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974A -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74A
KR20190009974A KR1020170092018A KR20170092018A KR20190009974A KR 20190009974 A KR20190009974 A KR 20190009974A KR 1020170092018 A KR1020170092018 A KR 1020170092018A KR 20170092018 A KR20170092018 A KR 20170092018A KR 20190009974 A KR20190009974 A KR 2019000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fluid
plate
pillars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규형
윤석호
김태훈
신정헌
최준석
한용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974A/ko
Publication of KR2019000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유체유입부에 필러가 구비되어 유체유입부에서의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유로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입 헤더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열교환부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유입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배출 헤더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유입부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열교환유로 각각에 고르게 분배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PRINTED CIRCUIT HEAT EXCHANGING PLATE AND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의 유체유입부에 필러가 구비되어 유체유입부에서의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 사이클은 작동유체로 스팀에 비해 열용량이 낮은 기체를 사용하고,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기존의 튜브형 열교환기를 사용하게 되면 같은 효율을 얻기 위해 엄청난 크기의 열교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터빈 사이클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열교환기가 필요하게 되는데, 현재 개발 및 사용 중인 열교환기 중의 하나가 HEATRIC 사에서 개발한 인쇄기판형 열교환기(PCHE: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이다.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금속판의 표면에 화학적 에칭을 통해 유로를 생성하고, 각각의 금속판들을 확산 접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매우 높은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재료의 성질을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확산접합을 통해 제작되어 구조적으로 상당히 안정적이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환경인 가스터빈 사이클의 열교환기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그러나, 종래의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열교환부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유입부의 구조가 열교환부와 동일하지만 작은 폭을 가진 채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유체유입부는 열교환부에 비해 압력강하가 크게 발생하여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539호(발명의 명칭 :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2014. 06. 0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유입부에 필러를 구비함으로써, 유체유입부의 압력강하를 최소화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은 유체가 유동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유로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입 헤더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열교환부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유입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배출 헤더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유입부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열교환유로 각각에 고르게 분배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은, 상기 유체배출부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사각형 단면, 원형 단면 및 익형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에칭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라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필러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유체유입부에 제1 필러가 구비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유체유입부에서의 압력강하를 최소화 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유체유입부에 제1 필러가 구비되고, 유체배출부에 제2 필러가 구비됨에 따라 인쇄기판용 열교환기의 제작을 위해 각 인쇄기판용 열교환판을 확산 접합하는 공정에서 각각의 필러가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게 되어 유체유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각 필러를 에칭 공정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각 필러를 다양한 형태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 및 유체배출부에 제1 필러 및 제2 필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의 간의 이격 간격이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다르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열교환판 및 제2 열교환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입부 및 유체배출부에 제1 필러 및 제2 필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러모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판(100)은 열교환부(10)와, 유체유입부(20)와, 유체배출부(30)와, 제1 필러(40) 및 제2 필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10)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1 방향(A1)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제1 방향(A1)과 교차하는 제2 방향(A2)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유로(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10)는 열교환판(100)의 중심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고온 열교환부 또는 저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저온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부(10)가 될 수 있다.
상기 유체유입부(20)는 제1 방향(A1)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입 헤더(도 6; 210,310)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열교환부(10) 측으로 전달한다.
이때, 유입 헤더(도 6; 210,310)에 의해 유체유입부(20)로 공급되는 유체는 고온의 유체 또는 저온의 유체가 될 수 있다.
유입 헤더(도 6; 210,310)로부터 유체유입부(20)로 공급된 유체는 유체유입부(20)를 지나 열교환부(10)의 열교환유로(1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체배출부(30)는 제1 방향(A1)을 기준으로 열교환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부(10)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배출 헤더(도6; 230,330) 측으로 전달한다. 이때, 유체배출부(30)로 배출되는 유체는 유체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러(40)는 유체유입부(2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열교환부(10)로 유동하는 유체를 열교환유로(11) 각각에 고르게 분배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100)을 지지한다.
즉, 종래의 유체유입부는 열교환부의 각 열교환유로와 유사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채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구조는 열교환부의 폭에 비해 유입 헤더와 연결되는 유체유입부 측의 폭이 작기 때문에 채널 형태의 유로 폭 또한 작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열교환부에 비해 유체유입부에서의 압력강하가 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체유입부(20)는 채널 형태의 유로 자체를 없애고 유체유입부(20)의 하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기둥 형태의 복수의 제1 필러(40)를 형성하여 복수의 제1 필러(40) 사이사이로 유체가 유동되면서 각 열교환유로(11)로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유체유입부(20)의 복수개가 설치된 제1 필러(40)는 종래의 유체유입부(20)에 채널 형태로 제1 방향(A1)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조가 아닌,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조인 것이어서, 종래와 같은 유체유입부에 형성되는 채널과 같이 폭이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열교환부에 비해 압력강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필러(40)는 유입 헤더(도 6; 210,310)로부터 유체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가 열교환부(10)의 각 열교환유로(11)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후술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작하기 위해 다수 개의 열교환판(100)을 적층시켜 확산 접합하는 공정에서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유입부(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필러(50)는 유체배출부(3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방향(A1) 및 상기 제2 방향(A2)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100)을 지지한다.
즉, 유체배출부(30)는 유체유입부(20)로 유입되어 열교환부(10)의 열교환유로(11)를 지나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제2 필러(50)는 단지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제작하기 위해 다수 개의 열교환판(100)을 적층시켜 확산 접합하는 공정에서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배출부(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40) 및 제2 필러(50)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필러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필러(40)가 사각형 단면, 원형 단면 및 익형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필러(40)를 사각 단면(41) 및 원형 단면(43)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 각 필러(40)와 접촉되는 유체에 대한 유동박리가 전단에서 발생하고 넓은 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항력이 커져 각 필러에 의한 압력강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제1 필러(40)가 익형 단면(45)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반면, 각 필러와 접촉되는 유체에 대한 유동박리가 후단에서 발생하고 좁은 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항력이 작아 각 필러에 의한 압력강하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1 필러(40) 및 제2 필러(50)는 열교환판(100)의 구조와 특성에 맞게 다양한 구조를 선택해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필러(40) 및 제2 필러(50)가 에칭 방식에 의해 제작된 것이 제시된다. 이에 따라 에칭을 위한 마스크(미도시)의 형상을 변화시켜 제작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40)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러(40)의 배치 상태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필러(40)는 기본적으로 제1 방향(A1)을 따라 인라인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필러(40)는 제1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지그재그 형태의 배치의 경우에는 적은 수의 필러(40)를 가지고도 인라인 형태의 배치와 동일하게 유체를 분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러(40)의 간의 이격 간격이 제1 방향(A1)으로 갈수록 다르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필러(40)는 제1 방향(A1)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한 제1 필러(40) 간의 이격거리가 제1 방향(A1)으로 진행할수록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 헤더(도 6; 210,310)와 연결된 유체유입부(20)의 초입에서는 제1 필러(40) 간의 이격 간격(d1)을 크게 형성하고, 열교환부(10) 측으로 갈수록 제1 필러(40)간의 이격 간격(d2)을 작게 형성하게 되면, 유체는 유체유입부(20)의 초입에서 열교환부(10)의 각 열교환유로(11) 측으로 흐르면 열교환유로(11)에 대응되는 유로 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고르게 유체를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열교환판 및 제2 열교환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전열교환기는 다수 개가 적층되는 열교환판(100)과, 제1 순환헤더(200) 및 제2 순환헤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가 적층된 열교환판(100)은 홀수층에 적층되어 고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제1 열교환판(110)과, 짝수층에 적층되어 저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제2 열교환판(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 헤더(200)는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 헤더(210)와 고온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 배출 헤더(2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순환 헤더(300)는 저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 헤더(310)와 저온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 배출 헤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판(110)은 제1 순환 헤더(200)의 제1 유입 헤더(210)와 연결되어 제1 유입 헤더(210)로부터 고온의 유체를 전달받는 제1 유체유입부(113)와, 제1 유체유입부(113)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열교환유로(112)가 마련되어 제1 유체유입부로(113)부터 고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제1 열교환부(111), 및 제1 열교환부(111)와 연결되어 제1 열교환부(111)를 통과한 고온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1 유체배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체유입부(113)에는 앞서 상술한 제1 필러(40)가 형성되어 고온의 유체를 제1 열교환부(111)의 제1 열교환유로(112)로 각각 고르게 분배하고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제2 열교환판(120)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유체배출부(114)에는 앞서 상술한 제2 필러(50)가 형성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제2 열교환판(120)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열교환판(120)은 제2 순환 헤더(300)의 제2 유입 헤더(310)와 연결되어 제2 유입 헤더(310)로부터 저온의 유체를 전달받는 제2 유체유입부(123)와, 제2 유체유입부(123)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열교환유로(122)가 마련되어 제2 유체유입부(123)로부터 저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제2 열교환부(121), 및 제2 열교환부(121)와 연결되어 제2 열교환부(121)를 지난 저온의 유체가 제2 유체배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체유입부(123)에도 제1 유체유입부(113)와 동일하게 제1 필러(40)가 형성되어 저온의 유체를 제2 열교환부(121)의 제2 열교환유로(122)로 각각 고르게 분배하고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제1 열교환판(110)을 지지한다.
또한, 제2 유체배출부(124)에는 제1 유체배출부(113)와 동일하게 제2 필러(50)가 형성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제1 열교환판(110)을 지지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순환 헤더(200)의 제1 유입 헤더(210)로 고온의 유체를 유입시키면, 고온의 유체는 제1 유입 헤더(210)와 연결된 제1 유체유입부(113)로 유입된다.
제1 유체유입부(113)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는 제1 유체유입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필러(40) 사이사이로 유동되어 제1 열교환부(111)의 복수의 제1 열교환유로로(112) 각각 전달된다. 이때, 복수의 제1 필러(40)에 의해 고온의 유체는 각각의 제1 열교환유로(112)에 고르게 분배된다. 각 제1 열교환유로(112)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는 제1 유체배출부(114)를 통해 제1 배출 헤더(230)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순환 헤더(300)의 제2 유입 헤더(310)로 저온의 유체를 유입시키면, 저온의 유체는 제2 유입 헤더(310)와 연결된 제2 유체유입부(123)로 유입된다. 제2 유체유입부(123)로 유입된 저온의 유체는 제2 유체유입부(123)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필러(40) 사이사이로 유동되어 제2 열교환부(121)의 복수의 제2 열교환유로(122)로 각각 전달된다. 이때, 제1 필러(40)들에 의해 저온의 유체는 각각의 제2 열교환유로(122)에 고르게 분배된다. 이 과정에서 앞서 상술한 제1 열교환부(111)로 유동되는 고온의 유체와 제2 열교환부(121)로 유동되는 저온의 유체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각 제2 열교환유로(122)로 유입된 저온의 유체는 제2 유체배출부(124)를 통해 제2 배출 헤더(330)로 배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유체유입부에 제1 필러가 구비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유체유입부에서의 압력강하를 최소화 하여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유체유입부에 제1 필러가 구비되고, 유체배출부에 제2 필러가 구비됨에 따라 인쇄기판용 열교환기의 제작을 위해 각 인쇄기판용 열교환판을 확산 접합하는 공정에서 각각의 필러가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게 되어 유체유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판용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용 열교환기는, 각 필러를 에칭 공정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각 필러를 다양한 형태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열교환부 11: 열교환유로
20: 유체유입부 30: 유체배출부
40: 제1 필러 50: 제2 필러
100: 열교환판 110: 제1 열교환판
111: 제1 열교환부 112: 제1 열교환유로
113: 제1 유체유입부 114: 제1 유체배출부
120: 제2 열교환판 121: 제2 열교환부
122: 제2 열교환유로 123: 제2 유체유입부
124: 제2 유체배출부 200: 제1 순환 헤더
210: 제1 유입 헤더 230: 제1 배출 헤더
300: 제2 순환 헤더 310: 제2 유입 헤더
330: 제2 배출 헤더

Claims (8)

  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유로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입 헤더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열교환부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유입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배출 헤더 측으로 전달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유입부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열교환유로 각각에 고르게 분배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부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열교환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사각형 단면, 원형 단면 및 익형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에칭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라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필러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기판형 열교환판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KR1020170092018A 2017-07-20 2017-07-2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KR20190009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18A KR20190009974A (ko) 2017-07-20 2017-07-2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18A KR20190009974A (ko) 2017-07-20 2017-07-2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74A true KR20190009974A (ko) 2019-01-30

Family

ID=6527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18A KR20190009974A (ko) 2017-07-20 2017-07-20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596A (zh) * 2022-01-14 2022-04-12 北京交通大学 微通道热交换板及自主分液的模块化板式微通道冷凝器
KR20230000218A (ko) * 2021-06-24 2023-01-02 한국원자력연구원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39B1 (ko) 1988-09-22 1998-07-01 다께바야시 쇼오고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39B1 (ko) 1988-09-22 1998-07-01 다께바야시 쇼오고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18A (ko) * 2021-06-24 2023-01-02 한국원자력연구원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N114322596A (zh) * 2022-01-14 2022-04-12 北京交通大学 微通道热交换板及自主分液的模块化板式微通道冷凝器
CN114322596B (zh) * 2022-01-14 2023-02-17 北京交通大学 微通道热交换板及自主分液的模块化板式微通道冷凝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570B1 (en) Heat exchanger
JP4550885B2 (ja) 流体流分配装置
KR101534497B1 (ko) 증기발생기용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US8474516B2 (en) Heat exchanger having winding micro-channels
US20110226448A1 (en) Heat exchanger having winding channels
EP2878910B1 (en) Micro-channel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and integrated type micro-channel heat exchanger
CN109378303B (zh) 微针肋簇阵列微通道微型换热器
SE0801417L (sv) Värmeväxlare
CN109104844B (zh) 一种微通道冷板
EP2929273B1 (en) Plate heat exchanger
EP2878911A1 (en) Heat exchanger
JP2006525485A (ja) 熱交換器コア
JP2015525447A5 (ja) 燃料電池用ガス分配素子、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ガス分配素子内の可燃性ガスを均質化する方法
US20140374072A1 (en) Kit for a heat exchanger, a heat exchanger core, and heat exchanger
KR20190009974A (ko) 인쇄기판형 열교환판 및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AU708247B2 (en) Plate-type heat exchanger with distribution zone
CN109443056B (zh) 双面交错印刷电路板式换热板和换热器
JP4681528B2 (ja) 熱交換器のヘッダ構造
US20130233525A1 (en) Multi-flow passage device
KR100594185B1 (ko) 3차원 마이크로 채널을 구비한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열교환기
JP2002267391A (ja) 熱交換器
RU2584081C1 (ru) Микроканаль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EP3569959B1 (en) Water heat exchanger
US20200408466A1 (en)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liquid/gas mixing device
EP3569962B1 (en) Water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