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607A -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607A
KR20190013607A KR1020180087887A KR20180087887A KR20190013607A KR 20190013607 A KR20190013607 A KR 20190013607A KR 1020180087887 A KR1020180087887 A KR 1020180087887A KR 20180087887 A KR20180087887 A KR 20180087887A KR 20190013607 A KR20190013607 A KR 2019001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waveform
user
microcurr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규
Original Assignee
(주)씨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씨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9001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STIMULATION}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전류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를 자극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스트레스 증가, 고령화 등으로 인해 신진 대사, 혈액 순환, 면역력이 저하되는 현대인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노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주요 에너지원인 ATP(Adenosine TriphosPhate)가 저하되고 있으며, 다양한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ATP는, 생명 활동에 이용되는 에너지 저장 물질로,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며, 아데노신 3인산의 구조로는 아데닌에 리보스와 3개의 인산이 결합한 화합물로, 인산과 인산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을 하고 있다.
ADP(Adenosine DiphosPhate)의 ATP로의 합성에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이루어지는 세포 호흡시 방출되는 에너지 일부가 사용된다.
반대로 ATP가 ADP와 무기 인산으로 가수 분해될 때 고에너지의 인산 결합이 끊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러한 ATP의 분해 과정에서 방출된 에너지는 기계 에너지, 화학 에너지, 열에너지 등으로 전환되어 근육 운동, 능동 수송, 물질의 합성과 운반, 세포 골격 변형, 발전, 발광 등과 같은 여러 생명 활동에 쓰인다.
ADP에서 ATP로의 전환에는‘생체전기+나노 전류’와 같은 미세전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처가 발생했을 경우, 전기 저항 증가에 따라 생체 전류 흐름이 감소하고 노폐물이 축적되어 염증, 통증, 부종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ATP는 에너지원이므로, Na(나트륨), K(칼륨), Ca(칼슘), Mg(마그네슘) 등과 같은 미네랄의 원활한 이동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림프 클랜징 분야에서 생체 전류 등의 미세 전류를 이용한 전기 자극 기기 개발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여 자연 치유력 증진, 세포 재생, 피부 미백, 혈압 완화, 근골격계 질환 치유 등에 효과적인 림프 조직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림프 클렌징 요법으로는 수기 요법, 약물 및 외과적 요법 및 마이크로 전류 요법이 쓰이고 있다.
수기 요법은 최대 15%까지만 림프 클렌징이 가능하며, 장기간 시술로 시술자의 어깨 및 손목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술자의 실력 및 컨디션에 따라 치료 효과가 상이하며 수요 대비 시술자의 수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약물 및 외과적 요법으로는 화학 약품 위주와 외과적인 단기적 반응 치료이며 이에 따라 부작용, 합병증 및 의료사고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마이크로 전류 요법은 60년 이상의 오래된 기술이지만 환자의 고유주파수나 육체적 컨디션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전류만을 적용하므로 변화가 미비하며, 장기적 반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림프 조직을 활성화 시키는 림프클렌징 요법들은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단기적 치료 위주의 치료법이 주를 이루며, 치료 보다는 미용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림프 클랜징을 위한 홈 케어 제품이 존재하나, 효과적이며 대중적인 림프 클랜징 제품이 부재하며, 일부 제품은 고가 장비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70937호(2007.01.11)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기반으로 미세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세 전류를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자연 치유력을 높이고, 만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초점을 맞춘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 전류 및 상기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전류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미세 전류 치료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 전류 및 상기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기반으로 미세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세 전류를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자연 치유력을 높이고, 만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기반으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이용함으로써 비 침습적이며 신속한 통증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이용함으로써 환자 상태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관리 및 분석 함으로써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가격으로도 사용자별 및 질환별 맞춤형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프 마사지용 미세 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프 마사지 기능별 미세 전류의 출력 파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의 기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림프 마사지의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소프트웨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미세 전류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하드웨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하드웨어 PCB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인체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의 활동 중 ADP에서 ATP로의 전환은 '생체 전류 또는 나노 전류’와 같은 미세 전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처가 발생했을 경우, 전기 저항 증가에 따라 생체 전류 흐름이 감소하고 노폐물이 축적되어 염증, 통증, 부종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처 부위에 미세 전류를 흐르도록 함으로써 ADP에서 ATP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여 세포를 재생 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세포 재생 원리를 이용한 전기 자극 장치(100) 및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인체에 전류가 주기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전류의 크기가 변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제어된 형태로 흐르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20 ~ 100 ㎂의 생체 전류를 이용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고 인체에 생체 전류와 동일한 특성을 지닌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100)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 생성부(미도시) 및 조사부(1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1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 생성부(미도시) 및 조사부(111) 외에 추가적으로 손잡이부(114), 본체부(120), 수납부(130), 기구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부(110)는 조사부(111) 및 손잡이부(114)로 구성되며, 생성부(미도시)를 탑재하고 있는 본체부(1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감지된 생체 전류에 관한 정보를 생성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입력 및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는 본체부(120) 적어도 일면 이상에 부착되어 기구부(110)를 수납하는 수납부(130)가 마련될 수 있는데, 기구부(110)의 개 수에 따라 그 이상 마련될 수 있는 것을 물론이다.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한다.
예컨대,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조사부(111)를 이용하여 생체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데, 신체 특정부위에 흐르는 생체 전류를 감지하여 생체 전류에 관한 정보(파형, 주파수 등)를 생성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미도시)는 본체부(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손잡이부(114) 내부에 위치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부(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한다.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이란 예를 들어, 사인파, 삼각파, 사각파 등의 기본 파형이 될 수 있고, 치료 목적에 맞게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일 수 있다.
한편, 생체 전류는 사람의 신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전류로서 세포가 활성화 되어 만들어지는데, 이 생체 전류는 사람의 세포들이 원만한 활동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종래의 미세 전류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아 치료의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이로 인해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지부(미도시)가 사용자 고유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체 전류와 유사한 파형 또는 주파수를 갖는 미세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생성부(미도시)는 고유 전기자극 모방형 교류파형 기술을 이용하여 림프 마사지용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모드별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예시로는 1) 림프 자극 모드 2) 제1 및 제2 리프팅 모드 3)제1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조사되는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림프 자극 모드로 조사되는 미세 전류의 출력 파형, 리프팅 모드 별로 조사되는 미세 전류의 파형 및 세포 재생 모드 별로 생성되는 미세 전류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자극 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트리트먼트(Treatment) 모드를 통해 사용자 고유의 생체 전류에 기반한 피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사람의 신체 부위에 따라 두께가 다르다. 대체적으로 0.5 에서 4.0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같은 신체 부위라도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두께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때, 미세 전류는 두꺼운 피부에서는 천천히 흐르고, 얇은 피부에서는 빠르게 흐르는데, 제어부(미도부)는 위와 같은 미세 전류의 특성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두께를 판단하여 조사하는 미세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을 46분으로 설정하여 인체를 통해 흐른 미세 전류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적으면 사용자의 피부가 두꺼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적분을 통해 구할 수 있으며, 적분된 값이 적은 경우 미세 전류의 조사 시간을 늘려 전류의 양이 일정량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제1 세포 재생 모드는 사용자의 고유의 생체 전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시 적용되는 모드일 수 있고,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는 사용자의 고유의 생체 전류 특성을 고려한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림프 자극 모드는 림프의 배수(Clear)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드로서, 이마, 눈위, 눈 아래, 뺨, 턱 및 목 등 림프가 모여있는 신체 부위에 각각 1분 동안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총 6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프팅 모드는 사용자의 피부의 탄력도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모드로서, 눈썹, 눈 주변, 뺨, 입주변 및 빰 등에 각각 2분 동안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총 10분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제1 세포 재생 모드는 세포의 회복을 돕고,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모드로써, 미세 전류를 10분 동안 이마에서 목까지 움직이며 조사하여 치료를 할 수 있고, 상처부위에 미세 전류를 조사하여 세포 재생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제2 리프트 모드와 제2 세포 재생 모드는 위 기술한 제1 리프트 모드와 제2 세포 재생 모드와 그 목적은 동일하지만 사용자의 고유의 생체 전류를 기초로하여, 조사 시간, 파형 및 주파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생성부(미도시)는 여러 형태의 미세 전류 파형 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파, 사인파, 계단파 및 톱니파 중 어느 하나의 기본파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부(미도시)는 인체 고유 전기자극(Electrical impulse) 모방형 교류 파형(Alternating wave)기술을 이용하여 생체 전류와 유사한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조사부(111)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미세 전류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조사부(111)는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사람의 신체 특정 부위에 조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사부(111)는 입력부(113) 및 출력부(112)를 포함하는데, 입력부(113)는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입력하고, 출력부(112)에서 미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3)에서 입력된 미세 전류는 피부 또는 피부 세포 내를 통과해 흐를 수 있으며 상처 부위 또는 림프와 같이 신체의 특정 부위를 흐를 수 있다.
이때, 조사부(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이마, 눈 위, 눈 아래, 볼, 입, 턱 등의 신체의 특정 부위 또는 림프가 모여있는 부위에 미세 전류를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부(113) 및 출력부(112)의 소재는 금속 등의 전도성 물질이 될 수 있고, 형태는 필요에 따라 원통형, 뿔형, 사각기둥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극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14) 끝단에 조사부(111)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손잡이부(114)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4)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손잡이부(114)를 손으로 파지하여, 신체 특정 부위에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생체 전류 및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감지된 생체 전류, 입력 및 출력된 미세 전류의 파형 및 크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생체 전류 및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 시간 및 미세 전류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미도시)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모바일 기기(미도시)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전류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극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미도시)와의 통신을 위해, 회로기판에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근거리통신, 와이파이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기기(미도시)는 전기 자극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장치(100)의 사용 시간, 사용방법, 생체 전류의 변화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생체 전류의 변화등을 감지하여 치료 방법 등을 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미세 전류의 주파수 및 출력 파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부는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고려한 미세 전류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각각에 맞게 적용 가능한 림프 마사지용 미세 전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1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하드웨어 개략도 및 하드웨어 PCB를 이용하여 림프 클렌징 기반의 전기 자극 장치(100)를 구현하여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또는 파형을 기반으로 미세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 전류를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자연 치유력을 높이고, 만성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극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단계(S1201),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1202)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단계(S1203)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체 전류 및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 자극 장치
110: 기구부
111: 조사부
112: 출력부
113: 입력부
114: 손잡이부
120: 본체부
130: 수납부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조사부;
    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류 및 상기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 끝단에 상기 조사부가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장치.
  5. 사용자의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 또는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여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세 전류를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림프 자극 모드, 제1 리프팅 모드 및 제1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이고,
    상기 생체 전류의 고유 주파수 및 파형에 기초하는 미세 전류는,
    제2 리프팅 모드 및 제2 세포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류 및 상기 미세 전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방법.
KR1020180087887A 2017-07-28 2018-07-27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 KR20190013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6028 2017-07-28
KR1020170096028 2017-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607A true KR20190013607A (ko) 2019-02-11

Family

ID=6537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887A KR20190013607A (ko) 2017-07-28 2018-07-27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6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346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EP1338263B1 (en) Total sk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787874B1 (ko) 피부관리기
DK2340079T3 (en) MICRO-CURRENT AND CRANE ELECTRO THERAPY STIMULATOR FOR MANAGING ANXIETY, INSUMILITY, DEPRESSION AND PAIN
JP6768788B2 (ja) フェイスリフト機
KR101209102B1 (ko)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US201000999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human and animal immune stimulation and/or repair systems activation
JP2001198227A (ja) 美容用交流波形および美容器具
KR101212749B1 (ko) 피부질환치료장치
KR20090098541A (ko)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KR101534525B1 (ko)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JP2022550934A (ja) 治療装置
CN1095385C (zh) 仿人体经络的电子治疗、戒毒装置
KR20190013607A (ko) 전기 자극 장치 및 이의 방법
KR102396354B1 (ko) 다기능 피부마사지기
KR200384814Y1 (ko) 피부측정장치 및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JP3616426B2 (ja) 低出力半導体レーザー治療器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JP2016036429A (ja) 経穴光刺激装置
KR102381461B1 (ko) 기능성 피부미용기기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26027Y1 (ko)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이용한 발자극기
JP3240162U (ja) 電気治療器
KR101758018B1 (ko) 통증 치료기
JP4528798B2 (ja) 美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