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72A -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872A
KR20190014872A KR1020170098940A KR20170098940A KR20190014872A KR 20190014872 A KR20190014872 A KR 20190014872A KR 1020170098940 A KR1020170098940 A KR 1020170098940A KR 20170098940 A KR20170098940 A KR 20170098940A KR 20190014872 A KR20190014872 A KR 20190014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ody portion
injection
antenna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910B1 (ko
Inventor
성원모
김남일
김영태
이가현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7009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는 사출물 본체부, 상기 사출물 본체부에 배치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 중에 안테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파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안테나는 크게 유전 특성을 이용한 유전체 안테나와 자성 특성을 이용한 자성체 안테나로 분류할 수 있다.
안테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ity Transmission) 기능을 갖는 안테나가 각종 휴대용 단말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자성 특성을 이용한 안테나들은 안테나를 제작 후에 안테나가 적용될 위치의 사출물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조립 공정에서 파손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부착 위치의 오차로 인하여 안테나의 방사 특성의 편차가 발생되거나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25042호 (2017.04.04)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 중에 안테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두께를 감소시킬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가 제조 공정 중에 안테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는 사출물 본체부, 상기 사출물 본체부에 배치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 상에 직접 형성되며,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용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사출물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사출물 본체부 및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사출물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자성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사출물 본체부 및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사출물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자성체 시트 또는 안테나와 자성체 시트를 형성하므로, 안테나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조립 오차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의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자성체 시트 또는 안테나와 자성체 시트를 형성하므로,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부(100), 사출물 본체부(200) 및 자성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100)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00)는 안테나 패턴(110)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100)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베이스 기판 없이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에 코일을 직접 권선하는 방식으로도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00)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용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패턴(110)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LDS 기술은 수지 위에 레이저(Laser)로 DMB용 안테나, 위성 DMB용 안테나, RFID용 안테나, 기판 안테나, 고온초전도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듀얼밴드 안테나 기타 전도성 경로에 상응한 패턴(pattern)을 형성한 다음 구리, 니켈 또는 금을 도금하여 안테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회로를 만드는 기술로서 기존 에칭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 부품의 양산이 가능하며, 특수 열가소성 수지 위에 선택적으로 도금을 실현할 수 있어 시간 비용의 절감과 레이저에 의한 직접적인 패턴 구현이 가능하여 비용 효율의 극대화와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100)가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110)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소프트 보드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약칭되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일종의 높은 신뢰성 및 최적의 가요성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자유롭게 굽혀지고, 절곡 성능이 뛰어나며, 폴딩, 권취, 찢어짐 방지, 높은 배선 밀도, 가볍고 얇은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의 내부 공간에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300)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부(300)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물질 또는 자성체 시트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자성 재료 또는 자성체 시트를 인몰드 방식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부(300)가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부(300)가 인몰드된 상기 사출물 본체부(200)의 일 면상에 상기 안테나부(100)를 형성하여 안테나 모듈을 형성한다. 따라서, 자성체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별도 제작하여 사출물에 부착하는 종래의 안테나 제작방법 보다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으며, 안테나 조립 상에서 발생되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안테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를 사출물 본체부 내부에 직접 형성하므로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안테나부(1110), 제2 안테나부(1120), 제1 비아홀(1130) 및 제2 비아홀(114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2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부, 사출물 본체부(1200), 자성체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1200)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1110)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1200)에는 비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홀은 상기 사출물 본체부(1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부(1110) 및 상기 제2 안테나부(1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비아홀은 상기 사출물 본체부(1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비아홀(1130) 및 상기 사출물 본체부(1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비아홀(1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부(21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2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안테나부(2100)는 사출물 본체부(2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부(2100)는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2100)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소프트 보드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약칭되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일종의 높은 신뢰성 및 최적의 가요성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자유롭게 굽혀지고, 절곡 성능이 뛰어나며, 폴딩, 권취, 찢어짐 방지, 높은 배선 밀도, 가볍고 얇은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2200)는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출물 본체부(22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안테나부(2100) 및 상기 자성체부(2300)가 배치된다. 상기 사출물 본체부(22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부(2100) 및 상기 자성체부(2300)를 인몰드 방식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22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부(2100) 및 자성체부(2300)가 상기 사출물 본체부(2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자성체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별도 제작하여 사출물에 부착하는 종래의 안테나 제작방법 보다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으며, 안테나 조립 상에서 발생되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안테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 및 자성체 시트를 사출물 본체부 내부에 직접 형성하므로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를 제외하고는 도 4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부는 상기 자성체부(3300)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3110)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3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는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 사이에 자성체부(3300)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부(3300)는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의 베이스기판에는 상기 제1 안테나부(3110) 및 제2 안테나부(3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4220)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출물 본체부는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4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4220)는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4220) 사이에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4220) 사이에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자성체부(4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42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4220)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자성체부(4300)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베이스 기판 상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베이스 기판 없이 제1 사출물 본체부(4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4220)에 코일을 직접 권선하는 방식으로도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5220)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출물 본체부는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5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는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 사이에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 사이에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자성체부(5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자성체부(5300)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5210)에는 제1 비아홀(5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5220)에는 제2 비아홀(51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부(5110) 및 제2 안테나부(5120)는 상기 제1 비아홀(5130) 및 상기 제2 비아홀(51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6220)를 제외하고는 도 4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출물 본체부는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6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6220)는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6220) 사이에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6220) 사이에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안테나부(6100) 및 자성체부(6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62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6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6220)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안테나부(6100) 및 자성체부(6300)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7220)를 제외하고는 도 5의 안테나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출물 본체부는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제2 사출물 본체부(7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7220)는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7220) 사이에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부는 상기 자성체부(7300)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7110)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7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는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 사이에 자성체부(7300)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부(7300)는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의 베이스기판에는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및 제2 안테나부(7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7220) 사이에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제1 안테나부(7110), 제2 안테나부(7120) 및 자성체부(7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72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7210) 및 상기 제2 사출물 본체부(7220)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제1 안테나부(7110), 상기 제2 안테나부(7120) 및 상기 자성체부(7300)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자성체 시트 또는 안테나와 자성체 시트를 형성하므로, 안테나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조립 오차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의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자성체 시트 또는 안테나와 자성체 시트를 형성하므로,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테나부 200: 사출물 본체부
300: 자성체부 1110: 제1 안테나부
1120: 제2 안테나부 1130: 제1 비아홀
1140: 제2 비아홀 6210: 제1 사출물 본체부
6220: 제2 사출물 본체부

Claims (13)

  1. 내부에 공간이 정의되는 사출물 본체부;
    상기 사출물 본체부에 배치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 상에 직접 형성되며,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용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패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사출물 본체부; 및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사출물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출물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자성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본체부는,
    단면도 상에서 "L"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사출물 본체부; 및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출물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사출물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코일(Coil)로 마련되어 상기 사출물 본체부에 권선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70098940A 2017-08-04 2017-08-04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96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40A KR101960910B1 (ko) 2017-08-04 2017-08-04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40A KR101960910B1 (ko) 2017-08-04 2017-08-04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72A true KR20190014872A (ko) 2019-02-13
KR101960910B1 KR101960910B1 (ko) 2019-07-17

Family

ID=6536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40A KR101960910B1 (ko) 2017-08-04 2017-08-04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34B1 (ko) * 2020-02-28 2021-06-0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597B1 (ko) * 2020-12-17 2021-07-1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28B1 (ko) * 2009-11-30 2010-09-14 주식회사 네오펄스 수직 방사체를 가진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11114853A (ja) * 2009-11-30 2011-06-09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携帯端末、及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JP5967028B2 (ja) * 2012-08-09 2016-08-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KR101725042B1 (ko) 2015-11-12 2017-04-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28B1 (ko) * 2009-11-30 2010-09-14 주식회사 네오펄스 수직 방사체를 가진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11114853A (ja) * 2009-11-30 2011-06-09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携帯端末、及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JP5967028B2 (ja) * 2012-08-09 2016-08-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KR101725042B1 (ko) 2015-11-12 2017-04-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34B1 (ko) * 2020-02-28 2021-06-0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WO2021172823A1 (ko) * 2020-02-28 2021-09-0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CN114207942A (zh) * 2020-02-28 2022-03-18 株式会社Emw 天线模块
EP4113742A4 (en) * 2020-02-28 2024-04-03 Kespion Co Ltd ANTENN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910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8180B (zh) Aog天线系统及移动终端
US6937192B2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miniature lightweight antennas
US8068067B2 (en) Antenna integrally formed with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20539B2 (en) Antenna formed with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70853B2 (ja)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EP2223789B1 (en) In-mold type RF antenna,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US9812766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887272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ing equipped with internal antenna
JP2012253700A (ja) 無線通信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付き金属物品
US20070216583A1 (en) Antenna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222219A1 (en) Electronic device case,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4605318B2 (ja)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KR101960910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003035A (ko)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8154458B2 (en) Antenna module, method for making the antenna module, and housing incorporating the antenna module
US6181296B1 (en) Cast core fabrication of helically wound antenna
KR20070023878A (ko) 내장형 안테나 및 인 몰딩 또는 인서트 몰딩을 이용한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US20100141550A1 (en) Antenna module, method for making the antenna module, and housing incorporating the antenna module
KR101313157B1 (ko)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1108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26392B1 (ko) 이동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2042A (ko) 안테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KR101971109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090574A (ko) 내장형 안테나의 사출금형
US20120127045A1 (en) Portable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