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52A -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52A
KR20190010952A KR1020170093237A KR20170093237A KR20190010952A KR 20190010952 A KR20190010952 A KR 20190010952A KR 1020170093237 A KR1020170093237 A KR 1020170093237A KR 20170093237 A KR20170093237 A KR 20170093237A KR 20190010952 A KR20190010952 A KR 2019001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ring
sides
ingrow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이기영
박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박인규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7009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952A/ko
Publication of KR2019001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가 형성되고, 지지부와 고정고리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지지부와 걸림고리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걸림홈부에 걸림되는 연장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텐션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Correcting apparatus of ingrown nail}
본 발명은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향성 손발톱의 양측을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대칭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구 각각의 하부에 걸림 되도록 한 후에 걸림구 각각의 상부에는 걸림구를 상부로 들어 올려주는 텐션구를 연결 구비함으로써 내향성 손발톱이 교정되도록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향성 손발톱(Ingrown nail)은 손발톱의 일측 내지 양측이 가장자리부 내로 자라거나 살을 파고들어가는 손발톱 질환 중의 하나이며, 주로 엄지발톱이 자라면서 주변 살 속으로 파고들어가 붓거나 심한 통증 및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러한, 상기 내향성 손발톱이 있던 사람은 손톱 또는 발톱이 자라나는 손톱 또는 발톱 살에 이미 손톱 또는 발톱이 자라는 길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손톱 또는 발톱을 잘라내거나 뽑아도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내향성 손발톱은 심한 경우 외과적 수술을 취하여 절개 및 제거함으로써 손발톱이 살을 파고들어감으로 인한 염증이나 이차 감염으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내향성 손발톱으로 인한 증세가 다소 심각하지 않을 시에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교정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 다양한 교정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종래 기술로는 일단부가 손발톱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손발톱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상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손발톱을 향해 굴절되어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리부 및 상기 탄성편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편과 상기 손발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발톱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판상의 밀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리부가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하나가 말려 변형된 변형부위를 탄력적으로 펼쳐 교정하며, 상기 탄성편은 상기 손발톱 및 그 인접부 온도와 대응하는 온도에서 탄력적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손발톱 및 그 인접부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때 탄력적으로 펼쳐지도록 형상 기억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361813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함에 있어 밀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면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손발톱에 부착함으로써 손발톱의 손상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한 번의 사용으로 교정기구를 폐기하여야 함으로 내향성 손발톱이 재발할 경우 계속해서 재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18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향성 손발톱을 짧은 시간 내에 교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향성 손발톱의 양측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한 후에 다시 내향성 손발톱이 재발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재사용하여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가 형성되고, 지지부와 고정고리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지지부와 걸림고리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걸림홈부에 걸림되는 연장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텐션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는 내향성 손발톱의 양측을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대칭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구 각각의 하부에 걸림 되도록 한 후에 걸림구 각각의 상부에는 걸림구를 상부로 들어 올려주는 텐션구를 연결 구비함으로써 내향성 손발톱이 짧은 시간 내에 교정되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내향성 손발톱의 양측을 용이하게 상부로 들어 올려주는 이점 또한 있으며, 내향성 손발톱이 재발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재사용하여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가 발톱에 걸림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가 발톱에 걸림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가 발톱에 걸림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는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각각 형성되는 텐션구(26)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고리(12)는 도 3에서와 같이 손톱 또는 발톱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손톱 또는 발톱은 고정고리(12)에 지지됨과 아울러 양측이 각각 고정홈부(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구(20)의 걸림홈부(18)에는 후술되는 텐션구(26)가 끼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구(20)는 금속재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형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각각 형성되는 텐션구(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텐션구(26)는 걸림구(20)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양측이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는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구(26)를 걸림구(20)에 결합할 시에는 사용자가 텐션구(26)의 양측에 힘을 가하여 눌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의 연장돌기(24)에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고리(16)의 후방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며, 걸림돌기(34)로 인해 텐션구(26)가 걸림구(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의 양측 폭은 손톱 또는 발톱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형성되고, 안착부(22)의 타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된 연장홈부(28)를 갖는 연장부(30)가 형성되며, 연장돌기(24) 및 연장부(30) 사이에는 안착부(22) 방향으로 내입되는 내입부(32)가 형성되는 텐션구(26)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20)는 전술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형성되고, 안착부(22)의 타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된 연장홈부(28)를 갖는 연장부(30)가 형성되며, 연장돌기(24) 및 연장부(30) 사이에는 안착부(22) 방향으로 내입되는 내입부(32)가 형성되는 텐션구(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홈부(26)는 걸림고리(16)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내입부(32)는 연장돌기(24)가 원할하게 걸림홈부(18)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구(26)는 걸림구(20)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양측이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는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구(26)를 걸림구(20)에 결합할 시에는 사용자가 텐션구(26)의 양측에 힘을 가하여 눌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의 연장돌기(24)에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고리(16)의 후방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며, 걸림돌기(34)로 인해 텐션구(26)가 걸림구(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의 양측 폭은 손톱 또는 발톱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이격되어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되는 연장홈부(28)가 형성되는 텐션구(26)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20)는 전술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이격되어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되는 연장홈부(28)가 형성되는 텐션구(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홈부(28)에는 걸림고리(16)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며, 텐션구(26)는 걸림구(20)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양측이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는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됨이 더욱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구(26)를 걸림구(20)에 결합할 시에는 사용자가 텐션구(26)의 양측에 힘을 가하여 눌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구(26)의 양측 폭은 손톱 또는 발톱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는 내향성 손발톱이 짧은 시간 내에 교정되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내향성 손발톱의 양측을 용이하게 상부로 들어 올려주는 이점 또한 있으며, 내향성 손발톱이 재발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재사용하여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10 : 지지부
12 : 고정고리 14 : 고정홈부
16 : 걸림고리 18 : 걸림홈부
20 : 걸림구 22 : 안착부
24 : 연장돌기 26 : 텐션구
28 : 연장홈부 30 : 연장부
32 : 내입부 34 : 걸림돌기

Claims (6)

  1.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각각 형성되는 텐션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2.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홈부(18)에 걸림되는 연장돌기(24)가 형성되고, 안착부(22)의 타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된 연장홈부(28)를 갖는 연장부(30)가 형성되며, 연장돌기(24) 및 연장부(30) 사이에는 안착부(22) 방향으로 내입되는 내입부(32)가 형성되는 텐션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3. 내향성 손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2)에 있어서,
    상기 손발톱의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하부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고리(1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고정고리(12) 사이에는 손발톱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손발톱이 끼워지는 고정홈부(14)가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부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고리(16)가 형성되고, 지지부(10)와 걸림고리(16) 사이에는 손발톱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부(18)가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구(20);
    상기 걸림구(20)에 결합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로 상향 경사지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안착부(2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이격되어 걸림고리(16)에 대응되게 관통되는 연장홈부(28)가 형성되는 텐션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구(26)의 연장돌기(24)에는 한 쌍의 걸림구(2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고리(16)의 후방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20) 및 텐션구(26)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구(26)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1020170093237A 2017-07-24 2017-07-24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20190010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7A KR20190010952A (ko) 2017-07-24 2017-07-24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7A KR20190010952A (ko) 2017-07-24 2017-07-24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52A true KR20190010952A (ko) 2019-02-01

Family

ID=6536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37A KR20190010952A (ko) 2017-07-24 2017-07-24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9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603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테라시스디앤씨 내향성 발톱 치료 기구 및 치료 방법
KR102325203B1 (ko) * 2021-05-24 2021-11-10 김수정 발톱용 교정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603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테라시스디앤씨 내향성 발톱 치료 기구 및 치료 방법
KR102325203B1 (ko) * 2021-05-24 2021-11-10 김수정 발톱용 교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5580B1 (en) Accessory assembly for coupling a unit to an animal band
KR20190010952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20170092492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101457525B1 (ko) 발톱 교정기
KR20190010955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JP2016083250A (ja) マスク用係止具
JP2003010218A (ja) 陥入爪矯正具
KR101751341B1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20150088120A (ko) 의료용 상처 봉합장치
GB1568256A (en) Device for retaining a prosthetic elemnet on an osseous part
KR102290313B1 (ko) 발톱 교정기
JPH09164793A (ja) フォールダのリングを閉鎖する装置
KR20170060733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KR20190141888A (ko) 낚시용 연결고리
KR101789646B1 (ko) 발톱 교정기
JP2003235971A (ja) チューブ開閉クランプ
KR20160120012A (ko) 네일 교정기
KR200441367Y1 (ko) 모종삽
KR200407535Y1 (ko) 귀걸이
KR101589003B1 (ko) 목걸이 연결구
US20080305456A1 (en) Dental implant stabilizing device
JP2018108299A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456230Y1 (ko) 인조손톱
JP2004024222A (ja) 釣り用ルアーの中空中割式フックカバー
JP5371735B2 (ja) 水中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