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83A - 가설방음벽 - Google Patents

가설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83A
KR20190012083A KR1020170095006A KR20170095006A KR20190012083A KR 20190012083 A KR20190012083 A KR 20190012083A KR 1020170095006 A KR1020170095006 A KR 1020170095006A KR 20170095006 A KR20170095006 A KR 20170095006A KR 20190012083 A KR20190012083 A KR 2019001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wall
panel
wall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891B1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17009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주위를 담장 형태로 두르는 가설방음벽을 구축함에 있어, 단위 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 자유도가 높아 조립 및 시공이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층 흡음 구조를 통해 소음방지 효과를 높이고, 방음벽의 해체시 흡음재의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져 자원의 재활용성이 향상되며, 방음벽의 면 가운데 부분이 자중에 의해 쳐져서 변형되는 휨(warpage)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가설방음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종 공사 현장 주위에 단위 방음벽이 서로 연결 시공되어, 소음 및 분진 등을 공사현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가설방음벽으로서; 상기 단위 방음벽은: 공사 현장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배면부에 위치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패널과,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흡음재와, 상기 후면패널 면상의 다수개의 홀에 설치되며,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흡음재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방음벽과의 접속 및 연결을 위한 접속플러그 역할을 겸하는 정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설방음벽{TEMPORARY SOUNDPROOFING WALL}
본 발명은 가설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등에 구축되는 가설방음벽의 시공에 있어 단위 방음벽 간의 연결 자유도를 향상시켜 작업 유연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가설방음벽의 소음방지 효과와 재활용성 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 가설방음벽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 공사현장이나 공장, 폐기물 처리장 등이 건설 현장에는 공사장의 영역을 구획하여 일반인들의 출입을 차단하여 낙하물이나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공사장 내부차폐에 의한 공사소음의 차단 및 먼지 비산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담장 형태로 가설방음벽이 구축된다.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이 점차로 풍요로워 짐에 따라 이제는 여러 가지 환경 공해를 줄임으로써, 인간생활의 편의성과 함께 쾌적성을 보장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한 개발정책의 하나로 대두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쾌적한 생활을 위해 많은 공해 요소를 제한하면서 감소시켜가고 있는 가운데, 현대인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쾌적한 생활을 위해 필수적으로 감소시켜야 하는 공해는 바로 소음 및 먼지(분진) 공해이다.
이러한 소음 및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곳이 건물의 신축이나 개축 공사 등을 하는 각종 건설현장이다. 이 건설현장에서는 공사 시 각종 기계음 등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러한 공사 소음은 현장 주변에 위치한 주택, 사무실 또는 학교 등에 심각한 소음 공해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공사현장이 도로변에 위치한 경우 공사소음이 차량 소음과 합세하여 사람들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아파트나 신축 건물 등의 건설현장 주위에는 시공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등을 차단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공사기간 동안 소위 가설방음벽을 담장 형태로 설치하게 되며, 공사가 완료된 후 상기 가설방음벽을 철거한다.
이러한 가설방음벽은 스틸, RPP, EGI, AL 등의 다양한 소재와 형태를 가지며, 특히 방음벽의 단위 요소인 방음패널을 이루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흡음재를 내장하고 이들 간의 결합을 통해 조립을 완료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설방음벽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0976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4546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049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0344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36826호 등에서 다양하게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설방음벽은, 단위 방음벽을 상호 연결하여 건설현장 주위를 담장 형태로 두르는 방음벽을 구축함에 있어, 단위 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 자유도가 낮아 조립 및 시공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구조적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벽 설치 및 제거시 작업의 유연성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가설방음벽은, 단위 방음벽의 연결이 통상 암수 구조에 의한 조립 구조를 이루되 각도 변화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조립 구조를 이룸에 따라, 건설 현장의 주위 환경에 맞추어 원활하게 꺾인 상태를 이루도록 가설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바람직한 상황에서 그러하지를 못하고, 부자연스럽게 억지로 연결되거나, 아예 단위 방음벽 사이에 틈이 벌어진 채로 단순히 세운 상태가 되는 등 가설방음벽 구축에 있어 효과적으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며, 가설방음벽의 구축에 있어 연결 자유도가 떨어지고 구축 또는 해체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 효율이 낮고 작업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가설방음벽은, 내ㆍ외판재들 사이의 공간에 가득차고 내판재의 통공을 통해 국부적으로 노출되는 흡음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흡음재와 소음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작아서 흡음재의 면적대비 흡음효율이 극히 저조하고, 따라서 흡음이 미흡해 소음방지효과가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방음벽 내ㆍ외판재들 사이에서의 공간에 흡음재가 가득 차서 방음벽 공간 내로 소음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대기중으로 재반사되어 공간 내에서의 연속적인 난반사작용에 의한 소음의 상쇄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으로서, 방음벽의 소음제거 효율이 저조하고 따라서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음벽 공간에 내장되는 흡음재는 통상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시키고 있는데, 방음벽의 해체 후 재활용 시공간 내의 이질적인 흡음재를 분리시키어야 하는데 그 흡음재의 분리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자원의 재활용성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가설방음벽은, 관리 및 운반시 눕혀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통상 적층된 단위 방음벽 사이에 일정 갭(Gap)이 형성되도록 단위 방음벽의 양측 바깥쪽 부분에 받침대(미도시)가 층마다 설치되는데, 기존의 가설방음벽은 자체 하중으로 인해 가운데 부분이 쳐져서 휨(warpag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이러한 휨(warpage)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0976호(등록일자, 2017.04.2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45461호(등록일자, 2010.02.2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0498호(등록일자, 2009.12.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0344호(등록일자, 2009.05.2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36826호(등록일자, 2005.12.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적 설계된 가설 방음판을 안출한 것으로서, 건설현장 주위를 담장 형태로 두르는 가설방음벽을 구축함에 있어, 단위 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 자유도가 높아 조립 및 시공이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설방음벽 구축시 작업 유연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층 흡음 구조를 통해, 기존의 가설방음벽에 비해 소음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설방음벽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방음벽의 해체시 흡음재의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따라서 자원의 재활용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설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받침대에 지지되어 갭을 가지고 적층된 단위 방음벽의 면 가운데 부분이 자중에 의해 쳐져서 변형되는 휨(warpage)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가설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종 공사 현장 주위에 단위 방음벽이 서로 연결 시공되어, 소음 및 분진 등을 공사현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가설방음벽으로서,
상기 단위 방음벽은,
공사 현장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배면부에 위치하며 면상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패널과,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패널 면상의 다수개의 홀에 설치되며,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흡음재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방음벽과의 접속 및 연결을 위한 접속플러그 역할을 겸하는 정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설방음벽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은, 단위 방음벽을 상호 연결하여 건설현장 주위를 담장 형태로 두르는 방음벽을 구축함에 있어, 단위 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 자유도가 높아 조립 및 시공에 있어 작업 유연성과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부언컨대, 기존의 가설방음벽과 달리, 단위 방음벽의 연결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 부위의 연결 각도를 건설 현장의 환경에 맞추어 원활하게 조정가능하므로 가설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결국 가설방음벽 구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은, 기존의 가설방음벽에 비해 흡음 효율을 높여, 소음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벽 내ㆍ외판재를 다층 구조로 하여 일부 층에서는 흡음재가 소음의 대부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일부 흡음재에 흡수되지 못한 소음은 나머지 층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가설방음벽의 소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은, 단위 방음벽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는 흡음재가 접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접착 방식에 의하지 않고, 정착부재의 가압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방음벽의 해체시 흡음재의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재활용성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은, 관리를 위해 단위 방음벽들을 적층시, 적층된 방음벽들은 통상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데, 받침대에 지지되어 갭을 가지고 적층된 단위 방음벽의 휨(warpage)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음벽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에는, 단위 방음벽들을 눕혀 적층한 경우, 방음벽의 자체 하중으로 인해 가운데 부분이 쳐져서 휨(warpag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이러한 휨(warpage)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은 흡음재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재가 적층된 방음벽의 중간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도 겸함으로써 적층된 단위 방음벽의 휨(warpage)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보관 및 운반 등에 있어서 제품 손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설방음벽의 구성하는 단위 방음벽 상호 간의 직각방향으로의 연결을 보여주는 조립 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로서, 원 내부 그림은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요부 횡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12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각도로 단위 방음벽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각도로 단위 방음벽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각도로 단위 방음벽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17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각도로 단위 방음벽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전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요부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단위 방음벽(1)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각종 공사현장의 주위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 방음벽(1)은 공사 현장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10)과, 이 전면패널(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배면부에 위치하는 후면패널(30)과,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3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30)과 중간패널(20) 사이에는 스펀지 등의 흡음재(40)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패널(30)의 면상에는 다수개의 홀(3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위 방음벽(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홈 형태인 암결합부(101)와 돌기 형태의 수결합부(102)가 각각 방음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로써 단위 방음벽(1)들은 서로 이웃하는 방음벽과 일렬로 연결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홀(310)에는 후면패널(30)과 중간패널(20) 사이에 흡음재(40)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방음벽(1)과의 접속 및 연결을 위한 접속플러그 역할을 겸하는 정착부재(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정착부재(50)는 모든 홀(310)에 대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정착부재(50)는, 상기 홀(310)을 통해 진입함에 따라 상기 흡음재(40)를 압착하여 후면패널(30)과 중간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정착시키는 압착부(510)와, 상기 압착부(510)에 연결되며 후면패널(30)의 홀(310)을 막는 판상의 베이스부(520)와, 상기 베이스부(520)의 면상에 상기 압착부(510) 반대편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조작 손잡이를 겸하면서 이웃하여 조립되는 다른 단위 방음벽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암결합부(101)에 삽입되는 고정편(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착부재(50)의 압착부(5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중공 실린더 모양을 이루면서 끝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세레이션(serration; 510a)을 구비한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중공 구조가 아니라 속이 찬 원통 모양이면서 끝단 면상에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530)은, 상기 베이스부(520)의 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상의 블록 구조를 이루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고정편(53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상의 블록 구조 대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상의 블록이 이루는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하나의 블록 형태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후면패널(30)의 면상에 배치되는 홀(310)의 내주면 상에는 홀(310)을 통해 조립되는 정착부재(50)에 대한 조립 방향 결정을 위한 위치결정홈(310a)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재(50)의 압착부(510) 외주면 상에는 상기 위치결정홈(310a)에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51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착부재(50)의 압착부(510) 외주면의 위치결정돌기(510b)가 형성된 위치를 벗어난 영역에는, 홀(310)을 통해 조립되는 정착부재(50)가 후면패널(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510c)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510c)은 압착부(510)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좌,우 양측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조립을 위한 가압시에 상기 홀(310)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홀(310) 내측으로 삽입이 완료됨에 따라 홀(310) 내측면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위 방음벽(1)의 후면패널(30) 상에 형성된 홀(310) 중에서 적절한 위치에 정착부재(5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후면패널(30)과 중간패널(20) 사이에는 흡음재(40)가 위치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정착부재(50)는 홀(310)에 조립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조립되는데, 이는 다른 단위 방음벽(1)과의 연결을 고려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정착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위 방음벽(1)들을 직각 방향으로의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위 방음벽(1)의 암결합부(101)와 그에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에 조립된 정착부재(50)를 정렬한다.
그 다음, 정렬방향으로 그대로 서로 형합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방음벽(1) 상호간의 직각 방향 연결이 완료된다.
즉, 단위 방음벽(1)이 직각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위 방음벽(1)에 조립된 장착부재의 고정편(530)이 타측 단위 방음벽(1) 가장자리에 구비된 암결합부(101)에 삽입되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위 방음벽(1)이 직각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단위 방음벽(1)을 상호 연결하여 건설현장 주위를 담장 형태로 두르는 방음벽을 구축함에 있어, 단위 방음벽(1) 상호 간의 연결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가설방음벽(W)의 시공에 있어 작업 유연성과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은 단위 방음벽(1)의 연결이 일(一)자 형태로만 되던 기존에 비해 현장 환경에 맞추어 원활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가설방음벽 상호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결국 가설방음벽 구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방음벽 내ㆍ외판재를 다층 구조로 하여 일부 층에서는 흡음재(40)가 소음의 대부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일부 흡음재(40)에 흡수되지 못한 소음은 나머지 층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가설방음벽의 소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가설방음벽에 비해 흡음 효율을 높이고 소음방지 효과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단위 방음벽(1)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는 흡음재(40)가 접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접착 방식에 의하지 않고, 정착부재(50)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방음벽의 해체시 흡음재(40)의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재활용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은, 받침대에 지지되어 갭(Gap)을 가지고 적층된 단위 방음벽(1)의 휨(warpage)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위 방음벽(1)의 제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정착부재(50)가 흡음재(40)를 고정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단위 방음벽(1)의 면 중간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도 겸하게 되며, 이로써 적층된 단위 방음벽(1)의 휨(warpage)을 방지하게 되어, 제품 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실시 예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1 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부재(60)는 봉 형상의 구조로서,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6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홈(610)은 커넥팅부재(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커넥팅부재(60)의 단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한편, 커넥팅부재(60)의 중앙에는 중공부를 둠으로써, 재료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립홈(610)은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4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커넥팅부재(60)를 어느 방향으로 하더라도 쉽게 정착부재(50)와 조립되어 방음벽의 연결 작업이 한층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방음벽(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 및/혹은 수결합부(102)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단위 방음벽(1)들 상호간의 직각 방향으로의 연결이 가능하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방음벽(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 및/혹은 수결합부(10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도, 커넥팅부재(60) 및 정착부재(50)에 의해 단위 방음벽(1)들 상호간의 직각 방향으로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방음벽 구조 및 연결 구조의 다양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 역시, 작업 유연성과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됨은 물론, 소음 방지 효율 및 재활용성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됨은 전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예 3]
도 8과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2 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및 둔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가 더 구비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립홈(610)들은,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서로 6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실제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 별도로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 이웃하는 두 단위 방음벽(1) 간의 예각을 이루는 연결도 가능하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b에서는, 커넥팅부재(60)의 일측 조립홈(610)에 일측 단위 방음벽(1)에 고정된 정착부재(50)의 고정편(530)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부재(60)의 타측 조립홈(610)에는 타측 단위 방음벽(1) 가장자리에 구비된 수결합부(102)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게 단위 방음벽(1)이 상호 연결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술한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나 수결합부(102)가 없는 구성인 단위 방음벽(1) 상호 간의 정착부재(50)를 이용한 연결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조의 커넥팅부재(60)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 예 4]
도 11과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3 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11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및 둔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로서, 제2 또는 제3실시 예의 커넥팅부재(60)의 기하학적으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610)들이 형성되는데,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12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두 개의 조립홈(610)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홈(610)이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웃하는 두 단위 방음벽(1) 간의 예각을 이루는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b에서는, 커넥팅부재(60)의 일측 조립홈(610)에 일측 단위 방음벽(1)에 고정된 정착부재(50)의 고정편(530)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부재(60)의 타측 조립홈(610)에는 타측 단위 방음벽(1) 가장자리에 구비된 수결합부(102)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게 방음벽들이 상호 연결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술한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나 수결합부(102)가 없는 구성인 단위 방음벽(1) 상호 간의 정착부재(50)를 이용한 연결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조의 커넥팅부재(60)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 예 5]
도 14와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4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4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14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및 둔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로서, 제2 내지 제4실시 예의 커넥팅부재(60)의 기하학적으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610)들이 형성되는데,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6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3개의 조립홈(610)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수돌기(620)가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12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2개의 조립홈(610)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수돌기(620)가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웃하는 두 단위 방음벽(1) 간의 예각을 이루는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b에서는, 커넥팅부재(60)의 일측에 구비된 조립홈(610)에 일측 단위 방음벽(1)에 고정된 정착부재(50)의 고정편(530)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부재(60)의 타측에 구비된 조립용 수돌기(620)에는 타측 단위 방음벽(1) 가장자리에 구비된 암결합부(101)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게 방음벽들이 상호 연결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술한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나 수결합부(102)가 없는 구성인 단위 방음벽(1) 상호 간의 정착부재(50)를 이용한 연결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조의 커넥팅부재(60)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 예 6]
도 17과 도 18,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5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5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17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및 둔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로서, 제5실시 예의 커넥팅부재(60)의 기하학적으로 변형된 구조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610)들이 형성되는데,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6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3개의 조립홈(610)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광폭홈(630)이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광폭홈(630)은 방음벽의 전체 두께(T), 즉, 전면패널(10)로부터 후면패널(30)에 이르기까지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커넥팅부재(60)의 어느 일측 조립홈(610)으로는 일측 단위 방음벽(1) 측의 정착부재(50)가 삽입되고, 광폭홈(630)으로는 일측 단위 방음벽(1)에 이웃하게 연결되는 타측 단위 방음벽(1)의 가장자리 전체가 삽입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b에서는, 커넥팅부재(60)의 일측 조립홈(610)에 일측 단위 방음벽(1)에 고정된 정착부재(50)의 고정편(530)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부재(60)의 타측 광폭홈(630)으로는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에 가장자리 전체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이 상호 연결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술한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나 수결합부(102)가 없는 구성인 단위 방음벽(1) 상호 간의 정착부재(50)를 이용한 연결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조의 커넥팅부재(60)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팅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 방음벽(1) 간의 예각을 이루는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 예 7]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 예의 가설방음벽(W)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기타 제2실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W)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1)의 직각 방향의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재(60)로서, 제2실시 예의 커넥팅부재(60)의 기하학적으로 변형된 구조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팅부재(60)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610)과 소음 저감을 위한 스파이럴부(640)가 형성되는데, 커넥팅부재(6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 영역에는 9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2개의 조립홈(610)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 영역에는 소음 저감을 위한 스파이럴부(64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방음벽(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암결합부(101) 및/혹은 수결합부(10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도, 커넥팅부재(60) 및 정착부재(50)에 의해 단위 방음벽(1)들 상호간의 직각 방향으로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방음벽 구조 및 연결 구조의 다양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스파이럴부(640)에서 단위 방음벽(1)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설방음벽의 소음 방지 효과를 한층 강화시키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스파이럴부(640)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단면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단면 입구측을 통하여 나선형 단면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은 나선형 단면 내측으로 유도되고, 이렇게 유도된 소음들은 서로 상쇄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유입된 소음의 상당량이 소멸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방음벽(1)의 단면 형태를 방음 효과 향상을 위한 2중 복층 구조, 후면패널(30)과 중간패널(20) 사이에 구비된 흡음재(40), 그리고 이에 더하여 소음 저감을 위한 스파이럴부(640) 등으로 인해, 소음 방지 성능 및 효과가 기존의 가설방음벽에 비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W: 가설방음벽 1: 단위 방음벽
10: 전면패널 20: 중간패널
30: 후면패널 310: 홀
310a: 위치결정홈 40: 흡음재
50: 정착부재 510: 압착부
510a: 세레이션 510b: 위치결정돌기
510c: 걸림편 520: 베이스부
530: 고정편 101: 암결합부
102: 수결합부 60: 커넥팅부재
610: 조립홈 620: 조립용 수돌기
630: 광폭홈 640: 스파이럴부

Claims (18)

  1. 각종 공사 현장 주위에 단위 방음벽이 서로 연결 시공되어, 소음 및 분진 등을 공사현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가설방음벽으로서;
    상기 단위 방음벽은:
    공사 현장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배면부에 위치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패널과,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흡음재와,
    상기 후면패널 면상의 다수개의 홀에 설치되며, 상기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에 흡음재를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방음벽과의 접속 및 연결을 위한 접속플러그 역할을 겸하는 정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재는,
    상기 홀을 통해 진입함에 따라 상기 흡음재를 압착하여 후면패널과 중간패널 사이의 공간에 정착시키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연결되며 후면패널의 홀을 막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면상에 상기 압착부 반대편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조작 손잡이를 겸하면서 이웃하여 조립되는 다른 단위 방음벽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암결합부에 삽입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재의 압착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중공 실린더 모양을 이루면서 끝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세레이션(serration)을 구비한 형태를 이루거나,
    속이 찬 원통 모양이면서 끝단 면상에 세레이션이 구비되는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상의 블록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면상에 배치되는 홀의 내주면 상에는 홀을 통해 조립되는 정착부재에 대한 조립 방향 결정을 위한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재의 압착부 외주면 상에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재의 압착부 외주면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된 위치를 벗어난 영역에는, 홀을 통해 조립되는 정착부재가 후면패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압착부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좌,우 양측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조립을 위한 가압시에 상기 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홀 내측으로 삽입이 완료됨에 따라 홀 내측면에 걸려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방음벽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암결합부와 수결합부가 각각 방음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단위 방음벽이 소정의 사이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팅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는 봉 형상의 구조로서, 커넥팅부재의 외주면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커넥팅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커넥팅부재의 단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커넥팅부재의 단면 둘레를 따라 90도 혹은 60도 혹은 120 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60도 혹은 12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조립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수돌기가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12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두 개의 조립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홈 혹은 조립용 수돌기가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12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2개의 조립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수돌기가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상 반쪽에는 60도의 사이 각을 이루도록 3개의 조립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에는 하나의 조립용 광폭홈이 나머지 반쪽 영역의 중앙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재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립홈과 소음 저감을 위한 스파이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


KR1020170095006A 2017-07-26 2017-07-26 가설방음벽 KR10199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06A KR101999891B1 (ko) 2017-07-26 2017-07-26 가설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06A KR101999891B1 (ko) 2017-07-26 2017-07-26 가설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83A true KR20190012083A (ko) 2019-02-08
KR101999891B1 KR101999891B1 (ko) 2019-07-12

Family

ID=6536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006A KR101999891B1 (ko) 2017-07-26 2017-07-26 가설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20B1 (ko) * 2021-03-24 2022-03-29 설창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에서 생산된 재활용 또는 재생 토분을 활용한 비산먼지 방지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22U (ja) * 1993-09-14 1995-04-07 株式会社田窪工業所 支柱と横材及び壁材の係着装置
JPH0791874B2 (ja) * 1988-01-25 1995-10-09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間仕切り用の支柱装置
JPH08128127A (ja) * 1994-11-01 1996-05-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防音パネル
JPH10179300A (ja) * 1996-12-27 1998-07-07 Shiraishi Kogyo Kk パーテーション装置およびジョイント部材用の押出し成形材
JP2004150185A (ja) * 2002-10-31 2004-05-27 Takamura Sogyo Kk 車両通行帯における防音壁の施工方法
KR200357076Y1 (ko) * 2004-04-21 2004-07-22 박선호 안전 펜스
JP2005139614A (ja) * 2003-11-04 2005-06-02 Tsuneo Goto スパイラル支柱
KR100536826B1 (ko)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방음벽용 방음벽체
KR100900344B1 (ko) 2007-06-21 2009-06-02 금호산업 주식회사 가설 방음벽 조립체
KR100930498B1 (ko) 2009-07-23 2009-12-09 (주)부창기술 가설용 방음 벽체
KR100945461B1 (ko) 2007-11-26 2010-03-05 (주)신아이엔피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20140032683A (ko) * 2012-09-07 2014-03-17 김남년 가설 방음판의 후면판넬 및 상기 가설 방음판
JP2016108895A (ja) * 2014-12-10 2016-06-20 ジャパン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パネルの連結構造
KR101730976B1 (ko) 2016-06-07 2017-04-27 신성컨트롤(주)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1874B2 (ja) * 2017-07-20 2022-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塩、酸発生剤、レジスト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874B2 (ja) * 1988-01-25 1995-10-09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間仕切り用の支柱装置
JPH0719422U (ja) * 1993-09-14 1995-04-07 株式会社田窪工業所 支柱と横材及び壁材の係着装置
JPH08128127A (ja) * 1994-11-01 1996-05-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防音パネル
JPH10179300A (ja) * 1996-12-27 1998-07-07 Shiraishi Kogyo Kk パーテーション装置およびジョイント部材用の押出し成形材
JP2004150185A (ja) * 2002-10-31 2004-05-27 Takamura Sogyo Kk 車両通行帯における防音壁の施工方法
JP2005139614A (ja) * 2003-11-04 2005-06-02 Tsuneo Goto スパイラル支柱
KR200357076Y1 (ko) * 2004-04-21 2004-07-22 박선호 안전 펜스
KR100536826B1 (ko)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방음벽용 방음벽체
KR100900344B1 (ko) 2007-06-21 2009-06-02 금호산업 주식회사 가설 방음벽 조립체
KR100945461B1 (ko) 2007-11-26 2010-03-05 (주)신아이엔피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100930498B1 (ko) 2009-07-23 2009-12-09 (주)부창기술 가설용 방음 벽체
KR20140032683A (ko) * 2012-09-07 2014-03-17 김남년 가설 방음판의 후면판넬 및 상기 가설 방음판
JP2016108895A (ja) * 2014-12-10 2016-06-20 ジャパン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パネルの連結構造
KR101730976B1 (ko) 2016-06-07 2017-04-27 신성컨트롤(주)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891B1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891B1 (ko) 가설방음벽
KR101999892B1 (ko) 가설방음벽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KR101891927B1 (ko) 가설방음벽
CN112696054A (zh) 一种降噪工地房建筑结构
KR20200029884A (ko)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190017312A (ko) 가설방음벽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20070005334A (ko) 조립식 벽체판넬과 이를 이용한 건물벽체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WO2013054571A1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KR100675225B1 (ko) 차음성능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경량벽체 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JP6946028B2 (ja) 建物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20030767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의 이음 구조물
KR101320709B1 (ko) 보강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KR20120140283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
KR101078219B1 (ko)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
KR200341900Y1 (ko)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KR101669250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가설 방음벽
JP2775143B2 (ja) 浴室ユニット用防水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1587058B1 (ko) 건축물을 통한 소음진동 방음 구조
KR102179341B1 (ko) 흡음단열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