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87A -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 Google Patents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87A
KR20190011887A KR1020170094483A KR20170094483A KR20190011887A KR 20190011887 A KR20190011887 A KR 20190011887A KR 1020170094483 A KR1020170094483 A KR 1020170094483A KR 20170094483 A KR20170094483 A KR 20170094483A KR 20190011887 A KR20190011887 A KR 2019001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tunnel
charge
parallax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 filed Critical 박진
Priority to KR102017009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887A/ko
Publication of KR2019001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은 굴착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터널 단면의 일부를 선굴착하는 선대구경 굴착 단계, 선대구경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장약공을 천공하는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각각의 장약공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을 충전하는 장약 충전 단계, 각각의 장약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발파되는 시차 발파 단계,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공간의 버력을 제거하는 버력 제거 단계,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굴착면이 지탱되어 보존될 수 있도록 지보재를 설치하는 지보재 설치 단계 및 터널의 바닥면까지 벤치를 제거하는 벤치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내지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되거나, 선대구경 굴착 단계 내지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Description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METHOD FOR DIGGING HUGE TUNNEL USING TNNNEL BORING MECHINE}
본 발명은 대단면을 지닌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BM(tunnel boring machine)을 통해 선대구경을 선굴착 후 선대구경을 중심으로 방사형 확장발파를 수행하여 소음 및 진동을 감쇄하면서도 빠르게 굴진을 진행할 수 있는 굴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수로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해 땅속을 뚫은 통로인 터널은 시공될 구간의 암반을 굴착하기 위해 발파공을 형성하여 폭약을 암반 내부에서 폭발시키는 전통적인 방법인 발파공법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발파공법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대규모 굴착에 유리하면 대단면을 지닌 터널의 굴착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상대적으로 지질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발파로 인해 주변의 암반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하고, 지보나 보강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기계굴착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발파공법은 강력한 폭발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로인해 발생되는 굉음과 진동으로 인근지역의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터널의 자유면을 기계식 장비를 통해 파쇄하여 나가며 굴진하는 기계식 굴착방법은 안정적이고 폐석처리가 용이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대형 장비들이 동원되어야 하고 비트와 같은 소모품의 발생으로 큰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굴착부의 지질조건에 따라 굴진량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발파공법 및 기계식 굴착방법은 시공될 터널의 일측 자유면을 터널의 길이방향을 향해 굴진해 나가는 방식으로서 특정 기간에 굴진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존재하였고, 이러한 굴진량의 한계로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공사의 기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하였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TBM을 이용해 선대구경을 선굴착 한 후 선대구경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시차 발파를 수행함으로 발파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을 대폭 감소시키고, 암질에 따라 유동적으로 굴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르게 굴진을 수행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은 굴착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터널 단면의 일부를 선굴착하는 선대구경 굴착 단계, 선대구경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장약공을 천공하는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각각의 장약공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을 충전하는 장약 충전 단계, 각각의 장약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발파되는 시차 발파 단계,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공간의 버력을 제거하는 버력 제거 단계,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굴착면이 지탱되어 보존될 수 있도록 지보재를 설치하는 지보재 설치 단계 및 터널의 바닥면까지 벤치를 제거하는 벤치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내지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되거나, 선대구경 굴착 단계 내지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그리고, 선대구경 굴착단계는 터널 보링 머신을 통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굴진하여 선대구경을 형성한다.
또는, 선대구경 굴착단계는 선대구경이 굴착 될 터널의 중심 상부에 위치하도록 선굴착을 수행한다.
그리고, 장약 충전 단계는 각각의 장약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파점이 배치되도록 장약이 충전되고, 각각의 발파점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지니고 이격되도록 분산 배치된다.
또는, 시차 발파 단계는 선대구경과 인접한 발파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발파가 수행된다.
그리고,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는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대구경의 입구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발파군 내지 제N(N≥2)발파군으로 구획된다.
또는, 시차 발파 단계는 제1발파군 내지 제N발파군이 순차적으로 발파되고, 제1발파군 내지 제N발파군의 순차적인 발파가 반복 수행되며, 선대구경의 내측면과 인접한 발파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외측의 발파점으로 옮겨가며 발파가 수행된다.
그리고, 시차 발파 단계는 제N발파군의 N값이 굴착대상 암반의 암질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 방법은 선대구경을 선굴착함과 아울러 시차를 두고 발파가 수행되도록 하여 발파점과 인접한 자유면의 수를 다수 확보함으로 진동 및 소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TBM을 통해 선굴착된 선대구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발파군을 한번의 시차 발파를 통해 굴착할 수 있어 빠른 굴진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굴착될 암반의 암질에 따른 굴진량 조절이 용이하고, 저소음 및 저진동 굴착을 수행함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선굴착된 선대구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선대구경의 내측면에 장약공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장약공에 장약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제1발파군, 제2발파군 및 제3발파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제1발파군에 배치되는 발파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자유면의 개수에 따른 발파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 방법은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은 굴착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터널 단면의 일부를 선굴착하는 선대구경 굴착 단계(S10)와 선대구경(100)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장약공(210)을 천공하는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S20) 및 각각의 장약공(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을 충전하는 장약 충전 단계(S30)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각의 장약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발파되는 시차 발파 단계(S40),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공간의 버력을 제거하는 버력 제거 단계(S50),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굴착면이 지탱되어 보존될 수 있도록 지보재를 설치하는 지보재 설치 단계(S60) 및 터널의 바닥면까지 벤치를 제거하는 벤치 제거 단계(S70)를 더 포함된다.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S20) 내지 벤치 제거 단계(S70)가 반복 수행되거나, 선대구경 굴착 단계(S10) 내지 벤치 제거 단계(S70)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선굴착된 선대구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선대구경의 내측면에 장약공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 따라 장약공에 장약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제1발파군, 제2발파군 및 제3발파군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제1발파군에 배치되는 발파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은 터널 보링 머신(tunnel boring machine)을 통해 선대구경(100)을 확보한 후, 선대구경(100)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의 발파영역(200)을 발파하여 터널의 공간을 확장해 굴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굴착될 터널의 단면은 선대구경(100), 발파영역(200) 및 벤치(300)로 구획될 수 있고, 선대구경(100)은 터널 단면의 중심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커터에 의해 절삭 또는 파쇄되어 굴진이 진행되는 터널 보링 머신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선대구경 굴착 단계(S10)는 굴착될 터널의 자유면의 중심 상부를 선굴착하여 선대구경(10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선대구경(100)은 다수의 디스크 커터가 전면에 배치되는 커터헤드를 회전시켜서, 굴진 및 버력반출을 수행하는 터널 보링 머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터널 보링 머신의 특성상 원형의 단면을 지닌 선대구경(100)이 형성된다.
선대구경(100)은 직경은 터널이 시공되는 암반의 경도 및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굴착될 터널의 폭과 대비하여 1/2이하로 실시될 수 있고, 후에 선대구경(100)의 내주연에 장약공을 천공하기 위한 장비 및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장약공 천공 단계(S20)는 선대구경(100)의 내주연, 즉 내측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선대구경(100)을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장약공(210)이 천공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대구경(100)의 최상부는 굴착될 터널의 최상부와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선대구경(100)의 상부에 위치한 장약공(210)들은 외측방향을 향해 천공되되 상향경사가 크지 않고 완만하도록 천공된다.
선대구경(100)의 중심부 및 하부에 위치한 장약공(210)들은 가급적 하향 경사지도록 천공된다.
또한, 터널의 입구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지니며 규칙적으로 장약공(210)이 천공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파군(A), 제2발파군(B)의 순으로 제N(N≥2)발파군으로 나뉘어 장약공(210)의 천공이 수행된다.
각각의 발파군은 동일한 패턴을 지니고 동일한 방향성을 지니도록 장약공(21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발파군에 포함되는 장약공(210)의 패턴은 각각이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장약 충전 단계(S30)는 각각의 장약공(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을 충전하는 단계로서, 장약공(210)의 길이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약이 각각의 장약공(210)에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장약과 장약의 사이에는 메지(tamping)물을 충전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약공(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약이 일정한 간격을 지니고 배치되도록 데크장전(deck charge)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메지물은 점토나 모래등을 장약의 사이와 장약이 충전된 장약공(210)의 개방단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배치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발파 시 장약의 위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메지물은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장약공(210)이 상향 천공되는 경우 장약 및 메지물을 충천하였을 때 장약 및 메지물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아래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대구경(100)이 형성되는 위치가 터널 중심의 상부이고, 선대구경(100)의 최상부가 굴착될 터널의 최상부와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은, 상향경사를 지닌 장약공(210)의 개수를 줄이고, 상향경사를 지닌다 하여도 그 경사도가 낮게하여 충전된 장약 및 메지물이 아래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적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시차 발파 단계(S40)는 각각의 장약공(210)에 충전된 장약을 발파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장약이 미차의 시간을 두고 발파되도록 하여 시차를 두고 발파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발파군(A)에는 예시적으로 장약이 충전된 발파점을 a1 내지 a26과 같은 방식으로 번호를 부여할 수 있고, 번호의 순서는 선대구경(100)과 인접한 발파점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하며, 서로 인접한 발파점끼리 번호가 연속성을 지니도록 하여, a1의 발파점으로부터 a26의 발파점순으로 미차의 시간을 두고 발파되도록 한다.
이러한 시차 발파는 각각의 발파점이 동시에 발파될 때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발파군(A) 내지 제N발파군(N≥2)의 시차 발파에 있어, 제1발파군(A)을 상술하였던, a1의 발파점으로부터 a26의 발파점 순으로 미차의 시간을 두고 발파되도록 한 후, 연속적으로 제2발파군(B)의 b1의 발파점으로부터 b26의 발파점 순으로 발파가 수행되고, 같은 방식으로 제N발파군(N≥2)에 이르도록 시차 발파가 수행될 수 있다.
N값은 한번의 시차 발파를 통하여 굴진하는 깊이가 되는 것으로, 주변의 암질 및 발파환경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시차 발파가 수행되는 순서는 상술하였던 예시 외에도, N값을 3으로 하여 제1발파군(A) 내지 제3발파군(C)에 1회의 시차발파가 수행된다면, a1, b1, c1, a2, b2, c2....와 같은 순으로 각각의 발파군이 서로 교차되는 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제1발파군(A) 내지 제N발파군이 순차적으로 발파되되, 제1발파군(A) 내지 제N발파군의 발파가 반복 수행되고, 선대구경(100)과 인접한 발파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외측을 향해 발파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시차 발파는 각각의 발파점에 충전된 장약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장약에 미차의 시간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발파가 진행되도록 전자회로(electronic circuit)가 구비될 수 있다.
선대구경(100)을 형성하여 선대구경(100)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장약공을 천공한 후, 시차발파를 진행함으로 진동 및 소음을 경감하는 효과 이외에도 한번의 시차발파를 통해 확보되는 터널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에서 자유면의 개수에 따른 발파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시차발파는 발파점과 인접한 자유면의 개수가 1자유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1자유면 이상의 자유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동일한 장약량일 경우 발파점과 인접한 자유면이 하나일 경우보다 2자유면, 3자유면의 경우가 보다 진동 및 소음이 작게 발생되고, 발파로 인한 굴착 효과도 상승하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버력 제거 단계(S50)는 시차 발파를 통해 터널 내부에 잔존하는 돌더미나 흙더미와 같은 버력들을 로우더(loader)와 같은 굴착기를 투입하여 터널의 외부로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지보재 설치 단계(S60)는 시차 발파 및 버력 제거를 통해 확보된 터널 내부의 공간에서 상부와 양측에 형성된 벽체가 무너지지 않고 견고히 지탱되어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H빔의 사이사이에 락볼트(rockbolt)에 의해 고정되는 와이어매쉬를 배치하고, 급결제를 사용한 쇼크리트(shotcrete)를 발포하여 빠르게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락볼트공법과 쇼크리트 공법이 병행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벤치 제거 단계(S70)는 시차 발파 및 버력제거를 통해 제거되지 못한 터널 하부의 벤치(300)를 제거하여 도로면을 형성하게 된다.
벤치(300)의 제거는 다양한 할암, 파쇄 또는 굴착장비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은 굴착될 단면의 면적이 넓은 대단면 장대터널의 시공 시에 1회의 발파를 통해 굴진할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고, 큰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었던 종래의 기술을 개선한 것이다.
선대구경(100)을 확보 한 후 선대구경(100)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장약공을 천공하게 되므로, 주변의 암질 및 발파환경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제N발파군(N≥2)의 N값을 결정하여 1회 발파로 굴진할 수 있는 길이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차 발파를 통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다수개의 자유면은 발파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선대구경
200: 발파영역 210: 장약공
300: 벤치

Claims (8)

  1. 굴착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터널 단면의 일부를 선굴착하는 선대구경 굴착 단계;
    상기 선대구경의 내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장약공을 천공하는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상기 각각의 장약공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을 충전하는 장약 충전 단계;
    상기 각각의 장약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발파되는 시차 발파 단계;
    상기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공간의 버력을 제거하는 버력 제거 단계;
    상기 시차 발파를 통해 형성된 굴착면이 지탱되어 보존될 수 있도록 지보재를 설치하는 지보재 설치 단계; 및
    상기 터널의 바닥면까지 벤치를 제거하는 벤치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 내지 상기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되거나, 상기 선대구경 굴착 단계 내지 상기 벤치 제거 단계가 반복 수행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대구경 굴착단계는,
    터널 보링 머신을 통해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굴진하여 선대구경을 형성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대구경 굴착단계는,
    상기 선대구경이 굴착 될 터널의 중심 상부에 위치하도록 선굴착을 수행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약 충전 단계는,
    상기 각각의 장약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파점이 배치되도록 장약이 충전되고, 각각의 상기 발파점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지니고 이격되도록 분산 배치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발파 단계는,
    상기 선대구경과 인접한 상기 발파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발파가 수행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장약공 천공 단계는,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선대구경의 입구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발파군 내지 제N(N≥2)발파군으로 구획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발파 단계는,
    상기 제1발파군 내지 상기 제N발파군이 순차적으로 발파되고, 상기 제1발파군 내지 상기 제N발파군의 순차적인 발파가 반복 수행되며, 상기 선대구경의 내측면과 인접한 상기 발파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외측의 상기 발파점으로 옮겨가며 발파가 수행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발파 단계는,
    상기 제N발파군의 N값이 굴착대상 암반의 암질에 따라 결정되는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KR1020170094483A 2017-07-26 2017-07-26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KR20190011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83A KR20190011887A (ko) 2017-07-26 2017-07-26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83A KR20190011887A (ko) 2017-07-26 2017-07-26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87A true KR20190011887A (ko) 2019-02-08

Family

ID=6536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83A KR20190011887A (ko) 2017-07-26 2017-07-26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8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46A (ko) 2019-12-16 2021-06-24 박영채 와이어쏘 방식의 자유면 형성을 통한 터널 시공방법
CN114319264A (zh) * 2022-01-13 2022-04-12 中国能源建设集团广西水电工程局有限公司 超深孔一次性钻爆快速扩井开挖大断面调压井的施工方法
KR20220065191A (ko) 2020-11-13 2022-05-20 박영채 와이어쏘 방식의 자유면 형성을 통한 터널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46A (ko) 2019-12-16 2021-06-24 박영채 와이어쏘 방식의 자유면 형성을 통한 터널 시공방법
KR20220065191A (ko) 2020-11-13 2022-05-20 박영채 와이어쏘 방식의 자유면 형성을 통한 터널 시공방법
CN114319264A (zh) * 2022-01-13 2022-04-12 中国能源建设集团广西水电工程局有限公司 超深孔一次性钻爆快速扩井开挖大断面调压井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2611B1 (en) Method for excavating a working face
CN102844522B (zh) 地下采矿
CN102758633B (zh) 一种围岩情况较好的大断面隧道的施工方法
KR101827341B1 (ko) 터널 암반 굴착방법
CN104532818A (zh) 一种露天矿采空区的治理方法
KR101551905B1 (ko) 대구경과 소구경의 장약공을 이용한 터널 발파 패턴 및 터널 발파 방법
KR20190011887A (ko) Tbm을 이용한 선대구경의 방사형 확장발파를 통한 대단면 장대터널의 굴착방법
CN110966002B (zh) 一种基于密集钻孔的切顶卸压方法
KR101889961B1 (ko) 무진동 발파식 굴착 공법
US11125084B1 (en) Mining method
CN109184793B (zh) 一种在地下工程开挖过程进行锚杆防岩爆能力现场测试的方法
US3917346A (en) Method of blasting a subterranean deposit
CN111102892B (zh) 一种适用于深埋隧洞爆破开挖的楔形掏槽炮孔布置方法
CN111023930B (zh) 隧道的台阶法开挖方法
JP2614396B2 (ja) プレボーリングによる立坑掘削工法
RU2554359C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замороженных грунтов при буровзрывной проходке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KR101183104B1 (ko) 소음 및 비산 방지를 위한 물 채움에 의한 수직구 발파방법
US4069760A (en) Method for driving a shaft with shaped charges
KR20190011888A (ko) 사전취약화 단계를 포함하여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킨 터널 굴착 방법
RU2350750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крутых рудных тел
US4135450A (en) Method of underground mining
CA1212252A (en) Method of driving steel profiles into a rock substratum
CN103791789B (zh) 钻孔与节理成一定角度的爆破施工方法
KR100362014B1 (ko) 터널 암굴착 굴착선공부 선균열 발파방법
CN106089216A (zh) 岩石隧道破岩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