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981A - 에어셀 부표 - Google Patents

에어셀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981A
KR20190011981A KR1020170094771A KR20170094771A KR20190011981A KR 20190011981 A KR20190011981 A KR 20190011981A KR 1020170094771 A KR1020170094771 A KR 1020170094771A KR 20170094771 A KR20170094771 A KR 20170094771A KR 20190011981 A KR20190011981 A KR 2019001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oy
air cell
film member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to KR102017009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981A/ko
Publication of KR2019001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셀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융착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 구조를 통해,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부표 외주면을 형성하여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셀 부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셀 부표{An air-cell buoy}
본 발명은 에어셀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융착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 구조를 통해,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부표 외주면을 형성하여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셀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부이(buoy) 또는 부구(浮具)라고도 함.)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또한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부표는 대부분 스티로폼으로 제작되어 해상에 설치되었으며, 이러한 스티로폼 부표의 경우 자체의 부력으로 해수면 상에 흰색이 노출되거나 또는 스티로폼 표면에 빨강색이나 노란색 등의 특정 색을 도포하여 부표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표는 파도나 풍랑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부서지는 단점이 있어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 하며, 부표 구입 및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표가 부서지거나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스티로폼 조각 및 부스러기 등이 해수면 상을 덮어 해양 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해수오염을 일으키는 심각한 원인물질로 분류되어 사용규제가 검토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스티로폼 부표는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부피의 크기에 비하여 부력 성능이 저조하며, 오랜 시간 사용시 수압에 의하여 부피가 줄어들고 부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 부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공기주입식 부표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482호의 "에어셀 부표"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482호는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를 내측에 일체로 구비하는 포켓 형태의 부표외피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를 구성하여, 에어셀 필름부재에 구비된 공기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충진한 후,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 필름부재를 포켓 형태의 부표외피 내로 말아 넣고, 개폐부재를 통해 부표외피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부표 형성 과정에서,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 필름부재를 포켓 형태의 부표외피 내로 말아 넣고 개폐부재(방수지퍼 또는 밸크로 테이프)를 통해 부표외피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하고 있으나, 개폐부재를 통해 포켓 형태의 부표외피를 밀폐한다 하더라도, 해상에서의 부표 사용 과정에서 해상의 혹독한 환경이나 수압에 의해 개폐부재의 틈새를 통해 부표외피의 포켓 내부로 해수가 침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표외피의 포켓 내로 해수가 차게되어 부표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부표외피의 포켓 내로 장기간 해수가 침투되는 경우 포켓 내에 구비된 다수개의 에어셀이 해수에 의해 훼손되어 부표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제조 과정에서 에어셀 필름부재를 제조한 후,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에 포켓 형태의 부표외피를 융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 과정이 번거롭고, 한정된 사이즈의 부표외피 포켓 내에 에어셀 필름부재를 수납하여 부표를 형성함에 따라, 제조상 부표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482호(등록일: 2017.01.23)의 "에어셀 부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융착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 구조를 통해,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부표 외주면을 형성하여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셀 부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에 설치되는 부표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셀 필름부재; 및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부표 외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체로 구비된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와 부표 외피부재를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으며, 다수개의 에어셀이 각각 독립적으로 건전성이 유지됨에 따라 부표로서의 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에어셀 부표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에어셀 부표에 공기를 주입하고 둥글게 말아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 2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에 공기를 충진하고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통 형태로 말려진 에어셀 부표에 고정끈을 체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구성된 에어셀 부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 2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에 공기를 충진하고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통 형태로 말려진 에어셀 부표에 고정끈을 체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117)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1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되는 에어셀 필름부재(100); 및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100)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부표 외피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기주입구(117)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115)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200)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체로 구비된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를 둥글게 말아 고정끈(300)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융착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 구조를 통해,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부표 외주면을 형성하여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면 중 에어셀 필름부재(100)를 기준으로, 에어셀 필름부재(100)의 짧은 폭 측이 횡방향이고, 긴 폭의 측이 종방향이며, 에어셀 필름부재(100)에서 공기주입구(117)가 형성된 쪽을 전단부 그 반대편을 후단부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도면에서 필름(상부외피(110), 하부외피(120),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의 내부에 도시된 실선은 상면에 형성된 융착부를 나타내며, 점선은 저면에 형성된 융착부를 나타낸다.
에어셀 필름부재(100)는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117)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주입구(1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 필름부재(100)는,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주입구(117)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주입로(116)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로(116)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을 형성하는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와; 상기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상기 공기주입로(116)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셀(115) 사이를 개폐하는 공기유입통로(142)를 형성하는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는 합성수지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는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셀(115)을 형성하고,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주입로(116)를 형성하는 동시에, 공기주입로(116) 전단 일측에 공기주입구(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는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주입로(116)와 에어셀(115) 사이를 연통하는 공기유입통로(142)를 개폐하는 밸브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 역시 합성수지 등의 필름으로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하부외피(120) 및 상부외피(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는 하부외피(120) 및 상부외피(1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내피(140)의 측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형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대(141)는 상·하부내피(130,140)의 융착시 하부내피(140)와 상부내피(130)가 서로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형대(141)가 형성된 부분에 공기주입로(116)와 다수개의 에어셀(115)을 연통하며 밸브 역할을 하는 공기유입통로(142)가 형성된다.
부표 외피부재(200)는 에어셀 필름부재(100)를 구성하는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하부외피(120)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됨으로써 에어셀 필름부재(100)에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부표 외피부재(20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다양한 합성수지재 또는 직물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표 외피부재(20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타폴린(polyethylene tarpaulin, PE tarpaulin), 폴리염화비닐 시트(polyvinyl chloride seet, PVC seet), 폴리염화비닐 타폴린(polyvinyl chloride tarpaulin, PVC tarpauli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고내열성 폴리아미드(polyphtalamide, PPA) 또는 알루미늄 합지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재질의 부표 외피부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방수성능, 방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성질이 있고, 폴리아미드 및 고내열성 폴리아미드의 경우에는 방수성능,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성질이 있으며, 알루미늄 합지 필름의 경우, 방수성능은 물론 내후성(weather resistance), 내식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어, 상기 부표 외피부재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재질 외에도 다양한 열차단 필름이나 자외선 차단 필름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표 외피부재(200)는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통해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 에어셀 부표의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외피(110,120) 및 상·하부내피(130,140)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를 상호 일체로 융착하여 에어셀 부표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를 융착하여 에어셀 부표를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 외피부재(200)가 최하부에 배치되도록 상부외피(110), 하부외피(120) 및 부표 외피부재(200)를 차례로 배치하여 중첩시킨 다음, 중첩된 상·하부내피(130,140)를 상·하부외피(110,120) 사이에 삽입시키고, 상부외피(110),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를 부분적으로 융착함으로써 내부융착부(131)를 형성하여 상부외피(110),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를 서로 융착시킨다. 이때, 내부융착부(131)에서 이형대(141)가 형성된 부분에 공기주입로(116)와 다수개의 에어셀(115)을 연통하며 밸브 역할을 하는 공기유입통로(142)가 형성된다.
이후, 상·하부내피(130,140)가 개재된 상·하부외피(110,120)와 부표 외피부재(200)를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일정한 간격마다 횡방향 융착부(111)를 형성하고, 횡방향 융착부(111)의 양측단에 각각 제1 및 제3 종방향 융착부(112,114)를 형성하여 마감함으로써, 상·하부외피(110,120) 내에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을 형성하며, 제1 종방향 융착부(112) 측단에는 상·하부외피(110,120)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종방향 융착부(113)를 형성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113)는 제1 종방향 융착부(112)와 함께 공기주입로(116)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부표 외피부재(200)는 횡방향 융착부(111)와 제1 내지 제3 종방향 융착부(112,113,114)에 의해 하부내피(140)의 후면에 융착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로(116)에는 전단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기주입구(1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에어셀 부표는, 공기주입구(117)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주입구(117)로 주입된 공기가 공기주입로(116)를 통해 공기유입통로(142)를 지나 다수개의 에어셀(115)로 충진되며, 이때 다수개의 에어셀(115)은 밸브 역할을 하는 상·하부내피(130,140)에 의해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에어셀(115)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손된 에어셀(115) 외에 다른 에어셀(115)은 각각 독립적으로 건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에어셀 필름부재를 구성하는 하부외피의 후면에 부표 외피부재를 일체로 융착하여 에어셀 필름부재와 부표 외피부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에어셀 부표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에어셀 필름부재를 구성하는 상부외피의 전면에 부표 외피부재를 일체로 융착하여 에어셀 부표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되어 형성된 에어셀 부표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117,도2 참조)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115)에 공기를 주입하여 충진하고, 부표 외피부재(200)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에어셀 부표를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한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말려진 에어셀 부표의 외주면 둘레에 고정끈(300)을 감아 에어셀 부표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되어 구성되는 에어셀 부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경량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부표 형성시, 단순히 공기주입구(117)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115)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200)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300)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부표 사용 과정에서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으며,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200)를 통해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에어셀 부표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표 사용 과정에서 에어셀(115)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손된 에어셀(115) 이외에 다른 에어셀(115)은 각각 독립적으로 건전성이 유지됨에 따라 부표로서의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되어 제조되는 에어셀 부표는,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간편하며, 전개 상태의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에어셀 부표에 공기를 주입하고 둥글게 말아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된 부분에, 전개된 부표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점융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 부표에 형성된 에어셀(115)에 공기를 충진하는 경우, 각각의 에어셀(115)에서 점융착부(118,도2 참조)가 형성된 부분에 상대적으로 공기가 덜 충진됨에 따라 해당 부분에 오목한 홈(1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 부표를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고, 고정끈(300)을 통해 에어셀 부표의 외주면을 감아 고정하는 과정에서, 원통형으로 말려진 에어셀 부표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19)을 따라 고정끈(300)을 감아 에어셀 부표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홈(119) 내측에 고정끈(300)이 감겨짐에 따라 에어셀 부표를 원통 형태로 공고히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끈(300)이 에어셀 부표에서 이탈하거나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셀 부표의 형태를 고정하는 고정끈(300)을 연장하여 다른 에어셀 부표와 연결하거나, 또는 기타 해상 구조물에 연결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 부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양한 용도의 끈이 장착되는 아일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 부표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아일렛(400)에는 다양한 용도의 끈을 연결하여, 에어셀 부표 간을 연결하거나, 해상 구조물에 에어셀 부표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에어셀 부표의 하단부에 그물, 차단막 또는 무게추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셀 필름부재와 부표 외피부재가 일체로 융착된 에어셀 부표를 부표외피로 형성하고, 이와 같은 부표외피 내측에 다수개의 에어셀을 갖는 별도의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를 구비하여,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구성된 에어셀 부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에 공기가 충진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를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에어셀(115)에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된 에어셀 부표외피(500)를 둘러서 감싸 고정끈(300)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는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상부외피, 하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형성된 것으로, 부표 외피부재(200) 없이,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일측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된 에어셀 부표외피(500)는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에어셀 부표와 그 기본구조가 동일하게 제조되며, 공기가 충진되어 원통형으로 말려진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부표의 외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공기가 충진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를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의 외주면에, 다시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부표 외피부재(200)가 일체로 융착된 에어셀 부표외피(500)를 감싸고 고정끈(300)을 통해 고정하여, 에어셀 부표를 내측의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외측의 에어셀 부표외피(500)로 이루어지는 투 피스(two piece)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구조를 통해 부표 내부는 종래의 에어셀 필름부재로 충진하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200)를 부표 외측에만 형성할 수 있어 에어셀 부표의 생산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부피가 큰 에어셀 부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에어셀 부표외피(500)에서 다수개의 에어셀(115)이 형성된 부분에는 점융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에어셀 부표외피(500)의 외주면에 고정끈(300)을 감기 위한 홈(119)을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와 에어셀 부표외피(5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다양한 용도의 끈이 장착되는 아일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에 구비된 아일렛(400)과, 에어셀 부표외피(500)에 구비된 아일렛(400)을 끈이나 클립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부표 내부에 충진되는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100')가 부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아일렛(400)을 통해 에어셀 부표 간을 연결하거나, 해상 구조물에 에어셀 부표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에어셀 부표의 하단부에 그물, 차단막 또는 무게추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밀봉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필름부재에 일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제공하는 부표 외피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부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부표 형성 과정에서도,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가 다수개의 에어셀을 통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기 때문에 부표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더라도 부표 내부에 물이 차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감으로써 부표가 침수되거나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으며, 다수개의 에어셀이 각각 독립적으로 건전성이 유지됨에 따라 부표로서의 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방수 기능 및 방청 기능을 갖는 부표 외피부재를 통해 해상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에어셀 부표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부표는, 전개 상태로 펼쳐진 에어셀 부표를 원하는 크기만큼 횡방향으로 잘라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에어셀 부표에 공기를 주입하고 둥글게 말아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크기로 부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에어셀 필름부재 110 : 상부외피
111 : 횡방향 융착부 112 : 제1 종방향 융착부
113 : 제2 종방향 융착부 114 : 제3 종방향 융착부
115, 115' : 에어셀 116 : 공기주입로
117 : 공기주입구 118 : 점융착부
119 : 홈 120 : 하부외피
130 : 상부내피 131 : 내부융착부
140 : 하부내피 141 : 이형대
142 : 공기유입통로 200 : 부표 외피부재
300 : 고정끈 400 : 아일렛
500 : 에어셀 부표외피 100' :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

Claims (10)

  1. 해상에 설치되는 부표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셀 필름부재; 및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부표 외피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일체로 구비된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와 부표 외피부재를 둥글게 말아 고정끈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는,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주입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로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에어셀을 형성하는 상부외피 및 하부외피와;
    상기 상부외피 및 하부외피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상기 공기주입로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셀 사이를 개폐하는 공기유입통로를 형성하는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한 공기 주입시, 공기주입구로 주입된 공기가 공기주입로를 통해 공기유입통로를 지나 다수개의 에어셀로 충진되되, 상기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가 충진되면 공기유입통로가 폐쇄되어, 상기 다수개의 에어셀이 각각 독립적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외피부재는,
    상기 상부외피의 전면 또는 하부외피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부표에는,
    전개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된 부분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점융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부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아일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외피부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타폴린(polyethylene tarpaulin, PE tarpaulin), 폴리염화비닐 시트(polyvinyl chloride seet, PVC seet), 폴리염화비닐 타폴린(polyvinyl chloride tarpaulin, PVC tarpauli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고내열성 폴리아미드(polyphtalamide, PPA), 알루미늄 합지 필름, 열차단 필름 또는 자외선 차단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외피의 표면에는,
    자외선 차단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8. 해상에 설치되는 부표에 있어서,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 및
    다수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셀 필름부재와, 상기 에어셀 필름부재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부표 외피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셀 부표외피;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와 상기 에어셀 부표외피의 에어셀 필름부재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셀에 공기를 충진하고, 상기 공기가 충진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를 둥글게 말아 원통형으로 형성한 후,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의 외주면에, 부표 외피부재가 부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에어셀 부표외피를 감싸 고정끈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부력을 갖는 부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부표외피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아일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에어셀 필름부재와 에어셀 부표외피는,
    각각에 구비된 아일렛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부표.
KR1020170094771A 2017-07-26 2017-07-26 에어셀 부표 KR20190011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71A KR20190011981A (ko) 2017-07-26 2017-07-26 에어셀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71A KR20190011981A (ko) 2017-07-26 2017-07-26 에어셀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981A true KR20190011981A (ko) 2019-02-08

Family

ID=6536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71A KR20190011981A (ko) 2017-07-26 2017-07-26 에어셀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9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482Y1 (ko) 에어셀 부표
KR101691455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20190011981A (ko) 에어셀 부표
KR101763100B1 (ko)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US2423889A (en) Watertight bag
US20110299931A1 (en) Containment Boom
KR200482789Y1 (ko)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KR20170083000A (ko) 친환경 부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21233B1 (ko) 붐장치
US10926615B2 (en) Protective vehicle enclosure
JP2014000364A (ja) 水に浮くランドセル
CN107646767A (zh) 具有多层空气结构的浮力装置
KR101304584B1 (ko) 휴대용 부표
CN204580206U (zh) 多功能浮标防水袋
CN205728539U (zh) 一种箱包防水漂浮救生装置
CN205884937U (zh) 一种用于电子产品的漂浮装置
KR20100006896A (ko) 보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0215210A (ja) 車両水害対策グッズ
US5102262A (en) Fence for enclosing impurities floating on water
KR20200032605A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20200002302U (ko)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KR20180063476A (ko)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JPS583862Y2 (ja) オイルフエンス
CN112093014B (zh) 一种双封闭干式轻装潜水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