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541A -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541A
KR20190012541A KR1020170095655A KR20170095655A KR20190012541A KR 20190012541 A KR20190012541 A KR 20190012541A KR 1020170095655 A KR1020170095655 A KR 1020170095655A KR 20170095655 A KR20170095655 A KR 20170095655A KR 20190012541 A KR20190012541 A KR 2019001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auxiliary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372B1 (ko
Inventor
차은재
양홍재
권체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4Transverse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이송라인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 상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피이송체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카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An apparatus for transfer car and an apparatus for steel sheet lift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이송체를 효과적으로 운송 가능한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 압연 설비는 일반적으로 이송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테이블장치들, 롤러테이블장치들 사이에서 피압연재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 일측의 롤러테이블장치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압연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측의 롤러테이블장치 상에 공급된 피압연재는 압연장치에서 압연작업이 수행된 후 리프팅장치에 의해 타측의 롤러테이블장치 상으로 운송될 수 있으며, 일측의 롤러테이블 상에는 새로운 피압연재가 공급되어 새로운 압연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타측의 롤러테이블장치 상으로 운송된 피압연재는 소정의 대기 시간을 거친 후 다시 리프팅장치에 의해 일측의 롤러테이블 상으로 운송될 수 있으며, 압연장치에서 후속적인 압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708호(2016.10.2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이송체를 효과적으로 운송 가능한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이송라인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 상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피이송체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카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외력에 의해 신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일단 및 상기 체인부재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전단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체인부재의 일단에 연결 가능한 연결부가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고정홀 상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바부재; 및 상기 이동바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부재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고정프레임; 및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레일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홀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이동바부재가 관통 배치 가능한 이동홀이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 상기 이동바부재의 하단부측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양 측단부에는 슬라이드프레임들과 대응하는 슬라이드홈들이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이격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제1 보조프레임 및 제2 보조프레임으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대응되는 제1 보조고정홈 및 제2 보조고정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결합시 상기 제1 보조고정홈 및 제2 보조고정홈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고정홀에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상기 보조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분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보조프레임이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보조고정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 가이드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지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의 후단면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고정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지지부를 중심부측에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지지부의 전단면은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후단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가이드지지부의 후단면 및 상기 보조가이드프레임의 전단면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을 형성하는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이동바부재의 후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고정홀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의 전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정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이동바부재의 후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부재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는,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피이송체의 이송경로를 제공 가능한 제1 이송롤러들; 상기 제1 이송라인과 나란한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피이송체의 이송경로를 제공 가능한 제2 이송롤러들;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 사이에서 상기 피이송체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카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피이송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상단면에 구비된 안착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안착프레임; 및 상기 보조안착프레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부재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레일부재의 타측 선단부측에 배치되는 리턴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리턴롤러부재에 무한궤도형으로 연결되되,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리턴롤러부재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상부체인부재 및 하부측의 하부체인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체인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리턴공간을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이동휠부재를 지지 가능한 지지면이 상단부에 구비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측에서 상기 지지레일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턴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레일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레일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레일의 중심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휠부재는 상기 지지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휠부재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휠부재의 중심부측을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지지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레일의 중심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는 제1 지지레일 및 제2 지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레일의 상단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부개구가 형성된어 상기 리턴공간과 상기 유입구는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레일하우징은 상기 레일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리턴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체인부재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체인부재의 상부측에 고정 배치되는 차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프레임의 중심부측에는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차단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형성된 상기 차단프레임의 중심부측은 상기 차단프레임의 양 측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프레임은 상기 상부개구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유닛은 상기 리턴공간의 하부측에서 상기 리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지지롤러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체인부재는 상기 보조지지롤러부재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레일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턴공간과 상기 레일하우징의 하부측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개구는 상기 차단프레임의 양 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레일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이동휠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휠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보조안착프레임의 하단부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베어링들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는 베어링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블럭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제공되어 상기 베러링홀의 양 측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홀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 가능한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휠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의 양 측단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중심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양 측단면이 상기 회전축부재의 내측면들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홀과 인접한 상기 베어링블럭부재의 양 측단면으로부터 상기 씰링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함몰 형성된 씰링홈에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일부재에 승강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승강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면이 상기 제1 이송롤러들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승위치 및 상기 안착면이 상기 제1 이송롤러들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들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강위치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는 완충유닛을 구비하는바, 체인의 절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랜스퍼카 장치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충유닛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조립형으로 제공되는바, 트랜스퍼카의 유지 보수에 과도한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레일부재 및 하부체인부재로 버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프레임을 포함하는바, 버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에 의해 체인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리프팅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다.
도 1의 (a) 및 (b)는 트랜스퍼카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트랜스퍼카 장치의 트랜스퍼카유닛을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의 분해 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완충유닛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카유닛과 레일부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레일부재 내부의 이물질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에 포함되는 트랜스퍼카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의 (a) 및 (b)는 트랜스퍼카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의 (a)는 리프팅장치를 상부측에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의 (b)는 리프팅장치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장치(1)는 제1 이송라인(A)을 형성하는 제1 이송롤러들(3), 제2 이송라인(B)을 형성하는 제2 이송롤러들(5) 및 제1 이송롤러들(3)과 제2 이송롤러들(5) 사이에서 피이송체(S)를 운송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 장치(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카 장치(2)는 제1 이송롤러들(3) 및 제2 이송롤러들(5)의 하부측에서 제1 이송롤러들(3) 및 제2 이송롤러들(5)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7), 레일부재(7)에 승강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승강구동부재(9) 및 레일부재(7) 상에서 레일부재(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되, 피이송체(S)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8)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장치(1)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이송롤러들(5)의 하부측에 트랜스퍼카유닛(8)이 배치된 상태로 승강구동부재(9)가 신장구동하는 경우, 레일부재(7) 및 트랜스퍼카유닛(8)은 상부측을 향해 상승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2 이송롤러들(5)의 상부측에 배치된 피이송체(S)가 트랜스퍼카유닛(8)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트랜스퍼카유닛(8)은 피이송재(S)가 안착된 상태로 레일부재(7)를 따라 제1 이송롤러들(3)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피이송체(S)가 제1 이송롤러들(3)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경우 트랜스퍼카유닛(8)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이후 승강구동부재(9)는 수축구동하여 레일부재(7) 및 트랜스퍼카유닛(8)은 하강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1 이송롤러들(3) 상에 피이송체(S)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제1 이송라인(A) 및 제2 이송라인(B) 사이에서 피이송체(S)가 운송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1)는 연속 압연 공정에서 후판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피이송체(S)는 연속 압연 공정에 투입되는 강판, 특히 연속 압연 공정에 투입되는 후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피이송체(S)가 반드시 이들 강판 및 후판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속 압연 공정에 이용되는 리프팅 장치(1)는 연속 압연 공정의 공정 특성상 고온의 산화환경에 필연적으로 노출되며, 그에 따라 피이송체(S) 및 기타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버(burr) 또는 스케일(scale) 등의 이물질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버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리프팅 장치(1)에 누적되어 다양한 설비 문제를 유발하는바, 본 발명은 버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가능한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 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트랜스퍼카 장치의 트랜스퍼카유닛을 확대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10)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재(110), 레일부재(110) 상에서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200), 트랜스퍼카유닛(200)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300), 구동유닛(300)으로부터 트랜스퍼카유닛(200)에 이동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전달유닛(400) 및 전달유닛(400)과 트랜스퍼카유닛(200) 사이에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퍼카유닛(200)은 상단면에 안착면(212)이 형성되어 피이송체(S)가 안착 가능한 안착프레임(210), 안착프레임(210)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안착프레임(220) 및 보조안착프레임(220)에 고정 배치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레일부재(110) 상에서 회전이동 가능한 이동휠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휠부재(230)가 레일부재(110) 상에서 회전이동함에 따라 트랜스퍼카유닛(200)은 이송라인들(A, B) 사이를 전환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유닛(300)은 이동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부재(310) 및 구동모터부재(310)의 축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 가능한 회전기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기어부재(320)가 구비된 구동모터부재(310)는 레일부재(110)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달유닛(400)은 레일부재(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턴롤러부재(420) 및 회전기어부재(310)와 리턴롤러부재(420)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무한궤도형의 체인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인부재(410)는 금속제 고리를 나열하여 연결한 체인을 의미하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 벨트, 선재 등 다양한 장력 전달 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 체인부재(410)는 회전기어부재(310) 및 리턴롤러부재(420)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상부체인부재(410a) 및 하부측의 하부체인부재(410b)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체인부재(410b)는 레일부재(11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레일부재(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배치된 보조지지롤러부재들(43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부체인부재(410a)의 일단은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부에 구비된 완충유닛(5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체인부재(410b)의 타단은 트랜스퍼카유닛(200)의 후단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유닛(500)은 안착프레임(210)의 전단부측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14a, 214b)에 연결되어 고정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체인부재(410a)의 일단은 완충유닛(500)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체인부재(410b)의 타단은 보조안착프레임(220)의 후단부측에 구비된 고정부(222)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 및 후단에 상부체인부재(410a)의 일단 및 후단이 연결되는바, 구동유닛(300)의 구동시 체인부재(410)에 의해 트랜스퍼카유닛(200)에 이동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의 분해 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완충유닛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유닛(500)은 고정홀(513)이 관통 형성되어 안착프레임(210)의 전단부측 하단부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0), 이동홀(522)이 관통 형성되어 고정홀(513)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520), 이동홀(5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이동홀(522)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바부재(560), 이동바부재(52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530) 및 제1 가이드프레임(520) 및 제2 가이드프레임(5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바부재(560)를 후방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510)은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홀(513)이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측에 고정부(515)가 구비된 메인고정프레임(512) 및 메인고정프레임(512)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되,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홀(513)을 기준으로 서로 양 측단부에 대칭적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51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5)에는 삽입체결홀(518)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체결홀(518)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삽입체결구(570a)에 의해 안착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14a)에 고정부(515)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프레임(516)의 후단부측에도 삽입체결홀(517)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체결홀(517)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삽입체결구(570b)에 의해 안착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14b)에 슬라이드프레임(516)의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프레임(520)은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프레임(520)의 선단부는 고정홀(51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프레임(520)의 선단부측 외주면에는 고정홀(513)을 형성하는 메인고정프레임(5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4)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산(526)이 구비될 수 있는바, 제1 가이드프레임(520)은 그 선단부가 고정홀(513)에 삽입됨으로써 메인고정프레임(512)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프레임(520)의 중단부에는 고정홀(5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지지부(5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지지부(524)의 전단면 및 후단면은 각각 메인고정프레임(512)의 후단면 및 탄성부재(550)의 일단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프레임(520) 상에는 제1 가이드프레임(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바부재(560)와 대응하는 형상의 이동홀(5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바부재(560)는 이동홀(5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바부재(560)는 전단부측에 상부체인부재(410a)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562)를 구비하며, 연결부(562)의 후단측에는 이동바부재(560)의 후방 이동 거리를 제한 가능한 리미터부(566)가 구비될 수 있다. 리미터부(566)는 너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리미터부(566)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바부재(560)의 후방 이동 거리를 제한 가능한 모든 형상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바부재(560)의 후단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56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프레임(530) 역시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프레임(530)에는 제2 가이드프레임(520)의 전단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삽입고정홀(532)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고정홀(532)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프레임(530)의 내주면에는 이동바부재(560)의 후단부측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564)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533)이 형성되는바, 이동바부재(560)는 제2 가이드프레임(5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프레임(520)의 후단부측에는 후술할 보조고정홀(54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 가이드지지부(5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지지부(534)의 전단면은 후술할 보조프레임(540)의 후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540)은 양측으로 분할되는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제1 보조고정홈(541a) 및 제2 보조고정홈(541b)이 각각의 대향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의 결합시 제1 보조고정홈(541a) 및 제2 보조고정홈(541b)은 전체로써 보조고정홀(541)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고정홀(541)은 제2 가이드프레임(53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프레임(530)은 선단부가 보조고정홀(541)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 고정부(544a) 및 제2 고정부(544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544a) 및 제2 고정부(544b)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545)에 체결구(570c)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의 각 측단부에는 슬라이드프레임(516)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슬라이드홈(543a) 및 제2 슬라이드홈(543b)이 제1 보조프레임(540a) 및 제2 보조프레임(540b)의 각 측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프레임(516)이 각각 제1 슬라이드홈(543a) 및 제2 슬라이드홈(543b) 내에 배치됨으로써 보조프레임(540)이 슬라이드프레임(5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보조프레임(540)은 분리 결합에 의해 제2 가이드프레임(530)에 체결되거나, 제2 가이드프레임(530)으로부터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프레임(530)에 체결된 보조프레임(540)은 제2 가이드프레임(530)이 슬라이드프레임(516)을 따라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55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탄성부재(550)는 반드시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바부재(560)를 후방측으로 가압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재(55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1 가이드지지부(524)의 후단면 및 보조프레임(540)의 전단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되는바, 탄성부재(500)에 의해 보조프레임(540)은 후방측으로 가압되며, 그에 따라 이동바부재(560)와 연결된 제2 가이드프레임(530)이 후방측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프레임(520), 제2 가이드프레임(530) 및 탄성부재(550)는 모두 슬라이드프레임(516)의 이격거리 내에 배치되는 것이, 보조프레임(540)의 원활한 이동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완충유닛(500)은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부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바, 트랜스퍼카 장치(10)의 유지 보수에 과도한 시간 및 비용이 소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완충유닛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6의 (a)는 상부체인부재에 장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완충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는 상부체인부재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의 완충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인부재(410a)에 장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부재(520)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의 구동에 의해 상부체인부재(410a)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탄성부재(550)의 탄성력에 불구하고 이동바부재(520)는 전방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완충유닛(500)은 상부체인부재(410a)에 급작스러운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완충유닛(500) 자체가 신장됨으로써 급작스러운 장력 변화를 완충할 수 있다. 즉, 완충유닛(500)은 상부체인부재(410a)에 급작스러운 장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완충유닛(500) 자체가 신장되어 장력 변화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바, 체인부재(410a)가 급작스러운 장력 변화에 의해 절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유닛(500)은 완충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바,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이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퍼카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20)는 앞서 설명한 트랜스퍼카 장치(10)의 주요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는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리프팅 장치(20)의 구성 중 앞서 설명한 트랜스퍼 장치(10)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트랜스퍼카 장치(10)의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20)는 제1 이송라인(A)을 형성하는 제1 이송롤러들(30), 제2 이송라인(B)을 형성하는 제2 이송롤러들(50)을 포함하며, 제1 이송롤러들(30) 및 제2 이송롤러들(50)의 하부에는 트랜스퍼카유닛(200)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유닛(10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제1 이송롤러들(30) 및 제2 이송롤러들(5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재(110), 레일부재(110)에 승강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동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130)의 구동에 의해 트랜스퍼카유닛(200)은 제1 이송롤러들(30) 및 제2 이송롤러들(50) 상부측의 상승위치(X)와 제1 이송롤러들(30) 및 제2 이송롤러들(50) 하부측의 하강위치(Y)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다. 레일부재(110)의 일단부측에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달유닛(400)은 구동유닛(300)과 리턴롤러부재(420)에 지지되어 트랜스퍼카유닛(200)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부재(41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체인부재(410)의 일단은 트랜스퍼카유닛(200)의 전단에 구비되는 완충유닛(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카유닛과 레일부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레일부재 내부의 이물질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부재(110)는 이동휠부재(230)를 지지 가능한 지지면(112)이 상부측에 형성된 지지레일(111) 및 지지레일(111)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레일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재(110) 및 레일하우징(120)의 사이에는 지지프레임(115)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레일(111)은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 사이에는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 이격거리(d1)에 대응하는 폭으로 구비되는 유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5)은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115a) 및 제2 지지프레임(115b)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레일(111a), 제2 지지레일(11b) 및 제1 지지프레임(115a), 제2 지지프레임(115b)는 각각 체결구(113a, 113b)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15a) 및 제2 지지프레임(115b)은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의 이격거리(d1)와 대응하는 이격거리(d2)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프레임(115a) 및 제2 지지프레임(115b) 사이에는 제1 지지프레임(115a) 및 제2 지지프레임(115b)의 이격거리(d2)에 대응하는 폭으로 구비되는 보조유입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하우징(120)은 지지프레임(115)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지지프레임(115a) 및 제2 지지프레임(115b)은 각각 체결구(117a, 117b)에 의해 레일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하우징(120)에는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리턴공간(1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레일하우징(120)의 상단부에는 보조유입구(116)의 폭(d2)와 대응되는 폭(d3)으로 구비되는 상부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4)는 보조유입구(116) 및 상부개구(124)를 통해 리턴공간(122)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의 상부에는 각각 제1 지지면(112a) 및 제2 지지면(112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면(112a) 및 제2 지지면(112b)은 각각 레일부재(110)의 중심부측을 향해 하향경사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휠부재(230) 역시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과 대응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휠부재(230a) 및 제2 이동휠부재(230b)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면(112a) 및 제2 지지면(112b)은 레일부재(110)의 중심부측을 향해 각각 하향경사 배치되며, 제1 지지레일(111a) 및 제2 지지레일(111b) 사이의 유입구(114)는 리턴공간(122)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바, 지지레일(111)의 상부로 낙하된 버 또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제1 지지면(112a) 및 제2 지지면(112b) 상에서 미끄러져서 유입구(114)로 유입되며, 리턴공간(122)으로 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20)는 레일부재(110) 상에 버 및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바, 레일부재(110) 상에 누적된 이물질이 이동휠부재(230)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리턴공간(122)의 하부측에는 보조지지롤러부재들(430)이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리턴공간(122)을 통해 이동하는 하부체인부재(410b)는 보조지지롤러부재들(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체인부재(410b) 상부측에는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부개구(124)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차단프레임(128)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하우징(120)의 하단부측에는 리턴공간(122)과 레일하우징(120)의 하부측 외부를 연통 가능한 하부개구(126)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개구(126)는 차단프레임(128)의 양 측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하부개구(126a) 및 제2 하부개구(126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하부개구(126a) 및 제2 하부개구(126b)는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128)은 중심부측에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차단프레임(128)의 중심부가 차단프레임(128)의 양 측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개구(124)의 직하부에는 중심부에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형성된 차단프레임(128)이 배치되며, 레일하우징(120)의 하단부에는 차단프레임(128)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개구(126a, 126b)가 형성되는바, 상부개구(124)를 통해 유입된 버 및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차단프레임(128)에 의해 하부개구(126a, 126b) 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며, 리턴공간(122) 내의 이물질은 하부개구(126a, 126b)를 통해 레일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20)는 하부체인부재(410b)가 레일하우징(120)에 형성된 리턴공간(122)을 통해 이동하는바, 하부체인부재(410b)가 직접적으로 버 및 스케일 등의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부체인부재(410b)의 상부측에는 차단프레임(128)이 배치되는바, 버 및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상부체인부재(410b) 상에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체인부재(410)의 효과적인 보호 측면에서 차단프레임(128)의 폭(d4)은 하부체인부재(410b)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단프레임(128)의 폭(d4)이 보조지지롤러부재(430)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는 것이 이물질의 이염에 의한 체인부재(410)의 오염 방지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에 포함되는 트랜스퍼카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퍼카유닛(200)은 상단부에 안착면이 구비된 안착프레임(210), 안착프레임(2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안착프레임(220), 보조안착프레임(22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베어링블럭부재(224). 베어링블럭부재(224)에 형성된 베어링홀(227)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부재(240) 및 회전축부재(240)의 양 측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2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휠부재(230a,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휠부재(230)의 외측에는 보조고정부(244)가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삽입체결구(242)가 보조고정부(244)를 관통하여 회전축부재(240)에 고정됨으로써 이동휠부재(230)가 회전축부재(240)에 보다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블럭부재(224)에는 베어링홀(227)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들(225)이 구비되며, 베어링들(225)에 의해 회전축부재(240)의 원활한 회전이 보조될 수 있다. 베어링블럭부재(224)의 양 측단면은 이동휠부재(230a, 230b)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재(240)와 인접한 베어링블럭부재(224)의 일측에는 각각 링형의 씰링부재들(2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베어링홀(227)과 인접한 베어링블럭부재(224)의 양 측단면에는 베어링블러부재(224)의 양 측단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함몰되는 씰링홈(226)이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씰링홈(226)에는 회전축부재(24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는 씰링부재(260)가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씰링부재(260)는 씰링홈(226)에 삽입되어, 회전축부재(240)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바, 연속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베어링홀(22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20)는 베어링홀(227)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씰링부재(260)를 포함하는바, 수분 침투에 의해 베어링(225)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리프팅 장치(2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트랜스퍼카 장치 20: 리프팅 장치 100: 지지유닛
110: 레일부재 120: 레일하우징 130: 승강구동부재
200: 트랜스퍼카유닛 210: 안착프레임 220: 보조안착프레임
230: 이동휠부재 300: 구동유닛 400: 전달유닛
410: 체인부재 420: 리턴롤러부재 430: 보조지지롤러부재
500: 완충유닛 510: 고정프레임 520: 제1 가이드프레임
530: 제2 가이드프레임 540: 보조프레임 550: 탄성부재
560: 이동바부재

Claims (22)

  1.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이송라인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재 상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라인들 사이에서 피이송체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카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는 트랜스퍼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외력에 의해 신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일단 및 상기 체인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는, 트랜스퍼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전단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체인부재의 일단에 연결 가능한 연결부가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고정홀 상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바부재; 및
    상기 이동바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부재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트랜스퍼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고정프레임; 및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레일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홀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이동바부재가 관통 배치 가능한 이동홀이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
    상기 이동바부재의 하단부측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양 측단부에는 슬라이드프레임들과 대응하는 슬라이드홈들이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들의 이격거리 내에 배치되는, 트랜스퍼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제1 보조프레임 및 제2 보조프레임으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대응되는 제1 보조고정홈 및 제2 보조고정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결합시 상기 제1 보조고정홈 및 제2 보조고정홈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고정홀에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 상기 보조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의 분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보조프레임이 탈착되는, 트랜스퍼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보조고정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 가이드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지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의 후단면이 지지되는, 트랜스퍼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고정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지지부를 중심부측에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지지부의 전단면은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후단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가이드지지부의 후단면 및 상기 보조가이드프레임의 전단면 의해 지지되는, 트랜스퍼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을 형성하는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메인고정프레임은 나사 결합 가능한, 트랜스퍼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이동바부재의 후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고정홀이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의 전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정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이동바부재의 후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부재는 나사 결합 가능한, 트랜스퍼카 장치.
  10.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피이송체의 이송경로를 제공 가능한 제1 이송롤러들;
    상기 제1 이송라인과 나란한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피이송체의 이송경로를 제공 가능한 제2 이송롤러들;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이송라인 사이에서 상기 피이송체를 운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트랜스퍼카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에 이동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트랜스퍼카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피이송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상단면에 구비된 안착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안착프레임; 및
    상기 보조안착프레임에 고정 배치되되, 상기 레일부재 상에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휠부재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부재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레일부재의 타측 선단부측에 배치되는 리턴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리턴롤러부재에 무한궤도형으로 연결되되,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리턴롤러부재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상부체인부재 및 하부측의 하부체인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체인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리턴공간을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리프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이동휠부재를 지지 가능한 지지면이 상단부에 구비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측에서 상기 지지레일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턴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레일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레일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레일의 중심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휠부재는 상기 지지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휠부재의 양 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휠부재의 중심부측을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지지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레일의 중심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는 제1 지지레일 및 제2 지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레일의 상단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부개구가 형성된어 상기 리턴공간과 상기 유입구는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연통되는, 리프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하우징은 상기 레일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리턴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체인부재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체인부재의 상부측에 고정 배치되는 차단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의 중심부측에는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상기 차단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곡부 또는 만곡부가 형성된 상기 차단프레임의 중심부측은 상기 차단프레임의 양 측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은 상기 상부개구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리프팅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전달유닛은 상기 리턴공간의 하부측에서 상기 리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지지롤러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체인부재는 상기 보조지지롤러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리프팅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턴공간과 상기 레일하우징의 하부측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개구는 상기 차단프레임의 양 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레일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팅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이동휠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휠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보조안착프레임의 하단부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베어링들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는 베어링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블럭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링형으로 제공되어 상기 베러링홀의 양 측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홀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 가능한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휠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의 양 측단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중심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양 측단면이 상기 회전축부재의 내측면들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홀과 인접한 상기 베어링블럭부재의 양 측단면으로부터 상기 씰링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함몰 형성된 씰링홈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리프팅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일부재에 승강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승강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카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면이 상기 제1 이송롤러들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승위치 및 상기 안착면이 상기 제1 이송롤러들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들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강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리프팅 장치.
KR1020170095655A 2017-07-27 2017-07-27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1966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55A KR101966372B1 (ko) 2017-07-27 2017-07-27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55A KR101966372B1 (ko) 2017-07-27 2017-07-27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41A true KR20190012541A (ko) 2019-02-11
KR101966372B1 KR101966372B1 (ko) 2019-04-05

Family

ID=6537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55A KR101966372B1 (ko) 2017-07-27 2017-07-27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521A (zh) * 2019-07-31 2019-10-25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H型钢异形坯上下料台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23Y1 (ko) * 1995-11-21 2001-10-25 이구택 열연코일자동이송장치
KR20130034952A (ko) * 2011-09-29 2013-04-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날판 이송장치
KR20160121708A (ko) 2015-04-10 2016-10-20 동국제강주식회사 후판 제조용 압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23Y1 (ko) * 1995-11-21 2001-10-25 이구택 열연코일자동이송장치
KR20130034952A (ko) * 2011-09-29 2013-04-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날판 이송장치
KR20160121708A (ko) 2015-04-10 2016-10-20 동국제강주식회사 후판 제조용 압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521A (zh) * 2019-07-31 2019-10-25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H型钢异形坯上下料台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372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1845A (en) Friction roller conveyor
KR950007559B1 (ko) 로울러 컨베이어
KR20110020744A (ko) 중하물 운반용 지지 장치
CN104736459B (zh) 强制性驱动低张力传送输送机
KR101966372B1 (ko) 트랜스퍼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US3877568A (en) Apron conveyor for quarry equipment and the like
CN101346299A (zh) 乘客输送装置
SE500949C2 (sv) Kontinuerligt arbetande press för framställning av spånskivor, fiberplattor, plywood och liknande
KR102436075B1 (ko) 소재이송을 위한 블랭킹 라인용 컨베이어장치
KR20160047941A (ko) 컨베이어 장치
JP2520268B2 (ja) 二重ベルト式プレスのベルト支持のためにプレス範囲に配設されるロ―ラ用案内チエ―ン
JP5317150B2 (ja) ローラコンベヤ
US6450386B1 (en) Chain drawing machine for continuous drawing of drawing stock
JP2008230856A (ja) チェーン駆動されるグリッパブリッジによって枚葉紙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5137101B2 (ja) コンベヤ装置
KR101370077B1 (ko) 직각 방향 배출 체인 컨베이어
CN216686006U (zh) 一种用于脂肪含量检测设备
JP2006232507A (ja) 搬送装置
KR101157624B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20100024840A (ko) 스핀들 교체용 지그장치
US11261062B2 (en) Modular sheave unit
CN214140199U (zh) 一种新型齿条压轮
KR20170017052A (ko) 마사지모듈 이송용 이중롤러 가이드장치
JP2006199414A (ja) 冷却コンベア装置
KR101777700B1 (ko) 벨트 클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