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682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682A
KR20190013682A KR1020180145192A KR20180145192A KR20190013682A KR 20190013682 A KR20190013682 A KR 20190013682A KR 1020180145192 A KR1020180145192 A KR 1020180145192A KR 20180145192 A KR20180145192 A KR 20180145192A KR 20190013682 A KR20190013682 A KR 2019001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product
icon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스케일
설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스케일, 설완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스케일
Priority to KR102018014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682A/ko
Publication of KR2019001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저울과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되는 검수품의 생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수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 상기 전자저울과 연동 되고, 상기 검수품 품목 정보가 저장된 품목세트 DB와 상기 검수품을 검수하는 복수의 검수재 정보가 저장된 검수규격 DB를 포함하며, 상기 검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검수품의 무게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상기 측정된 검수량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된 검수량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produce, amount of storage and delivery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저울과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생산형장이나 작업현장에서 전자저울 위에 올려져 검수되는 검수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관리 현장에서 계량을 통해 생산이나 입출고되는 검수품의 량을 확인하고, 상기 각각의 검수량을 기준으로 유통과 판매 과정에서 가격이 정해진다.
이때, 계량은 산업계 기초분석 기술로써 기존에는 작업시 수기로 직접 기록했던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네트워크화에 직면해 검수된 계량 정보를 네트워크화(전산화) 방법으로 확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화(전산화) 수요는 국가 정책단위(예. 쇠고기이력제, 음식물쓰레기종량제), 물류센터, 대기업 관련시설에 먼저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중소형 사업장까지 보급될 수 있는 보급형 네트워크 저울 기술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화(전산화) 방법은 정량, 정수 정보의 네트워크화 방법을 포함하되, 상기 정량, 정수 정보는 '누가 언제 어디에서 작업' 한 '어떤 규격으로 정량 포장된 물건의 총량' 정보로써, 상기 정량, 정수 네트워크화 방법을 사용하는 기업에는 경영정보, 외부 거래와 물류를 위한 정보, 물품이 신고 대상인 경우는 행정정보로 사용되어 정량 및 정수 정보의 네트워크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 농, 산업 현장은 이러한 정보를 수기로 기록하고 관리중이고, 자동 장비는 고가나 특정품목으로 한정됨으로써 보편성이 없으며, 기초 계량정보가 포함된 정량, 정수 정보의 네트워크화 수요에 대응할 보급형 융합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628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산업 현장에서 전자저울을 통해 작업되는 검수품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기초 정량, 정수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정량 및 정수 정보의 네트워크화 방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검수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검수품의 무게 정보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상기 측정된 검수량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되는 검수품의 검수량과, 그 규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저울과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되는 검수품의 생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수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 상기 전자저울과 연동 되고, 상기 검수품 품목 정보가 저장된 품목세트 DB와 상기 검수품을 검수하는 복수의 검수재 정보가 저장된 검수규격 DB를 포함하며, 상기 검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검수품의 무게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상기 측정된 검수량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농산업현장에서 생산된 검수량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상기 검수규격DB는 상기 정량 규격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되, 상기 정량 규격 정보는 상기 복수의 검수재의 이름이나, 크기 정보, 상기 검수재의 무게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품목세트DB는 상기 검수품의 상품명과 상품의 상세내용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검수품 품목에 따라 정해진 검수재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함께 저장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검수품의 생산량 측정 작업을 위한 터치 가능한 복수의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작업하기 아이콘, 작업 내역 아이콘, 설정 아이콘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가 저장된 터치 가능한 품목세트 아이콘 및 검수규격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품목세트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품목세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검수규격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검수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품목세트 DB 및 검수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추가 기능 표시가 표기된 터치 가능한 추가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추가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검수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입력창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검수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품목세트 DB나 검수규격DB에 더 저장된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하기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와 검수재 정보, 작업기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수품의 생산량 기록을 위한 입력방식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입력방식정보는 수기기록, 비자동기록, 자동기록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상기 수기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작업이 이루어진 총 작업량의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검수된 총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는 작업 개수 입력창과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와 작업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다.
상기 비자동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수되는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작업 개수 정보가 카운트되고, 상기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자동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상기 무게 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로 측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업 개수 정보가 자동적으로 카운트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검수품의 작업개수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정량정수정보DB와,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 중 검수품의 품목 정보, 정량규격정보, 작업 일자정보, 작업시간 정보, 총 중량 정보, 작업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작업기록정보가 저장되는 작업기록정보D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작업개수정보 및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디스플레이한다.
더불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검수품의 무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더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록정보는 클릭 가능한 아이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기록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저장된 작업기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기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작업기록정보의 일측에 클릭 가능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작업 기록 정보의 확인 중 잘못된 작업 기록 정보의 삭제가 가능한 삭제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클릭 가능한 상기 삭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삭제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상기 작업 기록 정보내역을 삭제하고,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 내역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일정기간 일정시간 동안 작업된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정량규격정보, 작업기준정보, 작업일자 정보, 작업시간 정보, 내용물 중량 정보, 총 중량 정보, 총 검수량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자저울과 다양한 계량이 가능한 기능을 갖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된 사용자단말기를 근거리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작업시 실시간으로 생산 및 입고, 출고, 재고 관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장 기록 및 관리 업무를 스마트화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키고, 작업의 정확도를 높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전자저울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품목세트를 선택 및 추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포장규격을 선택 및 추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포장작업중 선택 가능한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중에 내용을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총 작업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설정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하기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기록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내역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량정수정보DB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고,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전자저울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품목세트를 선택 및 추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포장규격을 선택 및 추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포장작업중 선택 가능한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중에 내용을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총 작업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설정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하기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기록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내역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시스템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량정수정보DB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저울과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생산현장에서 생산되는 검수품의 검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수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전자저울(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100)과 연동되고, 상기 검수품 품목 정보가 저장된 품목세트DB(210)와 상기 검수품을 포장하는 복수의 검수재 정보가 저장된 검수규격DB(220)를 포함하며, 상기 검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전자저울(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검수품의 무게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상기 측정된 검수량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생산현장에서 생산된 검수량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검수품은 농, 수산품이고, 상기 전자저울(100)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블루투스나 와이 파이를 통해 연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된 상기 검수규격DB(220)는 상기 정량 규격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되, 상기 정량 규격 정보는 상기 복수의 검수재의 이름, 크기 정보, 상기 검수재의 무게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품목세트 DB(210)는 상기 검수품의 품목에 상품명과 상품의 상세내용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검수품 품목에 따라 정해진 검수재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함께 저장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저울을 사용해 상기 검수품의 작업시작 전에 필요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다운로드 된 상기 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식별가능 정보를 입력하는 로그인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로그인 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로그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창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 가능한 아이디(ID), 비밀번호(PW)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식별가능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문, 숫자, 문자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로그인이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전자저울(100)을 무선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저울 연결하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기존 저울 재연결 아이콘을 클릭한다.
이때, 상기 전자저울 연결하기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근방에 위치한 전자저울의 ID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반면에, 기존 저울 재연결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이전에 무선 통신이 되었던 전자저울이 자동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자저울 ID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연결하기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릭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저울은 무선 연결되어, 상기 전자저울(100)로부터 측정되는 무게가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그인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및 전자저울(100)의 무선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검수품의 검수량 측정 작업을 위한 터치 가능한 복수의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작업하기 아이콘, 작업내역 아이콘, 설정 아이콘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가 저장된 터치 가능한 품목세트 아이콘 및 포장규격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와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품목세트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품목세트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품목세트 설정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추가 아이콘을 클릭한 후, 상기 검수품의 상품명을 입력한 뒤, 상기 검수재 창의 우측에 표기된 아이콘(A)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검수품 품목의 검수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A)을 클릭하여 원하는 포장재(검수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포장재(검수재) 중량과 너비, 길이, 높이가 표기된 창에 상기 선택된 검수재에 해당하는 중량, 너비, 길이, 높이는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새로운 품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품목에 대한 상품명, 품명 상세 내용, 내용물 중량 정보만 입력하면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포장규격(검수규격)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검수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품목세트DB 및 검수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추가 기능 표시가 표기된 터치 가능한 추가 아이콘(B)을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추가 아이콘(B)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검수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입력창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창 아이콘은 포장재(검수재), 포장재(검수재) 중량 정보, 너비 정보, 길이 정보, 높이 정보 및 취소 또는 확인 아이콘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검수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상기 품목세트DB(210)나 검수규격DB(220)에 더 저장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작업하고자 하는 검수품의 품목이 설정된 후, 작업을 위해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을 위한 검수품의 품목이 설정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작업하기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작업을 위한 검수품의 품목세트가 설정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와 검수재 정보, 작업기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수품의 검수량 기록을 위한 입력방식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입력방식정보는 수기기록, 비자동기록, 자동기록으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입력방식 선택 아이콘의 양단부에 표기된 부등호 표기를 클릭하면 수기기록, 비자동기록, 자동기록 중 원하는 기록방식의 선택 및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방식 선택 아이콘은 양단부 또는 좌, 우 일측에 표기된 기호를 통해 수평이나 아래표시 메뉴 선택 등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수기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100)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작업이 이루어진 총 작업량의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검수된 총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는 작업 개수 입력창과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다.
도 7 및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비자동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100)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수되는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작업 개수 정보가 카운트됨과 더불어 그 정량정수정보와 상기 작업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되어 상기 작업개수 정보가 저장된다.
도 7 및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방식은 상기 전자저울(100)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저울(100)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상기 무게 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로 측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작업 개수 정보가 자동적으로 카운트 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상기 작업개수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무게의 기준 범위도 상기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검수품의 정량정수정보와 작업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정량정수정보DB(230)와,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 중 검수품의 품목 정보, 정량규격정보, 작업일자정보, 작업시간 정보, 총 중량 정보, 작업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작업기록정보가 저장되는 작업기록정보DB(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작업개수정보 및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작업된 개수 아이콘과 클릭 가능한 작업기록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작업된 개수 아이콘은 실시간으로 작업되는 작업개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작업기록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더불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전자저울(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검수품의 무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더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록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기록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저장된 작업기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 과정 중 작업이 잘못되었을 경우, 작업 내역을 확인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작업기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작업기록정보의 일측에 클릭 가능한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작업 기록 정보의 확인 중 잘못된 작업 기록 정보의 삭제가 가능한 삭제 아이콘(C)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송받은 클릭 가능한 상기 삭제 창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삭제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해당 상기 작업 기록 정보 내역을 삭제하고,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자동 저장한다.
이때, 상기 작업기록 삭제시 1개 또는 전체 삭제 가능하고, 다시 작업하기 페이지로 돌아가서 작업 가능하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검수품의 작업이 완료된 후 총 작업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작업 내역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일정기간 일정시간 동안 작업된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작업 내역 정보는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정량규격정보, 작업기준정보, 작업일자 정보, 작업시간 정보, 내용물 중량 정보, 총 중량 정보, 총 검수량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총 검수량 정보는 검수 작업이 끝난 농수산물의 총 생산량이다.
또한, 상기 작업 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때, 일측에 클릭 가능한 아이콘이 더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D)을 클릭하면, 상기 작업 내역이 초 단위로 나누어져 분류된 상세한 작업 내용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클릭 가능하게 설정된 상세 정보 보기 아이콘과 삭제 가능한 삭제창 아이콘이 더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상세 정보 보기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세한 작업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상세한 작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삭제창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해당 상기 작업 기록 정보 내역을 삭제하고, 상기 작업기록정보DB에 자동 저장한다.
상기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에 실행 화면에 나타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작업기준 정보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 및 입, 출고량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량정수정보DB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자저울 200 : 서비스제공서버
3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15)

  1. 전자저울과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연결하여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되는 검수품의 검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수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 과,
    상기 전자저울과 연동 되고, 상기 검수품 품목 정보가 저장된 품목세트 DB와 상기 검수품을 포장하는 복수의 검수재 정보가 저장된 검수규격DB를 포함하며, 상기 검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검수품의 무게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 검수재 정보 및 상기 측정된 검수량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농산업현장에서 검수된 검수품의 검수량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규격DB는,
    상기 정량 규격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되,
    상기 정량 규격 정보는,
    상기 복수의 검수재의 종류 정보, 검수재의 크기 정보, 상기 검수재의 무게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목세트 DB는,
    상기 검수품 품목에 상품명과 상품의 상세내용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검수품 품목에 따라 정해진 검수재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검수품의 검수량 측정 작업을 위한 터치 가능한 복수의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작업하기 아이콘, 작업 내역 아이콘, 설정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가 저장된 터치 가능한 품목세트 아이콘 및 포장(검수)규격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품목세트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품목세트 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포장(검수)규격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검수(포장)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품목세트 DB 및 검수(포장)규격DB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추가 기능 표시가 표기된 터치 가능한 추가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추가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클릭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포장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 입력창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검수품의 종류 정보나 검수(포장)재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품목세트 DB나 검수(포장)규격DB에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하기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상기 검수품의 품목 정보와 검수(포장)재 정보, 작업기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수품의 검수량 기록을 위한 입력방식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방식정보는,
    수기기록, 비자동기록, 자동기록으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작업이 이루어진 총 작업량의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검수된 총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총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는 작업 개수 입력창과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총 작업 개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총 작업된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동기록 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수되는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클릭 가능한 작업저장 아이콘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저장 아이콘이 클릭 되면 상기 작업 개수 정보가 카운트되고, 상기 정량정수정보와 상기 작업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방식은,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상기 검수품의 무게가 측정되어 검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마다,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상기 무게 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로 측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업 개수 정보가 자동적으로 카운트 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 개수 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검수품의 작업개수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정량정수정보DB와,
    상기 검수품의 검수작업 중 검수품의 품목 정보, 정량규격정보, 작업일자정보, 작업시간 정보, 개별 중량 정보, 총 중량 정보, 작업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작업기록정보가 저장되는 작업기록정보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작업개수정보에 따른 정량정수정보와 작업위치정보 및 상기 작업기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KR1020180145192A 2018-11-22 2018-11-2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KR20190013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92A KR20190013682A (ko) 2018-11-22 2018-11-2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92A KR20190013682A (ko) 2018-11-22 2018-11-2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235A Division KR101924065B1 (ko) 2017-07-31 2017-07-3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682A true KR20190013682A (ko) 2019-02-11

Family

ID=6537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92A KR20190013682A (ko) 2018-11-22 2018-11-2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6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544B2 (en) System and method of inventory management
CN107844875B (zh) 绿色产品管理系统及方法
JP6839521B2 (ja) プロジェクト進捗状況管理システム
CN110766528A (zh) 一种客户信用自评估工厂实时智能分析管理系统
US20070203811A1 (en) Method of auditing inventory
CN108898200B (zh) 智能拆单系统、生产进度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操作方法
US20120221379A1 (en) Facility control system (fcs) to manage assets and products
CN103370733A (zh) 使用多台计算机进行自动质量控制的方法、系统和装置
JP5502251B1 (ja) 帳票データ管理サーバ、および帳票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CN108475268A (zh) 知识产权公文管理系统
CN114462969A (zh) 项目进度实时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146093A (zh) 基于交易的食品流通溯源系统
CN108550013A (zh) 一种对象入库的处理方法和设备
KR20070075501A (ko)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JP3695312B2 (ja) 管理・維持部品の提供方法およびその提供システム
CN112508314A (zh) 维吾尔药品的制造执行系统
KR101924065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CN113344513A (zh) 项目信息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20190013682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생산 및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JP2018096521A (ja) 高圧ガス容器の管理システム
US2016020356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 and receiving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relating to a batch of a product produced in a closed-loop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KR20120075505A (ko) 웹기반 산업부품류 조달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15081239A1 (en) Job site material tracking and discrepancy reconciliation
EP2811434A1 (en)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management program
JP2006079354A (ja) 品質管理システム、品質管理方法、並びに品質管理用データベース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