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068A -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 Google Patents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068A
KR20190014068A KR1020197000051A KR20197000051A KR20190014068A KR 20190014068 A KR20190014068 A KR 20190014068A KR 1020197000051 A KR1020197000051 A KR 1020197000051A KR 20197000051 A KR20197000051 A KR 20197000051A KR 20190014068 A KR20190014068 A KR 2019001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fillet
weld
brittle crack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0914B1 (en
Inventor
츠네히사 한다
사토시 이기
겐지 오이
마사노부 도요다
노보루 기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0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of horizontal seams in assembling vertical plates, a welding unit being adapted to travel along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26Arc welding or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Abstract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판 두께 td와 판 폭 Wd의 비 td/Wd가 2미만의 보강 부재를 중첩해서 필릿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또한 필릿 용접한 보강 부재 표면에 접합 부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용접 구조체로 한다. 보강 부재의 표면과 피접합 부재의 표면을 중첩한 면에, 이음매 단면에서 보강 부재의 판 두께 td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필릿 용접 조건을 조정하여, 필릿 용접 금속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필릿 다리 길이 L에 따라,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L≥20㎜의 경우, vTrs≤-5L+65-1.5(tf-75)…(1b), L<20㎜의 경우, vTrs≤-35-1.5(tf-75)…(1c)를 만족시키도록,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피접합 부재 혹은 접합 부재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필릿 용접 금속부에서 저지할 수 있게 되고, 선체 구조용으로서 바람직한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s having a ratio of the plate thickness td to the plate width Wd of less than td / Wd of 2 are superimposed on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joined having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joined together by fillet welding, Are welded together to form a welded structure. An unapplied portion of 95% or more of the plate thickness td of the reinforcing member at the joint end 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joined. When the fillet weld cond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fracture surfac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占 폚) of the fillet weld metal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fillet leg length L and in relation to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welded, in the case of L? 20mm, vTrs? + 65-1.5 (tf-75) ... (1b), and when L < 20 mm, vTrs? 35-1.5 (tf-75) ... (1c),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is adjus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member to be joined or the joining member by the fillet weld metal portion, and to provide a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ies preferable for the hull structure.

Description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대형 컨테이너선이나 벌크 캐리어 등의 후강판을 이용하여 용접 시공된 용접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강판 모재 혹은 용접 이음매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구조물의 대규모 파괴에 이르기 전에 정지시킬 수 있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ed steel structure welded by using a steel plate such as a large container wire or a bulk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lded steel structure in which a brittle crack propagation generated from a po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ies that can be stopped before reaching a welded structure.

컨테이너선이나 벌크 캐리어는 적재 능력의 향상이나 하역 효율의 향상 등을 위해, 예를 들면, 탱커 등과는 달리, 선창내에 칸막이벽이 적고, 선상부의 개구부를 크게 취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선이나 벌크 캐리어에서는 특히 선체 바깥판을 고강도화 또는 후육화할 필요가 있다. Unlike a tanker, for example, a container line or a bulk carri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ition wall is small in the pod and an opening of the line-shaped portion is large in order to improve the loading capacity and the loading efficienc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ship or the bulk carrier,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strengthen or thicken the hull outer plate.

또, 컨테이너선은 근래, 대형화되고, 6,000∼22,000TEU와 같은 대형선이 건조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여기에, TEU(Twenty feet Equivalent Unit)는 길이 20피트의 컨테이너로 환산한 개수를 나타내며, 컨테이너선의 적재 능력의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배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선체 바깥판은 판 두께:50㎜이상이고, 항복 강도:390N/㎜2급 이상의 후강판이 사용되는 경향에 있다. In addition, container ships have recently become larger and larger ships such as 6,000 to 22,000 TEU have been constructed. Here, the TEU (Twenty feet Equivalent Unit) represents the number converted into a container having a length of 20 feet, and indicates an index of the loading capacity of the container ship. With such a ship becoming larger, the hull outer plate tends to have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a steel sheet having a yield strength of 390 N / mm 2 or more.

선체 바깥판으로 되는 강판은 근래, 시공 기간의 단축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 등의 대입열 용접에 의해 맞대기 용접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입열 용접에서는 용접 열 영향부에 있어서 대폭적인 인성 저하가 발생하기 쉽고, 용접 이음매부로부터의 취성 균열 발생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In recent years, the steel plate as the outer shell of the hull has been often butt welded by large heat welding such as, for example, electro-arc arc welding, from the viewpoin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such large heat welding, a considerable reduction in toughness is likely to occur in the weld heat affected zone, and this is one cause of the occurrence of brittle cracks from the weld joint.

선체 구조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안전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만일, 취성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도, 취성 균열의 전파를 대규모 파괴에 이르기 전에 정지시키고, 선체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되고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in the hull structur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stop the propagation of brittle cracks even before brittle fracture occurs before reaching a large scale fracture,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ull.

이러한 생각을 받아, 비특허문헌 1에, 판 두께 50㎜미만의 조선용 강판에 있어서의 용접부의 취성 균열 전파 거동에 대한 실험적인 검토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Based on this idea, Non-Patent Document 1 reports experimental results on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behavior of a welded portion in a steel sheet for shipbuilding having a plate thickness of less than 50 mm.

이 비특허문헌 1에서는 용접부에서 강제적으로 발생시킨 취성 균열의 전파 경로, 전파 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고, 용접부의 파괴 인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면, 용접 잔류 응력의 영향에 의해 취성 균열은 용접부에서 모재측으로 일탈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결과가 기재되어 있지만, 용접부를 따라 취성 균열이 전파한 예도 복수예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취성 파괴가 용접부를 따라 직진 전파할 가능성이 없다고는 단언할 수 없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non-patent reference 1, if the propagation path and propagation behavior of the brittle crack forcedly generated in the weld portion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nd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weld portion is secured to some extent, However, a plurality of examples in which brittle cracks propagate along the welded portion have also been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brittle fracture can not be assur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propagating straight along the weld.

그러나, 비특허문헌 1에서 적용한 용접과 동등한 용접을 판 두께 50㎜미만의 강판에 적용하여 건조된 선박이 조금도 문제없이 취항하고 있다고 하는 많은 실적이 있는 것에 부가하여, 인성이 양호한 강판 모재(조선 E급강 등)는 취성 균열을 정지시키는 능력을 충분히 유지하고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특히, 조선용 강재의 용접부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은 선급 규칙 등에는 요구되어 오지 않았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ame welding as in the non-patent reference 1 is applied to a steel plate having a plate thickness of less than 50 mm,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evidence that the dried vessel is operating without any problem, a steel plate having good toughness Etc.) has a sufficient ability to stop the brittle crack, and in particular,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steel for shipbuilding has not been required in the rules of classification.

그러나, 근래의 6,000TEU를 넘는 대형 컨테이너선에서는 사용하는 강판의 판 두께는 50㎜를 넘고, 판 두께 증대에 의한 파괴 인성의 저하에 부가하여, 용접 입열이 더욱 큰 대입열 용접이 채용되어 왔기 때문에, 용접부의 파괴 인성이 한층 저하하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후육 대입열 용접 이음매에서는 용접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이 모재측으로 휘지 않고 직진하고, 또 골재 등의 강판 모재부에서도 정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이 때문에, 판 두께 50㎜이상의 후육 고강도 강판을 적용한 선체 구조에서는 그 안전성 확보가 큰 문제로 되어 있다. However, in recent large-sized container ships over 6,000 TEU, the plate thickness of steel plates used exceeds 50 mm, and in addition to lowering of fracture toughness due to an increase in plate thickness, large heat input welding with larger heat input is adopted ,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welded portion tends to be lowered further. In such a welded joint of welded joints of the welded joi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welded joint do not bend toward the base material and go straight, and the welded joints may not stop at the base material part of the steel sheet. For this reason, in the hull structure to which the high strength steel plate having the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is applied, securing its safety is a serious problem.

또, 비특허문헌 2에는 특히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 정지를 위해, 특별한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을 갖는 후강판을 필요로 한다는 지적도 있다. In addition, non-patent document 2 points out that a post-steel sheet having a specific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is required in order to stop the propagation of a brittle crack, which occurs in particular.

이러한 문제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바람직하게는 판 두께 50㎜이상의 선각 바깥판인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맞대기 용접부에 교차하도록 골재를 배치하고, 필릿 용접으로 접합한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elded structure in which an aggregate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a butt weld portion and is joined by fillet welding in a welded structure, preferably a plate having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골재(보강재)로서, 표층부 및 이층부에서 3㎜이상의 두께에 걸쳐 0.5∼5㎛의 평균 원 상당 입경을 갖고 또한 판 두께면에 평행한 면에서 (100)결정면의 X선면 강도비가 1.5이상인 미크로 조직을 갖는 강판을 이용한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미크로 조직을 갖는 강판을 보강재로 해서 필릿 용접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에 취성 균열이 발생해도, 보강재인 골재에서 취성 파괴를 정지시킬 수 있어, 용접 구조체가 파괴하는 바와 같은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s an aggregate (reinforcement), an average circle-equivalent particle diameter of 0.5 to 5 mu m over a thickness of 3 mm or more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and a two-layer portion, A steel sheet having a microstructure having an X-ray surface strength ratio of 1.5 or more is used. By emplo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sheet having such a microstructure is formed by fillet welding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brittle fracture can be stopped in the aggregate as a reinforcing material even if brittle cracks occur in the butt welded joint portion, Damage can be prevented.

또, 특허문헌 2에는 접합 부재(웹)를 피접합 부재(플랜지)에 필릿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고,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welded structure having a fillet weld seam formed by fillet welding a joining member (web) to a member to be joined (flange) and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ies.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접 구조체에서는 필릿 용접 이음매 단면에 있어서의 웹의, 플랜지와의 맞댐면에 미용착부를 잔존시키고, 그 미용착부의 폭과, 필릿 용접부의 좌우의 다리길이와 웹 판 두께의 합의 비, X가,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성능 Kca와 특별한 관계식을 만족시키도록, 미용착부의 폭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피접합 부재(플랜지)로서 판 두께:50㎜이상의 후물재를 이용했다고 해도, 접합 부재(웹)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필릿 용접부의 웹과 플랜지의 맞댐면에서 정지시키고,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의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저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In the welded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unhardened portion remains on the face of the web facing the flange at the end face of the fillet welded joint, and the width of the unhardened portion, the length of the leg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The width of the unhardened portion is adjusted so that the sum ratio X satisfies a special relational expression with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erformance Kca of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As a result, even if a post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50 mm or more is used as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joining member (web) is stopped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web and the flange of the fillet w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rittle cracks to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또, 특허문헌 3∼5에도, 접합 부재(웹)를 피접합 부재(플랜지)에 필릿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고,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s 3 to 5 also disclose a welded structure having a fillet weld seam formed by fillet welding a joining member (web) to a member to be joined (flange), and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ies.

특허문헌 3에는 접합 부재의 단면을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맞대고,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피접합 부재를 필릿 용접에 의해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용접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의 적어도 한쪽이 16㎜이하의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한 용접 구조체로서,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접합 부재의 단면과 피접합 부재의 표면을 맞댄 면에, 필릿 용접 이음매의 단면에서 해당 접합 부재의 판 두께 tw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갖고, 또한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vTrs≤-1.5tf+70을 및/또는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의 시험 온도: -20℃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vE-20(J)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vE-20≥2.75tf-105를 만족시키는 필릿 용접 금속을 갖는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3, at least one of the welding leg length or welding width formed by fitting the end face of the welding member to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welded having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joining the welding member and the welding member by fillet welding is 16 mm Or more of a plate thickness tw of the joining member at a cross section of the fillet weld seam is formed on the face of the joining member facing the end face of the joining member in the fillet weld seam at least 95% And the Charpy impact test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of the fillet weld metal in the fillet welded joint is in the range of vTrs &amp;le; 1.5tf + 70 and / or in the relation of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welded member and / test temperature for Charpy impact test: the absorption energy vE -20 (J) in the -20 ℃ in relation to the thickness tf of the bonded member, and satisfies the vE -20 ≥2.75tf-105 Key has a welded structure having a fillet weld metal is described.

그리고, 이러한 용접 구조체이면, 피접합 부재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을, 대규모의 파괴에 이르기 전에 필릿 용접 금속에서 전파 저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And, it is said that, in such a welded structure,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in the member to be bonded can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in the fillet welded metal before reaching a large scale fracture.

또, 특허문헌 4에는 접합 부재의 단면을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맞대고,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피접합 부재를 필릿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용접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의 적어도 한쪽이 16㎜이하의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한 용접 구조체로서,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접합 부재의 단면과 피접합 부재의 표면을 맞댄 면에, 필릿 용접 이음매의 단면에서 해당 접합 부재의 판 두께 tw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갖고, 또한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vTrs(℃)≤-1.5tf+90을 및/또는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의 시험 온도: -20℃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vE-20(J)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50≤tf(㎜)≤53의 경우에는 vE-20≥5.75, tf(㎜)>53의 경우에는 vE-20(J)≥2.75tf-140을 만족시키는 필릿 용접 금속을 갖고, 이에 부가하여 접합 부재를,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인성 Kca가 공용 온도에서 2500N/㎜2 / 3이상인 강판으로 구성하는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4 discloses that at least one of the welded leg length or welding width formed by fitting the end surface of the welding member to the surface of a member to be welded having a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welding the welding member to the welding target by fillet welding A welded structure having a fillet weld seam of 16 mm or less in which the end face of the welded member in the fillet welded joint and the surface of the welded member have a thickness of tw % Or more unbaked portion and the Charpy impact test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of the fillet weld metal in the fillet welded joint is in the range of vTrs (캜) ≤-1.5tf + 90 in relation to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welded and / examination of the Charpy impact test of the fillet weld metal temperature: the absorbed energy vE -20 (J) in the -20 ℃ in relation to the thickness tf of the bonded member, 50≤tf (㎜) of ≤53 Yiwu is vE -20 ≥5.75, tf (㎜) > In the case of 53, the vE -20 (J) has a fillet weld metal satisfying the ≥2.75tf-140, In addition to the joining members,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toughness Kca is a welded structure composed of 2500N / 2/3 or more steel in the common temperature is described.

그리고, 이러한 용접 구조체로 하는 것에 의해, 취성 균열은 필릿 용접부 또는 접합 부재의 모재에서 전파 정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By using such a welded structure, it is said that the brittle crack can be suspended in the base material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or the bonded member.

또, 특허문헌 5에는 접합 부재의 단면을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맞대고,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피접합 부재를 필릿 용접에 의해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용접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의 적어도 한쪽이 16㎜이하의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한 용접 구조체로서, 접합 부재 및 피접합 부재를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부재로 하고,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의 용접 금속이 vTrs에서 -65℃이하, 및/또는 vE-20에서 140J이상의 인성을 갖고,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의 용접부 단면을, 피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의 용접부 표면에 맞대고, 맞댄 면에, 필릿 용접 이음매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 단면에서 해당 접합 부재의 판 두께 tw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갖고, 또한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vTrs(℃)≤-1.5tf+90을 및/또는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의 시험 온도: -20℃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vE-20(J)가,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의 관계에서, 50≤tf(㎜)≤53의 경우에는 vE-20≥5.75, tf(㎜)>53의 경우에는 vE-20(J)≥2.75tf-140을 만족시키는 필릿 용접 금속을 갖는 용접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5, at least one of the welded leg length or welding width formed by fitting the end surface of the welding member to the surface of a member to be welded having a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bonding the welding member and the welding target by fillet welding as a welded structure comprising a fillet weld joint below 16㎜, joining member and a member having a butt welded seam to be welded both absent, the weld metal portion butt weld seam is less than -65 ℃ in vTrs, and / or vE - 20 to 140 J or more and has a toughness of the welded joint of the butt welded joint of the fillet weld seam to be in contact with the welded surface of the butt welded joint of the welded joint and the butt welded joint of the fillet welded joint Of the plate thickness tw of the joining member in the fillet weld seam, The Charpy impact test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of the welded metal is in the range of vTrs (캜) ≤-1.5tf + 90 in relation to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welded and / or the test temperature of the Charpy impact test of the fillet weld metal: absorption energy in the 20 ℃ vE -20 (J) has, in relation to the thickness tf of the bonded member, 50≤tf (㎜) case of ≤53 has a vE -20 ≥5.75, tf (㎜) > 53 A weld structure having a fillet weld metal satisfying vE- 20 (J)? 2.75 tf-140 is disclosed.

 그리고, 이러한 용접 구조체로 하는 것에 의해, 취성 균열은 필릿 용접부 또는 접합 부재의 모재에서 정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By using such a welded structure, the brittle crack can be stopped in the base material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or the jointed portion.

또, 이러한 용접 구조체로 하는 것에 의해, 피접합 부재 용접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 또는 접합 부재 용접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을, 필릿 용접부 혹은 접합 부재의 용접부 또는 피접합 부재의 용접부에서 전파 저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brittle crack generated from the welded portion of the member to be bonded or the brittle crack generated from the welded portion of the welded portion from propagating in the welded portion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or the welded portion or the welded portion of the welded portion .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23205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32052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326147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326147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보 제5395985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395985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보 제5365761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No. 5365761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보 제5408396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408396

비특허문헌 1: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47 연구부회:「선체용 고장력 강판 대입열 이음매의 취성 파괴 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제87호(1978년 2월), p.35∼53, 일본 조선 연구 협회 Non-Patent Document 1: The 147th Research Meeting of Japan Shipbuilding Research Association: "Study on the Evaluation of Brittle Fracture Strength of High Heat Strength Steel Plate for Ship Hull" No. 87 (February 1978), p.35-53, Association 비특허문헌 2: 야마구치 긴야 등:「초대형 컨테이너선의 개발-새로운 고강도 극후강판의 실용-」, 일본 선박 해양공학 회지, 제3호(2005), p.70∼76,평성 17년 11월 Non-Patent Document 2: Yamaguchi Ginya et al., "Development of Very Large Container Ship - Practical Application of New High Strength Extreme Steel Plate," Japanese Society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No. 3 (2005), p.70-76, November 2005 비특허문헌 3: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69 위원회 보고(「선체 구조의 파괴 관리 제어 설계에 관한 연구-보고서-」(1979), p.118∼136, 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69 위원회) Non-Patent Document 3: Report of the 169th Committee of the Japanes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A Study on the Control Design of Destructive Management of Hull Structure - Report-" (1979), p.118-136,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 사용하는 보강재인 골재는 원하는 조직을 형성시킨 강판으로 하기 위해,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고, 생산성이 저하하며, 안정하게 원하는 조직을 갖는 강판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aggregate as the reinforcing material used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 steel sheet formed with a desired structure, a complicated process is require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eel sheet having a desired structure stably There was a problem.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접합 부재(이하, 웹이라고도 함)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을, 구조의 불연속성과, 피접합 부재(이하, 플랜지라고도 함)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성능의 조합으로 저지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필릿 용접 이음매의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을 접합 부재(웹)에서 전파 정지시키는 것은 접합 부재(웹)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을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서 전파 정지시키는 것에 비해, 곤란한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ttempts to prevent brittle cracks generated in a bonding memb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web) with a combination of a discontinuity in structure and a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erformance of a member to be bonde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lange) Technology. However, as shown in Non-Patent Document 3, in general, propagating stopping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of the fillet weld seam from the joint member (web) It i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stop the propagation in the joining member (flange).

그 이유는 명확하게는 해명되고 있지 않지만, 하나의 요인으로서 T이음매부에 균열이 돌입할 때의 파괴 구동력(응력 확대 계수)이 피접합 부재(플랜지)에 돌입하는 경우보다 접합 부재(웹)에 돌입하는 경우 쪽이 커지는 것이 생각된다.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arified, but as one factor, it is considered that the fracture driving force (stress intensity factor) at the time of cracking into the T joint portion is high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fracture driving force It is conceivable that the side becomes larger when it goes in.

이러한 것으로부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접합 부재(웹)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 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을 접합 부재(웹)에서 전파 정지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예를 들면, NK선급의 「취성 균열 어레스트 설계 지침」(2009년 9월 제정)에서 상정되어 있는 대형 컨테이너선의 강력 갑판(플랜지에 상당)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이 해치 사이드 코밍(hatch side coaming)(웹에 상당)으로 전파하는 바와 같은 케이스에 대해, 충분한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을 갖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Accordingly,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of the joining member (web) are insufficient, so that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It is not enough technology. That is,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for example, a brittle crack generated in a strength deck (equivalent to a flange) of a large container ship proposed in NK Classification Guidelines for Brittle Crack Arrest Design (issued in September 2009) It can not be said that it has sufficient crack propagation stopping characteristics for cases such as those propagated to side coaming (equivalent to the web).

또한, 특허문헌 3∼5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필릿 용접 다리 길이(혹은 용착 폭)를 16㎜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릿 용접부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 접합 부재(웹)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적용 최대 판 두께는 80㎜가 한계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대형 컨테이너선에서는 부재의 극후화가 더욱 진행하고, 판 두께 100㎜의 강재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80㎜를 넘는 후육 부재의 경우에는 특허문헌 3∼5에 기재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Further, in the technologie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3 to 5, since the fillet weld leg length (or welding width) needs to be limited to 16 mm or less, the joining member (web) and the member to be joined ) Was the maximum plate thickness of 80 mm. However, in recent large-sized container ships, the slope of members is further advanced, and a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is appli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apply the technique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3 to 5 in the case of the lower member exceeding 80 mm.

또, 부재의 판 두께가 80㎜미만의 경우에도, 현장에서의 실시공에 있어서는 필릿 용접부의 다리 길이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필릿 용접부의 강도 확보(필릿 다리 길이 확보)와 취성 균열 저지 성능의 확보(필릿 다리 길이 16㎜이하로 제한)를 양립시키는 것은 현장에서의 시공 관리상 다대한 노력을 요하는 동시에, 손질 등 추가 코스트가 늘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plate thickness of the member is less than 80 mm, since the deviation of the leg length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is large in the field of operation in the field, the strength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securing the fillet leg length) (Limited to a fillet leg length of 16 mm or less) requires a lot of efforts in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field,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s such as maintenance are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피접합 부재(플랜지)에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접합 부재(웹)에의 전파, 및 접합 부재(웹)에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접합 부재(플랜지)에의 전파가 모두 대규모 파괴에 이르기 전에, 정지(저지)시킬 수 있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nding member (web), in which propagation of a brittle crack generated in a member to be bonded (flange) Which is capable of stopping (stopping) all of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characteristics before the welding is completed and before all of the welds are completely destroyed.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성 균열을 정지시키는 필릿 용접부의 시공에 있어서, 필릿 용접부의 다리 길이의 편차를 적게 하는 방책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tensively studied a method for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leg length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for stopping the brittle crack.

그 결과, 기본 용접 구조를 종래의 필릿 용접 구조로부터, 접합 부재와 피접합 부재의 사이에, 보강 부재를 배치한 보강 부재를 갖는 필릿 용접 구조로 하고, 취성 균열의 전파는 보강 부재와 피접합 부재의 필릿 용접 금속부에서 저지하는 것에 상도하였다. 이 필릿 용접 구조이면, 취성 균열을 정지시키는 필릿 용접부의 시공을 공장내에서 용접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필릿 용접부의 다리 길이의 편차를 소정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현장에서의 실시공 코스트의 대폭적인 저감으로 이어지는 것을 지견하였다. As a result, the basic welded structure is formed from a fillet welded structure of the related art, and a fillet welded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nded member and the bonded member is used. Welded metal portion of the fillet welded metal portion. With this fillet welded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for stopping the brittle crack can be welded in the factory.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is makes it easier to set the deviation of the leg length of the fillet wel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eading to a drastic reduction in the borehole cost in the field.

그리고, 이것에 의해, 시공 관리가 엄격한 현장에서 실행하는 접합 부재와 보강 부재의 접합은 접합 부재의 단면을 보강 부재의 표면에 맞대어, 시공 관리가 용이한 용접 조건(부분 용입, 완전 용입 등)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지견하였다. In this way, the joining of the join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performed at the site where strict construction management is strictly carried out is carried out by bringing the end face of the join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by the welding conditions (partial penetration, complete penetration, etc.) I knew that I could build it.

또, 본 발명자들은 또한 보강 부재를 갖는 필릿 용접 구조에 있어서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에 미치는 각종 요인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so studied various factors affecting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characteristics in a fillet welded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member.

그 결과,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저지(정지)하기 위해서는 피접합 부재(플랜지)와 보강 부재의 중첩면에 불연속부를 확보하는 동시에,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판 두께 tf(㎜)가 커지면 취성 균열 선단의 에너지 해방율(균열 진전 구동력)이 증가하고, 취성 균열이 정지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감안하여,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판 두께 tf(㎜)에 관련된 필릿 용접부의 인성 향상이 필수로 되는 것에 상도하였다. As a result, in order to stop (stop)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the discontinuous portion is ensured on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and the reinforcing member, Considering that the energy release rate (crack propagation driving force) of the brittle crack tip increases and the brittle crack becomes difficult to stop when the tf (mm) becomes large, the fillet weld portion (flang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oughness.

그리고, 또한 필릿 용접부의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이 길어지면, 취성 균열의 전파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필릿 용접 다리 길이(혹은 용착 폭)에 따라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도 지견하였다. Further, it is also known that, if the leg length or the welding width of the fillet welded portion becomes long,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becomes eas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ed metal according to the fillet welded leg length .

한편, 접합 부재(웹)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저지(정지)에 대해서는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저지(정지)보다 용이한 경우가 많지만, 보강 부재의 판 두께 td가 보강 부재의 판 폭 Wd에 대해 2배 이상으로 커지면, 접합 부재(웹)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저지(정지)쪽이,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저지(정지)보다 엄격하게 되는 것도 지견하였다. On the other hand, it is often easier to stop (stop)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joining member (web) than to stop (stop) the propagation of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Stop) of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from the joining member (web) is prevented from stopping (stopping)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from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의거하여, 또한 검토를 가하여 완성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knowledge and by further review.

즉,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That i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접합 부재의 단면이, 보강 부재의 표면에 맞대기 용접 접합되고, 또한 상기 보강 부재가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필릿 용접 접합된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는 보강 부재를 갖는 필릿 용접 구조체로서,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 부재의 표면과 상기 피접합 부재의 표면을 중첩한 면에,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의 단면에서 보강 부재의 판 폭 Wd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갖고, 또한 상기 보강 부재가, 판 두께 td와 판 폭 Wd의 비 td/Wd가 하기 (1a)식을 만족시키고, 또한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의 필릿 용접 금속을, 해당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에 대응하여, 상기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의 관계에서 하기 (1b)식 또는 하기 (1c)식을 만족시키는 필릿 용접 금속으로 하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1) A fillet having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cross section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by butt welding and the reinforcing member having a fillet weld seam welded to the surface of a member to be joined having a thickness of 50 mm or more, A welded structure comprising: a non-irradiated portion of 95% or more of a plate width Wd of a reinforcement member at an end face of the fillet weld seam on a surface of the fillet weld seam where the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welded are overlapped , And the reinforcing member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a), wherein the ratio td / Wd of the plate thickness td to the plate width W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a) and the fillet weld metal of the fillet weld seam is subjected to the Charpy impact test fracture transition (1b) or (2)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bonded and the fillet leg length or the weld width L, corresponding to the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L, (1c) &lt; tb &gt; &lt; tb &gt; &lt; TABLE &gt;

td/Wd<2             …(1a)td / Wd < 2 ... (1a)

L≥20㎜의 경우 vTrs≤-5L+65-1.5(tf-75)…(1b) VTrs &amp;le; -5L + 65-1.5 (tf-75) &amp;le; (1b)

L<20㎜의 경우 vTrs≤-35-1.5(tf-75)…(1c) In the case of L <20 mm, vTrs? 35-1.5 (tf-75) ... (1c)

여기서, here,

vTrs: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 Charpy impact test of fillet weld metal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

tf: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 thickness (mm) of the member to be bonded,

td:보강 부재의 판 두께(㎜), td: plate thickness (mm) of the reinforcing member,

Wd:보강 부재의 판 폭(㎜) Wd: plate width of reinforcing member (mm)

L: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mm).

(2) 상기 피접합 부재는 상기 접합 부재에 교차하는 방향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용접 구조체. (2) The welded structure according to (1), wherein the member to be bonded has a butt weld joint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joint member.

(3) 상기 접합 부재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고, 해당 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가 상기 피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와 교차하도록 해당 접합 부재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2)에 기재된 용접 구조체. (3) The welded structure according to (2), wherein the joining member has a butt weld joint portion and the butt weld joint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crosses the butt weld joint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곤란하게 된 판 두께가 50㎜이상, 더 나아가서는 판 두께가 80㎜를 넘는 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피접합 부재(플랜지)에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접합 부재(웹)에의 전파, 및 접합 부재(웹)에 발생한 취성 균열의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의 전파의 양쪽을, 대규모 파괴에 이르기 전에, 정지 내지 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rittle cracks to the joining member (web) caused by a member to be joined (flange) made of a post-steel sheet having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Both of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joining member (web) to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can be stopped or prevented before reaching a large scale fail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강 구조물 특히, 대형 컨테이너선이나 벌크 캐리어 등에 있어서의 선체 분리 등의 대규모의 취성 파괴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고, 선체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함에 있어서 큰 효과를 초래하며, 산업상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risk of large-scale brittle fracture such as separation of the hull in a steel structure, particularly, in a large container ship or a bulk carrier, and a great effect is obtained in securing the safety of the hull structure, It has a remarkable effect in the industry.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시에, 보강 부재의 치수 및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특수한 강판을 사용하는 일 없이, 또 안전성을 해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dimensions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cellent welded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도 1은 필릿 용접 이음매의 단면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a)는 접합 부재(웹)(1)와 보강 부재(10)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직교하고 있는 경우, (b)는 접합 부재(웹)(1)와 보강 부재(10)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필릿 용접 이음매의 구성의 다른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는 외관도,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필릿 용접 이음매의 구성의 다른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는 외관도,(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전파하는 취성 균열을 대상으로 한 초대형 구조 모델 시험체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는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강판 모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b)는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경우, (c)는 접합 부재(웹)(1)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경우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접합 부재(웹)로부터 발생·전파하는 취성 균열을 대상으로 한 초대형 구조 모델 시험체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a)는 접합 부재(웹)(1)가 강판 모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b)는 접합 부재(웹)(1)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경우, (c)는 접합 부재(웹)(1)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경우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fillet weld seam. (a) shows a case where the joining member (web) 1 and the reinforcing member 10 and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b) 10 and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cross each other at an oblique angle.
2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llet weld seam. (a) is an external view and (b) is a sectional view.
3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llet weld seam. (a) is an external view and (b) is a sectional view.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very large-scale structural model test object for brittle cracks generated and propagated from a member to be bonded (flange) used in the embodiment. Fig. (b) shows a case where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has a butt weld joint, (c) shows a case where the welded member (web) (Flange) 2 have a butt weld joint portion.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very large structural model test object for brittle cracks generated and propagated from a joint member (web) used in the embodiment. Fig. (b) shows a case where the joining member (web) 1 has a butt weld joint, (c) shows a case where the joining member (web) 1 And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have butt weld joints.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는 접합 부재(1)의 단면을 보강 부재(10)의 표면에 맞대고, 접합 부재(1)와 보강 부재(10)를 접합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보강 부재(10)를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2)의 표면에 중첩하고, 필릿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한 용접 구조체이다. 이 용접 구조체는 용접 다리 길이(3) 혹은 용착 폭(13)이 L㎜의 필릿 용접 금속(5)을 갖는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고, 해당 필릿 용접 이음매의 보강 부재(10)와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중첩면에는 구조 불연속부로 되는 미용착부(4)를 존재시킨다. 또한, 본 발명 용접 구조체에서는 접합 부재(1)의 단면을 보강 부재(10)의 표면에 맞댄 맞댐면에는 구조 불연속부를 포함시켜도 좋다. The weld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joining the end face of the joining member 1 to the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10 and joining the joining member 1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10, And a fillet weld seam superimposed on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welded (2) of 50 mm or more and joined together by fillet welding. The welded structure has a fillet weld seam having a fillet weld metal 5 having a welded leg length 3 or a weld width 13 of L mm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10 and the bonded member (Not shown) which is a structural discontinuity is present on the superimposed surface of the flange (flange) 2. Further, in the weld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joining member 1 may include a structure discontinuity portion on the abutting surface that faces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0.

이 상태를, 이음매 단면에서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a)는 접합 부재(웹)(1)를 피접합 부재(플랜지)(2)에 대해 직립해서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부재(웹)(1)를 피접합 부재(플랜지)(2)에 대해 각도 θ만큼 기울여서 부착해도 좋다. This state is shown in Fig. 1 at a joint section. 1 (a) shows a case where the joining member (web) 1 is attached upright to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b), the joining member (web) 1 may be attached to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at an angle?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10)와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중첩면에서, 구조가 불연속으로 되는 미용착부(4)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보강 부재(10)와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중첩면은 취성 균열의 전파면으로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중첩면에 미용착부(4)를 존재시킨다. 미용착부(4)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접합 부재(웹)(1) 혹은 피접합 부재(플랜지)(2)를 전파해 온 취성 균열 선단의 에너지 해방율(균열 진전 구동력)이 저하하고, 중첩면에 있어서, 취성 균열은 정지하기 쉬워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weld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non-applied portion 4 whose structure is discontinuous on the superposed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0 and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In the weld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0 and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is a propagation surface of brittle crack, the unapplied portion 4 is present on the overlapping surface. The existence of the non-applied portion 4 reduces the energy release rate (crack propagation driving force) of the brittle crack tip propagated through the joint member (web) 1 or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On the surface, the brittle crack becomes easy to stop.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 이상의 인성을 유지하는 필릿 용접 금속(5)을 형성하고, 취성 균열을, 필릿 용접 금속(5)에서 정지시킨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t weld metal 5 that maintains a predetermined toughness is formed, and the brittle crack is stopped at the fillet weld metal 5.

또한, 취성 균열은 결함이 적은 강판 모재부에서 발생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 과거의 취성 파괴 사고의 대부분은 용접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피접합 부재(플랜지)(2)를 맞대기 용접 이음매(22)에서 접합된 강판으로 하고, 접합 부재(웹)를 그 맞대기 용접 이음매의 용접부(맞대기 용접 이음매부)(22)와 교차하도록 필릿 용접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릿 용접 이음매, 혹은 접합 부재(웹)(1)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 22)를 갖는 강판으로 하고,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22)와 접합 부재(웹)(1)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가 교차하도록 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릿 용접 이음매에서는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 혹은 22)로부터 발생하는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구조의 불연속부를 존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In addition,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brittle cracks occur in the base material portion of the steel sheet with few defects. Most of the brittle fracture incidents in the past have occurred in welds.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is a steel plate joined at the butt joint 22 and the welding member (web) is welded to the welded portion (butt welded joint) (Filler) welded joints such as those shown in Fig. 2 which are fillet welded so as to intersect the welded joints (webs) 1 and 2 (welded joints) 3, the butt weld joint portion 22 of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and the butt weld joint portion 12 of the joint member (web) 1 intersect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butt weld joints 12 or 22 in all of the weld seams, it is important to first make the discontinuity of the structure exist.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필릿 용접부에 있어서의 피접합 부재와 보강 부재의 중첩면에 미용착부(구조의 불연속부)(4)를 존재시키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unfit portion (structure discontinuity) 4 is formed on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member to be bonded and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fillet welded portion.

또한, 도 2의 (a)는 필릿 용접 이음매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22)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또, 도 3은 접합 부재(웹)(1)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2)가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 22)를 갖는 강판인 경우에,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22)와 접합 부재(웹)(1)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가 교차하는 필릿 용접 이음매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필릿 용접 이음매의 외관을, 도 3의 (b)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 22)에 있어서의 이음매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Fig. 2 (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fillet weld seam, and Fig. 2 (b)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utt weld joint 22.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joined member (web) 1 and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are steel plates having the butt weld joints 12 and 22, And the butt weld joints 12 of the joint members (webs) 1 intersect with each other. Fig. 3 (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fillet weld seam, and Fig. 3 (b) shows the joint cross-sectional shape in the butt weld joints 12, 22.

또한, 도 2, 도 3에서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22)와 웹(1)이 직교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스듬히 교차시켜도 좋은 서은 물론이다. 2 and 3 show the case where the butt weld joint 22 and the web 1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is good to cross at an angle.

또, 용접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상용의 제조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용 강판끼리, 웹용 강판끼리를 맞대기 용접하고, 얻어진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보강 부재를 통해 필릿 용접하여 용접 구조체를 제조해도 좋다. 또, 맞대기 용접 전의 1조의 웹용 강판을 플랜지 표면의 보강 부재에 가용접하고 다음에 웹용 강판끼리를 맞대기 용접하고, 얻어진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플랜지에 용접하여 용접 구조체를 제조해도 좋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ded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manufacturing method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flange steel plates and the web steel plates may be butt welded together, and the obtained butt welding seam may be fillet welded through a reinforcing member to produce a welded structure. A pair of web steel plates before butt weld may be welded to a reinforcing member on the flange surface, then the web steel plates may be butt welded together, and the obtained butt weld seam may be welded to the flange to produce a welded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필릿 용접 이음매 단면에 있어서의 미용착부(4)의 치수는 취성 균열의 전파 억제를 위해, 보강 부재 폭 Wd의 95%이상으로 한다. 미용착부(4)의 치수(폭 B)(16)가 보강 부재 폭 Wd의 95%미만에서는 필릿 용접 금속에 있어서의 소성 변형이 억제되고, 필릿 용접 금속에 돌입한 취성 균열의 균열 선단 근방이 고응력으로 되고, 취성 균열을 정지 내지 저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미용착부(4)의 치수(폭 B)(16)는 취성 균열의 전파 억제를 인해, 보강 부재 폭 Wd의 95%이상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96%이상 100%이하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 of the unfit portion 4 on the section of the fillet welded joint is set to 95% or more of th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in order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brittle cracks. If the dimension (width B) 16 of the non-application portion 4 is less than 95% of th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plastic deformation in the fillet weld metal is suppressed, and the vicinity of the crack tip of the brittle crack, It becomes difficult to stop or prevent the brittle cracks. Therefore, the dimension (width B) 16 of the non-applied portion 4 is limited to 95% or more of th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Further, it is preferably 96% or more and 100% or less.

또, 본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의 판 두께 td와 보강 부재의 판 폭 Wd의 비, td/Wd가 다음 (1a)식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plate thickness td of the reinforcing member to the plat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td / Wd,

td/Wd<2 …(1a) td / Wd < 2 ... (1a)

를 만족시키도록, 보강 부재의 치수를 조정한다. 보강 부재의 판 두께 td와 보강 부재의 판 폭 Wd가 (1a)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접합 부재(웹)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정지 내지 저지가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의 정지 내지 저지보다 엄격하게 되고, 접합 부재(웹)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모두 정지 내지 저지할 수 없게 된다. The dimens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adjusted. When the plate thickness td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plat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do not satisfy the expression (1a), the stopping or stopping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from the joining member (web) And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s generated from the joining member (web) and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can not be stopped or stopped.

또한, td/Wd가 너무 작아지면, 보강 부재의 종방향 강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td/Wd의 하한값은 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f td / Wd becomes too small,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longitudinal stiffness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lowered, so that the lower limit value of td / Wd is preferably 0.2.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에 대응하여,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의 관계에서 다음 (1b)식 또는 다음 (1c)식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bonded and the fillet leg length or the weld width L corresponding to the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L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b)

L≥20㎜의 경우, vTrs≤-5L+65-1.5(tf-75) …(1b) In the case of L? 20 mm, vTrs? -5L + 65-1.5 (tf-75) ... (1b)

L<20㎜의 경우, vTrs≤-35-1.5(tf-75)  …(1c)In the case of L < 20 mm, vTrs? 35-1.5 (tf-75) ... (1c)

(여기서, vTrs: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tf: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L: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T) is the plate thickness (mm) of the member to be welded, L is the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mm)),

을 만족시키도록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을 조정한다. 또한, L은 필릿 다리 길이,용착 폭 중의 작은 쪽을 이용한다.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is adjusted. L is the smaller of the fillet leg length and the welding width.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이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판 두께 tf, 필릿 다리 길이 L과 관련하여, 상기한 (1b)식 또는 (1c)식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피접합 부재(플랜지) 및 접합 부재(웹)의 판 두께가 50㎜이상의 용접 구조체에 대해, 원하는 취성 균열 전파 저지 성능을 확보한 용접 구조체로 할 수 있다.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이 상기한 (1b)식 또는 (1c)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이 부족하여, 피접합 부재(플랜지) 혹은 접합 부재(웹)에서 발생하고 전파해 온 취성 균열을 필릿 용접 금속부에서 저지할 수 없다. (1b) or (1c) is satisfied in relation to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and the fillet leg length L,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ed metal satisfies the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welded structure in which desired brittle crack propagation blocking performance is secured for a welded structure having a plate thickness of 50 mm or more of the member (web). When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does not satisfy the above-mentioned formula (1b) or formula (1c),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is insufficient and the toughness of the welded metal The brittle crack can not be prevented by the fillet weld metal part.

이와 같이, 보강 부재가 상기한 (1a)식을, 필릿 용접 금속이, 피접합 부재(플랜지)의 판 두께 tf, 필릿 다리 길이(용착 폭) L과의 관계에서, 상기한 (1b)식 또는 (1c)식을 만족시키는 용접 구조체이면, 피접합 부재(플랜지)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 및 접합 부재(웹)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모두 필릿 용접 금속에서 저지할 수 있다. (1b) or (2b)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let weld metal and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joined (flange) and the fillet leg length (weld width) (1c),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and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generated in the joint member (web) can all be blocked by the fillet weld metal.

또한,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는 상기한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선박의 선체 바깥판을 플랜지로 하고, 격벽을 웹으로 하는 선체 구조, 혹은 데크를 플랜지로 하고, 해치를 웹으로 하는 선체 구조 등에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weld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llet weld seam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welded structure may include a hull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plate of the hull of the ship is a flange and the partition is a web, And the like.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내는 판 두께의 후강판을 접합 부재(웹), 보강 부재 및 피접합 부재(플랜지)로서 이용하여, 도 4의 (a),(b),(c) 및 도 5의 (a),(b),(c)에 나타내는 형상의 실구조 사이즈의 대형 용접 구조 이음매를 제작하였다. 도 4의 (a),(b),(c)는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취성 균열이 발생·전파하는 케이스, 도 5의 (a),(b),(c)는 접합 부재(웹)로부터 취성 균열이 발생·전파하는 케이스를 상정한 것이다. 또한, 제작한 필릿 용접 이음매에서는 보강 부재(10)와 피접합 부재(2)의 맞댐면에,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용착부(4)를, 미용착부의 비율 Y(=(미용착부의 폭 B/보강 부재의 판 폭 Wd))를 변화시켜, 존재시켰다. 또한, 접합 부재(웹)와 보강 부재의 맞댐면에는 미용착부는 잔류시키지 않았다. 4 (a), 4 (b), and 4 (c), using the post-steel plate having the plate thicknesses shown in Table 1-1 and Table 1-2 as the joining member (web), the reinforcing member, And 5 (a), 5 (b) and 5 (c) were fabricated. 4 (a), 4 (b) and 4 (c) show a case in which brittle cracks are generated and propagated from a member to be bonded (flange) And a brittle crack is generated and propagated from the brittle crack. In the fillet weld seam thus manufactured, the unfolded portion 4 as shown in Fig. 1 (a) is placed on the abutting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0 and the member to be joined 2, and the unfolded portion ratio Y (= The width B of the uncoated portion, and the plat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In addition, the untreated portion was not left on the abutting surface of the joining member (web) and the reinforcing member.

또한, 도 4의 케이스의 피접합 부재(플랜지)는 후강판(모재만)(도 4의 (a)) 또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갖는 후강판(도 4의 (b))으로 하고, 접합 부재(웹)는 후강판(모재만)(도 4의 (a),(b)), 또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갖는 후강판(도 4의 (c))으로 하였다. 도 5의 케이스의 접합 부재(웹)도 마찬가지로, 후강판(모재만)(도 5의 (a)) 또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갖는 후강판(도 5의 (b))으로 하고, 피접합 부재(플랜지)는 후강판(모재만)(도 5의 (a),(b)), 또는 맞대기 용접 이음매를 갖는 후강판(도 5의 (c))으로 하였다. 또한, 맞대기 용접 이음매는 1패스 대입열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1전극 EGW, 2전극 EGW, SEGARC, 2전극 SEGARC) 또는 다층 CO2 용접에 의해 제작하였다. 4 (a)) or a post-welded steel plate having a butt weld joint (Fig. 4 (b)), and the joining member (flange) 4 (a) and 4 (b)) or a post-welded steel plate having a butt weld joint (Fig. 4 (c)). The joining member (web) of the case of Fig. 5 is also a post-welded steel plate (Fig. 5 (b)) having a rear steel plate (base material only) 5 (a) and 5 (b)) or a post-welded steel plate having a butt weld joint (Fig. 5 (c)). The butt weld seams were fabricated by one pass electrothermal arc welding (one electrode EGW, two electrodes EGW, SEGARC, two electrodes SEGARC) or multilayer CO 2 welding.

또한, 필릿 용접 이음매는 용접 재료 및 용접 입열, 실드 가스 등의 용접 조건을 변화시켜, 각종 인성, 각종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의 필릿 용접 금속을 갖는 필릿 용접 이음매로 하였다. 필릿 다리 길이,용착 폭은 모두 양측의 평균값이다. 또한, 필릿 용접 금속의 인성은 필릿 용접 금속 혹은 필릿 용접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작한 맞대기 용접 이음매로부터 샤르피 충격 시험편(10㎜ 두께)을 채취하고, JIS Z 2242의 규정에 준거하여 파면 천이 온도 vTrs(℃)를 구하였다.The fillet weld seam is a fillet weld seam having fillet weld metal of various toughness, various fillet leg lengths, or welding widths by changing welding conditions such as welding material, welding heat input and shielding gas. Fillet leg length, and weld width are both average values. In addition, the toughness of the fillet weld metal was determined by taking a Charpy impact test piece (10 mm thick) from a butt weld joint manufac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fillet weld metal or fillet weld, and measuring the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 Were obtained.

또, 얻어진 대형 필릿 용접 이음매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초대형 구조 모델 시험체를 제작하고,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 4의 초대형 구조 모델 시험체는 보강재를 갖는 대형 필릿 용접 이음매(9)의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아래쪽에 가용접(8)으로, 피접합 부재(플랜지)(2)와 동일한 판 두께의 강판을 용접하였다. 또, 도 5의 초대형 구조 모델 시험체는 보강재를 갖는 대형 필릿 용접 이음매(9)의 접합 부재(웹)(1)의 아래쪽에 가용접(8)으로, 접합 부재(웹)(1)와 동일한 판 두께의 강판을 용접하였다. Using the obtained large fillet weld seam, a very large structural model test body as shown in Figs. 4 and 5 was prepared and a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 test was carried out. The large-scale structural model test body of FIG. 4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and a member to be joined (flange) 2 are welded to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of the large fillet weld seam 9 having a reinforcing member A steel plate having the same plate thickness was welded. The super large structural model test body of Fig. 5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joint member (web) 1 with the use of the welded joint 8 below the joint member (web) 1 of the large fillet weld joint 9 having a reinforcing material. Thick steel plates were welded.

 그리고, 기계 노치(7)의 선단을, 접합 부재(웹)(1) 또는 피접합 부재(플랜지)(2)의 모재,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12, 22)의 BOND부 또는 용접 금속 WM으로 되도록 가공하였다. The tip of the machine notch 7 is set so that the base material of the joint member (web) 1 or the member to be welded (flange) 2, the BOND portion of the butt weld joints 12 and 22, .

또,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시험은 기계 노치에 타격을 주어 취성 균열을 발생시키고, 전파한 취성 균열이 필릿 용접부에서 정지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In the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 test, a mechanical notch was hit to generate a brittle crack, and whether or not the propagated brittle crack stopped at the fillet weld was examined.

어느 시험도, 시험 응력 100∼283N/㎜2, 온도:-10℃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시험 응력 100N/㎟는 선체에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응력의 평균적인 값이며, 시험 응력 257N/㎟는 선체에 적용되어 있는 항복 강도 390N/㎟급 강판의 최대 허용 응력 상당의 값, 시험 응력 283N/㎟는 선체에 적용되어 있는 항복 강도 460N/㎟급 강판의 최대 허용 응력 상당의 값이다. 온도 -10℃는 선박의 설계 온도이다. All the test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st stress of 100 to 283 N / mm 2 and a temperature of -10 캜. The test stress of 100N / ㎟ is the average value of the normal stress acting on the hull. The test stress of 257N / ㎟ is equivalent to the maximum permissible stress of the steel sheet with a yield strength of 390N / ㎟ and the test stress of 283N / The yield strength applied to the hull is equivalent to the maximum permissible stress of 460N / ㎟ grade steel. The temperature -10 ° C is the ship's design temperature.

얻어진 결과를 표 2-1 및 표 2-2에 나타낸다.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1 and 2-2.

[표 1-1] [Table 1-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2] [Table 1-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2-1] [Table 2-1]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2-2] [Table 2-2]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2-1 및 표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예에서는 취성 균열을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전파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혹은 취성 균열을 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전파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모두 균열은 필릿 용접부의 필릿 용접 금속에 돌입하여 정지하였다. As shown in Table 2-1 and Table 2-2,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brittle crack is propagated from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or when the brittle crack is propagated from the bonding member (flange) All cracks entered the fillet weld metal of the fillet weld and stopped.

한편, 본 발명의 범위를 어긋나는 비교예에서는 취성 균열을 피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전파시킨 경우에 있어서, 또는 취성 균열을 접합 부재(플랜지)로부터 전파시킨 경우에 있어서, 혹은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취성 균열은 필릿 용접부에서 정지하는 일 없이 전파하고, 필릿 용접 금속에서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저지할 수 없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devia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ittle crack is propagated from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or when the brittle crack is propagated from the bonding member (flange) The brittle crack propagated without stopping at the fillet weld, and it was im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the brittle crack from the fillet weld metal.

1; 접합 부재(웹) 2; 피접합 부재(플랜지)
3; 다리 길이 4; 미용착부
5; 필릿 용접 금속 7; 기계 노치
8; 가용접
9; 보강 부재를 갖는 대형 필릿 용접 이음매
10; 보강 부재 12; 웹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
13; 용착 폭 16; 미용착 폭(B)
22; 플랜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
θ; 교차각
One; A joining member (web) 2; The member to be bonded (flange)
3; Leg length 4; Hairdressing
5; Fillet weld metal 7; Mechanical notch
8; Soluble contact
9; Large fillet weld seam with reinforcement member
10; A reinforcing member 12; Web butt weld joint
13; Welding width 16; Bonding width (B)
22; Flange butt weld joint
θ; Cross angle

Claims (3)

접합 부재의 단면이, 보강 부재의 표면에 맞대기 용접 접합되고, 또한 상기 보강 부재가 판 두께 50㎜이상의 피접합 부재의 표면에 필릿 용접 접합된 필릿 용접 이음매를 구비하는 보강 부재를 갖는 필릿 용접 구조체로서,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 부재의 표면과 상기 피접합 부재의 표면을 중첩한 면에,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의 단면에서 보강 부재의 판 폭 Wd의 95%이상의 미용착부를 갖고, 또한 상기 보강 부재가, 판 두께 td와 판 폭 Wd의 비 td/Wd가 하기 (1a)식을 만족시키고, 또한 상기 필릿 용접 이음매의 필릿 용접 금속을, 해당 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vTrs(℃)가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에 대응하여, 상기 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f와 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L의 관계에서 하기 (1b)식 또는 하기 (1c)식을 만족시키는 필릿 용접 금속으로 하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td/Wd<2             …(1a)
L≥20㎜의 경우, vTrs≤-5L+65-1.5(tf-75) …(1b)
L<20㎜의 경우, vTrs≤-35-1.5(tf-75) …(1c)
여기서,
vTrs:필릿 용접 금속의 샤르피 충격시험 파면 천이 온도(℃),
tf:피접합 부재의 판 두께(㎜),
td:보강 부재의 판 두께(㎜),
Wd:보강 부재의 판 폭(㎜)
L:필릿 다리 길이 혹은 용착 폭(㎜).
A fillet welded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member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welded with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50 mm or more, And a non-decorated portion having 95% or more of the plate width Wd of the reinforcing member at the end face of the fillet weld seam on the surface of the fillet weld seam overlapping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surface of the member to be bonded,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a), and the fillet weld metal of the fillet weld seam is made of the fillet welded metal with the ratio td / Wd of the plate thickness td to the plate width Wd satisfying the Charpy impact test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vTrs (1b) or (1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e thickness tf of the member to be bonded and the fillet leg length or the weld width L corresponds to the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L, Welded structure with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using fillet weld metal satisfying the formula:
td / Wd < 2 ... (1a)
In the case of L? 20 mm, vTrs? -5L + 65-1.5 (tf-75) ... (1b)
In the case of L < 20 mm, vTrs? 35-1.5 (tf-75) ... (1c)
here,
vTrs: Charpy impact test of fillet weld metal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
tf: thickness (mm) of the member to be bonded,
td: plate thickness (mm) of the reinforcing member,
Wd: plate width of reinforcing member (mm)
L: fillet leg length or weld width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접합 부재는 상기 접합 부재에 교차하는 방향에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는 용접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ber to be welded has a butt weld join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elded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가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를 갖고, 해당 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가 상기 피접합 부재의 맞대기 용접 이음매부와 교차하도록 해당 접합 부재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용접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joining member has a butt weld joint portion and the joining member is arranged so that the butt weld joint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crosses the butt weld joint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KR1020197000051A 2016-06-16 2017-06-15 Welded structure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arrestability KR1020909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9468 2016-06-16
JPJP-P-2016-119468 2016-06-16
PCT/JP2017/022212 WO2017217515A1 (en) 2016-06-16 2017-06-15 Welded structure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arrest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68A true KR20190014068A (en) 2019-02-11
KR102090914B1 KR102090914B1 (en) 2020-03-18

Family

ID=6066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051A KR102090914B1 (en) 2016-06-16 2017-06-15 Welded structure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arrestabilit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51463B1 (en)
KR (1) KR102090914B1 (en)
CN (1) CN109311126B (en)
PH (1) PH12018550204A1 (en)
WO (1) WO20172175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010A1 (en) * 2021-06-15 2022-1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 structure bod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96B2 (en) 1973-04-14 1979-04-14
JP2004232052A (en) 2003-01-31 2004-08-19 Nippon Steel Corp Welded structure superior in brittle fracture resistance
JP2007326147A (en) 2006-05-12 2007-12-20 Jfe Steel Kk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fracture propagation-stopping characteristics
KR20070122149A (en) * 2006-06-23 2007-12-2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마린 유나이티드 Welded structure
KR101187972B1 (en) * 2010-07-22 2012-10-04 주식회사 포스코 Wel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65761B2 (en) 2011-09-13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ed structure
JP5395985B2 (en) 2011-09-13 2014-0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ed structure
KR20140126778A (en) * 2012-05-10 2014-10-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Welde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6392U (en) * 1981-01-06 1982-07-19
JP6509235B2 (en) * 2015-03-12 2019-05-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96B2 (en) 1973-04-14 1979-04-14
JP2004232052A (en) 2003-01-31 2004-08-19 Nippon Steel Corp Welded structure superior in brittle fracture resistance
JP2007326147A (en) 2006-05-12 2007-12-20 Jfe Steel Kk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fracture propagation-stopping characteristics
KR101105620B1 (en) * 2006-05-12 2012-01-1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마린 유나이티드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cracking propagation stopping characteristics
KR20070122149A (en) * 2006-06-23 2007-12-2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마린 유나이티드 Welded structure
KR101187972B1 (en) * 2010-07-22 2012-10-04 주식회사 포스코 Wel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65761B2 (en) 2011-09-13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ed structure
JP5395985B2 (en) 2011-09-13 2014-0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Welded structure
KR20140071412A (en) * 2011-09-13 2014-06-1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Welded structure
KR20140126778A (en) * 2012-05-10 2014-10-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Welded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47 연구부회:「선체용 고장력 강판 대입열 이음매의 취성 파괴 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제87호(1978년 2월), p.35∼53, 일본 조선 연구 협회
비특허문헌 2: 야마구치 긴야 등:「초대형 컨테이너선의 개발-새로운 고강도 극후강판의 실용-」, 일본 선박 해양공학 회지, 제3호(2005), p.70∼76,평성 17년 11월
비특허문헌 3: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69 위원회 보고(「선체 구조의 파괴 관리 제어 설계에 관한 연구-보고서-」(1979), p.118∼136, 일본 조선 연구 협회 제169 위원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1463B1 (en) 2017-12-20
CN109311126A (en) 2019-02-05
PH12018550204A1 (en) 2019-10-21
WO2017217515A1 (en) 2017-12-21
KR102090914B1 (en) 2020-03-18
JPWO2017217515A1 (en) 2018-06-28
CN109311126B (en)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923B1 (en) Welded structure
KR101504242B1 (en) Welded structure
JP5144053B2 (en) Welded structure with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 properties
JP5365761B2 (en) Welded structure
JP5395985B2 (en) Welded structure
KR102258423B1 (en) Welded structure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arrestability
JP4537683B2 (en) Welded structure with excellent brittle fracture resistance
KR20190014068A (en) Welded structure excellent in brittle crack propagation stopping property
JP6720106B2 (en) Welded structure
JP7293515B2 (en) Welded structure
JP3811479B2 (en) Weld metal for welded structure having excellent brittle fracture propagation resistanc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welded structure
JP2022083554A (en) Method of evaluating brittle crack arrestability of wel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