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96A -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 Google Patents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96A
KR20190010396A KR1020177034621A KR20177034621A KR20190010396A KR 20190010396 A KR20190010396 A KR 20190010396A KR 1020177034621 A KR1020177034621 A KR 1020177034621A KR 20177034621 A KR20177034621 A KR 20177034621A KR 20190010396 A KR20190010396 A KR 2019001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determining
media
media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315B1 (ko
Inventor
밀란 파텔
임란 칼리크
Original Assignee
로비 가이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158,063 external-priority patent/US1016533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158,090 external-priority patent/US1039765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158,080 external-priority patent/US1011095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158,104 external-priority patent/US10085062B2/en
Application filed by 로비 가이드스, 인크. filed Critical 로비 가이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주어진 위치에서 또는 주어진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할 가능성이 있는 미디어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의 현재 궤적에 기반하여 주어진 위치 또는 주어진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해당 위치에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최대 관심을 갖는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추천은 제1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콘텐츠에 기반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종래의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과다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오버-더-탑("OTT") 콘텐츠 및 다양한 위치에서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일반적 접근성의 증가로, 사용자는 그들이 이전에는 할 수 없었던 위치에서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광범위하게 가용하지만, 특정 미디어 콘텐츠는 항상 모든 위치에서 가용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로서, 상이한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가 상이한 미디어 콘텐츠를 반송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가 소정 위치에서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가입 상태, 서비스 품질 이슈 등에 기인하여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주어진 디바이스 및/또는 특정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위치를 추천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의 현재 궤적에 기반하여 주어진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해당 위치에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로부터 미디어 에셋(media asset)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최대 관심을 갖는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추천은 제1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콘텐츠에 기반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텔레비전에 접속된 셋탑 박스 상에서 최근에 소비한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고, 그후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최근 소비한 콘텐츠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상에서 사용자에게 소비를 위한 다른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텔레비전에서 접근하는 겨울 폭풍에 대한 뉴스 스토리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의 차로 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접근하는 겨울 폭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의 차에서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서(차에서 액세스될 수 있음) 가용한 콘텐츠를 텀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그녀의 차에서, 그녀의 집에서 사용자가 소비한 동일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유사한 콘텐츠(예를 들어, 겨울 폭풍에 대한 라디오 스테이션 뉴스 방송 리포팅)를 추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의 차에서 동일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반면(예를 들어, 그녀는 그녀의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음) 스마트폰이 서비스 품질 이슈에 기인하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 이슈에 의해 더 적은 영향을 받을 것인 대응 오디오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풋볼 게임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저 품질 서비스의 영역을 향해 그녀의 차를 운전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높은 서비스 품질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고 해상도, 스트리밍 비디오) 대신 액세스를 위해 높은 서비스 품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오디오 전용 비디오 에셋, 저-품질 비디오 등)에 대해 사용자의 차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서 가용한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농구 게임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난 이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 공급자에 가입한 식당에 도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일치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농구 게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콘덴츠 공급자에 대한 가입을 통해 가용한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난 이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 공급자에 가입한 친구 집에 도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친구 집에서 가용하다고 결정한 이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친구 집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명령어(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 콘텐츠에 네비게이션하기 위한 명령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뮤지컬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가는 곳, 사용자가 도달할 때, 다양한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이 어떤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뮤지컬(또는 유사 프로그램)을 소비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고, 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 위치는 해당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 해당 위치에서 가용한 콘텐츠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위치에 있게 되고 나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뮤지컬에 액세스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추천하고 및/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예를 들어, 채널)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어 회로에서 구현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초기 위치 사이의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목록과 이들 디바이스의 다양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존재한다면, 어떤 위치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현재 궤적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메모리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retrieving)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제2 위치가 궤적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경우에,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에셋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할 수 있는 반면, 일부 경우에, 미디어 에셋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이전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미디어 에셋이 가용한지를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동일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또는 위치를 공유하는 제2 미디어 에셋을 탐색(searching)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할 수 있고,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징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미디어 에셋과 유사한 제2 미디어 에셋의 발견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미디어 에셋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alert)을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어 회로에서 구현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여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초기 위치 사이의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을 제1 위치로부터의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상이한 위치는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및/또는 지터(jitter)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상이한 서비스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 품질은 일부 콘텐츠(예를 들어, 고-해상도 비디오 프로그램)가 양 위치에서 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소정 위치의 낮은 서비스 품질은 단지 저-해상도 비디오 또는 오디오 프로그램만이 제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위치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동일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또는 위치를 공유하는 제2 미디어 에셋을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할 수 있고,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 및 특징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에서의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필요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식별할 수 있고,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제2 위치가 갖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한 것(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을 벗어남)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한 것(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계 시간 기간 동안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여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하고, 메모리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고, 제2 위치가 궤적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함으로써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예를 들어, 채널 번호, 네비게이션 명령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고,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예를 들어, 각각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음)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함으로써 궤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용 위치 중에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제2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서비스 품질의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2 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를 위한 최상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그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제2 위치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다른 시스템, 방법 및/또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거나, 그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과 장점은 유사 참조 문자가 전반에서 유사 부분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고려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목록과 다른 미디어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미디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추천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에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는 결정에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데 수반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의사코드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공급자를 식별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해당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에 기초하여 위치를 추천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주어진 위치에서 또는 주어진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할 가능성이 있는 미디어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콘텐츠 선택을 효율적으로 네비게이션하고 이들이 원할 수 있는 콘텐츠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임의의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기 또는 전자기 신호를 전파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일시적인 것일 수 있거나,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USB 드라이브, DVD, CD, 미디어 카드, 레지스터 메모리, 프로세서 캐시,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 비일시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될 때, 어구 "미디어 안내 데이터" 또는 "안내 데이터"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동작에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콘텐츠에 관련한 임의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로서, 안내 데이터는 프로그램 정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프로필 정보, 미디어 목록, 미디어 관련 정보(예를 들어, 방송 시간, 방송 채널, 타이틀, 설명, 등급 정보(예를 들어, 부모 관리 등급, 비평가의 등급, 등), 장르 또는 카테고리 정보, 배우 정보, 방송사의 로고 데이터 또는 공급자 로고, 등), 미디어 포멧(예를 들어, 표준 해상도, 고 해상도, 3D, 등), 광고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미디어 클립, 등), 온-디멘드 정보, 블로그, 웹사이트 및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선택 사이를 네비게이션하고 원하는 콘텐츠 선택을 찾기 위해 도움이 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안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의 현재 궤적에 기초하여 주어지거나, 주어진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해당 위치에서 또는 해당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의 "궤적(trajectory)"은 검출된 컴포넌트에 따라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언급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궤적의 "컴포넌트"는 궤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상호작용의 임의의 특징을 지칭한다. 예로서, 컴포넌트는 궤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속도 또는 속력, 방향 또는 각도 및/또는 임의의 다른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궤적은 임의의 적절한 단위로 표현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시작 지점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작 지점은 제1 위치 또는 제1 디바이스의 위치이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궤적이 사용자를 인도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좌표(예를 들어, 글로벌 위치확인 좌표)로 기술되는 제1 위치(또는 제1 디바이스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궤적은 또한 교통(transportation)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진행 또는 진행하고 있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걷는지 또는 차를 운전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교통 모드에 대한 정보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기차역의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차로 이동하는 경우)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어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궤적을 결정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전 좌표(예를 들어, GPS 좌표)와 연계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제1 위치, 제1 시청 영역 등을 결정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업데이트된 GPS 좌표, 대상물 인식,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예를 들어, 도 3에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궤적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두 개의 좌표 세트 사이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위치"는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위치의 임의의 상대 또는 절대 식별자를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의 위치는 지리적 좌표, 방향 벡터, 거리 주소, 건물 명칭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식별자에 상대적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위치는 프로퍼티 유형(예를 들어, 식당, 하드웨어 스토어, 영화 극장, 우체국, 개인 거주지, 사업 장소 등)에 상대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프로퍼티 유형"은 특정 목적, 특정 사용자 또는 기능과 연계된 위치를 지칭한다. 예로서, 제1 프로퍼티 유형은 제1 사용자의 집일 수 있다. 제2 프로퍼티 유형은 제2 사용자의 집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로퍼티 유형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는 제2 프로퍼티 유형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와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와는 상이한 케이블 공급자 또는 OTT 콘텐츠 공급자에 가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의 거주지에서 제1 사용자에게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는 제2 사용자의 거주지에서 제2 사용자에게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와는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는 또한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예로서, 위치는 해당 위치에 대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관장, 관리, 제어 및/또는 제공하는 특정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가 제1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와 연계될 수 있고, 제2 위치는 제2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와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는 제1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제1 서비스 품질)을 갖는 지리적 영역을 지칭할 수 있고, 제2 위치는 제2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제2 서비스 품질)을 갖는 지리적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는 지리적 좌표 시스템(예를 들어, 위도 또는 경도)에서 또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에서 좌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반면,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는 프로퍼티 유형,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또는 양(amount), 유형 또는 해당 위치에서의 미디어 콘텐츠의 접근성 같은 다른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는 하나 이상의 특정 디바이스, 콘텐츠 공급자, 서비스 품질 등과 연계될 수 있다. 이런 정보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로컬 또는 원격 중 어떤 식으로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 사용자 및/또는 임의의 제3자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와 연계된 특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쿼리할 수 있다. 예로서, 각 디바이스는 GPS 좌표에 기초하여 연계된 위치를 검색(또는 연계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는 각 디바이스가 시청 영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시청 영역"은 사용자가 실현가능하게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미디어 에셋을 소비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최대 거리를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텔레비전인 경우, 시청 영역은 평균 사용자가 제시된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는 텔레비전으로부터의 최대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청 영역은 인지가능한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로서 Shimy의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2011년 5월 24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069940호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시청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장애물과 함수관계가 있다. 예로서, 벽의 반대쪽의 사용자가 개인 컴퓨터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이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을 갖는 작은 방에 개인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때, 개인 컴퓨터의 시청 영역은 벽 내의 영역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이전에 개인 컴퓨터로부터 제거된 벽 반대쪽에 있는 사용자는 개인 컴퓨터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이제 이해할 수 있도록 벽 중 하나가 제거되는 경우, 개인 컴퓨터와 연계된 시청 영역은 이제 제거된 벽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시청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장애물과 함수관계가 있다. 예로서, 텔레비전이 다른 디바이스를 갖는 방 내에 존재하고, 그 오디오 출력이 텔레비전으로부터 특정 거리 떨어진 사용자가 텔레비전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듣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 이때, 텔레비전의 시청 영역은 사용자가 해당 다른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으로 인해 텔레비전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들을 수 있는 텔레비전으로부터의 최대 거리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디바이스 중 하나가 제거되어 텔레비전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이전에는 들을 수 없던 사용자가 이제 텔레비전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들을 수 있는 경우, 텔레비전과 연계된 시청 영역은 이제 해당 다른 디바이스의 제거에 기인하여 확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계된 시청 영역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미리결정된 근접도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결정된 근접도는 지리적 경계 및/또는 거리와 연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다른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예로서, 미리결정된 근접도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거리의 유한한 측정치를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리결정된 근접도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와 접속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으며, 반드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거리 또는 다른 관계인 것은 아니다. 예로서, 사용자가 시청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그 결정에 기초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는 시청 영역(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가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고 결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시청 영역 외측의 영역(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가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거나 제시할 수 없는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특정 지리적 경계 및/또는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그 결정이 기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미리결정된 근접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가 시청 영역 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그 결정이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영역 내의 사용자가 시청 영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검출 모듈은 사용자가 시청 영역 내에 있거나 외측에 있는지 여부 또는 그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시청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검출 모듈(316)(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청 영역에 진입 또는 그를 벗어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수의 방식으로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지리적 좌표, 프로퍼티 유형,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또는 위치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위치에 도달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위치의 명칭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될 때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GPS 데이터(예를 들어, 현재 지리적 좌표를 나타내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GPS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대상-인식 데이터(특정 위치와 연계된 대상을 식별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대상-인식 모듈로부터 수신됨) 또는 다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미디어 에셋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미디어 에셋에 대한 가입, 그에 대한 지불 또는 그에 대한 다른 방식의 요청의 결과로서 미래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의 영구적 또는 일시적 기반의 소비를 위해 미디어 에셋을 사용자가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에 기초한 위치에서 "액세스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에셋이 서비스로부터 액세스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에셋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에 관해 해당 위치에서 디바이스의 가입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미디어 에셋이 액세스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어느 포멧의 미디어 에셋이 액세스가능한지 및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떤 서비스 품질이 해당 포멧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미디어 에셋이 위치로부터 액세스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일 위치(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Wi-Fi 액세스를 갖는 제1 사용자의 거주지)로부터 온라인 영화가 액세스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라디오 방송이 제2 위치(예를 들어, 라디오 스테이션의 방송 범위 이내의 카 라디오)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최대 관심을 갖는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추천은 제1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콘텐츠에 기반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텔레비전에 접속된 셋탑 박스 상에서 최근에 소비한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고, 그후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최근 소비한 콘텐츠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상에서 사용자에게 소비를 위한 다른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기 직전에, 사용자는 텔레비전에서 접근하는 겨울 폭풍에 대한 뉴스 스토리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의 차로 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접근하는 겨울 폭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의 차에서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서(차에서 액세스될 수 있음) 가용한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그녀의 차에서, 그녀의 집에서 사용자가 소비한 동일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유사한 콘텐츠(예를 들어, 겨울 폭풍에 대한 라디오 스테이션 뉴스 방송 리포팅)를 추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의 차에서 동일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반면(예를 들어, 그녀는 그녀의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음) 스마트폰이 서비스 품질 이슈에 기인하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 이슈에 의해 더 적은 영향을 받을 대응하는 오디오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미디어 에셋" 및 "콘텐츠"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및 페이퍼뷰 프로그램, 온-디맨드 프로그램(비디오-온디맨드(VOD) 시스템에서와 같이),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어, 스트리밍 콘텐츠, 다운로드가능 콘텐츠, 웹케스트 등), 비디오 클립, 오디오, 콘텐츠 정보, 사진, 회전 이미지, 문서, 재생목록, 웹사이트, 물품, 서적, 전자 서적, 블로그, 광고, 채팅 세션,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및/또는 임의의 다른 미디어 또는 멀티미디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 같은 전자식으로 소비가능한 사용자 에셋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이를 찾을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할 때, 용어 "멀티미디어"는 앞서 설명한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콘텐츠 형태 예로서,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또는 대화형 콘텐츠 형태를 사용하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콘텐츠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의해 기록, 재생, 디스플레이 또는 액세스될 수 있지만, 또한, 라이브 퍼포먼스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어구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 "전자 장비", "미디어 장비 디바이스" 또는 "미디어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임의의 디바이스, 예컨대, 텔레비전, Smart TV, 셋탑 박스, 위성 텔레비전을 취급하기 위한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DMR(digital media receiver), DMA(digital media adapter), 스트리밍 미디어 디바이스, DVD 플레이어, DVD 레코더, 접속 DVD, 로컬 미디어 서버, BLU-RAY 플레이어, BLU-RAY 레코더, 개인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WebTV 박스, 개인 컴퓨터 텔레비전(PC/TV), PC 미디어 서버, PC 미디어 센터, 핸드헬드 컴퓨터, 고정식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전화,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 기계, 스마트 폰 또는 임의의 다른 텔레비전 장비, 컴퓨팅 장비 또는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전방 지향 스크린 및 후방 지향 스크린, 다수의 전방 스크린 또는 다수의 경사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전방 지향 카메라 및/또는 후방 지향 카메라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통해 가용한 동일한 콘텐츠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찾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는 마찬가지로 이들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할 수 있다. 제공된 안내는 텔레비전을 통해서만 가용한 콘텐츠,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를 통해서만 가용한 콘텐츠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와 텔레비전 양자 모두를 통해 가용한 콘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즉, 웹 사이트 상에 제공된) 또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의 클라이언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이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으로서 나타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작업장으로부터 그녀의 집으로 통근하면서 전자 태블릿 상에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가 통근하는 동안 전자 태블릿 상에서 로맨틱 코미디를 시청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셋톱 박스를 통해 다른 로멘틱 코미디를 사용자 텔레비전 상에서 시청할 것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추천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수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디바이스는 셋탑 박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셋톱 박스로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특정 채널로의 동조)을 검출함으로써 셋톱 박스를 사용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접촉에 의해, 원격 제어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음성 명령을 통해 또는 사용자에게 가용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셋탑 박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의 사용을 카달로그화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셋탑 박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때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 이후 경과한 시간의 양의 추적을 유지하기 위해 타이머를 시동할 수 있다. 타이머가 임계 수에 도달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나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메모리로부터 시간의 임계 길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할 때, "시간의 임계 길이"는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시간의 길이이다. 예로서, 시간의 임계 길이는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 소비를 시작(또는 제1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소비를 정지)한 시간의 지점에서 시작하고,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였던 시간의 지점까지 시간을 통해 거슬러 연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한 시간의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미디어 콘텐츠의 소비를 정지한 시간 지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로서 결정된 미디어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는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시작할 때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소비하기를 원하는 추가적 미디어 콘텐츠를 결정(및/또는 추가적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기준을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시간의 임계 길이는 다양한 측정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예로서, 시간의 임계 길이는 초, 분 및/또는 다른 시간 증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시간의 임계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에셋의 수에서 계산될 수 있다. 예로서, 임계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소비된 특정 수의 노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상의 추가적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추천이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소비된 최종 네 개의 노래에 기초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를 정의하는 시간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로서, 시간 지점은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정지할 때,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용 사이의 시간 길이,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유형,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콘텐츠의 유형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태블릿) 및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상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태블릿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시작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태블릿 상에서 타이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전자 태블릿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고 스마트 폰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결정할 때, 이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기 위해 전자 태블릿에 요청을 전송하고 스마트 폰에 타이머의 경과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전화가 경과 시간을 수신하고 나서, 추후 검색을 위해 값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 소비를 시작할 때의 시간("Start Time")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때, 이는 Start Time이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Start Time을 수신하고 나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시간과 Start Time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간의 임계 길이는 그후 추후 검색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간헐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태블릿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로서, 태블릿 상에서 인터넷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비디오 시청 도중, 사용자는 자녀의 숙제를 도와주어야 해서 사용자가 시청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녀의 숙제를 돕는 동안, 인터넷 비디오는 전자 태블릿 상에서 재생을 지속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해당 시간 동안 비디오를 소비하지 않는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로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태블릿을 보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중단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녀의 숙제를 돕고 나면, 그녀는 인터넷 비디오의 시청을 재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중단을 고려하기 위해 두 개의 시간의 임계 길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최종 소비한 미디어 에셋에 기초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셋탑 박스를 통해 텔레비전에서, "Saved by the Bell"의 에피소드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집을 벗어나는 경우, 그녀는 그녀의 전자 태블릿을 소지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녀의 전자 태블릿 상에서 다른 "Saved by the Bell" 에피소드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의 임계 길이는 사용자가 "Saved by the Bell"에 사용한 시간의 양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 동안 거슬러 연장한 시간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시간을 검색하고, 이를 기간을 위한 종료 시간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종료 시간으로부터 시간의 임계 길이를 차감함으로써 기간을 위한 시작 시간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그후, 종료 시간 및 시작 시간은 함께 시간의 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시간 기간 동안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제1 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예를 들어, 셋탑 박스를 통해 텔레비전에서) "Dumb and Dumber" 및 "The Big Bang Theory"를 시청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의 일부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두 개의 미디어 에셋과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 목록을 분석하고, 추후 시간에서의 검색을 위해 이들 콘텐츠 목록에 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그와 연계된 콘텐츠 목록(예를 들어, 인터넷 비디오)을 갖지 않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태블릿)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와 연계된 특징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특징"은 미디어 에셋을 카테고리화 및/또는 다른 미디어 에셋으로부터 해당 미디어 에셋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미디어 에셋에 대한 임의의 정보이다. 예로서,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임의의 정보 및 미디어 콘텐츠 내의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특징은 장르, 타이틀, 길이, 소스, 배우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 비디오를 시청하기 시작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와 연계된 특징의 추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들 특징은 인터넷 비디오 자체, 비디오와 연계된 메타-데이터 또는 인터넷 비디오가 사용자에게 가용해지게 하는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이들 특징을 검색하고 나면, 이는 이들을 제1 디바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특징은 제2 디바이스에 추후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녀의 차로 통근하면서 라디오를 청취하는 경우, 그녀는 단지 락 뮤직을 청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락 뮤직"이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락 밴드 또는 아티스트에 의한 뮤직을 사용자가 청취하는 것에 기초하여 특정 락 밴드 및/또는 아티스트에 의해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이 뮤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가장 대중적이거나 유행하는 서브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비디오 모드가 공통적 특징을 갖지는 않을 수 있지만, 비디오의 서브세트는 그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브세트는 요리 쇼 장르에 대응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지 해당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하키 게임, 세 개의 요리 쇼 및 뉴스 프로그램을 시청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 프로그램과 연계된 프로그램 목록에 기초하여, 예로서, 프로그램이 그들과 연계된 어떠한 공통적 특징도 갖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요리 쇼는 그들과 연계된 공통적 특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요리 쇼에 기초한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만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비디오가 다수의 서브세트로 분할되고 각 서브세트가 특징을 공유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이 그와 연계된 대부분의 비디오를 갖는 서브세트일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콘텐츠의 다수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다수의 특징은 앞서 설명된 서브세트에 기초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추가로 특정 서브세트와 연계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소비한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서브세트를 등급화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전자 태블릿 상에서 2-시간 영화를 시청하고, 그후, 15-분 뉴스 세그먼트를 시청한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15-분 뉴스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서브세트보다 더 높게 2-시간 영화를 포함하는 서브세트를 등급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 서브세트의 미디어 에셋의 수에 기초하여 서브세트를 등급화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10개 3-분 락 노래를 그녀의 스마트폰 상에서 청취하고, 또한, "Star Trek"의 한 시간 길이 에피소드를 시청하였을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두 개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특징은 "락 뮤직"이고 제2 특징은 "sci-fi 쇼"일 수 있다. 10개 락 노래는 제1 서브세트에 들어갈 수 있고, "Star Trek"는 제2 서브세트에 들어갈 수 있다. "락 뮤직"은 쇼가 더 김에도 불구하고 서브세트의 단 하나의 쇼에 대비한 10개 노래에 기인하여 더 높게 등급화될 수 있다. 특징에 대한 다른 등급화 기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자 프로필의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등급화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사용자가 중간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였는지 여부 또는 특징과 연계된 전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소비하였는지 여부와 어떤 콘텐츠가 가장 최근에 소비되었는지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등급은 앞서 설명한 방법 중 일부 또는 모두의 가중 평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2-시간 영화를 시청하고, 열 개의 3-분 노래를 청취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 3-분 노래가 영화 18분을 소비하는 데 상당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징의 등급은 미디어 에셋의 수와 미디어 콘텐츠의 길이 양자 모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소비를 위한 제2 미디어 콘텐츠를 특징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특징을 수신하고 나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징에 일치하는 미디어 에셋에 대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텔레비전에 접속된 셋탑 박스에서 소비된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은 "Sherlock Holmes"일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이 캐릭터가 출연하는 영화를 시청한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녀의 제2 디바이스로서의 스마트 폰으로 전환한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Sherlock Holmes"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스마트 폰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미디어 목록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Sherlock Holmes"에 대해 그 목록을 탐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셀룰러 및/또는 Wi-Fi 접속을 통해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Sherlock Holmes"에 일치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인터넷 사이트를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 탐색을 위해 임의의 상업적 검색 엔진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적절하다면, 비디오 에셋(예를 들어, 영화), 오디오 에셋(예를 들어, 오디오 서적, 내레이티브) 및/또는 텍스트 콘텐츠(예를 들어, 짧은 스토리) 만으로 탐색을 좁힐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2 디바이스에 대한 다수의 특징을 수신하는 경우, 이는 수신된 특징 각각에 대해 앞서 설명한 탐색을 실행하고, 각 특징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을 반환할 수 있다.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급화될 수 있다. 특징이 등급화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지 가장 높은 등급의 특징과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거나, 등급 순서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와 연계된 디바이스의 목록을 저장하고, 특징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목록의 각 디바이스 상에서의 소비를 위한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한다. 예로서, 사용자는 그녀와 연계된 세 개의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텔레비전에 접속된 셋탑 박스, 전자 태블릿 및 스마트 폰). 사용자는 텔레비전에 접속된 셋탑 박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셋탑 박스의 사용을 정지하고 전자 태블릿의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징에 기초하여 전자 태블릿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후에 그녀의 스마트 폰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징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와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의 서비스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서비스 품질"은 전화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최종 사용자에 의해 수신될 때의 품질을 지칭한다. 서비스 품질은 정보의 송신자 또는 수신자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래그(throughput lag), 전송 지연, 가용성, 지터 등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의 양태에 의해 측정 및/또는 이들을 반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 Peuhkuri M.의 IP Quality of Service,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Laborator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199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은 "인간" 및 "기술적" 인자로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인간 인자는 서비스 안정성, 서비스 가용성, 지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기술적 인자는 신뢰성, 확장성, 효율성, 유지성, 서비스 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품질은 수용가능한 최소 대역폭 및 최대 지연에 기초할 수 있다. 예로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화상회의를 포함하고, 그래서 네트워크에 대해 높은 수요를 부여하는 애플리케이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 전송에 제한되며, 따라서, 네트워크에 대한 더 낮은 수요를 갖는 애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수용가능 최소 대역폭 및 최대 지연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이한 콘텐츠 공급자와 연계된 보증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 콘텐츠 공급자와 연계된 가용 대역폭 및 최대 지연을 비교할 수 있다. 예로서, 각 콘텐츠 공급자에 대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최대 지연(dmax)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b는 토큰 버킷 깊이이고, r은 버킷 레이트이며, p는 토큰 버킷과 피크 레이트의 합이고, M은 최대 데이터그램 크기이고, R은 접속에 할당된 대역폭이고, Ctot는 레이트 의존적 오류 항의 단대단(end-to-end) 합이고, Dtot는 레이트 독립적 요소당(per-element) 오류 항의 단대단 합이다.
Figure pct00001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특정 미디어 에셋의 어느 콘텐츠 공급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최고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미디어 에셋의 상이한 콘텐츠 공급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미디어 에셋에 대한 액세스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어느 콘텐츠 공급자를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거나, 다양한 콘텐츠 공급자를 등급화할 수 있거나,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서비스 품질은 특정 유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성능 레벨을 참조할 수 있다. 예로서, 더 큰 크기의 콘텐츠의 전달 또는 특정 포멧은 네트워크 상에 더 많은 수요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는 더 높은 성능 또는 달성된 서비스 품질(예를 들어, 높은 비트 레이트, 낮은 레이턴시 및 낮은 비트 오류 확율)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한 소비를 위해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제공하기 이전에 특정 콘텐츠 공급자를 사용하여 제공된 성능 레벨이 수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높은 레벨의 사용자 체험을 보증한다. 예로서, 성능 레벨이 확인되기 때문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낮은 서비스 품질 및 열악한 사용자 체험을 초래하는 콘텐츠 공급자에 대한 접속을 이행하지 않을 것이다.
서비스 품질 결정시 다양한 변수를 테스트하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대역폭, 지터, 레이턴시 및 패킷 손실을 측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의 각 특징에 대해 테스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에 대한 액세스를 가지거나 및/또는 통합할 수 있다. 아웃-오브-시퀀스 카운트 같은 통계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쿼리하고, 체크섬 오류 같은 데이터 패킷의 오류를 검출하는 것(예를 들어, 패리티 바이트 또는 패리티 워드 알고리즘, 모듈 합 알고리즘, 위치-의존 알고리즘 등에 따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 측정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핑(ping)할 수 있다. 예로서, 테스트 레이턴시를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근위단(near-end) 대 원위단(far-end) 및 원위단 대 근위단 방향 양자 모두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가중 평균에 기초하여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서비스 품질의 "특징"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변수이다. 예로서, 특징은 정보의 송신자 또는 수신자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래그, 전송 지연, 가용성, 지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징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보증 서비스 품질의 최대 지연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징은 변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통계 데이터가 생성되는 특징만을 선택할 수 있거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적절한 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징은 산업 표준, 사용자 선택 또는 공장 디폴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품질의 결정시 이들 특징 각각을 상이하게 가중할 수 있다. 예로서, 특정 특징은 일부 상황에서 서비스 품질을 더 많이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제1 특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제2 특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보다 더 정밀하고, 더 정확하고 더 강인할 수 있는 등이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기기는 서비스 품질의 결정에서 제2 특징보다 제1 특징을 더 많이 가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품질(또는 특정 특징의 측정치)은 지속적으로 또는 미리결정된 시간에 및/또는 특정 입력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한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예를 들어, 특정 콘텐츠 공급자로부터의 미디어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을 필요로하는 임의의 시간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서비스 품질을 검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리결정된 시간에(예를 들어, 매시간)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에셋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 콘텐츠 공급자의 집단에 대한 액세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조 등에 응답하여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임계 서비스 품질을 검색할 수 있다. 임계 서비스 품질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특정 작용을 트리거하는 임의의 서비스 품질일 수 있다. 예로서, 임계 서비스 품질은 산업 표준, 사용자 선택 또는 공장 디폴트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임계 서비스 품질은 전체 네트워크 조건 및/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로서, 네트워크 조건이 강요될 때(예를 들어, 시스템에 대한 부하가 증가할 때), 임계 서비스 품질은 더 많은 미디어 에셋이 사용자에게 가용해질 수 있게 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조건이 강요될 때, 임계 서비스 품질은 사용자 체험이 네트워크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보증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낮추는 것을 선택할 때(예를 들어, 단지 표준 해상도 미디어 에셋을 요청), 임계 서비스 품질은 네트워크에 대한 더 낮은 수요를 반영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1 위치로부터 제2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사용자의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집과 연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와 연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녀의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상에서 뮤직을 청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이제 활성화된 그녀의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갖는다고 결정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사용자는 뮤직을 청취하기 위해 그녀의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에 대한 모든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사용자 입력의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 타이머를 활성화하고, 또한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최종 입력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타이머가 임계 값에 도달하고 나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예비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2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임계 값이 도달된 이후 사용자 입력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된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시간으로 최종 입력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타이머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미디어 콘텐츠는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제2 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된다. 예로서,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태블릿) 상에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고 그후 오디오만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 라디오)로 전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은 비디오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에 기초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추천은 오디오 전용 콘텐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의 임계 길이는 제2 디바이스 사용 직전에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한 시간의 양에 기초한다. 예로서, 사용자는 하루종일 전자 태블릿 상에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그녀는 아침에 뉴스를 시청하고, 오후에 일부 드라마를 시청하고, 저녁에 일부 인터넷 비디오와 뉴스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저녁에 인터넷 비디오와 뉴스 프로그램을 소비한 시간에만 기초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를 저장할 수 있다. 아침 및 오후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는 저녁에 소비된 콘텐츠와 연속적으로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이 콘텐츠는 시간의 임계 길이에 사용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의 산발적 사용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유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유형은 영화, 뉴스 프로그램, 일련의 에피소드, 뮤직, 뮤직 비디오, 카툰, 스포츠 이벤트, 시트콤 등일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추가로 세분될 수 있다. 예로서, 영화는 액션, 코미디, 로맨스, 다큐멘터리, 고전, 아동, 드라마, 공포, 스릴러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카툰은 성인 카툰과 아동 카툰으로 분할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미디어 에셋과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 목록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거나, 미디어 에셋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로부터 이들 특징을 검색할 수 있거나, 특징에 대해 미디어 에셋과 연계된 메타-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런 데이터베이스의 예는 www.imdb.com에서 발견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트콤, 뉴스 프로그램 및 뮤직 비디오를 소비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 미디어 에셋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 목록에 기초하여 이들 미디어 에셋 각각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사용자가 가장 빈번히 소비한 미디어 콘텐츠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총 3시간 소비하였을 수 있다. 사용자는 두 시간의 시트콤, 삼 분의 뮤직 비디오 및 삼십 분의 뉴스 프로그램을 소비하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소비한 두 시간의 시트콤에만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최종 소비한 콘텐츠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예에서, 사용자가 두 시간의 시트콤, 삼십 분의 뉴스 프로그램 및 삼십 분의 뮤직 비디오를 해당 순서로 소비한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삼십 분의 뮤직 비디오에만 기초하여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미디어 콘텐츠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알림"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발생을 알리는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통신일 수 있다. 예로서, 알림은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콘텐츠에 기초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의 가용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알림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 기반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알림은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콘텐츠 추천이 가용하다고 결정한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에 의해 미디어 콘텐츠 추천의 가용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진동, 오디오톤, 비주얼 큐 등을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가용 미디어 콘텐츠 추천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로서, 가용 추천이 영화인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비주얼 큐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추천이 노래인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톤을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에게 추천된 미디어 에셋의 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세 개의 미디어 에셋이 사용자에게 추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태블릿이 3회 진동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미디어 에셋이 추천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를 귀찮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최대 5회 진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추천되는 미디어 에셋의 수에 대한 비주얼 큐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용어 "~에 응답하여"는 그 결과로서 개시되는 것을 지칭한다. 예로서, 다른 작용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제1 작용은 제1 작용과 제2 작용 간의 사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용어 "직접적으로 ~에 응답하여"는 그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지칭한다. 예로서, 다른 작용에 직접적으로 응답하여 수행되는 제1 작용은 제1 작용과 제2 작용 간의 사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로서 예시되었지만, 이들은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위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된 선택가능한 옵션(예를 들어, 메뉴 옵션, 목록 옵션, 아이콘, 하이퍼링크 등)을 선택하거나 원격 제어부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 상에 전용 버튼(예를 들어, GUIDE 버튼)을 누름으로써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에 대한 소망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의 표시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수의 방식 중 하나로, 예컨대, 그리드에서의 시간 및 채널에 의해, 시간에 의해, 채널에 의해, 소스에 의해, 콘텐츠 유형에 의해, 카테고리(예를 들어, 영화, 스포츠, 뉴스, 아동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의 카테고리)에 의해 또는 다른 미리정의된, 사용자 정의 또는 다른 조직화 기준에 의해 조직화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이 안내를 제공하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대화형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대화형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때때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라 지칭됨)는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다수 유형의 콘텐츠 또는 미디어 에셋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찾을 수 있게 하는 잘 알려진 안내 애플리케이션이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콘텐츠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찾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사용자 디바이스(130) 상의 단일 디스플레이에서 상이한 유형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역시 가능하게 하는 시간 및 채널에 의거하여 구성된 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100)의 예시적 그리드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30)는 제1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 디바이스(132)는 제2 위치의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30) 상에서 액세스되는 미디어 에셋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32)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그리드(102)를 포함하고, 이는 (1) 채널/콘텐츠 유형 식별자(104)의 컬럼- 각 채널/콘텐츠 유형 식별자(컬럼의 셀임)는 가용한 상이한 채널 또는 콘텐츠 유형을 식별함 -; 및 (2) 시간 식별자(106)의 로우(row)- 각 시간 식별자(로우의 셀임)는 프로그래밍의 시간 블록을 식별함 -를 갖는다. 그리드(102)는 또한 프로그램 목록(108) 같은 프로그램 목록의 셀을 포함하고, 각 목록은 목록의 연계된 채널 및 시간에 제공된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서, 사용자는 하일라이트 영역(110)을 이동시킴으로써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하일라이트 영역(110)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한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영역(112)에 제공될 수 있다. 영역(112)은 예로서, 프로그램 타이틀, 프로그램 설명,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시간(적용가능한 경우), 프로그램이 상영되는 채널(적용가능한 경우), 프로그램의 등급 및 다른 원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시간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스케쥴링되고 스케쥴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에 추가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비선형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임의의 시간에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하고 스케쥴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 아닌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도 제공한다. 비선형 프로그래밍은 온디멘드 콘텐츠(예를 들어, VOD),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어, 스트리밍 미디어, 다운로드가능 미디어 등), 로컬 저장된 콘텐츠(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임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다른 시간-독립적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이한 콘텐츠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온디멘드 콘텐츠는 특정 콘텐츠 공급자(예를 들어, "The Sopranos" 및 "Curb Your Enthusiasm"를 제공하는 HBO On Demand)에 의해 제공되는 영화 또는 임의의 다른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HBO ON DEMAND는 Time Warner Company L.P. 등이 소유한 서비스 마크이며, THE SOPRANOS 및 CURB YOUR ENTHUSIASM는 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다. 인터넷 콘텐츠는 웹 이벤트, 예컨대, 채팅 세션 또는 Webcast 또는 인터넷 웹 사이트나 다른 인터넷 액세스(예를 들어, FTP)를 통한 스트리밍 콘텐츠 또는 다운로드가능 콘텐츠로서 온디멘드 방식으로 가용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드(102)는 온디멘드 목록(114), 기록된 콘텐츠 목록(116) 및 인터넷 콘텐츠 목록(118)을 포함하는 비선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콘텐츠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조합하는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혼합형-미디어" 디스플레이라 지칭된다. 디스플레이(100)와는 다른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의 유형의 다양한 변형은 사용자 선택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정의(예를 들어, 기록 및 방송 목록 전용, 온디멘드 전용 및 방송 목록 등의 디스플레이)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목록(114, 116, 118)은 이들 목록의 선택이 온디멘드 목록, 기록된 목록 또는 인터넷 목록 각각에 전용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그리드(102)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시간 블록에 걸쳐져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콘텐츠 유형에 대한 목록은 그리드(102)에 직접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아이콘(120)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상의 화살표 키를 누르는 것은 네비게이션 아이콘(120)을 선택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또한 비디오 영역(122), 광고 영역(124) 및 옵션 영역(126)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은 사용자에게 현재 가용한, 향후 가용할 또는 가용하였던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청 및/또는 미리보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의 콘텐츠는 그리드(102)에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그에 독립적일 수 있다. 비디오 영역을 포함하는 그리드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PIG(picture-in-guide) 디스플레이라 지칭된다. PIG 디스플레이 및 그 기능성은 2003년 5월 13일자로 허여된 Satterfield 등의 미국 특허 제6,564,378호 및 Yuen 등의 2001년 5월 2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39,794호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PIG 디스플레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광고(124)는 시청자의 액세스 권한에 따라(예를 들어, 가입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현재 시청에 가용한, 미래에 시청에 가용할 것인 또는 시청이 가용해지지 않을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드(102)의 콘텐츠 목록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거나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광고(124)는 또한 그리드(102)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에 관련되어 있거나 관련되어 있지 않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광고(124)는 선택가능할 수 있고, 콘텐츠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제공,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 콘텐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를 가능화, 광고에 관련한 콘텐츠를 제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124)는 사용자의 프로필/선호도, 모니터링된 사용자 활동,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유형 또는 다른 적절한 타겟화된 광고 기반에 기초하여 타겟화될 수 있다.
광고(124)가 직사각형 또는 배너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및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광고(124)는 그리드(102)에 수평으로 인접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때때로 패널 광고라 지칭된다. 추가적으로, 광고는 콘텐츠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위에 중첩되거나 디스플레이 내에 내재될 수 있다. 광고는 또한 텍스트, 이미지, 회전 이미지, 비디오 클립 또는 이전에 설명한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원격 위치(스트리밍 미디어 서버 포함)의 사용자 장비에 접속된 데이터베이스에 또는 다른 저장 수단 상에 또는 이들 위치의 조합에 저장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예로서, 2003년 1월 17일자로 출원된 Knudso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110499호; 2004년 6월 29일자로 허여된 Ward, III 등의 미국 특허 제6,756,997호; 및 2002년 5월 14일자로 허여된 Schein 등의 미국 특허 제6,388,714호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광고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옵션 영역(126)은 사용자가 상이한 유형의 콘텐츠,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옵션 영역(126)은 디스플레이(100)(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거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상의 전용 또는 할당가능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상의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옵션 영역(126) 내의 선택가능 옵션은 그리드(102) 내의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한 특징을 고려할 수 있거나, 주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가용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한 특징은 다른 방영 시간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식에 대한 탐색, 프로그램을 기록, 프로그램의 시리즈 기록을 가능화, 프로그램 및/또는 채널을 선호대상으로 설정, 프로그램 구매 또는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주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옵션은 탐색 옵션, VOD 옵션, 부모 관리 옵션, 인터넷 옵션, 클라우드 기반 옵션, 디바이스 동기화 옵션, 제2 스크린 디바이스 옵션, 미디어 안내 데이터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옵션,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가입을 위한 옵션, 사용자의 프로필 편집을 위한 옵션, 브라우즈 오버레이 액세스에 대한 옵션 또는 다른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인화될 수 있다. 개인화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및 특징을 맞춤화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화된 "체험"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이 개인화된 체험은 사용자가 이들 맞춤화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하도록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들 자신을 그것에 식별시킴으로써 그 개인화된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맞춤화는 사용자 프로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맞춤화는 가변적 제시 체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컬러 체계, 텍스트의 폰트 크기 등),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목록의 양태(예를 들어, HDTV 전용 또는 3D 프로그래밍 전용, 선호 채널 선택에 기초한 사용자-지정 방송 채널, 채널의 디스플레이의 재정렬, 추천 콘텐츠, 등), 원하는 기록 피처(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를 위한 기록 또는 시리즈 기록, 기록 품질, 등), 부모 관리 설정, 인터넷 콘텐츠의 맞춤화된 제시(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콘텐츠, 이메일, 전자식 전달 문헌, 등의 표시) 및 다른 원하는 맞춤화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 있거나, 자동으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컴파일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로서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콘텐츠 및/또는 사용자가 가질 수 있는 안내 애플리케이션과의 다른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www.allrovi.com 같은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인터넷 상의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다른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다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로부터 등)와 관련한 다른 사용자 프로필 중 모두 또는 일부를 취득할 수 있고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소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에 걸쳐 균일화된 안내 애플리케이션 체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사용자 체험은 도 4에 연계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추가적 개인화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은 2005년 7월 11일자로 출원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51827호, 2017년 1월 16일자로 허여된 Boyer 등의 미국 특허 제7,165,098호 및 2002년 2월 21일자로 출원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174430호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218) 상에 도시된 비디오 모자이크 디스플레이(200)는 콘텐츠 유형, 장르 및/또는 다른 조직화 기준에 기초하여 조직화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선택가능한 옵션(202)을 포함한다. 디바이스(218)는 제1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 디바이스(220)는 제2 위치의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디바이스(222)는 제3 위치의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18) 상에서 액세스되는 미디어 에셋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20 또는 222)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20)는 궤적(226)을 통해 도달될 수 있는 반면, 디바이스(222)는 궤적(224)을 통해 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어느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220 또는 222)) 또는 어느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220) 또는 디바이스(222) 중 어느 한쪽과 연계됨)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를 사용자가 결정된 궤적(예를 들어, 궤적(226 또는 224))을 따른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에서, 텔레비전 목록 옵션(204)이 선택되고,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 목록으로서 목록(206, 208, 210, 212)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200)에서, 목록은 목록의 미디어 안내 데이터에 의해 기술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커버 아트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 콘텐츠로부터의 스틸 이미지, 비디오 클립 프리뷰, 콘텐츠로부터의 라이브 비디오 또는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픽 목록 각각에는 또한 목록과 연계된 콘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텍스트가 동반될 수 있다. 예로서, 목록(208)은 미디어 부분(214)과 텍스트 부분(216)을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부분(214) 및/또는 텍스트 부분(216)은 풀 스크린으로 콘텐츠를 시청하도록 또는 미디어 부분(214)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에 관련한 정보를 시청하도록(예를 들어, 비디오 디스플레이가 온되어 있는 채널에 대한 목록을 시청) 선택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목록은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지지만(즉, 목록(206)은 목록(208, 210, 212)보다 더 큼), 필요한 경우, 모든 목록은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목록은 사용자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거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특정 콘텐츠를 강조하도록 그래픽적으로 강조되거나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목록을 그래픽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로서, 2005년 12월 29일자로 출원된 Yates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153885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그리고, 전술 및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의 일반화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더 특정한 구현예는 도 4와 연계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는 입력/출력(이하 "I/O") 경로(302)를 통해 콘텐츠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O 경로(302)는 콘텐츠(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래밍, 온디멘드 프로그래밍, 인터넷 콘텐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통한 가용한 콘텐츠 및/또는 다른 콘텐츠)와 데이터를 제어 회로(304)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는 처리 회로(306) 및 저장소(308)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304)는 명령, 요청 및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I/O 경로(302)를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O 경로(30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아래에 설명됨)에 제어 회로(304)(그리고, 구체적으로 처리 회로(306))를 접속시킬 수 있다. I/O 기능은 이들 통신 경로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 3에서는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일 경로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회로(304)는 처리 회로(306) 같은 임의의 적절한 처리 회로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에 기초한 회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멀티 코어 프로세서(예를 들어, 듀얼 코어, 쿼드 코어, 헥사 코어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코어) 또는 슈퍼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는 다수의 별개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유닛, 예로서, 다수의 동일 유형의 처리 유닛(예를 들어, 두 개의 Intel Core i7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상이한 프로세서(예를 들어, Intel Core i5 프로세서 및 Intel Core i7 프로세서)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메모리(즉, 저장소(308))에 저장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명령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304)는 전술 및 후술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받을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안내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 회로(304)에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304)에 의해 수행되는 임의의 작용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서버와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케이블 모뎀,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모뎀, DSL(디지털 가입자 라인) 모뎀, 전화 모뎀, 이더넷 카드 또는 다른 장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모뎀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통신은 인터넷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경로(도 4와 연계하여 더 상세히 설명됨)를 수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회로는 서로 원격 위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통신 또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더 상세히 후술됨).
메모리는 제어 회로(304)의 일부인 저장소(308)로서 제공된 전자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될 때, 어구 "전자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저장 디바이스"는 전자 데이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디바이스, 예컨대, 임의-접근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DVD(digital video disc) 레코더, CD(compact disc) 레코더, BLU-RAY 디스크(BD) 레코더, BLU-RAY 3D 디스크 레코더, DVR(digital video recorder)(때때로 개인 비디오 레코더 또는 PVR이라 지칭됨), 고체 상태 디바이스, 퀀텀 저장 디바이스, 게이밍 콘솔, 게이밍 미디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고정 또는 이동식 저장 디바이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저장소(308)는 앞서 설명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 및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시동 루틴 또는 다른 명령어를 시작하기 위해).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클라우드-기반 저장소가 저장소(308)를 보완하기 위해 또는 저장소(308)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비디오 생성 회로 및 동조 회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동조기, 하나 이상의 MPEG-2 디코더 또는 다른 디지털 디코딩 회로, 고-해상도 동조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동조 또는 비디오 회로 또는 이런 회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회로(예를 들어, 무선(over-the-air),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을 위한 MPEG 신호로 변환하기 위함)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또한 사용자 장비(300)의 바람직한 출력 포멧으로 콘텐츠를 업컨버팅 및 다운컨버팅하기 위한 스케일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304)는 또한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사이의 변환을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조 및 인코딩 회로는 콘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 재생 또는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동조 및 인코딩 회로는 또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동조, 비디오 생성,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해독, 스케일러 및 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회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목적 또는 특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시적 동조 기능(예를 들어, 시청 및 기록 기능, PIP(picture-in-picture) 기능, 다수-동조기 기록 등)을 취급하기 위해 다수의 동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저장소(308)가 사용자 장비(300)로부터 별개의 디바이스로서 제공되는 경우, 동조 및 인코딩 회로(다수의 동조기를 포함)는 저장소(308)와 연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사용하여 회로(304)를 제어하도록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는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원격 제어기, 마우스, 트랙볼, 키패드, 키보드, 터치 스크린, 터치패드, 스타일러스 입력, 조이스틱,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의 다른 요소와 통합되거나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312)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런 환경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2)는 디스플레이(312)와 통합 또는 그와 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모니터, 텔레비전,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비정질 실리콘 디스플레이, 저온 폴리 실리콘 디스플레이,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 전자유체 디스플레이,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일렉트로루미네슨트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고성능 어드레싱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레이저 텔레비전, 탄소 나노튜브, 양자 도트 디스플레이, 인터페로메트릭 모듈레이터 디스플레이 또는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2)는 HDTV-가능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2)는 3D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대화형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및 임의의 적절한 콘텐츠가 3D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 카드 또는 그래픽 카드는 디스플레이(312)에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비디오 카드는 다양한 기능, 예컨대, 3D 장면 및 2D 그래픽의 가속화된 렌더링, MPEG-2/MPEG-4 디코딩, TV 출력 또는 다수의 모니터를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카드는 제어 회로(304)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임의의 처리 회로일 수 있다. 비디오 카드는 제어 회로(304)와 통합될 수 있다. 스피커(314)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의 다른 요소와 통합된 것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독립형 유닛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 상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콘텐츠 및 비디오의 오디오 컴포넌트가 스피커(314)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는 스피커(314)를 통해 오디오를 처리 및 출력하는 수신기(도시되지 않음)에 분배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는 또한 검출 모듈(316)에 통합되거나 그에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예로서, 검출 모듈(316)은 특정 사용자 및/또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을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검출 모듈(316)을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디어 에셋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계된 시청 영역 및/또는 위치에 진입 및/또는 그를 벗어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검출 모듈(316)은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검출 모듈(316)은 다양한 컴포넌트(예를 들어, 비디오 검출 컴포넌트, 오디오 검출 컴포넌트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316)은 제시된 미디어 에셋의 콘텐츠(예를 들어, 광고인지 여부, 사용자의 관심의 대상인 콘텐츠인지 여부 등)가 제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콘텐츠 인식 모듈, 시청 영역 내의 사람의 수 및/또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인식 모듈은 대상 인식 기술, 예컨대, 에지 검출, 자가 학습 시스템(예를 들어,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패턴 인식, 광학 문자 인식, 온라인 문자 인식(동적 문자 인식, 실시간 문자 인식, 지능형 문자 인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는 일련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의 프레임 또는 일련의 프레임의 사람(사람 각각과 연계된 작용을 포함)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 식별된 사람이 보고 있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 인식 모듈 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비디오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에셋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의 콘텐츠를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 인식 모듈 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결정된 콘텐츠를 사용자 선호도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검색됨)에 비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텐츠 인식 모듈 또는 알고리즘은 또한 말해진 단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대화 인식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Hidden Markov Models, 동적 시간 랩핑 및/또는 뉴럴 네트워크(앞서 설명한 바와 같음)를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츠 인식 모듈은 또한 제시된 미디어 에셋의 콘텐츠(예를 들어, 광고, 사용자가 관심있는 콘텐츠 등인지 여부)가 제시되는지를, 관찰 영역의 사람의 수 및/또는 관찰 영역의 각 사람의 관련 레벨(예를 들어, 사람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지 여부)을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기술을 조합할 수 있다. 예로서, 검출 모듈의 비디오 검출 컴포넌트는 두 사람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 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의 오디오 컴포넌트는 두 사람이 현재 미디어 에셋에 대한 대화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대화의 키워드를 결정 및 처리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연루를 기술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사용자 입력 등)로부터 검색된 키워드(들)를 처리할 때(또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상호참조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로서 다수 유형의 광학 문자 인식 및/또는 퍼지 로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수신된 특정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퍼지 로직을 사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콘텐츠 인식 모듈 또는 알고리즘을 통해)은 데이터 또는 값(예를 들어, 두 개의 상이한 스펠링)의 내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도 동일해지는 두 개의 필드 및/또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연루를 결정하기 위해 위에 설명된 광학 문자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값 또는 텍스트에 대한 미디어 에셋 프레임 또는 데이터 구조의 특정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의 연루를 기술하는 데이터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데이터는 이진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코드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316)은 또한 다른 사용자 작용 및/또는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다른 미디어 에셋을 액세스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시청 영역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의 미디어 에셋을 시청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바이스 상의 콘텐츠가 제1 디바이스와 연계된 콘텐츠와 유사한 경우(예를 들어, 동일 주제, 상품, 장르 등에 관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의 미디어 에셋을 시청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검출 모듈(316)은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대한 쿼리, 대상 인식 등을 통해). 예로서, 사용자가 임계 시간 기간(예를 들어, 디바이스와 더 이상 상호작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시간 기간) 동안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또는 해당 디바이스와 연계된 위치) 상에서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검출 모듈(316)은 디바이스로부터 임계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대한 쿼리, 대상 인식 등을 통해). 예로서, 사용자가 임계 거리(예를 들어, 사용자가 더 이상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거리)에 있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또는 해당 디바이스와 연계된 위치) 상에서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해 공급될 수 있거나,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자동으로 선택된 임계치는 사용자의 이력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는 디폴트 설정(예를 들어, 제3자에 의해 결정됨)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실제 임계치는 특정 사용자에 맞춤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통상적으로 디바이스로부터 더 멀리 서 있는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디바이스에 더 근접하게 서 있는 사용자보다 더 높은 임계 거리를 가질 수 있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을 통해) 또한 다른 수단을 통해 사용자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검출 모듈(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도 3))을 사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 내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로부터 액세스된 검색 엔진과 연계되어 있는 검색 이력을 쿼리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제시된 정보와 유사한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이전에 탐색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디어 에셋을 시청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검출 모듈(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도 3))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사이의 대화 내의 키워드를 분석할 수 있다. 키워드 중 임의의 것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콘텐츠에 관심을 설명하는 경우(예를 들어, 콘텐츠의 관심을 나타내는 단어를 지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상호참조함으로써 결정된 바와 같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디어 에셋을 시청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도 3)을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위해 생성된 미디어 에셋 및/또는 광고를 기술하는 사용자 생성 데이터(예를 들어, 상태 업데이트, 마이크로블로그 포스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그녀가 미디어 에셋을 현재 향유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에 업데이트를 포스트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디어 에셋을 시청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그/그녀가 현재 식당으로 진행한다고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에 업데이트를 포스트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식당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소셜 네트워크"는 예로서, 관심, 활동, 배경 및/또는 실제-생활 연결을 공유하는 사람 사이의 네트워킹 및/또는 소셜 관계를 용이하게 하는 플랫폼을 지칭한다. 일부 경우에, 소셜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서버를 통해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와 연계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텔레비전,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이의 통신을 이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소셜 미디어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행하는 컴퓨터 서버를 지칭한다. 예로서, 소셜 미디어 공급자에 의해 소유/동작/사용되는 소셜 미디어 서버는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콘텐츠(예를 들어, 상태 업데이트, 마이크로블로그 포스트, 이미지, 그래픽 메시지 등)를 제1 사용자와 동일한 소셜 네트워크 내에 있는 제2 사용자에게 액세스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 상에서 전체적으로 구현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런 접근법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로컬(예를 들어, 저장소(308)) 저장되며,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을 위한 데이터는 주기적 기반으로 다운로드된다(예를 들어, 대역외 피드로부터, 인터넷 리소스로부터 또는 다른 적절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제어 회로(304)는 저장소(308)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를 검색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스플레이 중 임의의 것을 생성하기 위해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304)는 입력 인터페이스(310)로부터 입력이 수신될 때 어떤 작용이 수행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업/다운 이동은 업/다운 버튼이 선택된다는 것을 입력 인터페이스(310)가 나타낼 때 처리된 명령어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 상에서 구현된 딕(thick) 또는 씬(thin) 클라이언트에 의한 사용을 위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에 대해 원격의 서버에 요청을 발행함으로써 온디맨드 검색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원격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해석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다. 예로서, 원격 서버는 저장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서버는 회로(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를 사용하여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고, 전술 및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원격 서버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를 수신하고 장비 디바이스(300) 상에 로컬식으로 디스플레이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명령어의 처리는 서버에 의해 원격으로 수행되지만, 결과적 디스플레이는 장비 디바이스(300) 상에 로컬식으로 제공된다. 장비 디바이스(300)는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대응 디스플레이를 처리 및 생성하기 위해 원격 서버에 이들 입력을 전송한다. 예로서, 장비 디바이스(300)는 업/다운 버튼이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선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원격 서버에 통신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서버는 해당 입력에 따른 명령어를 처리하고,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커서를 업/다운 이동하는 디스플레이)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스플레이는 그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장비 디바이스(300)에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프리터 또는 가상 기계에 의해 다운로드 및 해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된다(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BIF(ETV Binary Interchange Format)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적절한 피드의 일부로서 제어 회로(304)에 의해 수신되고, 제어 회로(304) 상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예로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BIF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가상 기계 또는 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적절한 미들웨어에 의해 수신 및 실행되는 일련의 JAVA-기반 파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이런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MPEG-2 또는 다른 디지털 미디어 인코딩 체계를 채용하는 것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로서 프로그램의 MPEG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과 MPEG-2 오브젝트 캐러셀(object carousel)에서 인코딩 및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 또는 비-휴대용 게이밍 기계 같은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에 적합한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로서 도 4의 시스템(4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 또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로서 총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이 구현될 수 있으며,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3과 연계하여 앞서 설명된 시스템 특징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전적으로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또는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로서 분류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는 일부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와 유사하게, 인터넷 가능화되어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는 일부 텔레비전 장비(402)와 유사하게 동조기를 포함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능력에 맞춤화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상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되는 웹 사이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를 위해 스케일링 다운될 수 있다.
시스템(400)에서, 통상적으로 복수의 각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가 존재하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는 각각의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각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그리고, 또한, 복수의 각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는 "제2 스크린 디바이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로서, 제2 스크린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보완할 수 있다. 제2 스크린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콘텐츠는 제1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콘텐츠를 보완하는 임의의 적절한 콘텐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의 설정 및 디스플레이 선호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디바이스는 다른 제2 스크린 디바이스와 상호작용 또는 소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스크린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동일한 룸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와 상이한 룸이지만 동일한 집 또는 건물 내에 또는 제1 디바이스와 상이한 건물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가정내 디바이스 및 원격 디바이스에 걸쳐 일정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유지하도록 다양한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과 채널 및 프로그램 선호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추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선호도, 디스플레이 선호도 및 다른 바람직한 안내 설정을 포함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예로서, 그 사무실의 그 개인 컴퓨터 상에 웹 사이트 www.allrovi.com를 선호 채널로서 설정하는 경우, 필요하다면, 동일한 채널은 사용자의 가정내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선호물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하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한 변경이 그들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다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안내 지식을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루어진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과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활동에 기초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41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및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는 통신 경로(408, 410, 412) 각각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414)에 결합된다. 통신 네트워크(414)는 인터넷,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 모바일 음성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4G 또는 LTE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경로(408, 410, 412)는 별개로 또는 함께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 예컨대, 위성 경로, 광섬유 경로, 케이블 경로,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경로(예를 들어, IPTV), 자유-공간 접속(예를 들어, 방송 또는 다른 무선 신호를 위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 또는 이런 경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412)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무선 경로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그려져 있고, 경로(408, 410)는 (비록, 필요한 경우 이들 경로가 무선 경로일 수 있지만) 이들이 유선 경로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실선으로 그려져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이들 통신 경로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단일 경로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통신 경로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사이에 그려져 있지만, 이들 디바이스는 통신 경로, 예컨대, 경로(408, 410, 412)에 연계하여 앞서 설명한 것들, 그리고, 다른 단거리 포인트-투-포인트 통신 경로, 예컨대, USB 케이블, IEEE 1394 케이블, 무선 경로(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IEEE 802-11x 등) 또는 유선이나 무선 경로를 통한 다른 단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BLUETOOTH는 Bluetooth SIG, INC.에 의해 소유된 인증 마크이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414)를 거친 간접 경로를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400)은 통신 경로(420, 422) 각각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414)에 결합된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및 콘텐츠 소스(416)를 포함한다. 경로(420, 422)는 경로(408, 410, 412)와 연계하여 앞서 설명된 통신 경로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거쳐 교환될 수 있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의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각각이 존재할 수 있지만, 각각 중 단 하나만이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유형의 이들 소스 각각이 아래에 설명되어 있음.) 필요한 경우,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로서 통합될 수 있다. 비록,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402, 404, 406)에 의한 소스(416, 418) 사이의 통신이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416, 418)는 경로(408, 410, 412)와 연계하여 앞서 설명된 것들 같은 통신 경로(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402, 404, 406)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 소스(416)는 텔레비전 분배 설비, 케이블 시스템 헤드엔드, 위성 분배 설비, 프로그래밍 소스(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사, 예컨대 NBC, ABC, HBO 등), 중간 분배 설비 및/또는 서버, 인터넷 공급자, 온디멘드 미디어 서버 및 다른 콘텐츠 공급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콘텐츠 분배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NBC는 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고, ABC는 American Broadcasting Company,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고, HBO는 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다. 콘텐츠 소스(416)는 콘텐츠의 발원자(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사, 웹캐스트 공급자 등)일 수 있거나 콘텐츠의 발원자(예를 들어, 온디멘드 콘텐츠 공급자, 다운로딩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의 인터넷 공급자, 등)가 아닐 수 있다. 콘텐츠 소스(416)는 케이블 소스, 위성 공급자, 온-디멘드 공급자, 인터넷 공급자, 오버-더-탑 콘텐츠 공급자 또는 다른 콘텐츠 공급자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소스(416)는 또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원격 위치에서 상이한 유형의 콘텐츠(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격 미디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의 원격 위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원격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2010년 7월 20일자로 허여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제7,761,892호에 연계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예컨대, 앞서 설명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임의의 적절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피드(예를 들어, 연속 피드 또는 트리클(trickle) 피드)를 통해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독립형 대화형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및 다른 안내 데이터는 대역내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대역외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의해 텔레비전 채널 사이드밴드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및 다른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다수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안내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서버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풀링하거나 서버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푸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장비 상에 상주하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필요시, 예를 들어, 안내 데이터가 오래되거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할 때 안내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소스(418)와의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는 임의의 적절한 빈도로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매일, 사용자 지정 시간 기간, 시스템-특정 시간 기간,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등).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자체 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402, 404, 406)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시청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시청자 데이터는 현재 및/또는 이력 사용자 활동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통상적으로 시청하는지, 사용자가 하루중 어떤 시간에 콘텐츠를 시정하는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지 여부, 어떤 시간에 사용자가 정보를 포스트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지,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콘텐츠를 시청하는지(예를 들어, 유료 TV 또는 무료 TV), 무드, 뇌 활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또한 가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가입 데이터는 어떤 소스 또는 서비스에 주어진 사용자가 가입하는지 및/또는 어떤 소스 또는 서비스에 주어진 사용자가 이전에 가입하였다가 추후 액세스를 종결하였는지(사용자가 프리미엄 채널에 가입하였는지 여부, 사용자가 프리미엄 레벨의 서비스를 추가하였는지 여부, 사용자가 증가된 인터넷 속도를 갖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청자 데이터 및/또는 가입 데이터는 1년보다 긴 햇수의 기간 동안 주어진 사용자의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주어진 사용자가 서비스/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종결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스코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예를 들어, 서바이버(survivor)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주어진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또는 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종결하는지 여부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또는 스코어를 생성하기 위해 모델을 사용하여 가입 데이터를 갖는 시청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더 높은 스코어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또는 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종결하는 더 높은 레벨의 신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프로모션 및 광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스코어에 의해 나타내어진 특정 서비스 또는 소스를 사용자가 액세스를 종결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유지하게 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로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저장소(308)에 저장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의 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세트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고,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서버 상에 상주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300)의 제어 회로(304) 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원격 서버의 제어 회로 상에서 실행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원격 서버 상에서(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서버(예컨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의 제어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에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의 제어 회로에 사용자 장비 상의 저장소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것을 수신 사용자 장비의 제어 회로에 명령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402, 404, 406)에 전달된 콘텐츠 및/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는 오버-더-탑(OTT) 콘텐츠일 수 있다. OTT 콘텐츠 전달은 앞서 설명된 임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넷-가능 사용자 디바이스가 앞서 설명된 임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거쳐 전달된 콘텐츠를 케이블 또는 위성 접속을 거쳐 수신된 콘텐츠에 추가로 수신할 수 있게 한다. OTT 콘텐츠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제공된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전달되지만, 제3자가 콘텐츠를 분배한다. ISP는 시청 능력, 저작권 또는 콘텐츠의 재분배를 담당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OTT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IP 패킷만을 전달할 수 있다. OTT 콘텐츠 공급자의 예는 IP 패킷을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제공하는 YOUTUBE, NETFLIX 및 HULU를 포함한다. 유튜브는 Google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고, Netflix는 Netflix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며, Hulu는 Hulu, LLC가 소유한 상표명이다. OTT 콘텐츠 공급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앞서 설명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및/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에 추가로, OTT 콘텐츠의 공급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기반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분배할 수 있거나, 콘텐츠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시스템(400)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및 콘텐츠의 소스와 안내 데이터가 콘텐츠 액세스 및 미디어 안내 제공의 목적을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접근법 또는 네트워크 구성을 예시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이들 접근법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서브세트에 적용될 수 있거나, 콘텐츠를 전달하고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을 채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의 네 개의 접근법은 도 4의 일반화된 예의 특정 예시를 제공한다.
일 접근법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된 단거리 포인트-투-포인트 통신 체계를 통해 직접적으로, 홈 네트워크에 제공된 허브나 다른 유사 디바이스를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 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단일 가정의 다수의 개인 각각은 홈 네트워크 상의 상이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사이에서 다양한 미디어 안내 정보 또는 설정이 통신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로서, 2005년 7월 11일자로 출원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179,410호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내의 상이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의 일정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바람직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의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또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에 사용자 컴퓨터 장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접근법에서, 사용자는 그들이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미디어 안내를 취득하게 하는 다수 유형의 사용자 장비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사용자는 가정내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홈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정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그 사무실의 개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PDA 또는 웹-가능 모바일 전화를 통해 웹사이트 상의 온라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가정내 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온라인 안내 애플리케이션 상에 다양한 설정(예를 들어, 기록, 리마인더 또는 다른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온라인 가이드는 사용자의 가정내 장비 상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에 의해 또는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가 서로로부터 원격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로서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2011년 10월 25일자로 허여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제 8,046,801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3 접근법에서, 가정 내부 및 외부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해 콘텐츠 소스(416)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도록 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의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찾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원하는 콘텐츠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여 찾기 위해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를 사용하여 가정의 외측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4 접근법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콘텐츠 공유, 저장 또는 분배(예를 들어, 비디오 공유 사이트 또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서비스는 "클라우드"라 지칭되는 네트워크-액세스가능 컴퓨팅 및 저장 리소스의 콜렉션에 의해 제공된다. 예로서, 클라우드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및 디바이스에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에 위치되거나 분산된 위치에 있는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의 콜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클라우드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소스(416) 및 하나 이상의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격 컴퓨팅 사이트는 다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예컨대, 사용자 텔레비전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및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다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비디오 또는 스트리밍된 비디오의 저장된 사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중앙 서버와 통신하지 않고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우드는 서비스, 예컨대, 다른 예들 중에서, 콘텐츠 저장, 콘텐츠 공유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를 위해, 앞서 설명된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또는 온라인 서비스의 다른 공급자를 통해 클라우드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는 콘텐츠 저장 서비스, 콘텐츠 공유 사이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또는 다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그를 통해 사용자 소싱된 콘텐츠가 접속된 디바이스 상에서 타인에 의한 시청을 위해 분배된다. 이들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가 콘텐츠를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게 하고, 로컬식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로컬식으로 저장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대신 클라우드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 포착 디바이스, 예컨대, 캠코더, 비디오 모드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 레코더, 모바일 전화 및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를 콘텐츠 기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로서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콘텐츠 포착 특징을 갖는 무선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406)로부터 클라우드 상의 콘텐츠 저장 서비스에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같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먼저 전달할 수 있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사용하여 클라우드에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자체는 클라우드 리소스이고, 다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저장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우드 리소스는 예로서, 웹 브라우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이들의 액세스 애플리케이션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전달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존하는 클라우드 클라이언트일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없이 일부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즉, 인터넷을 거친 서비스로서 전달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상에서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동시에 다수의 클라우드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클라우드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면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의 클라우드 리소스로부터 오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더 효율적 다운로딩을 위해 다수의 클라우드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동작 같은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에게 추천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스크린의 예시적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500)은 추천된 콘텐츠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알림(504) 및 프로그램 목록의 디스플레이(502)를 제시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50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알림(504)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생성한다. 알림(504)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림(504)을 선택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스플레이(550)에 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사용자 입력 없이 제1 디바이스 상에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 제2 디바이스 상에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목록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급전(powering)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2)(도 3)) 상에 미디어 목록이 나타나게(또는 미디어 에셋의 플래이백을 시작하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0)는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에셋의 하나 이상의 미디어 목록(552)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제시된 미디어 목록(552)은 미디어 에셋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타이틀, 길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미디어 목록(552)은 또한 사용자-선택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디어 목록(552)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자에게 미디어 에셋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주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에게는 선택된 미디어 에셋을 다시 추천하지 않도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명령하는 옵션 및/또는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시작하기 위한 옵션이 주어질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목록(552)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였던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거나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지 않았던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목록(552)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포멧팅된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제2 디바이스가 단지 표준 해상도 분해능만을 갖는 경우, 미디어 목록(552)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고 해상도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의 표준 해상도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디바이스가 단지 오디오 출력 능력만을 가지는 경우, 미디어 목록(552)은 제1 디바이스 상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전용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2 디바이스는 단지 비-가입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만 액세스를 갖는 경우, 미디어 목록(552)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가입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 비-가입 미디어 콘텐츠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알림(504)의 그래픽 특성은 알림의 대상인 미디어 콘텐츠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로서, 알림(504)의 컬러는 추천된 콘텐츠가 소셜 미디어 사이트 상에서 얼마나 대중적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컬러 적색은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가 매우 대중적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청색은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가 매우 대중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알림(504)은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의 상이한 정도의 대중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수의 다른 컬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504)의 컬러는 또한 가용한 미디어 에셋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적색은 10개 이상의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녹색은 적어도 다섯 개의 그러나 10개 이하의 추천된 에셋의 가용성을 나타낼 수 있고, 청색은 하나 내지 네 개의 추천된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알림(504)은 가용한 추천된 미디어 에셋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원으로 둘러싸인 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콘텐츠 추천에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6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600)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의 타겟 디바이스를 위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제어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6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60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중이라는 것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한다.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연계된 위치로부터 제2 디바이스와 연계된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중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디바이스는 셋탑 박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양자 모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도 3).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사용자의 집과 제1 디바이스를 연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사용자의 차와 제2 디바이스를 추가로 연계시킬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그녀의 차를 운전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더 이상 집에 있지 않다는 것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글로벌 위치확인 모듈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중이라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중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를 통해(도 3)).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양자 모두는 디바이스(300)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도 3).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제1 및 제2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 입력 이후 경과한 시간의 양의 추적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타이머를 추가로 시작할 수 있다. 저장소(308)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임계 값에 타이머가 도달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사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임계 값이 도달된 이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제2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나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그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려 한다는 것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나타낼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려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가능한 표시를 디스플레이(312)(도 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를 통해 표시를 선택하고 나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를 위해 제2 디바이스로서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312)(도 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중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예를 들어, 저장소(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로부터 시간의 임계 길이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검색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300) 같은 디바이스 상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도 3). 시간의 임계 길이는 저장소(308)의 일부일 수 있는 RAM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도 3).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시간의 임계 길이는 저장소(308)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ROM,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등) 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단계 6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시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임계 길이를 거슬러 연장하는 시간의 기간을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저장소(308)(도 3)로부터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현재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현재 시간 및 회로(306)(도 3)를 통해 검색된 시간의 임계 길이에 기초하여 시간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시간 기간은 추가로 두 개의 값(예를 들어,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의 조합으로서 저장소(308)(도 3)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6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시간 기간 동안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제1 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시간 기간 동안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 식별자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은 콘텐츠 식별자가 필요로 하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는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디바이스 상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소비하는 미디어 콘텐츠 및 소비를 위한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의 추적을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유지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거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어떠한 콘텐츠를 소비하였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거쳐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로부터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네트워크(414)를 거쳐 제1 디바이스 및/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소비한 미디어 콘텐츠와 연계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가 그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갖는 경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부분을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상호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미디어 콘텐츠 모두가 하나의 특징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서브세트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다수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소비를 위해 제2 미디어 콘텐츠를 특징에 기초하여 추천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활성화되거나 제2 디바이스에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저장소(308)(도 3)로부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소비된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검색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특징과 일치하는 제2 디바이스 상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어 회로(306)(도 3)를 사용하여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저장소(308)(도 3)에 저장된 프로그램 목록을 가질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징에 대해 제2 디바이스의 미디어 콘텐츠 목록을 탐색할 수 있다. 특징이 배우의 이름인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배우의 이름과 미디어 콘텐츠 목록 데이터 사이의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한 텍스트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임의의 일치가 발견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312)(도 3)를 통해 사용자에게 일치된 미디어 콘텐츠 목록과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6의 단계 또는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6에 관하여 설명된 단계 및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단계 각각은 시스템 또는 방법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래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병렬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디바이스 또는 장비 중 임의의 것은 도 6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중이라는 것을 결정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7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700)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의 타겟 디바이스를 위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제어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7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 및 도 8 내지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70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1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300)(도 3)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 셋탑 박스 상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를 통해 셋탑 박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에 IR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예는 원격 제어부를 통해 셋탑 박스를 특정 채널로 동조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단계 704에서,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1 디바이스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06으로 이동한다.
단계 7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사용자 입력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최초 검출되었던 시간을 저장한다. 저장된 시간은 사용자가 최초 제1 디바이스 사용을 시작할 때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Start Time")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어 회로(306)(도 3)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이는 저장부(308)(도 3)로부터 현재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Start Time으로서 저장소(308)(도 3)의 다른 섹션에서 검색된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역시 ("Last Input Time")로서 검색된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 입력 이후 경과한 시간의 추적을 유지하기 위해 제어 회로(306)(도 3)를 통해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7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추가적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1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702에서 이를 모니터링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적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1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가 전자 태블릿인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를 통해 그와 상호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전자 태블릿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는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고, 사용자 명령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처리 회로(306)(도 3)에 송신할 수 있다. 처리 회로(306)(도 3)는 그후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가적 사용자 입력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어 회로(306)(도 3)를 통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 내로의 추가적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이는 저장소(308)(도 3)로부터 현재 시간을 검색하고 Last Input Time으로서 저장소(308)(도 3)에 다시 검색된 시간을 저장함으로써 Last Input Time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단계 708에서 시작된 카운터를 정지, 리셋 및 재시작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추가적 사용자 입력을 위해 제1 디바이스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적 사용자 입력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712로 이어진다.
단계 7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 없이 임계 시간이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사용자 입력 없이 임계 시간은 미리 결정되고 저장소(308)(도 3)에 저장될 수 있다. 초기에, 임계 시간은 임의적 수치로 설정될 수 있지만, 그러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스(700)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임계 시간은 이전에 실행된 프로세스(700)의 임계 시간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처리 회로(306)(도 3)를 통해 최종 사용자 입력 이후 저장된 임계 시간을 단계 708 및 710의 타이머 상에서 경과한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임계 시간이 도달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추가적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1 디바이스의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다(단계 708). 임계 시간이 도달된 경우, 그후 프로세스(700)는 단계 714로 이동할 것이다.
단계 71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예를 들어, 저장소(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에 현재 시간을 저장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70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현재 시간을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End Time")으로서 저장소(308)(도 3) 내에 저장한다.
단계 71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2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702 및 708에서 제1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해 제2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디바이스가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인 경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차를 시동하고 결과적으로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켜는 것일 수 있다. 차를 시동하는 것은 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콘텍스트에서 고려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단계 71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704 및 710에서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도 3)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해석하고, 이들을 실행을 위해 처리 회로(306)(도 3)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위해 제2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지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718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서 라벨링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2 디바이스 Start Time 및 End Time에 전송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상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저장소(308)(도 3)에 저장된 Start Time 및 End Time에 대한 요청을 전송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제1 디바이스로부터 Start Time 및 End Time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또는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7에 관하여 설명된 단계 및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단계 각각은 시스템 또는 방법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래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병렬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디바이스 또는 장비 중 임의의 것은 도 7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8은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 데 연루된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8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800)는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8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과 도 7 및 도 9 내지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802에서, 제어 회로(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 상에 구현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거주지에서 텔레비전 상에서 풋볼 게임을 시청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0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초기 위치 사이의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친구의 거주지로 현재 이동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 디바이스의 다양한 위치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목록을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 및/또는 저장소(308)(도 3)에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존재하는 경우 어느 위치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현재 궤적에 대응하는지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 내에(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거쳐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 및/또는 저장소(308)(도 3)에서)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메모리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후 제2 위치가 궤적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친구가 텔레비전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입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경우에,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미디어 에셋이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할 수 있는 반면, 일부 경우에, 미디어 에셋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이전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미디어 에셋이 가용한지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프로그램이 친구가 가입한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가용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동일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또는 위치를 공유하는 제2 미디어 에셋을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할 수 있고,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의 집을 벗어나기 이전에 소비하였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특징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한다. 예로서, 제1 미디어 에셋과 유사한 제2 미디어 에셋의 발견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제2 미디어 에셋이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2)(도 3) 상에서) 나타내는 알림(예를 들어, 도 5에 설명된 바와 같이)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동일 프로그램이 친구의 집에서 가용한 경우 그 소유의 집에서 사용자가 소비하였던 것과 동일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도 8의 단계 또는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8에 관하여 설명된 단계 및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단계 각각은 시스템 또는 방법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래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병렬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디바이스 또는 장비 중 임의의 것은 도 8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는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 것에 연루된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8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900)는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9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902에서, 제어 회로(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 상에 구현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풋볼 프로그램을 소비하였다고 결정한다.
단계 90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초기 위치 사이의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궤적이 사용자를 특정 지역으로 인도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9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궤적을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저장소(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다른 위치)에 궤적을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탐색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역이 열악한 인터넷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지만 적절한 라디오 커버리지를 갖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9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저장소(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다른 위치)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탐색한다. 예로서, 상이한 위치는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및/또는 지터(jitter)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상이한 서비스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 품질은 일부 콘텐츠(예를 들어, 고-해상도 비디오 프로그램)가 양 위치에서 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소정 위치의 낮은 서비스 품질은 단지 저-해상도 비디오 또는 오디오 프로그램만이 제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현재 이동하는 지역이 열악한 인터넷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지만 적절한 라디오 커버리지를 갖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9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소비된 미디어 에셋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위치에서의 제시를 위한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동일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또는 위치를 공유하는 제2 미디어 에셋을 탐색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할 수 있고,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단계 9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특징 및 서비스 품질(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1 위치에서의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필요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식별할 수 있고,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제2 위치가 갖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로서, 지역이 열악한 인터넷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지만 적절한 라디오 커버리지를 가질 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에서 사용자가 소비하였던 주제와 유사한 주제의 라디오 방송을 추천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또는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9에 관하여 설명된 단계 및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단계 각각은 시스템 또는 방법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래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병렬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디바이스 또는 장비 중 임의의 것은 도 9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도록 제어 회로(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프로세스는 처리 회로(예를 들어, 처리 회로(306))에 의해 디코딩 및 실행될 명령어의 세트로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308))에 인코딩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차례로 동조, 비디오 생성,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해독, 스케일링,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등 같은 제어 회로(304) 내에 포함된 다른 서브-회로에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100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지역의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도록 루틴을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 또는 제어 회로(304)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사용자 작용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스는 제어 회로(304)에 직접적으로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 또는 제어 회로(304)로부터 신호의 수신을 시작할 수 있거나 알고리즘 실행 이전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2)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롬프트를 생성함으로써) 그 입력을 확인할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단계 100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위치에서 가용 미디어 에셋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음 미디어 에셋을 검색하도록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미디어 에셋을 나타내는 단일 원시 데이터 구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값은 더 큰 데이터 구조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304)는 더 큰 데이터 구조로부터 값을 검색하기 위해 적절한 액세서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값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 1006에서, 제어 회로(304)는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해 미디어 에셋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비교하도록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의 값은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저장소(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위치)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메모리로부터 각각 값을 액세스하고 값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해 미디어 에셋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어 회로(304)는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해 미디어 에셋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비교하도록 비교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대상 대 대상 비교를 위해).
단계 10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미디어 에셋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이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 미만이거나 그와 동일한 경우를 결정하기 위해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미디어 에셋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을 비교한다.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세스(1000)는 단계 1010으로 진행하고,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프로세스(1000)는 대신에 단계 1012로 진행한다.
단계 10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단계 1008에서의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목록에 미디어 에셋을 포함하도록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서브루틴이 실행된 이후, 프로세스(1000)는 단계 1014로 진행하고, 여기서 위치에서 가용한 모든 미디어 에셋이 고려되고 추가로 반복이 필요한 경우가 결정된다.
단계 10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단계 512에서의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목록으로부터 미디어 에셋을 배제하도록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서브루틴이 실행된 이후, 프로세스(1000)는 단계 1014로 진행하고, 여기서 모든 미디어 에셋이 고려되는 경우 및 추가로 반복이 필요한 경우가 결정된다.
단계 101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필터링된 목록 내의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도 10의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10의 알고리즘에 관하여 설명된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조건부 선언 및 논리적 평가, 예컨대, 단계 1008에서의 것들은 시스템 및 방법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래그를 감소시키기 위해 동시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미디어 에셋은 다수의 논리적 프로세서 스레드를 사용하여 병렬로 평가될 수 있거나 알고리즘은 분기 예측을 통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프로세스는 적절히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장비 또는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이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1의 의사코드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1의 의사코드에 의해 설명된 프로세스는 임의의 수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 다양한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타일 및 포멧은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대신,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와 일치하는 단계 및 절차의 일반적 탬플릿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라인 1101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변수를 초기화하기 위해 서브루틴을 실행하고, 라인 1105에서 시작하는,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선택하는 것을 준비한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초기화 스테이지 동안 비일시적 저장 매체(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308))로부터 RAM 또는 처리 회로(306)를 위한 캐시로 명령어를 복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값이 실질적으로 등가인 경우를 결정하기 위한 용인 레벨 또는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 위치에서 미디어 에셋을 위한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은 1101에서 검색,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라인 1105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해당 위치에서 가용한 미디어 에셋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인스턴스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 및/또는 저장소(308)(도 3)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예로서, 해당 위치에서 가용 미디어 에셋의 값의 어레이에 대한 포인터를 수신함으로써 미디어 에셋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미디어 에셋의 요소를 포함하는 이터레이터 오브젝트(iterator object) 같은 클래스의 오브젝트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 1106에서, 제어 회로(304)는 해당 위치에서 가용한 다양한 미디어 에셋을 통해 반복하고, 단일 인스턴스만이 가용한 경우, 루프는 단 한번만 실행될 것이다. 이 루프는 도 11의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언어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예로서, 이는 "for" 또는 "while" 루프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라인 1107에서, 제어 회로(304)는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을 임시 변수 "A"에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은 더 큰 데이터 구조 또는 클래스의 일부로서 저장될 것이고,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값은 적절한 액세서 방법을 통해 취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요한 서비스 품질은 스트링 또는 다른 비-수치 데이터 유형으로부터 적절한 해싱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해당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과 미디어 에셋의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비교를 수행하도록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에셋의 필요한 서비스 품질은 원시 데이터 구조로서 인코딩될 수 있고, 임시 변수를 사용하는 대신, 미디어 에셋의 필요한 서비스 품질은 라인 1109 및 1111에서의 비교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라인 1108에서, 제어 회로(304)는 해당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의 값을 임시 변수 "B"에 저장한다. 미디어 에셋의 필요한 서비스 품질에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의 값은 더 큰 데이터 구조 또는 클래스의 일부로서 저장될 것이며, 해당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의 값은 액세서 방법을 통해 취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은 적절한 해싱 알고리즘에 의해 스트링 또는 다른 비-수치 데이터 유형으로부터 수치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될 수 있거나, 해당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은 원시 데이터 구조일 수 있고, 라인 1109 및 1111에서의 비교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라인 1109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등가인 경우를 찾기 위해 A의 값과 B의 값을 비교한다. 이는 A의 값을 B로부터 차감하고, 차이의 절대 값을 취하고, 그후, 차이의 절대 값을 미리결정된 용인 레벨에 비교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인 레벨은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의 설정된 백분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인 레벨은 고정된 수일 수 있다. 예로서, 기계 엡실론(epsilon)의 설정된 뱃수로 용인 레벨을 설정하는 것은 알고리즘이 부동 소수점 연산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작은 라운딩 오차를 고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인 레벨은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IF 선언 내측의 조건은 A와 B 사이의 엄격한 등가로 대체될 수 있다.
라인 11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라인 1109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를 필터링 결과에 미디어 에셋을 포함하도록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제어 회로(304)(도 3)에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 회로(306)(도 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라인 1111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B가 A보다 작은 경우를 결정하도록 A와 B의 값을 비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비교는 A가 본질적으로 B와 등가가 아니고 라인 1109의 비교가 FALSE에 상당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질 것이다.
라인 11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라인 1111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를 필터링된 목록에서 미디어 에셋을 배제하도록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라인 111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알고리즘이 그 기능을 수행한 이후 종결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변수를 파괴하거나, 가비지 수집을 수행하거나, 메모리를 비우거나 처리 회로(306)의 캐시를 소거할 수 있다.
도 11의 의사코드에 의해 설명된 프로세스(1100)는 임의의 수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 다양한 상이한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원시 함수의 특정 선택 및 위치, 논리적 평가 및 기능 평가는 제한적인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드는 다양한 논리적 평가의 순서를 조작하거나, 단일 반복 루프에서가 아니라 병렬적인 다수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또는 입력 또는 최종 출력의 근본적 변경 없이 런-타임 및 성능 척도를 다른 방식으로 조작 및 최적화하도록 재가공 또는 재기록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을 가속시키기 위해 라인 1110 및 1112 이후 브레이크(break) 조건이 배치될 수 있거나 조건부 선언이 케이스-스위치(case-switch)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미디어 에셋에 대한 반복이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서, 코드는 재기록될 수 있고, 그래서, 제어 회로(304)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스레드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미디어 에셋을 평가하도록 명령되어 필요한 반복의 수를 낮추고, 잠재적으로 연산 시간을 증속시킨다.
도 12는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공급자를 식별하는 것에 연루된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12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1200)는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공급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12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120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30)(도 1))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예를 들어, 비디오)를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한 것(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의 시청 영역을 벗어남)을 (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도 3)을 통해)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한 것(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계 시간 기간 동안 제1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을 (예를 들어, 검출 모듈(316)(도 3)을 통해)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이전에 소비한 미디어 에셋에 기초하여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유사한 특징을 갖는 다른 미디어 에셋을 추천할 때 미디어 에셋의 특징(예를 들어, 장르, 배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20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단계 12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32)(도 1))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하고(예를 들어, 저장 회로(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에서), 메모리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고, 제2 위치가 궤적에 대응한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단계 12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예를 들어, 케이블 공급자, 가입한 가입 서비스 등)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2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한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하여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함으로써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2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다는 결정(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한)에 응답하여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용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예를 들어, 채널 번호, 네비게이션 명령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하고,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으로부터 제2 미디어 에셋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도 12의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12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된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미디어 에셋은 다수의 논리적 프로세서 스레드를 사용하여 병렬로 평가될 수 있거나 알고리즘은 분기 예측을 통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프로세스는 적절히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장비 또는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이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3은 해당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에 기초하여 위치를 추천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 단계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1300) 또는 그 임의의 단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프로세스(1300)는 위치에서의 서비스 품질 레벨에 기초하여 위치를 추천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404 및/또는 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04)(도 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13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로 통합되거나 그와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2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130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130)(도 1)와 연계된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의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한 것(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계 양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130)(도 1)를 사용하는 것을 정지하였을 수 있음)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4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한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궤적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단계 1306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예를 들어, 각각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음)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저장 회로(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에서)를 탐색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함으로써 궤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용 위치 중에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단계 1308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저장 회로(308)(도 3)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도 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됨)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탐색한다. 예로서,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30)(도 1))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32)(도 1)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1310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220)(도 2)와 연계된 위치)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222)(도 2)와 연계된 위치)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고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결정한다. 예로서, 서비스 품질의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단계 1312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2 위치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를 위해 최상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위치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제2 위치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4)(도 3)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의 설명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도 13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된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발전시키기 위해 대안적 순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미디어 에셋은 다수의 논리적 프로세서 스레드를 사용하여 병렬로 평가될 수 있거나 알고리즘은 분기 예측을 통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프로세스는 적절히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장비 또는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이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목적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은 단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또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 및 제한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관련한 흐름도 또는 예는 적절한 방식으로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은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다른 시스템 및/또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거나, 그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200)

  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media asset)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retrieving)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가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alert)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고; 및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궤적에 대응하도록 결정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하였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검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것;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것;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8. 제3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가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이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알림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특징 및 서비스 품질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7.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고;
    상기 특징 및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8.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9.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0.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특징 및 서비스 품질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4.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5.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6.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7.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8.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9.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80.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8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특징 및 서비스 품질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3. 제81항 또는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4. 제8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5. 제8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6. 제8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7. 제81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8. 제81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9. 제81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0. 제81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가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가용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 품질 레벨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특징과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3.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4.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5.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은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은 오디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6.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7.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히 소비된 복수의 콘텐츠 유형 중의 콘텐츠 유형에 기초하여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8.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은 장르, 주제, 타이틀, 유형, 배우, 캐릭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9.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특징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0.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3.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4.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5.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6.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7.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각각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8.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0.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과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고;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3.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4.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5.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6.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7.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각각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8.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에 대응하는 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0.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5.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6.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각각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8.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30.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3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3. 제131항 또는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4. 제131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5. 제131항 내지 제1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6. 제131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7. 제131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각각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8. 제131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9. 제1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0. 제131항 내지 제1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복수의 가용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중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을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상기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2.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할 제2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상이한 궤적과 연계된 위치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3.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4.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5.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제1 시청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제2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6.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7.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위치 각각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8.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9.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0.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오류율, 비트 레이트, 처리량, 전송 지연, 가용성 또는 지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2.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3.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4.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5.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6.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7.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8.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9.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0.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2.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메모리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3. 제16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이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하였다고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4. 제16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이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5. 제16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6.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7.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8.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것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69.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0.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2.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3. 제17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4. 제17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5. 제17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6.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7.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8.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79.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80.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8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2. 제18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3. 제18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4. 제18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5. 제18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6. 제181항 내지 제1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7. 제181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제1 미디어 에셋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8. 제181항 내지 제1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9. 제181항 내지 제1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0. 제181항 내지 제1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1. 사용자 궤적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가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을 소비하는 것을 정지하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궤적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상기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2.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위치가 상기 궤적에 대응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3.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4.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 상에서 제1 미디어 에셋의 소비를 정지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정지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5.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에 대해 콘텐츠 공급자에게 가용한 모든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6.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위치를 현재 위치에 비교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7.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에셋이 콘텐츠 공급자를 통해 가용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과 상기 제1 미디어 에셋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을 필터링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가용한 복수의 미디어 에셋 중에서 제2 미디어 에셋을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8.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목록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9.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쿼리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0.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이 제3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레벨보다 더 높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추천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77034621A 2016-05-18 2017-05-17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KR102443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58,063 US10165333B2 (en) 2016-05-18 2016-05-18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US15/158,063 2016-05-18
US15/158,090 US10397652B2 (en) 2016-05-18 2016-05-18 Recommending a location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location
US15/158,090 2016-05-18
US15/158,080 US10110959B2 (en) 2016-05-18 2016-05-18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location
US15/158,104 2016-05-18
US15/158,080 2016-05-18
US15/158,104 US10085062B2 (en) 2016-05-18 2016-05-18 Presenting media guidance data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PCT/US2017/033015 WO2017201117A1 (en) 2016-05-18 2017-05-17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96A true KR20190010396A (ko) 2019-01-30
KR102443315B1 KR102443315B1 (ko) 2022-09-14

Family

ID=5887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621A KR102443315B1 (ko) 2016-05-18 2017-05-17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5) EP3377994A1 (ko)
JP (2) JP7004451B2 (ko)
KR (1) KR102443315B1 (ko)
CN (1) CN107735786B (ko)
BR (1) BR112018073658A8 (ko)
CA (1) CA2987440A1 (ko)
MX (1) MX2018014069A (ko)
WO (1) WO20172011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135B1 (ko) 2020-05-29 2021-05-10 박준영 추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42598A (ko) * 2020-09-28 2022-04-05 (주)브레인콜라 미래 상호작용 예측 기반의 개인화 추천 방법 및 시스템
WO2023074965A1 (ko) * 2021-10-29 2023-05-04 엠랩 주식회사 Ott 서비스용 멀티미디어 박스에 적용되는 위치 기반 영상 추천 모듈 및 영상 추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2491B (zh) * 2018-11-29 2020-07-31 杭州飞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属性的陌生人社交活动推荐方法与系统
US11405668B2 (en) * 2020-10-30 2022-08-0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ewing-session continuity
CN112347276A (zh) * 2020-11-06 2021-02-0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装置及系统、客户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032029A (zh) * 2021-03-26 2021-06-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音乐应用的续听处理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590A1 (en) * 2014-05-28 2015-12-0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and method for follow me television function
US20160073162A1 (en) * 2014-09-10 2016-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erson and multi-device content personalization
US20160092034A1 (en) * 2014-09-26 2016-03-31 Amazon Technologies, Inc. Kiosk Providing High Speed Data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9794B1 (en)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US6388714B1 (en)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177931B1 (en)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US6564378B1 (en) 1997-12-08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browsing display
BR9909241A (pt) 1998-03-04 2000-11-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 de guia de programas com propaganda direcionada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AR020608A1 (es)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EP1986425B2 (en)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7165098B1 (en) 1998-11-10 2007-01-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On-line schedule system with personalization features
JP2002101405A (ja) * 2000-09-26 2002-04-05 Alpine Electronics Inc 放送受信システム
AU2002250350B2 (en) 2001-02-21 2007-12-2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s with personal video recording features
US20100146536A1 (en) * 2005-11-14 2010-06-10 Michael Craner Parental media palettes
US20100153885A1 (en) 2005-12-29 2010-06-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dvanced displays provided by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01340559A (zh) * 2008-03-13 2009-01-07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滑动式视频点播方法
US8065417B1 (en) * 2008-11-17 2011-11-22 Amazon Technologies, Inc. Service provider registration by a content broker
US8026805B1 (en) * 2009-04-09 2011-09-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dia tracker
US9014546B2 (en)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US9519728B2 (en) * 2009-12-04 2016-12-1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optimizing delivery of content in a network
FR2977345A1 (fr) * 2011-06-30 2013-01-04 Alcatel Lucent Systeme de recommandation de contenu numerique
JP2013126054A (ja) * 2011-12-14 2013-06-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
US9009794B2 (en) * 2011-12-30 2015-04-1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assignment and exchange of digital access rights
JP2013145995A (ja) 2012-01-16 2013-07-25 Sharp Corp 常連番組情報通知システム
US8880648B1 (en) * 2012-06-27 2014-11-04 Audible, Inc. Automated transition of content consumption across devices
US8495237B1 (en) * 2012-09-27 2013-07-23 Goog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media stream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based on a predicted route of the mobile computing device
CN102915151B (zh) * 2012-10-17 2016-12-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灵敏度的调节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US10237144B2 (en) * 2012-10-29 2019-03-19 T-Mobile Usa, Inc. Quality of user experience analysis
US20150135238A1 (en) * 2013-11-14 2015-05-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media on multiple devices
CN103713876B (zh) * 2014-01-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341717B2 (en) * 2014-03-31 2019-07-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media content session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US20150373565A1 (en) * 2014-06-20 2015-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lity of experience within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US20160011743A1 (en) * 2014-07-11 2016-01-1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in relation to previously-viewed media assets
US10028025B2 (en) * 2014-09-29 2018-07-1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abling presence-based and use-based services
US9894414B2 (en) * 2014-09-30 2018-02-13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US9444897B1 (en) * 2015-11-12 2016-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ality of experience collaboration between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590A1 (en) * 2014-05-28 2015-12-0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and method for follow me television function
US20160073162A1 (en) * 2014-09-10 2016-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erson and multi-device content personalization
US20160092034A1 (en) * 2014-09-26 2016-03-31 Amazon Technologies, Inc. Kiosk Providing High Speed Data Transf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135B1 (ko) 2020-05-29 2021-05-10 박준영 추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42598A (ko) * 2020-09-28 2022-04-05 (주)브레인콜라 미래 상호작용 예측 기반의 개인화 추천 방법 및 시스템
WO2023074965A1 (ko) * 2021-10-29 2023-05-04 엠랩 주식회사 Ott 서비스용 멀티미디어 박스에 적용되는 위치 기반 영상 추천 모듈 및 영상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812A1 (en) 2018-11-14
EP3401813A1 (en) 2018-11-14
BR112018073658A8 (pt) 2023-01-24
EP3401811A1 (en) 2018-11-14
CA2987440A1 (en) 2017-11-23
JP7004451B2 (ja) 2022-01-21
CN107735786B (zh) 2023-12-26
JP2022036180A (ja) 2022-03-04
MX2018014069A (es) 2019-08-21
EP3825870A1 (en) 2021-05-26
WO2017201117A1 (en) 2017-11-23
CN107735786A (zh) 2018-02-23
BR112018073658A2 (pt) 2019-02-19
EP3377994A1 (en) 2018-09-26
JP2019521532A (ja) 2019-07-25
JP7256256B2 (ja) 2023-04-11
KR102443315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2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vice content recommendations
US10110959B2 (en)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location
US10165333B2 (en)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JP7256256B2 (ja) ユーザの軌跡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推奨
US113752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at which the media assets are frequently consumed
US104239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framework for generating predictive models for media planning
KR102430625B1 (ko) 자연어 질의를 위한 실행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397652B2 (en) Recommending a location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location
US10085062B2 (en) Presenting media guidance data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AU2017264995A1 (en) Recommending media content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user
US201902973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a likelihood of media asset consumption using recommendation ch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