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993A -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993A
KR20190012993A KR1020170096853A KR20170096853A KR20190012993A KR 20190012993 A KR20190012993 A KR 20190012993A KR 1020170096853 A KR1020170096853 A KR 1020170096853A KR 20170096853 A KR20170096853 A KR 20170096853A KR 20190012993 A KR20190012993 A KR 2019001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
yarn
patter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7009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993A/ko
Publication of KR2019001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여 핫멜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양면 중, 상기 베이스 직물 층과 부착된 일면의 다른 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고강도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 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렇게 만들어진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무늬가 있는 사출용 원단을 제조하여 원단 고유의 질감과 제품의 고급화 및 디자인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고, 우수한 일광견뢰도 등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LMF사 또는 PLA사를 이용하여 직물의 올 빠짐 현상을 극복할 수 있으며, 핫멜트 필름층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작업과정 중 고압과 고열로 성형 시 필름층이 표면으로 배어 나오지 않고, 사출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PATTERNED INJECTION MOLDING FABRI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가전제품,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사출성형 산업용 소재분야에서, 사출성형 제품의 표면 장식을 위해 친환경적인 천연소재나 원단(Fabric)을 사용한 제품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신체와 직접 닿는 부분에서 신체를 보호하거나 제품을 장식하는 부분에 직물이나 편물 소재 원단은 외관이 미려하고 소재 자체가 주는 따뜻함과 편안함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단을 사용한 사출성형 작업에서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신율을 향상시킨 원단을 주로 사용 하였다. 이 경우 디자인이 있는 원단을 사용할 경우 무늬가 변형되는 현상으로 무늬가 없는 솔리드 형태의 원단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상기 표면장식에 사용되는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소재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표면에 부착한 합성섬유 제품이 대부분으로 제품의 고급화 및 디자인의 다양성을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친환경적인 천연소재 및 기타 직물소재원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있어왔으나, 천연소재 직물이 일광, 땀, 수분, 마찰 등에 견디는 성능이 부족하고, 직물소재의 공통적인 문제인 섬유의 올 풀림현상의 해결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사출작업 시 고온과 고압으로 사출물이 표면으로 삐어져 나오는 문제와 성형 후에는 원단이 터지는 현상 등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유래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무늬가 있는 직물의 제조 및 가공한 후, 고강도 섬유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고압 및 고열에 의한 사출작업에 견딜 수 있고, 일광, 마찰 등에 견디는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직물 표면의 올 풀림을 방지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여 핫멜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양 면 중, 상기 베이스 직물층과 부착된 일면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고강도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색 가공된 섬유는,
화학섬유를 선택할 경우 폴리 원착사를 사용하고, 천연섬유의 경우는 안료를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하여 착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 가공된 섬유사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제직 및 편직 하는 과정에 무늬를 생성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여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여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에서,
상기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시 폴리우레탄 수지에 불소계 방오제 또는 UV차단제를 추가하여 수지가공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가공된 베이스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 투명필름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융접착용 섬유로는 LMF(Low melting fiber)사 또는 PLA(polylactic acid)사를 사용한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3단계의 고 강도 섬유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무기계 섬유, 고강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상기 원단은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은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였으며,
상기 원단의 일면 상에 위치된 핫멜트 필름층,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만들어진 사출성형용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필름이 부착된 것인,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은, 그동안 문재가 되어 왔던 직물소재의 올 빠짐 현상을 해결했을 뿐 아니라, 핫멜트 필름층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작업 과정에서 고압과 고열로 성형 시 필름층이 표면으로 배어나오지 않고, 사출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섬유 유래의 직물로서 친환경적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천연소재 고유의 질감과 제품의 고급화 및 디자인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나타내어 장시간 햇빛 등에 노출에도 변색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 제조공정 중 원단가공 부분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란 두 가지 섬유를 합사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거나, 두 종류의 섬유가 교차하면서 제직 또는 편직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늬를 생성하여 원단을 제조한다."는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원단의 제직 및 편직과정 전체를 의미하며, 세부적으로는 자카드, 도비기, 경편기, 환편기 등의 기계를 사용하여 정형화된 원단의 무늬를 만들어 가는 공정 등의 용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의 제조공정 중 원단가공 부분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유래의 무늬가 있는 원단을 가공하고, 고강도 섬유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고압 및 고열에 의한 사출작업에 견딜 수 있고, 일광, 마찰 등에 견디는 물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올 풀림을 방지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여 핫멜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양 면 중, 상기 베이스 직물층과 부착된 일면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고강도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상기 원단은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은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였으며, 상기 원단의 일면 상에 위치된 핫멜트 필름층,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만들어진 사출성형용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필름이 부착된 것인,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기준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베이스 원단의 제조단계(1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원단은 만들기 위한 섬유의 준비 및 선택단계로 합사 및 연사된 천연섬유 방적사, 합사 및 연사된 합성섬유 방적사, 천연섬유 필라멘트사 및 합성섬유 필라멘트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 때, 상기 천연섬유 대부분 방적사 형태로 공급되는데 방적사는 면사, 모사 또는 마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사는 합사 및 연사된 천연섬유 방적사, 천연섬유 필라멘트사 또는 합성섬유 필라멘트사의 복합섬유사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합섬유사는 면사 또는 마사 70~95중량부와 견사 또는 마사 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적되거나, 면사, 마사, 견사 또는 마사 70~95중량부와 합성섬유사 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적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견사를 이용할 경우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바, 상기 견사로는 S연, Z연으로 꼰 실의 합연사를 이용함으로써 사출제품 표면용 원단에 적합한 항필링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으로, 합성섬유는 섬유의 방사과정(실을 뽑는)에서 유기/무기안료를 폴리머(PET 또는 Nylon 등)와 같이 넣고 방사해서 만들어진 원착사를 선택하였다. 이 원착사는 화이바 형태로 공급되어 합사 및 연사된 합성섬유 방적사, 천연섬유와 혼합하여 방적사를 만들 수도 있고,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된 복합섬유사 일 수 있다.
상기한 내용으로 선택 및 준비된 실은 섬유가공단계(11)를 거치게 된다. 섬유가공단계는 주로 천연섬유의 염색가공공정으로 상기 섬유사의 염색가공시 KSK ISO-B02에 따른 일광견뢰도가 5급 이상이 되도록 염색가공한다.
염색 방법은 공지의 방법 중에서 상기 섬유사의 원료 및 종류에 따라 염료 및 반응 조건을 선택하여 염색할 수 있다. 특히, 고급화를 위하여 견사를 선택할 경우에는 함금속 염액을 넣고, 빙초산을 첨가한 뒤, 가열함으로써 염색가공하여 일광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염색방법의 실시예로는, 안료를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하여 착색하는 방법으로, 아크릴계 수성 바인더인 (주)대영화학 포리졸(POLYSOL)프라이머용 바인더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며, 안료는 가능한 입자가 적은형태의 것을 선호 하지만. 본 실시 예 에서는 안료와 염색방법은 범주를 한정하지 않는다.
섬유의 선택 및 가공이 완성되면 원단의 제조과정(12)이다.
상기 베이스 원단은, 상기 섬유사를 염색가공한 후, 상기 염색가공된 실과 저융점 폴리에스터사 또는 PLA사를 합사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거나, 저융점폴리에스터사 또는 PLA사와 교차하면서 제직 또는 편직하여 생지를 제조하는데 이렇게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 에서는 자카드 직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무늬를 만들어 가면서 원단을 제작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색가공한 섬유사는 사출 후 직물의 절단시 올빠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융점폴리에스터사 또는 PLA(polylactic acid)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고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염색가공한 섬유사와 상기 저융점폴리에스터사 또는 PLA사를 합사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거나, 저융점폴리에스터사 또는 PLA사의 경사와 위사를 상기 염색가공한 섬유사와 교차하면서 제직 또는 편직함으로써 생지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염색가공한 섬유사와 상기 저융점폴리에스터사 또는 PLA사는 100: 10~60의 비율로 사용하여 섬유의 태를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실의 빠짐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완성된 원단은, 원단의 가공단계(13)를 거치게 된다.
원단의 가공단계는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및 폴리우레탄 수지가공(131)처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작된 원단은 내강도성, 항 필링성 및 올 빠짐 방지를 위하여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처리를 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을 통해 용융접착용 실을 녹여서, 필름형태의 힘이 있는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가공 시 수축 및 무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건열 텐타가공후,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수지가공 처리함으로써 원단의 내강도성, 항필링성 및 올빠짐 방지의 성능이 부여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가공시 상기 수지에 불소계 방오수지를 더 포함하여 수지가공하거나,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가공 후 불소계 방오수지에 의하여 추가 수지가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가공 후, 피리티온 다가 금속염 등의 항균제를 코팅하는 항균 가공을 더 수행함으로써 베이스 직물층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항균제를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분무 코팅, 침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 투명필름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132)를 거치게 된다. 본 실시예 에서는 UV차단 기능이 있는 투명필름을 홧멜트 접착방식으로 접착하여 원단의 표면을 보호했을 뿐 아니라 마모강도 및 원단의 기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용융접착형의 실과 함께 합사 및 연사된 천연섬유 방적사, 합사 및 연사된 합성섬유 방적사, 천연섬유 필라멘트사 및 합성섬유 필라멘트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베이스 원단은, 사출성형용 표면소제에 사용 시 요구되는 일광견뢰성을 갖추면서 사출시 열과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내강도성 등의 물성을 갖게 된다.
핫멜트 필름층의 형성단계(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필름층은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부착되어 형성되고, 공지의 핫멜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층으로써 베이스 원단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고 다른 일 면에 고강도 섬유가 부착되어 내강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핫멜트용 필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용 접착제를 베이스 직물층 위에 적층하고 가열, 가압하여 접합시키고 냉각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핫멜트용 접착제는 가열, 용융상태에서 접착하고 냉각에 의해 고체화되는 접착제로서,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용 접착제, 에틸렌-초산비닐 수지계 핫멜트용 접착제, 폴리아마이드계 핫멜트용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핫멜트용 접착제 등의 공지된 핫멜트용 접착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중 베이스 직물층과의 접착력 및 사용의 간편성을 고려할 때 폴리우레탄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핫멜트용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핫멜트용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베이스 원단을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80~200℃일 수 있고, 80~18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인 경우에는 120~130℃에서 부착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인 경우에는 180℃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 온도는 핫멜트 접착제의 녹는점과 동일한 개념이다.
고강도 섬유층의 형성단계(30)
본 발명에서 상기 고강도 섬유층은,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양 면 중, 베이스 직물층과 부착되지 않은 타면에 고강도 섬유가 접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섬유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무기계 섬유, 고강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고강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핫멜트 필름층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함으로써 고열 및 고압의 사출작업 시 핫멜트 필름층이 베이스 직물층 표면으로 배어나오지 않으면서, 열과 압력에 견디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을 부여하게 되어 사출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상기 원단은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은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였으며, 상기 원단의 일면 상에 위치된 핫멜트 필름층,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만들어진 사출성형용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필름이 부착된 것인,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이 완성되었다.

Claims (6)

  1.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베이스 원단의 일 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여 핫멜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핫멜트 필름층의 양 면 중, 베이스 직물층과 부착된 일면의 타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고강도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염색 가공된 섬유는, 방사섬유는 원착사를 사용하고, 천연섬유는 안료를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하여 착색하는 단계;
    염색 가공된 섬유사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제직 및 편직 하는 과정에 무늬를 생성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여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 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여 베이스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에서,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시 폴리우레탄 수지에 불소계 방오제 또는 UV차단제를 추가하여 수지가공 하는 단계; 및
    수지 가공된 베이스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 투명필름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 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용융접착용 섬유로는 LMF(Low melting fiber)사 또는 PLA(polylactic acid)사를 사용한 내열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3단계의 고 강도 섬유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무기계 섬유, 고강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내강도 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의 제조방법.
  6.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및
    상기 원단은 염색 가공된 섬유와 용융접착용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무늬가 있는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은 건열 텐타가공 및 수지가공 하였으며,
    상기 원단의 일면 상에 위치된 핫멜트 필름층,
    상기 핫멜트 필름층의 다른 면에 고강도 섬유를 접착하여 만들어진 사출성형용 원단의 표면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 것인, 내열성 및 내강도 성이 우수한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 원단.
KR1020170096853A 2017-07-31 2017-07-31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2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53A KR20190012993A (ko) 2017-07-31 2017-07-31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53A KR20190012993A (ko) 2017-07-31 2017-07-31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93A true KR20190012993A (ko) 2019-02-11

Family

ID=6537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53A KR20190012993A (ko) 2017-07-31 2017-07-31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9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42556A1 (en) Synthetic-textile hybrid fabric and mea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442152B (zh) 具有潜水料织物外观的机织织物和其生产方法
EP2845931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non-bleed polyester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6607380U (zh) 新型衬衣复合材料
JP5485687B2 (ja) 織編物
JPH0382845A (ja) シャツ用の全合成ヒートシール可能なライニング
JP2019218675A (ja) スペーサテクスタイルの使用、内張り材及びスペーサ編成布
KR101540775B1 (ko) 기능성 부직포 원단
KR20180011031A (ko) 형광코팅사 및 형광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도비직물
KR20190012993A (ko) 무늬가 있는 사출성형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54450A (zh) 一种户外、工装防护涂层面料的加工工艺
CN106032605A (zh) 一种针织面料及其用途
JP2023134509A (ja) ポリマー材料の調製のための方法
CN104032509B (zh) 一种孕妇用绒感织带染色加工工艺
CN201778188U (zh) 一种色织记忆面料
CN207697208U (zh) 一种防撕裂耐磨的纺织面料
KR101131492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고흡수성 의류
CN105544049A (zh) 一种记忆丝面料
TW202033372A (zh) 含纖維之結構、其製造方法及其應用
CN212533286U (zh) 一种高牢度股线涤锦棉面料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CN204918948U (zh) 一种锦涤提花仿呢面料
CN215792190U (zh) 一种高色牢度防松散斜纹针织布
CN208328526U (zh) 薄款抗皱织带
CN212472653U (zh) 一种无氨纶弹力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