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068A -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068A
KR20190011068A KR1020170093562A KR20170093562A KR20190011068A KR 20190011068 A KR20190011068 A KR 20190011068A KR 1020170093562 A KR1020170093562 A KR 1020170093562A KR 20170093562 A KR20170093562 A KR 20170093562A KR 20190011068 A KR20190011068 A KR 2019001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requency
frequency offset
signal
correlation
acces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342B1 (ko
Inventor
추상영
문기태
홍석균
Original Assignee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342B1/ko
Priority to US16/041,722 priority patent/US10511472B2/en
Publication of KR2019001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04L27/2663Coarse synchronisation, e.g. by 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6Frequency regul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4Multiresol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7Modulators with direct modulation of individual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다중 상관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 및 다중의 상관 결정기를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연산을, 8μsec의 프리앰블 구간을 대신하여 32μsec의 엑세스 어드레스 구간에서 동시에 병렬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한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포착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동시에 잡음 평균화 효과에 의하여 수신감도의 신호세기 영역에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을 대신하여 엑세스 어드레스 구간을 상기 연산에 사용함으로써 프리앰블 구간을 사용하는 그 외의 부정합 추정 블록들의 가용 시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어 전체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PACKET DETECTION, SYMBOL TIMING ACQUISITION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USING MULTIPLE CORRELATION DETECTION AND BLUETOOTH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치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신호는 대역 전송을 위한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주파수 편이(FSK; Frequency Shift Keying)를 사용한다.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은 이진수 '1b'와 '0b'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반송파의 주파수에 실어 보내는 방식으로써, 이진수 '1b'는 높은 주파수(양(+) 방향의 주파수 편이), 이진수 '0b'는 낮은 주파수(음(-) 방향의 주파수 편이)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 가우시안 주파수 편이(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파형이 된다. 일반적인 블루투스 스마트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의 패킷은 도 1과 같이 구성되는데, 프리앰블(preamble), 액세스 어드레스(access address),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및 CRC 구간을 포함한다. 블루투스는 연결 계층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선행하여 송·수신단 간에 미리 약속된 파일롯에 해당하는 프리앰블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함으로써, 수신단의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및 주파수 오프셋 추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초기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기 위하여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구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값을 사용자 데이터 구간(액세스 어드레스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서 편향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보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송신기가 보낸 신호는 채널을 지나 수신기로 도달하는 과정에서 크기와 위상의 왜곡을 겪는다. 또한, 수신기를 구성하는 믹서, 필터, 증폭기 등을 포함하는 저전력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소자의 정합특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비선형성, IQ 부정합, VCO 페이즈 노이즈, 주파수 오프셋 및 타이밍 오프셋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주파수에 디지털 정보를 실어서 보내는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의 경우 송·수신단 사이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은 치명적인 성능열화 성분으로 작용하여 수신단 결정기의 판별 오류 확률을 높인다.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발생하면 주파수 복조기 출력 파형은 주파수 편이의 평균값이 영(zero)으로 나타나지 않고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크기에 상응하는 임의의 상수(constant value)만큼 편향(bias)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므로 심볼 간격의 부호 판별에 오류 확률을 증가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부정합 성분들에 의해 신호 품질이 훼손된 상태로 신호가 수신되므로, 수신기는 약속된 파일롯 신호의 도움을 받아서 상기 오프셋들에 대한 보상 장치를 구현하여 오류 없는 비트 복조가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한다.
블루투스 수신기는 액세스 어드레스를 식별하고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구간 동안 데이터를 식별 처리하기 위해서, 프리앰블 구간 동안 정상적인 신호 수신의 준비를 시간적으로 마쳐야 하는데, 신호 준비로는 자동 이득 제어, 주파수의 오프셋 보상, 타이밍 보정 등의 연산을 들 수 있다. 블루투스 스마트 규격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 구간을 8μsec로 제한하고 있어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그 짧은 시간에 모두 마쳐야 하는 기술적 제약이 발생한다. 프리앰블은 규격마다 고유하게 정해지는데, 블루투스 스마트 핵심 규격 4.0/4.1/4.2 버전에서 이진수열 '10b' 또는 '01b'가 4회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는다. 이러한 반복되는 패턴을 사용하여 자기상관도(autocorrelation) 연산을 수행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는데, 그 연산은 배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복잡한 연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파수 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AM; amplitude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복조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보상하는 방법이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앰블의 주파수 복조 파형은 음(-)과 양(+) 방향의 주파수 편이가 반복되는 유사 사인파(sine wave-like) 형태로 나타난다. 도 2는 외부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없는 경우로서 수신단의 주파수 복조기를 거친 기저대역(baseband)의 프리앰블의 복조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최소-최대 주파수 편이는 반대 극성을 갖지만 절대 크기는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최소 주파수 편이와 최대 주파수 편이의 중간값은 영(zero)으로 계산된다. 이와 비교하여, 도 3은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fo)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해당 오프셋에 상응하는 상수만큼 편향된 경향으로 나타나고, 최소 주파수 편이와 최대 주파수 편이의 중간값은 영(zero)이 아닌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fo = +50kHz이라고 가정하면 수신기의 기저대역에서 관측된 최소/최대 주파수 편이는 도 2의 이상적인 환경에서 설명한 -250kHz/+250kHz의 영역값에서 +50kHz만큼 편향된 -200kHz/+300kHz의 영역값을 가지게 된다. 수신기는 상기의 편향(bias)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 언급한,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복조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 및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미국등록특허 제6642797호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 구간 동안 최대 포지티브 피크(maximum positive peak)와 최대 네거티브 피크(maximum negative peak)를 검출하고, 최대 포지티브 피트와 최대 네거티브 피크 사이의 중간값으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계산하고, 이를 오프셋 노말라이저가 보상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복잡한 자기상관도를 연산해야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는 하였지만, 8μsec 밖에 되지 않는 짧은 프리앰블 수신 구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수신기의 다른 여러 추정기들이 나눠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시간적 제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US 6642797 B1. KR 10-2017-007938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짧은 프리앰블 신호 수신 구간 대신 상대적으로 긴 액세스 어드레스 신호 수신 구간에서,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은 물론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연결 계층(link layer) 간의 협력을 통하여 낮은 신호 대 잡음 전력비(signal-to-noise power ratio) 영역에서도 원활하게 패킷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고감도 수신기를 구성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다중 상관 검출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오프셋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추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하는 패킷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값이 발생한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하는 심볼 타이밍 포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관 검출부는 상기 변환된 신호를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더한 후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상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한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다중 상관 검출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하는 패킷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값이 발생한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하는 심볼 타이밍 포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상관 검출 단계는 상기 변환된 신호를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더한 후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상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프리앰블 신호 수신 구간 대신 상대적으로 긴 액세스 어드레스 신호 수신 구간에서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은 물론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프리앰블 구간을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더 긴 시간동안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한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포착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잡음 평균화 효과에 의하여 수신감도의 신호세기 영역에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 계층과 연결 계층 간의 협력을 통하여 낮은 신호 대 잡음 전력비 영역에서도 원활하게 패킷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고감도 수신기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산은 프리앰블 수신 구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자동 이득 제어, 심볼 타이밍 추정 및 다른 오프셋 추정 등 기타 연산 블록에 가용 시간을 추가로 확보해줄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블루투스 스마트 신호의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강전계에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환경에서 블루투스 스마트 패킷 신호가 수신기의 주파수 복조부를 통과한 후의 프리앰블과 액세스 어드레스의 부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수신기의 주파수 복조부를 통과한 파형과 '최소-최대 중간값'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주파수 복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다중 상관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다중 상관 검출부의 출력단에서 관측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도시되고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도시와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를 들어 순서도 또는 플로우 차트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일련의 단계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예시된 모든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블루투스의 핵심 규격(core specification)에서 요구하는 수신감도는 -70dBm에 불과하고 해당 신호 크기의 영역에서의 신호 대비 잡음 전력비는 30dB 이상에 해당하므로 상대적으로 잡음 성분이 미미하여 패킷 검출 및 다른 부정합 추정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이상적인 환경에서의 상황이고, 현실적으로는 -90dBm 이하의 고감도 수신기에 대한 니즈가 높다. 따라서 블루투스 신호의 고감도 수신기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하여 낮은 신호 대 잡음 전력비 환경 하에서도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90dBm 이하의 신호 크기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 대비 잡음 전력비는 10dB 이하로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높은 잡음 크기로 인하여 상관도 특성 역시 떨어지기 때문에, 8μsec 밖에 되지 않는 짧은 프리앰블 구간에서 자동 이득 제어,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심볼 타이밍 추정과 같은 오프셋 보정 연산과 패킷의 유무를 판별하는 패킷 검출 연산을 모두 정확하게 수행하기는 매우 어렵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복원은, 약속된 패턴의 프리앰블 신호 구간에서 포착하는 1단계가 선행되고, 잡음의 평균화 효과와 주파수 표류(frequency drift)에 대처하기 위해서 데이터 신호 구간에서 추적하는 2단계로 구성되고 있다. 포착단계는 프리앰블 구간 내에서 '최소-최대 평균값' 방식을 사용하는데, 음(-)과 양(+) 방향의 주파수 편이 오프셋을 계산하는 방식이므로 전체 8개 심볼의 프리앰블 구간에서 2개 심볼 길이 이상의 구간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에 사용되는 것이 기존의 일반적인 방식이다.
그런데, 프리앰블 구간에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연산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면 그 시간만큼 자동 이득 조정이나 심볼 타이밍 포착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당할 수 있게 되어 다른 부정합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바로 이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9385호에 따르면,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은 프리앰블을 대신하여 연결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과 액세스 어드레스 수신 신호간의 상관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관도가 임계값을 넘어서면 자신의 장치에 할당된 패킷이 검출되었다고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패킷이 검출되면 검출된 패킷의 상관도의 피크를 검출하여 최적의 심볼 타이밍을 포착하고 심볼 타이밍 포착 정보를 물리 계층의 수신 장치 전체가 공유할 수 있다. 물리 계층에서 해당 수신 장치에 할당된 패킷의 존재를 검출하였으므로, 물리 계층에서는 복조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정보를 연결 계층에 유효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이 정상동작하기 위해서는 유효한 상관도 계산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상으로 복조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과 보상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언급한 선출원에서의 기술 개념을 확장 및 개선한 것으로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 및 다중의 상관 결정기를 이용하여,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은 물론이고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연산도 동시에 병렬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한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포착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동시에 잡음 평균화 효과에 의하여 수신감도의 신호세기 영역에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8μsec의 프리앰블 구간을 대신하여 32μsec의 엑세스 어드레스 구간을 상기 연산에 사용함으로써, 프리앰블 구간을 사용하는 기타 부정합 추정 블록들의 가용 시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10)는 주파수 복조부(12) 및 다중 상관 검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10)는 패킷 검출부(22), 심볼 타이밍 포착부(24) 또는 오프셋 추정부(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블루투스 장치(10)는 이 외에 ADC(31) 및 정합 필터(33) 등의 블록들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설명을 위해 자세한 설명 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블루투스 장치(10)는 각각 I 신호와 Q 신호를 수신하여 ADC(31)를 거쳐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ADC(31)의 출력은 정합 필터(33)를 통과하여 주파수 복조부(12)로 전달된다.
주파수 복조부(12)는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값을 가지는 주파수 비례 신호(업샘플링된 신호)를 생성한다. 즉, 주파수 변조(FM)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AM) 신호로 변환한다.
주파수 복조부(12)의 한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단에서 복조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본 실시예는 차등 판별기 구조의 복조기이다.
ADC(31)는 디지털 신호 복조가 가능하도록 심볼 속도의 2배로 정의되는 나이퀴스트 속도(Nyquist rate) 이상의 샘플링 속도(N배)로 동작한다. 즉, 정합 필터(33)를 통과한 신호는 심볼 당 N개의 샘플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잡음이나 클럭의 오차 등으로 열화된 신호를 원활하게 복원시키기 위하여 ADC(31)는 심볼 간격보다 작은 업샘플링 시간 간격으로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스마트 규격의 심볼 간격은 1 μsec이고, 나이퀴스트 샘플링 속도는 심볼 속도의 2배에 해당하므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시간 간격은 0.5 μsec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심볼 당 4샘플 간격으로 동작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고, ‘conj' 블록은 공액(conjugate) 연산자이고, 'x'블록은 곱셈기 연산자이고, 'arg()'는 argument로서 각도 연산이다.
다중 상관 검출부(14)는 업샘플링된 주파수 비례 신호로부터,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한다. 다중 상관 지표는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검출되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된다. 다중 상관 검출부(14)의 자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장치(10)는 다중 상관 검출부(14)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할 수 있다.
오프셋 추정부(26)는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다중 상관 검출부(14)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interpolation)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패킷 검출부(22)는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하며, 심볼 타이밍 포착부(24)는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최대값이 발생한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할 수 있다.
패킷 검출부(22)와 심볼 타이밍 포착부(24)의 동작 설명을 위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다중 상관 검출부(14)의 출력단에서 관측되는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출력 파형은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저장된 어드레스 비트열이 일치하는 시점에서 피크값을 나타낼 것이다. 이때 출력 파형이 특정 시점에서 임계값을 넘어서면 패킷 검출부(22)는 블루투스 장치(10)에 할당된 패킷이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packet detection).
즉, 다중 상관 검출부(14)의 출력은 업샘플링된 주파수 비례 신호와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을 비교하여 생성된 것이므로, 주파수 비례 신호와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 간의 상관도 (correlation metric)이다. 따라서, 업샘플링된 주파수 비례 신호와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이 사실상 일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블루투스 장치(10)에 할당되는 패킷이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은 블루투스 장치(10)의 마스터-슬레이브 간 연결 주소일 수 있다. 또한, 검색 윈도우의 개수에 따라 임계값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다중의 상관도 중에서 가장 큰 값부터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비교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심볼 타이밍 포착부(24)는 심볼 시간 동안 피크값을 추적하고, 피크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샘플링 타이밍(optimum symbol timing)으로 포착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정합 필터(33)를 통과한 신호는 심볼 당 N개의 샘플로 이루어져 있는데, 데이터 비트 복조에 사용되는 최적의 샘플 위상 포착이 필요하다. 패킷 검출부(22)에 의해 패킷 검출이 이루어지면, 그 시점부터 1 심볼 시간의 타이머를 동작시켜 상관도 출력 값의 피크의 위치를 추적하고, 타이머가 종료되면 검색된 피크 위치를 최적의 심볼 타이밍 위상으로 포착하고 이후 수신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복조에 이용한다. 포착 이후로 업샘플링 시간 간격을 대신하여 심볼 간격으로 해당 샘플링 타이밍 위상에서 프로토콜데이터 유닛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고 비트 판별기를 통과시킨 출력 비트열이 연결 계층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 방법은, 한 개의 상관도가 아닌 다중 상관 지표, 즉,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부터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다중 상관 검출부(1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상관 검출부(14)는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와 복수개의 단일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복조부(12)의 출력(rdem)은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를 거치게 된다.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는 예상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크기를 미리 여러 크기의 윈도우로 설정해 놓고,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를 가지고 상응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미리 제거한 복조 신호에 대하여 상관도를 계산하도록 한 것으로서, 사후 판정(posterior decision)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의 제약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의 개수와 검색 윈도우의 크기는 응용 제품군에서 요구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정확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과 같은 제품군에서는 클록 부정합이 클 수 있으므로 검색 윈도우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포착 영역을 넓힐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이 제품군에서는 클록 부정합이 크지 않으므로 검색 윈도우를 작게 함으로써 포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 값은 다양한 상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반복된 수신을 거치면서 실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수렴하도록 적응적으로 변동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 값으로 -2δ, -δ, 0, +δ, +2δ 의 5개 값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계산에는 가장 큰 상관도를 가지는 검색 윈도우를 선택하여 구하거나 또는 큰 상관도를 갖는 대표 검색 윈도우들을 모아서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계적 처리는 단순 평균, 가중 평균 등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관도가 가장 큰 2개의 값(arg{1st & 2nd largest peaks})으로부터 보정을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15kHz이라고 가정하고 δ 값이 10 이라고 가정하면, 도면에서 상관지표가 가장 큰 +δ와 +2δ의 윈도우가 선택되고, 두 원도우 값을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하면 (δ+2δ)/2 = (10+20)/2=30/2=15kHz와 같이 구해져서 원래 가정했던 15kHz값이 포착되는 원리이다.
한편, 다중 상관 검출부(14)는 복수개의 단일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를 사용한다. 단독으로 동작하는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를 복수개 사용하는 다중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를 구현함으로써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에 사용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다중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들은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를 갖고 상응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미리 제거한 복조 신호에 대해서 상관기(16)가 동작한다. 도면에는 다중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들의 출력 중에서 상관도가 가장 큰 값(arg{1st largest peaks})으로부터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포착이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중 상관 검출부(14)를 구성하는 단일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상관 수신기가 갖고 있는 높은 연산량과 연관 척도 임계값 불확정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이원 상관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비트로 정의된 동기 워드와의 상관 연산은 단순한 카운터로 대체되고 상관기의 출력은
Figure pat00001
의 이산값을 가진다. 수신 신호의 부호 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 크기를 관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고정 임계값(THR)을 사용할 수 있다. 일련의 과정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수학식 1을 일 실시예로 구현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는 부호 판별기(41), 상관도 출력부(47), FIFO 레지스터(43), 및 어드레스 메모리(45)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는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는 액세스 어드레스 비트열을 기준 신호로 삼아 동작한다. 상관기(16)는 구현의 복잡도를 낮추고 연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입력 수신 신호의 부호값을 이용하는 부호 판별기(41)를 사용할 수 있다.
부호 판별기(41)는 업샘플링된 주파수 비례 신호의 부호를 판별하여 b[n]을 생성할 수 있다. 일련의 b[n] 비트열들은 FIFO 레지스터(43)에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어드레스는 32 비트이고 부호 판별기(41)는 심볼 당 4 샘플 간격으로 동작하므로 유효한 판정을 위하여 FIFO 레지스터(43)는 32 비트 x 4 샘플 = 128 개의 b[n] 비트열들을 저장할 수 있다. FIFO 레지스터(43)는 선입선출(FIFO, First-In First-Out)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FIFO 레지스터(43)는 미리 결정된 수만큼 부호 판별된 비트를 저장하고, 새로운 비트를 저장할 때 가장 오래된 비트를 방출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수는 도면에서와 같이 예시적으로 128개일 수 있다.
어드레스 메모리(45)는 연결 계층으로부터 블루투스 장치(10) 자신을 나타내는 액세스 어드레스(c[n])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어드레스 메모리(45)는 32 비트의 액세스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다. FIFO 레지스터(43)에 저장된 b[n] 비트열들과 어드레스 메모리(45)로부터 제공되는 c[n] 간에는 배타적 논리 합(XOR) 연산과 같은 논리적 연산이 실행될 수 있다.
상관도 출력부(47)는 b[n]과 c[n]의 논리적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합산하여 상관도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업샘플링된 b[n]과 c[n]의 간의 비교는 심볼 타이밍이 정확히 포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신 신호와 미리 저장된 어드레스 비트열들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를 구현하면 구현의 복잡도를 낮추고 연산량을 줄일 수 있고,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16)의 구현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S60)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61 단계에서는, 블루투스 장치(10)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는 송신단에서 주파수 변조(FM)된 신호이다.
S63 단계에서는, 블루투스 장치(10)가 S61 단계에서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AM)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S65 단계에서는,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변환된 신호를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18)에 더한 후 액세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도 6의 다중 상관 검출부(1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중 상관 지표는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10)는 S65 단계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할 수 있다.
S67 단계는 패킷 검출 단계로서, S65 단계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할 수 있다.
S69 단계에서는, S65 단계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구하고 해당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할 수 있다.
S71 단계에서는, S65 단계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각 윈도우값을 보간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한 후,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S67 단계, S69 단계 및 S71 단계는 동시에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 및 다중의 상관 결정기를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연산을, 8μsec의 프리앰블 구간을 대신하여 32μsec의 엑세스 어드레스 구간에서 동시에 병렬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한 패킷 검출과 심볼 타이밍 포착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동시에 잡음 평균화 효과에 의하여 수신감도의 신호세기 영역에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을 대신하여 엑세스 어드레스 구간을 상기 연산에 사용함으로써 프리앰블 구간을 사용하는 그 외의 부정합 추정 블록들의 가용 시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어 전체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에 프리앰블 수신 신호를 대신하여 액세스 어드레스 수신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관도 연산의 시간이 프리앰블의 2개의 심볼의 평균을 취하기 위한 대략적인 2μsec에서 액세스 어드레스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32μsec로 늘어남에 따라 평균화 효과에 의해 잡음의 크기가 1/16배 이하로 작아지기 때문에 패킷 검출 성능이 12dB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블루투스 장치
12: 주파수 복조부
14: 다중 상관 검출부
16: 단일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기
18: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
22: 패킷 검출부
24: 심볼 타이밍 포착부
26: 오프셋 추정부
31: ADC
33: 정합 필터
41: 부호 판별기
43: FIFO 레지스터
45: 어드레스 메모리
47: 상관도 출력부

Claims (16)

  1.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다중 상관 검출부;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오프셋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추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하는 패킷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값이 발생한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하는 심볼 타이밍 포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검출부는 상기 변환된 신호를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더한 후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상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
  9.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한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유사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연결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어드레스 및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다중 상관 검출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의 수신 구간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신호의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지표는 상기 각 검색 윈도우별로 생성되는 복수개의 액세스 어드레스 상관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색 윈도우 중에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 윈도우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값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가 임계값 이상이면 패킷 검출로 판단하는 패킷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중 상관 지표의 최대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값이 발생한 타이밍을 최적의 심볼 타이밍으로 포착하는 심볼 타이밍 포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상관 검출 단계는 상기 변환된 신호를 복수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검색 윈도우에 더한 후 상기 액세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상기 다중 상관 지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방법.
KR1020170093562A 2017-07-24 2017-07-24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KR10204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62A KR102041342B1 (ko) 2017-07-24 2017-07-24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US16/041,722 US10511472B2 (en) 2017-07-24 2018-07-20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packet detection, symbol timing acquisition,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using multiple correlation detection, and bluetooth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62A KR102041342B1 (ko) 2017-07-24 2017-07-24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068A true KR20190011068A (ko) 2019-02-01
KR102041342B1 KR102041342B1 (ko) 2019-11-06

Family

ID=6502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62A KR102041342B1 (ko) 2017-07-24 2017-07-24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11472B2 (ko)
KR (1) KR102041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67B1 (ko) * 2017-12-29 2020-04-06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직교성을 갖는 동기 워드를 이용한 독립적인 패킷 검출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CN110086738B (zh) * 2019-05-06 2021-07-27 深圳昂瑞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频偏估计方法及系统
US10785074B1 (en) 2020-04-29 2020-09-2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Cross-product detection method for a narrowband signal under a wide range of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using multiple frequency bins
US11611460B2 (en) * 2020-09-22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er frequency error estimator with banked correlators
US20220330180A1 (en) * 2021-04-07 2022-10-13 Nxp B.V. Method and Technique of Highly Accurate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CN112887956B (zh) * 2021-04-28 2021-08-10 高拓讯达(北京)科技有限公司 蓝牙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
CN113708916B (zh) * 2021-07-13 2022-10-18 中国人民解放军战略支援部队航天工程大学 一种基于gpu的pcm/fm遥测信号并行多符号检测方法
CN113489661B (zh) * 2021-07-19 2024-02-13 杭州红岭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道的信道估计方法
US11930461B2 (en) 2022-07-15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er frequency error estimation using a bank of estimators with limited acquisition ran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2797B1 (en) 2002-04-25 2003-11-04 Agere Systems, Inc. Normalization methods for automatic requency compensation in bluetooth applications
KR20170079385A (ko) 2015-12-30 2017-07-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개선된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 기법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79127A (ko) * 2015-12-30 2017-07-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주파수 편이 변조 신호의 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702A1 (ja) * 2005-09-06 2007-03-1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無線送信装置と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と無線受信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と無線通信方法
US8824606B2 (en) * 2012-01-3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orrelators for communication device detection
EP3244584B1 (en) * 2016-05-11 2019-07-03 Stichting IMEC Nederland Receiver for frequency offset correction
US10187235B2 (en) * 2016-07-01 2019-01-22 Intel IP Corporation Long range bluetooth low energy synchronization system
US20180302213A1 (en) * 2017-04-17 2018-10-18 Collisi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mmunication channel prediction from received multipath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2797B1 (en) 2002-04-25 2003-11-04 Agere Systems, Inc. Normalization methods for automatic requency compensation in bluetooth applications
KR20170079385A (ko) 2015-12-30 2017-07-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개선된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 기법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79127A (ko) * 2015-12-30 2017-07-1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주파수 편이 변조 신호의 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1472B2 (en) 2019-12-17
KR102041342B1 (ko) 2019-11-06
US20190028316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342B1 (ko)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KR101824399B1 (ko) 개선된 패킷 검출 및 심볼 타이밍 포착 기법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수신 방법 및 장치
CA2363927C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nd method
CN108347397B (zh) 接收调制信号的接收器和对其进行同步的方法
EP1618696B1 (en) Frequency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US10015029B2 (en) Bluetooth signal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ing improved symbol timing offset compensation
EP31956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radio frequency (rf) samplin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CN110249542B (zh) 数字无线电通信
KR100653181B1 (ko) 주파수 옵셋 보상 기능을 가지는 넌­코히런트 동기직접변환 수신 장치
US20100215135A1 (en) Synchronous process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synchronous processing method
US68919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SK demodulation with integrated time and frequency tracking
KR102097367B1 (ko) 직교성을 갖는 동기 워드를 이용한 독립적인 패킷 검출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US7035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 acquisition in a FSK demodulator with integrated time and frequency tracking
CN110535620B (zh) 一种基于判决反馈的信号检测与同步方法
KR100655601B1 (ko) 윈도우 기반 타이밍 복원 장치 및 방법
KR102129285B1 (ko) 이원 상관기와 구간합 궤환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패킷 검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JP3973332B2 (ja) ディジタル変復調の同期方式
US8275073B2 (en) Methods and systems to discriminate between PSK and FSK signals
KR102097366B1 (ko) 구간합 궤환을 이용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CN110235377A (zh) 解调器
JP5286321B2 (ja) ビット検出及び同期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3102211B2 (ja) データ受信装置
CN115735356A (zh) 使用高斯频移键控传输进行信号检测的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CN117768284A (zh) 一种sunspec快速断路器信号接收解调系统及方法
JP2009094773A (ja) ミラーサブキャリア復調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