉼러에서, 자극 케이블은 자극 케이블의 절연성 외피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본체 부분에 연결되고, 자극 케이블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가 본체 부분 내로 성형되어, 본체 부분의 내부의 금속 캐뉼러 튜브와 접촉한다는 점에서 캐뉼러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최근에, 마취 동안에 캐뉼러의 위치를 모니터 및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의 사용이 더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체의 표면 상에 위치되는 초음파 프로브가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고 금속 캐뉼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WO 2010/012023 A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캐뉼러의 개선된 초음파 가시성으로 인해, 마취과 의사들은 초음파 캐뉼러 검출에 점점 더 의존하고 전기자극을 배제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경향을 따르고 초음파 및 전기자극 능력의 둘 모두를 편리하게 조합하여 캐뉼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캐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단극 캐뉼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특정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캐뉼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대신에, 자극 케이블은 캐뉼러의 본체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극 캐뉼러가 초음파 위치 검출로만 사용되면, 자극 케이블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고, 그에 따라 캐뉼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남아 있거나, 캐뉼러에 부착된 자극 케이블은 캐뉼러로부터 제거된다. 이것은 자극 케이블에 의한 임의의 방해를 방지하여 캐뉼러가 전기자극을 이용하지 않는 통상적인 캐뉼러로서 사용되게 한다. 전기자극에 의한 위치결정이 요구되면, 동일한 캐뉼러는, 자극 케이블을 본체 부분에 측방으로 단지 부착함으로써, 또는 캐뉼러에 이미 부착된 자극 케이블을, 자극 케이블의 전도성 와이어가 금속 캐뉼러 튜브와 강제로 접촉되는, 캐뉼러 상의 적절한 위치에 남겨둠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캐뉼러는 그에 의해 전기자극과 함께 또는 전기자극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자극 케이블을 캐뉼러의 본체 부분 상에 장착하기 위해,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장착 부분이 사용되고, 장착 부분은 본체 부분 상에 측방으로 장착되고 그에 따라 장착 부분은 그 외주부에 대해 놓일 수 있다. 장착 부분은 자극 케이블의 와이어에 전기전도성 연결되는, 전기전도성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 및 와이어는 예를 들어 연납땜 조인트에 의해,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서로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 부분이 본체 부분에 부착될 때에, 접촉 요소는 금속 캐뉼러 튜브가 노출되어 남겨진 상태에서, 본체 부분 내의 리세스 내로 결합하고 그에 따라 접촉 요소는 캐뉼러 튜브와 전도성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장착 부분은 접촉 요소의 외부를 완전히 덮고, 그에 의해 본체 부분의 외주부를 따라 자극 케이블의 와이어로의 접촉 요소 및 그 연결부를 절연하여, 사용자에 의한 접촉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극 케이블을 장착하는데 그리고 캐뉼러 튜브와 접촉하는데 요구되는 구조적 조치는 본체 부분의 외부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자극 케이블을 갖지 않는 캐뉼러의 취급이 방해를 받지 않고 전기자극을 이용하지 않는 종래의 캐뉼러와 완전히 대응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극 케이블은 스냅 연결을 통해 본체 부분에 부착되는, 장착 부분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스냅 연결은 예를 들어, 본체 부분 상에 결합하는, 장착 부분의 탄성 스냅-로킹 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쌍의 스냅-로킹 암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경우에, 스냅-로킹 암은 본체 부분의 2개의 측면 상에 서로에 정반대로 대향하여 부착되고, 접촉 요소의 결합을 위한 리세스는 스냅-로킹 암들 사이의 본체 부분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부분은 본체 부분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그것에 대해 피벗될 때에 본체 부분 상으로 로킹된다.
캐뉼러 튜브와 전기 접촉하는 접촉 요소는 다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즉 접촉 요소는 장착 부분이 본체 부분에 부착될 때에 캐뉼러 튜브와 양호한, 신뢰가능한 전기 접촉을 성취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캐뉼러 튜브 상으로 포크(fork)의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는, 절연 변위 접촉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절연 변위 접촉부의 2개의 암은 그에 의해 캐뉼러 튜브의 원주면 내로 가압되어 필요한 접촉 압력을 성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장착 부분이 부착될 때에 탄성 스프링 압력 하에서 캐뉼러 튜브의 외부 상에 놓이는, 스프링 탭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단극 캐뉼러의 근위 본체 부분에는 액체, 특히 마취제가 캐뉼러 튜브 내로 유입되어 이러한 액체를 캐뉼러의 원위 출구 개구를 통해 투여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다.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캐뉼러 튜브에 동축이고, 이것은 자극 케이블의 측방 부착에 의해 가능해진다. 포트는 예를 들어, 커넥터로서, 특히 루어 로크 커넥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7,022,115 B1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커넥터는 예컨대 제EP 1 002 500 A1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에 동축으로 부착되는 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후속하여, 본 발명이 도면의 세트에 도시된 예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단극 캐뉼러의 대응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극 캐뉼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F-F를 따른 부착된 자극 케이블을 갖는 단극 캐뉼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단극 캐뉼러의 제2 실시예의 대응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제2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축방향 부분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제2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도 9의 절단선 F-F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이러한 제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제3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절단선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제3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절단선 B-B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단극 캐뉼러의 제4 실시예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단극 캐뉼러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축방향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도 18에 대응하는, 제4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의 a), b) 및 c)는 3개의 단계로의 제4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 상으로의 자극 케이블의 장착을 도시한다.
도 22는 자극 케이블이 제거된, 단극 캐뉼러의 제5 실시예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위치에서의 단극 캐뉼러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축방향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원위 단부로부터의 대응 축방향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제5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부분 축방향 절결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의 a), b) 및 c)는 3개의 단계로의 제5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 상으로의 자극 케이블의 장착을 도시한다.
도 27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제6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제6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자극 케이블을 갖는 단극 캐뉼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제6 실시예의 단극 캐뉼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자극 케이블이 부착된 단극 캐뉼러의 축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극 캐뉼러의 제1 예시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극 캐뉼러는 금속 캐뉼러 튜브(10)를 갖고, 금속 캐뉼러 튜브의 외주면은 금속 캐뉼러 튜브(10)의 원위 팁만이 노출되어 남겨진 상태에서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코팅된다. 근위 단부에서, 캐뉼러 튜브(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 부분(12) 상으로 성형된다. 본체 부분(12)은 플랜지까지 확대되어 캐뉼러가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파지 및 안내되게 하는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캐뉼러 튜브(10)는 본체 부분(12)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본체 부분(12)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돌출하는 캐뉼러 튜브(10)의 단부는 본체 부분(12)에 밀봉되어 부착되는, 동축 튜브(14) 내에 포위된다. 튜브(14)는 액체, 예컨대 마취제가 캐뉼러 튜브(1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이어서 캐뉼러 튜브(1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배출되는, 주입 튜브로서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그 미부착 단부에서, 튜브(14)는 액체를 공급하는 주사기 등이 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 예컨대 루어 로크 커넥터(luer lock connector)를 갖는다. 대안으로서, 주입 튜브가 요구되지 않으면, 커넥터는 본체 부분(12)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 원위 섹션 내에서, 본체 부분(12)에는 도면에서의 본체 부분(12)의 상부 측면을 향해 개방되고, 적어도 캐뉼러 튜브(10)의 아래까지 연장하는 깊이를 갖는, 리세스(16)가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 실시예에서, 리세스(16)는 본체 부분(12)을 통해 정반대로 대향하여 연속적으로 개방된다. 리세스(16) 내에서 연장하는 그 축방향 섹션 내에서, 캐뉼러 튜브(10)가 노출되고, 즉 이러한 섹션에서, 금속 캐뉼러 튜브(10)는 절연성 외부 코팅을 갖지 않는다. 본체 부분(12)의 전방 원위 확대 플랜지(18) 내에서, 홈(20)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한다. 홈(20)은 리세스(16)의 양쪽 측면 상에 정반대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리세스(16)는 홈(20) 내로 원위방향으로 연장한다. 도면에서의 저부 측면 상에서, 홈(20)은 2개의 측면의 각각 상에 내부 계단부(22)를 갖는다.
단극 캐뉼러가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사용될 때에, 전기자극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자극 케이블(24)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된다. 자극 케이블(24)은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자극 케이블의 절연부에 부착되는, 장착 부분(26)을 갖는다. 장착 부분(26)은 스냅 연결에 의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 실시예에서, 스냅 연결은 장착 부분(26)의 한 쌍의 탄성 스냅-스냅-로킹 암(28)에 의해 형성된다. 스냅-로킹 암(28)은 그것들이 홈(20) 내로 삽입되고 그에 의해 리세스(16)의 양쪽 측면 상의 홈(20)의 영역 내에서 본체 부분(12) 주위에 정반대로 대향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U자형 림(limb)으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스냅-로킹 암(28)의 미부착 단부에서, 내향 배향 닙(nib)(30)이 형성된다. 스냅-로킹 암(28)을 갖는 장착 부분(26)을 반경 방향으로 측방으로 본체 부분(12) 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스냅-로킹 암(28)은 홈(20)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암의 닙(30)은 각각의 내부 계단부(22) 뒤에 스냅결합된다. 장착 부분(26)은 그에 의해 본체 부분(12) 상으로 클립핑되어 본체 부분(12) 상에 고정된다. 상기 위치에서, 장착 부분(26)은 스냅-로킹 암(28)을 이용하여 전방 플랜지(18)의 외곽부 내로 끼워진다. 장착 부분(26)이 그 클립핑된 위치에 있을 때에, 장착 부분(26)의 근위방향 연장 길이방향 부재(32)가 도면에서의 본체 부분(12)의 상부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34) 내로 끼워진다. 또한, 홈(34)을 따라, 본체 부분(12)의 근위 후방 플랜지(36)는 길이방향 부재(32)가 결합하는 노치(37)를 포함한다. 그 스냅결합된 상태에서, 장착 부분(26)은 그에 의해 상기 본체 부분(12)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본체 부분(12)에 고정된다.
자극 케이블(24)의 전기전도성 와이어는 장착 부분(26) 내에 위치되는 금속 접촉 요소(38)에 전기전도성 연결된다. 제1 예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38)는 절연 변위 접촉부(40)로서 실시된다. 절연 변위 접촉부(40)는 스냅-로킹 암(28)에 의해 횡단되는 평면에서 스냅-로킹 암(28)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고 스냅-로킹 암(2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스냅-로킹 암(28)을 갖는 장착 부분(26)이 본체 부분(12) 상으로 스냅결합될 때에, 절연 변위 접촉부(40)는 리세스(16) 내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2개의 포크형 암은 노출된 캐뉼러 튜브(10) 상으로 가압된다. 그 위치에서, 절연 변위 접촉부(40)의 암은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금속 캐뉼러 튜브(10)의 표면 내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장착 부분(26)이 스냅결합될 때에,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로부터 절연 변위 접촉부(40)를 통한 캐뉼러 튜브(10)로의 신뢰가능한 전기 접촉이 성취된다. 장착 부분(26)은 그에 의해 본체 부분(12)의 외주면 상에서 접촉 요소(38)를 덮어, 그것을 완전히 절연한다.
본 발명의 제2 예시 실시예가 도 6 내지 11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시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위의 설명은 이러한 제2 예시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제2 예시 실시예는 접촉 요소(38)의 구성의 관점에서 제1 예시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38)에는 전도성 탄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에 전도성 연결되는, 스프링 탭(42)이 구비된다. 스프링 탭(42)은 스프링 탭이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장착 부분(26)의 길이방향 부재(32)로부터 원위방향 내향으로 경사형인 그러한 방식으로 장착 부분(26)의 플라스틱 내에 설정된다. 장착 부분(26)이 스냅-로킹 암(28)에 의해 본체 부분(12) 상으로 스냅결합될 때에, 스프링 탭(42)은 도 9 및 1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리세스(16) 내로 결합하여 노출된 캐뉼러 튜브(10)의 외주면에 대해 탄성 스프링 장력 하에 놓이게 된다. 스프링 탭(42)은 그에 의해 접촉 요소(38) 그리고 접촉 요소(38)에 연결되는,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의 둘 모두와 캐뉼러 튜브(10) 사이의 신뢰가능한 전기 접촉을 성취한다.
도 12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단극 캐뉼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 실시예가 위에서-설명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위의 설명은 이러한 제3 예시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본체 부분(12)과 장착 부분(26) 사이의 스냅 연결의 구성의 관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장착 부분(26)에는 축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3개의 쌍의 스냅-로킹 암(28)이 구비된다. 스냅-로킹 암(28)의 쌍의 각각은 본체 부분(12) 주위에 결합하여 본체 부분(12)의 주연부 내의 대응 축방향 이격 홈(44) 내로 끼워지고, 그에 의해 자극 케이블을 장착한다. 각각의 스냅-로킹 암(28) 상의 내향 배향 닙(30)이 이들 홈(44) 내에 위치되는 내부 계단부(22) 뒤에 결합한다. 따라서, 장착 부분(26)이 본체 부분(12) 상에 위치될 때에, 장착 부분(26)은 내부 계단부(22) 뒤에서 3개의 쌍의 스냅-로킹 암(28)과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하고, 그에 의해 장착 부분(26)을 자극 케이블(24)과 함께 상기 본체 부분(12)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본체 부분(12) 상에 고정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원위 최전방 쌍의 스냅-로킹 암(28)은 리세스(16)의 영역 내의 본체 부분(12)을 포위한다. 원위 최전방 스냅-로킹 암(28) 사이에 위치되는, 접촉 요소(38)는 그에 의해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리세스(16) 내의 캐뉼러 튜브(10)와 전기전도성 접촉하여 위치된다. 접촉 요소(38)는 구체적으로,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탭(42)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38)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연 변위 접촉부(40)로서도 실시될 수 있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극 캐뉼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4 실시예가 위에서-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위의 설명은 이러한 제3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제4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장착 부분(26)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되는 방식의 관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서, 장착 부분(26)의 원위 단부는 리세스(16) 내로 결합한다. 장착 부분(26)의 원위 단부에서, 베어링 핀(46)이 측방으로 성형되고, 즉 캐뉼러의 축 방향에 직각으로 돌출한다. 리세스(16) 내로의 장착 부분(26)의 삽입 시에,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원형 원통형 베어링 핀(46)은 전방 플랜지(18)의 근위방향-배향 벽 내에 형성되는 베어링 소켓(48)에 의해 수용된다. 장착 부분(26)이 그 베어링 핀(46)을 이용하여 베어링 소켓(48) 내에 장착될 때에, 장착 부분(26)은 도 18 및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12) 상에 배치되어 캐뉼러 축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베어링 핀(46)의 축을 중심으로 피벗한다.
장착 부분(26)은 이어서 도 21의 b) 및 도 21의 c)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0에 도시된 위치로 본체 부분(12)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장착 부분(26)이 본체 부분(12)에 대해 놓이는 것과 동시에(도 20), 본체 부분(12)과 대면하는 장착 부분(26)의 표면 상으로 성형되는, 스냅-로킹 암(50)이 본체 부분(12)의 외부 표면 내의 오목부(52) 내로 결합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스냅-로킹 암(50)의 미부착 단부에 위치되는 닙(30)이 구체적으로, 도 20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오목부(52)의 내부 계단부(22) 뒤에 결합한다. 장착 부분(26)은 그에 의해 본체 부분(12) 상에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고정된다.
또한, 돌출부(54)가 본체 부분(12)과 대면하는 장착 부분(26)의 표면 상으로 성형된다. 장착 부분(26)이 도 20에 도시된 장착된 위치로 본체 부분(12)을 향해 피벗될 때에, 상기 돌출부(54)는 본체 부분(12)의 외부 표면 내의 대응 오목부(56) 내로 하강하고, 그에 의해 장착 부분(26)을 본체 부분(12)에 대한 임의의 횡단방향 변위에 대항하는 확실한-로킹 연결로 추가로 고정한다.
도 18 내지 21의 도면에서, 접촉 요소(38)가 스프링 탭(42)으로서 실시된다. 물론, 접촉 요소(38)는 절연 변위 접촉부(40)로서도 실시될 수 있다.
도 23 내지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단극 캐뉼러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가 위에서-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위의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제5 실시예는 도 18 내지 21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체 부분(12)에 대한 장착 부분(26)의 피벗가능한 베어링의 구성의 관점에서만 상기 제4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5 실시예에서, 베어링 핀 및 베어링 소켓 대신에, 베어링 닙(58)이 리세스(16) 내로 결합하는, 장착 부분(26)의 원위 단부 상으로 성형된다. 장착 부분(26)의 원위 단부가 리세스(16) 내로 삽입될 때에, 베어링 닙(58)은 전방 플랜지(18)의 근위방향-배향 단부 표면 내에 형성되는 개구(60)와 결합한다. 장착 부분(26)은 그에 의해 그 원위 전방 단부에서 본체 부분(12)의 플랜지(18) 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 도 22 및 26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5 및 26c에 도시된 위치로 피벗될 수 있다. 장착 부분(26)이 이러한 피벗 운동의 결과로서 본체 부분(12) 상에 놓이게 될 때에, 스냅-로킹 암(50)의 닙(30)이 제4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오목부(52) 내의 내부 계단부(22)와 로킹 연결하여 결합한다. 스냅 연결이 그에 의해 생성되고, 장착 부분(26)은 자극 케이블(24)과 함께 본체 부분(12) 상에 그에 따라 캐뉼러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접촉 요소(38)가 스프링 탭(42)으로서 또는 절연 변위 접촉부(40)로서 실시될 수 있다.
도 27 내지 32는 본 발명에 따른 단극 캐뉼러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6 실시예가 위에서-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위의 설명은 이러한 제6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25)가 예컨대 연납땜, 용접 등에 의해, 접촉 요소(38)에 영구적으로 전기전도성 연결되지만, 제6 실시예에서, 그 전도성 와이어(25)를 갖는 자극 케이블(24)은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접촉 요소(38)에 전기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모든 다른 측면에서, 제6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12 내지 1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대응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장착 부분(26)이 캐뉼러 튜브(10)의 본체 부분(12) 상으로 측방으로 스냅결합되어 그 외부 표면 상의 본체 부분(12)의 주연 외곽부 내로 끼워진다. 장착 부분(26)은 장착 부분(26)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4개의 쌍의 스냅-로킹 암(28)을 갖는다. 스냅-로킹 암(28)은 본체 부분(12) 주위에 결합하여 내향 배향 닙(30)을 이용하여 본체 부분(12)의 양쪽 측면 상에 형성되는 내부 계단부(22) 뒤에 스냅결합되고 그에 따라 장착 부분(26)을 본체 부분(12)에 부착한다.
장착 부분(26)은 판 스프링으로서 실시되는, 접촉 요소(38)를 수용하여 스프링 탭(42)으로서 실시되는 전방 단부를 이용하여 리세스(16) 내로 결합하고 그에 따라 캐뉼러 튜브(10)와 전기전도성 접촉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스프링 탭(42) 대신에, 절연 변위 접촉부가 접촉 요소(3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립 중에, 접촉 요소(38)는 장착 부분(26)의 내부의 측방 안내 홈 내로 삽입되어 전개된 스프링 탭(62)에 의해 이들 안내 홈 내에 클램핑 및 고정된다.
제6 실시예에서, 자극 케이블(24)은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그에 따라 분리가능하게, 접촉 요소(38)에 전도성 연결되어, 장착 부분(26)에 의해 본체 부분(12)에 부착되는, 상기 접촉 요소(38)를 통해 캐뉼러 튜브(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장착 부분(26)의 후방 영역은 근위 방향으로 개방되고 하나의 측면 상에서 외주부를 향해 폐쇄되는 장착 부분(26)의 U자형 돌출부에 의해, 그리고 다른 측면 상에서 본체 부분(12)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 평행 터널(64)을 포함한다. 접촉 요소(38)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암(66)이 이러한 터널(64) 내로 돌출한다. 스프링 암(66)은 상향 볼록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그 볼록부는 터널(64)의 개방 단면 내로 돌출한다.
금속 접촉 스트립(68)이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25)의 미부착 단부에, 예컨대 연납땜,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전도성 부착된다. 플라스틱 외피(70)가 와이어(25) 및 접촉 스트립(68)의 미부착 단부 주위에 성형된다. 플라스틱 외피(70)의 단면은 터널(64)의 내부 단면에 대응하고, 그에 따라 플라스틱 외피(70)는 터널(64) 내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고, 플라스틱 외피 상의 외부 비드(72)가 터널(64)의 U자형 프로파일의 내부 홈 내에 결합한다. 플라스틱 외피(70)의 후방 부분은 와이어(25) 및 접촉 스트립(68)의 미부착 단부를 포위하고, 또한 자극 케이블(24)의 절연부를 포위한다. 근위 전방 단부에서, 플라스틱 외피(70)는 본체 부분(12)을 향해 개방되는 U자형 프로파일(74)을 형성하고, 접촉 스트립(68)은 U자형 프로파일(74)의 기부에서 연장한다. 자극 케이블(24)이 단극 캐뉼러 및 그 본체 부분(12)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도 30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프로파일(74)은 사용자에 의한 부주의한 접촉에 대해 접촉 스트립(68)의 미부착의, 노출된 단부를 보호한다. 이것은 금속 접촉 스트립(68)에 의해 유발되는 사용자에 대한 부상 또는 사용자 글러브에 대한 손상을 신뢰가능하게 방지한다. 자극 케이블(24)이 플라스틱 외피(70)를 이용하여 장착 부분(26)의 터널(64) 내로 삽입될 때에, 자극 케이블(24)은 캐뉼러 튜브(10)의 튜브(14)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플라스틱 외피(70)의 U자형 프로파일(74)은 접촉 요소(38)의 경사형 스프링 암(66)이 아래로부터 U자형 프로파일(74) 내로 결합하여 그 경사형 부분의 탄성 스프링 압력 하에서 접촉 스트립(68)과 신뢰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충분히 멀리 장착 부분(26)의 터널(64) 내로 돌출한다. 접촉 스트립(68) 및 접촉 요소(38)를 통한 캐뉼러 튜브(10)로의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25)의 전기전도성 연결이 그에 의해 성취된다.
제6 실시예의 장점에 따르면, 장착 부분(26)은 자극 케이블(24)이 필요하지 않아서 부착되지 않을 때에도 접촉 요소(38)와 함께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12) 및 장착 부분(26)은 자극 케이블(24)이 부착되는지와 무관하게, 사용자에 대해 동일한 형상을 함께 갖는다. 모든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되는 장착 부분(26)은 접촉 요소(38)를 그 외주부 상에서 덮어, 그것을 충분하게 절연한다.
10 캐뉼러 튜브
12 본체 부분
14 튜브
16 리세스
18 전방 플랜지
20 홈
22 내부 계단부
24 자극 케이블
25 와이어
26 장착 부분
28 스냅-로킹 암
30 닙
32 길이방향 부재
34 홈
36 후방 플랜지
37 노치
38 접촉 요소
40 절연 변위 접촉부
42 스프링 탭
44 홈
46 베어링 핀
48 베어링 소켓
50 스냅-로킹 암
52 오목부
54 돌출부
56 오목부
58 베어링 닙
60 개구
62 스프링 탭
64 터널
66 스프링 암
68 접촉 스트립
70 플라스틱 외피
72 외부 비드
74 U자형 프로파일

Claims (11)

  1. 금속 캐뉼러 튜브(10), 캐뉼러 튜브(10)의 근위 단부에 부착되는,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본체 부분(12), 캐뉼러 튜브(10) 내로의 액체의 유입을 위해 본체 부분(12)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 및 본체 부분(12)의 영역 내의 캐뉼러 튜브(10)와 전기 접촉하는 전기전도성 와이어(25)를 갖는, 자극 케이블(24)을 포함하는 단극 캐뉼러에 있어서,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장착 부분(26)이 장착되어, 본체 부분(12)의 외주면 상에 측방으로 놓일 수 있고, 장착 부분(26)은 와이어(25)와 전기 접촉하는 전기전도성 접촉 요소(38)를 수용하고, 그에 따라 장착 부분(26)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될 때에, 하나의 측면 상에서, 접촉 요소(38)는 본체 부분(12)의 리세스(16) 내로 결합하여 캐뉼러 튜브(10)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 상에서, 장착 부분(26)에 의해 외향으로 덮여 완전히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 부분(26)은 탄성 스냅 연결에 의해 본체 부분(12)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3. 제2항에 있어서, 장착 부분(26)은 적어도 한 쌍의 탄성 스냅-로킹 암(28)을 이용하여 본체 부분(12) 주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4. 제3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38)는 스냅-로킹 암(28) 사이에 배치되고, 스냅-로킹 암(28)은 리세스(16)의 양쪽 측면 상의 본체 부분(12) 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착 부분(26)의 원위 단부는 본체 부분(12) 내로 피벗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장착 부분(26)은 본체 부분(12)을 향해 피벗될 수 있고 스냅 연결에 의해 본체 부분(12)에 대해 놓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38)는 캐뉼러 튜브(10) 상으로 가압되는 절연 변위 접촉부(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38)는 캐뉼러 튜브(10)의 외부에 대해 놓이는 스프링 탭(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25)는 장착 부분(26) 내에 보유되는 접촉 요소(38)에 영구적으로 전기전도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극 케이블(24)의 와이어(25)는 장착 부분(26) 내에 보유되는 접촉 요소(38)에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전기전도성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의 유입을 위한 커넥터는 본체 부분(12)에 동축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본체 부분(12)에 부착되는 튜브(1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캐뉼러.
KR1020187034974A 2016-06-06 2017-05-26 단극 캐뉼러 KR102462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0379.9 2016-06-06
DE102016110379.9A DE102016110379A1 (de) 2016-06-06 2016-06-06 Unipolar-Kanüle
PCT/EP2017/062791 WO2017211601A1 (de) 2016-06-06 2017-05-26 Unipolar-kanü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278A true KR20190015278A (ko) 2019-02-13
KR102462287B1 KR102462287B1 (ko) 2022-11-01

Family

ID=5887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74A KR102462287B1 (ko) 2016-06-06 2017-05-26 단극 캐뉼러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1191564B2 (ko)
EP (1) EP3463553B1 (ko)
JP (1) JP6921871B2 (ko)
KR (1) KR102462287B1 (ko)
CN (1) CN109310860B (ko)
AU (1) AU2017277234B2 (ko)
BR (1) BR112018075265A2 (ko)
CA (1) CA3021629C (ko)
CL (1) CL2018003491A1 (ko)
CY (1) CY1125135T1 (ko)
DE (1) DE102016110379A1 (ko)
DK (1) DK3463553T3 (ko)
ES (1) ES2796075T3 (ko)
IL (1) IL262527B (ko)
MX (1) MX2018015141A (ko)
MY (1) MY194166A (ko)
PL (1) PL3463553T3 (ko)
PT (1) PT3463553T (ko)
RU (1) RU2703648C1 (ko)
WO (1) WO2017211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1733A1 (de) * 2018-09-06 2020-03-12 Pajunk GmbH Medizintechnologie Kanüle
CN110236657B (zh) * 2019-07-24 2020-07-28 南阳市中心医院 一种一次性甲状腺穿刺器定位装置
CN111904551B (zh) * 2020-07-28 2021-08-06 鹤壁市人民医院 一种超声医疗麻醉注射辅助器
DE102020124427B4 (de) * 2020-09-18 2022-09-08 Karl Storz Se & Co. Kg Medizinisches hf-instru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557A1 (en) * 2001-05-08 2002-12-26 Helmut Freigang Puncture cannula
US20070250021A1 (en) * 2002-10-10 2007-10-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local anesthesia
US20080058757A1 (en) * 2006-04-28 2008-03-06 Pajunk Gmbh & Co. Kg Besitzverwaltung Catheter Set for Epidural or Peripheral Nerve Blockad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750A (en) * 1962-05-18 1964-09-08 Altair Corp Tissue interface detector for ventriculography and other applications
US3858586A (en) * 1971-03-11 1975-01-07 Martin Lessen Surgical method and electrode therefor
US3828780A (en) 1973-03-26 1974-08-13 Valleylab Inc Combined electrocoagulator-suction instrument
DE3229466A1 (de) * 1982-08-06 1984-02-09 Sterimed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n Bedarf mbH, 6600 Saarbrücken Punktier- und katheterisiervorrichtung fuer menschliche oder tierische koerper
DE8715740U1 (ko) * 1987-11-27 1988-01-14 Krebs, Peter, Dr.,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WO1994006510A1 (en) 1992-09-11 1994-03-31 Advanced Surgical, Inc. Self-introducing infusion catheter
CA2138076A1 (en) 1993-12-17 1995-06-18 Philip E. Eggers Mono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s
US5507732A (en) * 1994-10-05 1996-04-16 Medtronic, Inc. Quick assembly catheter manifold
US5853393A (en) 1995-06-07 1998-12-29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Catheter needle locking and catheter hub unlocking mechanism
DE19807487C2 (de) * 1998-02-21 2000-08-17 Horst Pajunk Verwendung eines Katheters für die Nervenblockade
DE19828794C1 (de) * 1998-06-27 2000-02-24 Heinrich Pajunk Unipolar-Kanüle für die kontinuierliche Leitungsanästhesie
US6212433B1 (en) 1998-07-28 2001-04-03 Radiotherapeutics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tumors near the surface of an organ
DE29820525U1 (de) 1998-11-17 2000-04-06 Braun Melsungen Ag Katheterset für die Plexusanästhesie
US7022115B1 (en) 1999-11-11 2006-04-04 Gisela Meier Continuously conductive unipolar cannula for anesthesia
US7386341B2 (en) * 2000-03-13 2008-06-10 Arrow International, Inc. Instrument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aesthetic drugs
US6456874B1 (en) * 2000-03-13 2002-09-24 Arrow International Inc. Instrument for delivery of anaesthetic drug
DE20108558U1 (de) * 2001-05-22 2001-08-09 Krebs Peter Kombinationsnadel für die peripheren Nervenblockaden
EP1480692A2 (en) * 2002-03-07 2004-12-01 Merck & Co., Inc. Clinical syringe with electrical stimulation aspects
US7120487B2 (en) * 2002-08-08 2006-10-10 Nelson David A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regional anesthesia to a patient
US20080058702A1 (en) * 2005-12-12 2008-03-06 Cook Critical Care Incorporated Continuous nerve block assembly
FR2896698B1 (fr) * 2006-02-02 2008-09-19 Vygon Sa Catheter de neurostimulation et son embase
DE102007029229A1 (de) * 2007-06-22 2008-12-24 Pajunk Gmbh & Co. Kg Besitzverwaltung Spannadapter für einen Katheter
DE102008025878A1 (de) * 2008-05-29 2009-12-10 Pajunk Gmbh & Co. Kg Besitzverwaltung Kanüle, insbesondere für die Regionalanästhesie
AU2009276280B2 (en) 2008-07-29 2014-05-01 Coco Research Pty Ltd An echogenic medical needle
US8702677B2 (en) * 2008-10-31 2014-04-22 Warsaw Orthopedic, Inc. Device and method for directional delivery of a drug depot
CA2746948C (en) * 2010-07-21 2019-01-15 Diros Technology Inc. Advanced multi-purpose catheter probes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RU105574U1 (ru) 2010-12-27 2011-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окружной медицинский центр Минздравсоцразвит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нкоигольной пункционной биопсии
DE202011110498U1 (de) * 2011-08-17 2014-05-19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Gaszähler mit integriertem Gasabsperrventil
CA3141270A1 (en) * 2012-11-09 2014-05-15 Solo-Dex, Inc. Continuous anesthesia nerve condu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DE102013101538C5 (de) * 2013-02-15 2019-03-28 Pajunk GmbH Medizintechnologie Set für die periphere Nervenblockade
JP2014180571A (ja) * 2013-03-15 2014-09-29 Custom Medical Applications 安全な神経注射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ES1154983Y (es) * 2016-03-23 2016-07-18 Barquero Bartolome Lajarin Dispositivo de aguja para bloqueo nervios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557A1 (en) * 2001-05-08 2002-12-26 Helmut Freigang Puncture cannula
US20070250021A1 (en) * 2002-10-10 2007-10-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local anesthesia
US20080058757A1 (en) * 2006-04-28 2008-03-06 Pajunk Gmbh & Co. Kg Besitzverwaltung Catheter Set for Epidural or Peripheral Nerve Block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3553B1 (de) 2020-03-18
CA3021629A1 (en) 2017-12-14
AU2017277234B2 (en) 2019-02-21
US11191564B2 (en) 2021-12-07
AU2017277234A1 (en) 2018-11-15
BR112018075265A2 (pt) 2019-03-12
RU2703648C1 (ru) 2019-10-21
CY1125135T1 (el) 2022-07-22
CA3021629C (en) 2023-09-05
NZ747553A (en) 2023-08-25
PL3463553T3 (pl) 2020-08-24
JP2019518542A (ja) 2019-07-04
WO2017211601A1 (de) 2017-12-14
KR102462287B1 (ko) 2022-11-01
ES2796075T3 (es) 2020-11-25
CN109310860B (zh) 2022-07-08
DE102016110379A1 (de) 2017-12-07
EP3463553A1 (de) 2019-04-10
IL262527A (en) 2018-12-31
DK3463553T3 (da) 2020-06-15
IL262527B (en) 2022-08-01
MX2018015141A (es) 2019-08-16
CL2018003491A1 (es) 2019-03-22
PT3463553T (pt) 2020-06-17
CN109310860A (zh) 2019-02-05
MY194166A (en) 2022-11-16
US20190350617A1 (en) 2019-11-21
JP6921871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278A (ko) 단극 캐뉼러
US4917082A (en) Resectoscope electrode
US6363272B1 (en) Connector for fetal probe
US7347860B2 (en) Endoscope for high-frequency treatment
ES2227075T3 (es) Conector electrico para empuñadura.
US5496315A (en) Medical electrode insulating system
US7303561B2 (en) High-frequency tool for endoscope
JP4753632B2 (ja) 体組織取扱い用の使い捨て可能な電気外科手術具
US8795273B2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US6986686B2 (en) Electrical plug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rom a power supply to a medical instrument
US8100904B2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US8348943B2 (en) 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H0450003Y2 (ko)
US7336985B2 (en) Fetal heart rate electrode assembly, connector for same, cable assembl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5290285A (en) Electrocautery device having two electrically active areas of the terminal end spaced from each other
NZ747553B2 (en) Monopolar cannula
US4385793A (en) Medical terminal clip with anti-tangle device
US6356778B1 (en) Connector assembly for fetal scalp electrode
US20090054964A1 (en) Pacemaker electrode with helical coil and feed line coil
JP2020039861A (ja) カニューレ
CN216570189U (zh) 消融电极和消融系统
CN111601535A (zh) 内窥镜、前端罩以及内窥镜系统
TWI655814B (zh) 醫療儀器
JPH0242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