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34A -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34A
KR20190010334A KR1020170092988A KR20170092988A KR20190010334A KR 20190010334 A KR20190010334 A KR 20190010334A KR 1020170092988 A KR1020170092988 A KR 1020170092988A KR 20170092988 A KR20170092988 A KR 20170092988A KR 20190010334 A KR20190010334 A KR 2019001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ing
combination
evaluation
items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786B1 (ko
Inventor
유은진
Original Assignee
유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진 filed Critical 유은진
Priority to KR102017009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86B1/ko
Priority to PCT/KR2018/008066 priority patent/WO2019017674A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정보관리부, 항목조합평가부, 표본스타일링평가부, 평가학습부, 선택정보관리부, 선택조합평가부, 스타일링제안부 및 피드백적용부를 포함하여 온라인 상에서 스타일링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Online styling system and online style recommending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리스 혹은 소비자의 패션 감각을 학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적합한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션 시장에서 온라인 매출비중이 23%에 육박하고 성장률도 15%에 이를 정도로 온라인 패션쇼핑몰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스타일링 제안 등과 같이 색다른 소비자 밀착형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종래 구현된 기술을 살펴보면, 스타일리스트가 웹 혹은 메신저앱을 통해 소비자에게 스타일링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나, 이는 사실상 소비자를 일일이 상대해야 하는 오프라인 방식을 단순히 온라인상에서 구현한 것에 불과하고 스타일링을 추천받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고, 스타일에 따른 일괄적인 제안 방식은 소비자의 다양한 조건을 반영하지 못하여 실효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인 한국특허 제0967157호를 보면, 의상을 코디하는데 기준이 되는 표본의상들의 속성과 속성값을 포함하는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트레이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본 의상들을 매치시킨 후 매치된 의상들의 어울리는 정도를 수치(%)인 어울림 값으로 표시하여 저장하고 갱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타일리스트의 평가정보를 사전에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데, 전체 스타일링에서 해당 평가 자체의 영향력은 알 수 없으므로 다수의 매칭으로 구성되는 스타일링에 있어서 실효성 있는 제안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스타일리스트 혹은 소비자의 패션 감각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스타일링 추천기준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하여 스타일링 제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을 기반으로 스타일링 제안하고 소비자의 반응을 반영하도록 구성된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에 있어서,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정보관리부;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가능한 경우의 수만큼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항목조합평가부;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표본스타일링평가부;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하고 평가모델을 정의하는 평가학습부; 고객이 선택 가능한 상품을 기반으로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구분된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선택정보관리부;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상기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 별 선택조합 평가를 생성하는 선택조합 평가부; 및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상기 선택조합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스타일링 제안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정보 구축단계;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항목조합 평가구축단계;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표본스타일링 평가구축단계;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하여 평가모델을 정의하는 평가모델 결정단계; 고객이 선택 가능한 상품의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구분된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선택정보 획득단계;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별 선택조합 평가를 생성하는 선택조합 평가단계; 및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상기 선택조합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스타일링 제안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자의 평가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소비자의 반응을 피드백 받아 스타일링 추천기준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거나 해당 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한 범위에서 스타일링 추천을 받기 때문에 스타일링 제안의 실효성을 높이고 쇼핑몰의 상품판매와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기본정보의 실시예이다.
도 3은 판단기준의 설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4는 항목조합의 실시예이다.
도 5는 표본스타일링의 실시예이다.
도 6은 고객 선택정보의 실시예이다.
도 7은 선택조합배열의 실시예이다.
도 8은 선택조합배열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타일리스트 혹은 고객의 패션 감각을 학습하여 그에 따른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에 있어서, 기본정보관리부(10), 항목조합평가부(20), 표본스타일링평가부(30), 평가학습부(40), 선택정보관리부(50), 선택조합평가부(60), 스타일링제안부(70) 및 피드백적용부(80)를 포함한다.
기본정보관리부(10)는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한다.
상기 기본정보는 상의, 하의, 색상 등과 같이 패션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성별, 스타일 등과 등과 같이 패션의 특징을 포함하는 항목과 그에 속하는 세부항목을 포함한다.
도 2는 기본정보의 실시예로서, 구성요소로서 상의종류, 하의종류, 신발종류, 상의색상, 하의색상, 신발색상, 성별, 스타일의 항목을 특정하고, 상의종류에 셔츠, 티셔츠, 후드티라는 세부항목을 특정하고, 스타일에는 포멀, 캐주얼이라는 세부항목을 특정한 예시이다.
이와 같이, 기본정보관리부(10)는 패션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세분하여 DB화하고, 필요에 의해 정보를 수정하거나 갱신한다.
항목조합평가부(20)는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설정된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가능한 경우의 수만큼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항목 및 세부항목을 포함한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기 항목조합은 둘 이상의 항목이 조합되는 것은 물론 하나의 항목 자체도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이는 평가자로부터 항목조합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이를 향후 평가를 위한 사전정보로 활용하는 것으로, 도 3은 판단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화살표에 따라 1) 상의종류와 하의종류 2)상의색상과 하의색상 3)하의종류와 하의색상 4)하의종류와 신발종류 5) 성별과 하의종류 6) 성별과 신발종류 7)스타일과 하의종류 8)스타일과 신발종류라는 항목 조합에 의한 판단기준이 설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단, 판단기준은 항목간의 조합뿐만 아니라,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평가자의 식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항목조합평가부(20)는 상기 설정된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를 입력받는다.
도 4는 상의종류와 하의종류라는 판단기준에 대한 항목조합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바, 세부항목이 1)셔츠와 정장바지 2) 티셔츠와 정장바지 3) 후드티와 정장바지 4) 셔츠와 슬렉스 5) 티셔츠와 슬렉스 6) 후드티와 슬렉스로 조합된 경우이고, 항목조합평가부(20)는 각 항목조합에 대하여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를 저장한다.
표본스타일링평가부(30)는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평가자는 특정인에 국한되지 않으며, 해당 평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표본스타일링에 대해 평가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 소비자도 자신의 패션감각에 기반한 평가자가 될 수 있어 다양한 패션감각을 본 발명의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표본스타일링의 실시예로서, 스타일링을 완성하기 위한 세부항목이 랜덤하게 선택되어 조합되고 평가자가 이에 대하여 입력한 평가점수가 사전평가정보로 저장된다.
평가학습부(40)는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하여 평가모델을 정의한다.
즉, 상기 각 평가점수를 토대로 평가자의 패션 감각을 학습하여 상기 판단기준별 가중치, 상수 등을 산출하고 평가 모델을 정의한다.
상기 평가모델은 상기 판단기준에 따른 항목조합을 독립변수(특징)로 하고 이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곱한 독립변수(특징)를 합산하는 식일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판단기준의 영향력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를 구성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최적화하게 된다.
즉, 상기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평가점수의 추이와 상기 표본스타일링에 포함되는 항목조합의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추이를 비교하여, 점수 비중과 비례관계를 포함한 영향력 판단에 따라, 해당 항목조합이 속하는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판단기준의 중요도에 영향을 줌으로써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합산과 같은 최종평가점수 산정시 그 결과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선택정보관리부(50)는 고객이 선택 가능한 상품을 기반으로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 구분된 선택정보를 해당 DB에 저장하는바, 고객이 선택가능한 상품으로서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 또는 매장에서 판매 가능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고객이 보유하는 상품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등록함으로써 자신의 옷장에 있는 옷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매장(쇼핑몰)에서 판매가능한 상품을 기반으로 스타일링을 추가로 제안할 수 있으므로 고객은 상품구매효과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옷을 등록함으로써 자신의 옷장을 해당 쇼핑몰에 구현한 효과가 있는바, 해당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고 스타일링 제안의 실효성을 보장하게 된다.
도 6은 선택정보의 실시예로서, 한 고객이 자신의 보유 의상 3개(빨간색 후드티, 검은색 슬렉스, 흰색 스니커즈)를 등록하였고, 쇼핑몰에서는 현재 의상 6개(흰색 셔츠, 파란색 셔츠, 흰색 슬렉스, 검은색 정장바지, 검은색 하이힐, 검은색 구두)를 판매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해당 고객이 보유 의상인 검은색 슬렉스를 포함하는 포멀 스타일의 스타일링을 찾기 위해 옷 구성요소와 스타일링 조건을 지정한 경우이다.
선택조합평가부(60)는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상기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 별 평가를 생성한다.
선택정보관리부(50)에서 등록한 상기 총 9개의 의상을 활용하여 선택조합평가부(60)는 소비자가 지정한 선택정보에 맞는 선택조합배열(스타일링)을 9개 생성할 수 있는바, 결과는 도 7의 실시예와 같다.
선택조합평가부(60)는 상기 선택조합배열에 대해 상기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는바, 도 8은 이와 같이 평가된 평가점수가 부가된 실시예이다.
스타일링 제안부(70)는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해당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는바,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점수에 따라 번호 8-2-1-3-4-9-6-5-7 순으로 고객에게 스타일링 제안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링 제안부(70)는 상기 제시된 선택조합배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의 반응을 점수화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재산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적용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적용부(80)는 상기 소비자 평가점수의 추이와 상기 선택조합배열에 포함되는 항목조합의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추이를 비교하여, 점수 비중과 비례관계를 포함한 중요성 판단기준에 따라, 해당 항목조합이 속하는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상기 평가모델을 수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방법의 처리흐름도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기본정보 구축단계(s10), 항목조합 평가구축단계(s20), 표본스타일링 평가구축단계(s30), 평가모델 결정단계(s40), 선택정보 획득단계(s50), 선택조합 평가단계(s60), 스타일링 제안단계(s70) 및 피드백 적용단계(s80)를 포함한다.
기본정보 구축단계(s10)는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한다.
항목조합 평가구축단계(s20)는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표본스타일링 평가구축단계(s30)는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평가모델 결정단계(s40)는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한다.
선택정보 획득단계(s50)는 해당 쇼핑몰에서 선택 가능한 상품의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구분된 선택정보를 저장하는데, 특히,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조합 평가단계(s60)는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가능한 경우의 수만큼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별 선택조합 평가를 생성한다.
스타일링 제안단계(s70)는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상기 선택조합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며, 상기 제시된 선택조합배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의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재산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적용단계(s80)를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처리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0 : 기본정보관리부 20 : 항목조합평가부
30 : 표본스타일링 평가부 40 : 평가학습부
50 : 선택정보관리부 60 : 선택조합 평가부
70 : 스타일링 제안부 80 : 피드백 적용부

Claims (10)

  1.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에 있어서,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정보관리부;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가능한 경우의 수만큼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항목조합평가부;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표본스타일링평가부;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하고 평가모델을 정의하는 평가학습부;
    고객이 선택 가능한 상품을 기반으로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구분된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선택정보관리부;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상기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 별 선택조합 평가를 생성하는 선택조합 평가부; 및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상기 선택조합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스타일링 제안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관리부는 고객이 선택가능한 상품으로서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 또는 매장에서 판매 가능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링 제안부는 상기 제시된 선택조합배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의 반응을 점수화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재산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학습부는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의 추이와 상기 표본스타일링에 포함되는 항목조합의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추이를 비교하여, 점수 비중과 비례관계를 포함한 중요성 판단기준에 따라, 해당 항목조합이 속하는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적용부는 상기 소비자 평가점수의 추이와 상기 선택조합배열에 포함되는 항목조합의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추이를 비교하여, 점수 비중과 비례관계를 포함한 중요성 판단기준에 따라, 해당 항목조합이 속하는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본스타일링평가부는 해당 평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7.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타일링 제안을 수행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패션의 구성요소 및 특징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기본정보를 계층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정보 구축단계;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을 조합하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 설정을 지원하고, 상기 각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항목조합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항목조합에 대한 항목조합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항목조합 평가구축단계;
    상기 기본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조합한 다수의 표본스타일링을 제시하고, 평가자로부터 각 표본스타일링에 대한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표본스타일링 평가구축단계;
    상기 표본스타일링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 별 가중치를 자동 산출하여 평가모델을 정의하는 평가모델 결정단계;
    고객이 선택 가능한 상품의 구성요소 또는 스타일링 조건을 입력받아 항목과 세부항목으로 계층구분된 선택정보를 저장하는 선택정보 획득단계;
    상기 선택정보의 항목별 세부항목을 조합한 다수의 선택조합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각 선택조합배열을 항목조합로 분류하여 각 항목조합 평가점수에 각 판단기준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조합배열별 선택조합 평가를 생성하는 선택조합 평가단계; 및
    상기 선택조합배열과 상기 선택조합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스타일링 제안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 획득단계는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링 제안단계는 상기 제시된 선택조합배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의 평가점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조합 평가점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상기 판단기준의 가중치를 재산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적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의 처리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처리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KR1020170092988A 2017-07-21 2017-07-21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KR102176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88A KR102176786B1 (ko) 2017-07-21 2017-07-21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PCT/KR2018/008066 WO2019017674A1 (ko) 2017-07-21 2018-07-17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88A KR102176786B1 (ko) 2017-07-21 2017-07-21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34A true KR20190010334A (ko) 2019-01-30
KR102176786B1 KR102176786B1 (ko) 2020-11-10

Family

ID=6501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88A KR102176786B1 (ko) 2017-07-21 2017-07-21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6786B1 (ko)
WO (1) WO20190176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35A (ko) 2020-07-27 2022-02-04 강혜선 개인별 방송용 코디 스타일링 및 의상 재고 관리 시스템
WO2022107952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제이어스 패션 이미지 속성을 이용한 자동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1748A (zh) * 2020-03-17 2020-07-10 李照宇 一种基于工作场景的穿衣搭配大数据智能评估方法
CN111476492A (zh) * 2020-04-10 2020-07-31 中国信息安全测评中心 一种评测方法及系统
KR102491291B1 (ko) * 2022-09-27 2023-01-27 주식회사 미러로이드 헤어 스타일 추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218A (ko) * 2011-04-20 2012-12-24 최현호 코디 정보 기반 온라인 쇼핑몰 상품 중개 시스템
JP2013185262A (ja) * 2012-03-06 2013-09-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方法、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9160A (ja) * 2012-04-20 2013-11-28 Shiseido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WO2017047876A1 (ko) * 2015-09-18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행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40A (ko) * 2001-11-17 2003-05-23 이남규 휴먼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과 고객 맞춤형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044394A (ko) * 2008-10-22 2010-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품 검색 방법 및 서버
KR101040485B1 (ko) * 2009-02-16 2011-06-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트랜드를 고려한 패션 코디 추천 방법
US9070171B2 (en) * 2014-09-04 2015-06-30 Atelier CAAAW,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ed clothing fashion recommendations
KR101674203B1 (ko) * 2015-04-02 2016-11-09 주식회사 두트레이드 물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218A (ko) * 2011-04-20 2012-12-24 최현호 코디 정보 기반 온라인 쇼핑몰 상품 중개 시스템
JP2013185262A (ja) * 2012-03-06 2013-09-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方法、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9160A (ja) * 2012-04-20 2013-11-28 Shiseido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WO2017047876A1 (ko) * 2015-09-18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행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35A (ko) 2020-07-27 2022-02-04 강혜선 개인별 방송용 코디 스타일링 및 의상 재고 관리 시스템
WO2022107952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제이어스 패션 이미지 속성을 이용한 자동 스타일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674A1 (ko) 2019-01-24
KR102176786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334A (ko) 온라인 스타일링 시스템 및 온라인 스타일링 제안 방법
US11775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commendation systems
US10580057B2 (en) Photorealistic recommendation of clothing and apparel based on detected web browser input and content tag analysis
US9852234B2 (en) Optimizing apparel combinations
US87622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s with personalized information about products
US8117199B2 (en) Determination of a profile of an entity based on product descriptions
Wang et al. Intelligent fashion recommender system: Fuzzy logic in personalized garment design
US11062379B2 (en) Automatic fashion outfit composi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CN106022814A (zh) 运用自适性机器学习以提供建议的系统和方法
US11809985B2 (en) Algorithmic apparel recommendation
US20140344102A1 (en) Virtual Personal Shopping System
US20070198120A1 (en) Computer system for rule-based clothing matching and filtering considering fit rules and fashion rules
US201501427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 refinement
Gustafsson et al. Digital product fitting in retail supply chains: maturity levels and potential outcomes
CN108171569B (zh) 一种反馈式智能服装推荐方法和系统
CN109242593B (zh) 一种基于案例推理的服装推荐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284148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벡터기반의 패션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1623946B1 (ko) 가상 피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27597A (ja) 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リコメンドシステム
EP3673427A1 (en) Computer system for optimizing garment inventory of retailer based on shapes of users
US201602927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sizing and shopping
CN107341703B (zh) 利用批次处理和按需处理的组合以提供建议的系统和方法
WO20230596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clothing transaction
KR102307095B1 (ko) 패션 코디의 자동 추천 방법 및 시스템
JP2008176366A (ja) コーディネートマネージメ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