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618A -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618A
KR20190009618A KR1020170091635A KR20170091635A KR20190009618A KR 20190009618 A KR20190009618 A KR 20190009618A KR 1020170091635 A KR1020170091635 A KR 1020170091635A KR 20170091635 A KR20170091635 A KR 20170091635A KR 20190009618 A KR20190009618 A KR 20190009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contents
tex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홍록
Original Assignee
최홍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록 filed Critical 최홍록
Priority to KR102017009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618A/en
Publication of KR2019000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creating learning content comprises: a terminal device requesting creation of learning content using predetermined content according to operation of a user; and a learning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In response to a learning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learning content server provides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supporting learning content creation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of the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and creates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learning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ed through the program creation menu.

Description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본 발명은 고유 표현 추출 규칙의 작성에 필요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 그것을 이용한 고유 표현 추출 시스템과,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 necessary for creation of a unique expression extraction rule, a unique expression extra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ystem.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고, 교육 인프라가 향상되면서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교육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에, 종이에 인쇄된 교재 대신, PDF, PPT, epub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된 교재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has been improve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using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erefore, instead of textbooks printed on paper, education methods using textbooks creat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PDF, PPT, and epub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와 같이 전자문서의 포맷이 각기 다른 경우 각 포맷에 대응되는 전용 뷰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므로, 제한된 수업시간 내에 다양한 포맷의 교재를 이용하는 경우 여러 개의 뷰어를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각기 다른 포맷을 갖는 파일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각기 다른 파일에 포함된 내용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편집하는 것은 용이하기 아니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ma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differen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a dedicated viewer corresponding to each format.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execute a plurality of viewers when a textbook of various formats is used within a limited class time. In addition, since files having different format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interconnect or edit contents contained in different files.

이러한 교재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선생님, 강사와 같은 교육자의 입장에서는 학습자에게 전달할 내용이 포함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많은 수의 교육자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아, 학습 컨텐츠의 생산과 배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Many educators are not familiar with computer programming and are concerned with the production of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to the problems of textbooks, educators such as teachers and lecturers often create educational contents containing contents to be delivered to learners. There are many cases of difficulties in distribution.

본 발명은 교육자가 학습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allowing an educator to easily create learning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학습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학습 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컨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학습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습 컨텐츠 분류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generation of learning content using predetermined content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learning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in a network, Providing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for supporting learning content cre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text and a voice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learning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generates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의해서, 선생님, 강사 등의 교육자가 프로그램 전문가가 아닐지라도 드래그/드랍 등의 쉬운 조작을 통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ducator such as a teacher or an instructor can generate contents through an easy operation such as drag / drop even though the program is not an expert.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cont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addition, Variations.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 " part " used in the description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given or mixed with consideratio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fferent from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하고,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급 컨텐츠 분류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200)와,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교육 단말(10,20)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a text and a voice of the content, when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function using a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by a user A terminal device 200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 program creation menu and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ed through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And a learning content server 400 provided to the terminals 10 and 20.

단말장치(200)는, 교육자가 소지/조작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교육자 인증과정을 통해 학습 컨텐츠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생성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교육 단말(10,20)로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is a device that an educator possesses / manipulates, accesses the learning content server 300 through a predetermined educator authentication process, and provides learning contents generated by the learning content server 300 to the specified at least one education terminal 10 , 20).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외부의 정보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열람하여 재생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200)는, 웹서비스서버와 같이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기사 또는 UCC 또는 동영상 또는 전자도서 등의 컨텐츠를 검색/선택하여 열람함으로써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uch a terminal device 200 can access and reproduce content having at least one of text, moving image, and voic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at is, the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 web service server and searches for / selects a desired article or contents such as a UCC, a moving image, or an electronic book, Can be reproduced.

물론, 단말장치(200)는, 학습 컨텐츠 서버(300) 또는 별도의 학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교재컨텐츠를 열람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terminal device 200 may access the learning content server 300 or a separate learning server (not shown) to browse and reproduce the teaching material content having at least one of text, moving picture, and voice.

또한, 단말장치(200)는, 연결된 메모리장치(미도시) 또는 PC(미도시)로부터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획득/저장한 상태에서, 기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may reproduce the pre-stored content while acquiring / storing the content having at least any one of moving picture and voice from a connected memory device (not shown) or a PC (not shown) .

이처럼, 다양한 방식을 통해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단말장치(200)는, PC와 노트북과 PDA와 스마트폰단말과 이동전화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200 capable of reproducing contents having the form of at least one of text, moving picture and voice through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PDA, a smartphone terminal and a mobile phone terminal .

학습 컨텐츠 서버(400)는, 다양한 교재 컨텐츠를 저장/관리하고, 등록된 각 학습자 별 학습수준정보 및 각 교육자별수강 학습자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server 400 can store / manage various teaching material contents, store learn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learner, and / or learn learner information for each educator.

이에, 학습 컨텐츠 서버(40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며, 단말장치(20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교육 단말(10,20)로 해당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단말장치(200)의 해당 교육자에 대응하는 수강 학습자정보에 따른 해당 교육 단말(10,20)로 해당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contents server 400 stores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and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s to the specific education terminals 10 and 20 reques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education terminals 10 and 20 according to the attendee learn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ucator of the apparatus 200.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220)와,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실행부(210)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급 컨텐츠 분류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기능부(23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220 for user operation, a content execution unit 210 for playing back predetermined content, and a learning content creation function using the content, A content function unit 230 for displaying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for supporting learning content creation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of the content and generat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

조작부(220)는, 사용자 즉 단말장치(200)를 이용하는 교육자의 조작 입력을 위한 기능부로서, 키입력부 및 마우스입력부 및 터치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 input unit, a mouse input unit, and a touch input unit, which is a functional unit for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컨텐츠 실행부(210)는,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출력하는 기능부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정보 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열람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The content executing section 210 is a functional section for reproducing predetermined content and displaying / outputting the predetermined content. The content executing section 2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Can be read and reproduced, or the pre-stored content can be reproduced.

즉, 컨텐츠 실행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웹서비스서버와 같이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기사 또는 UCC 또는 동영상 또는 전자도서 등의 컨텐츠를 검색/선택하여 열람함으로써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execution unit 210 accesses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 web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earches for / selects a desired article or content such as a UCC, a moving image or an electronic book, And audio can be reproduced.

물론, 컨텐츠 실행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학습 컨텐츠 서버(400) 또는 별도의 학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텍스트 및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교재컨텐츠를 열람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tent execution unit 210 accesses the learning content server 400 or a separate learning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acquire teaching material contents having at least any one of text, It can be browsed and reproduced.

또한, 컨텐츠 실행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된 메모리장치(미도시) 또는 PC(미도시)로부터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컨텐츠를 획득/저장한 상태에서, 기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executing unit 210 may acquire / store contents having at least one of a moving picture and a voice from a connected memory device (not shown) or a PC (not show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s can be reproduc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난이도 별 단어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tores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degree of difficulty.

여기서, 난이도 별 단어정보는, 기정의된 난이도(예 : 레벨1,2,3,4,5)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단말장치(200)의 사용자 즉 해당 교육자에 의해 또는 단말장치(200)에서 관리되는 사전정보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변경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Here, the word information for each degree of difficulty is inform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wor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difficulty levels (e.g., levels 1, 2, 3, 4, and 5) Or automatically by the dictionary information function managed by the terminal device 200. [0064]

컨텐츠 기능부(23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특정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 기능이 선택되면,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displays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that supports learning content creation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audio of the content when the learning content creation function using the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by a user operation.

여기서,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는, 쓰기학습 및 말하기학습 및 읽기학습 중 어느 하나의 학급 컨텐츠 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학급 컨텐츠 분류선택항목과, 난이도를 선택하기 위한 난이도선택항목과,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를 추출/입력하기 위한 텍스트입력창항목과,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기능 실행을 위한 TTS항목 및 상기 컨텐츠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기능 실행을 위한 STT항목 및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may include a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ion item for selecting one of the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writing learning, the speaking learning, and the reading learning, the degree of difficulty selection item for selecting the degree of difficulty, / A TTS item for executing a TTS (Text To Speech) function for converting the text of the contents into voice, and a STT (Speech To Text) function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contents into text And an STT entry for < RTI ID = 0.0 > and / or < / RTI >

물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 특히 컨텐츠 기능부(230)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기능 및 컨텐츠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환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STT기능 및 TTS기능은,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변환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f course,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TS (Text To Speech) function for converting text into speech, a Speech To Text (STT) And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image data. Here, since the STT function and the TTS function can adopt any of various existing conversion algorithm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컨텐츠 기능부(230)는, 쓰기학습 및 말하기학습 및 읽기학습 중 어느 하나의 학급 컨텐츠 분류를 선택하기 위한 학급 컨텐츠 분류선택항목과, 난이도(예 : 레벨1,2,3,4,5)를 선택하기 위한 난이도선택항목과, 학습 컨텐츠 생성시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텍스트를 추출/입력하기 위한 텍스트입력창항목과, 학습 컨텐츠 생성 시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기능 실행을 위한 TTS항목 및 학습 컨텐츠 생성 시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기능 실행을 위한 STT항목 및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includes a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ion item for selecting one of the class content classifications of the writing learning, the speaking learning, and the reading learning, and the difficulty level (e.g., level 1, 2, ), A text input window item for extracting / inputting the text of the content to be used in generat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a TTS (Text And a STT item for executing a STT (Speech To Text) function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content to be used in generating the learning contents into text, .

이에,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한 단말장치(200)에서는, 학급 컨텐츠 분류선택항목을 통해 금번 학습 컨텐츠 생성요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학습 컨텐츠의 학급 컨텐츠 분류를 쓰기학습 또는 말하기학습 또는 읽기학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난이도선택항목을 통해 금번 학습 컨텐츠 생성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학습 컨텐츠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terminal device 200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the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urrent learning content creation request is selected through the class content classification selection item,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learning contents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learning content creation request through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item.

또한,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표시한 단말장치(200)에서는,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재생 중이던 컨텐츠(예 : 기사컨텐츠)의 텍스트를 추출/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200)에서는, 사용자 즉 교육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중이던 교육 컨텐츠의 텍스트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방식으로 발췌/복사하여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의 텍스트입력창항목에 붙여 넣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can extract / input the text of the content (e.g., article content) that wa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text input window item. For example, in the terminal device 200, the text of the education contents which is being reproduc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educator, is extracted / copied by a drag & drop method and is pasted to the text input window item of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You will be able to put it.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교육자가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쉽게 컨텐츠 생산이 가능하도록, 교육자가 삽입하고자 하는 사진, 영상 등의 컨텐츠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프로그램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ducator can insert contents such as photographs and images to be inserted into a program in a drag-and-drop manner so that an educator can easily produce contents even if he / she is not familiar with a programming language.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급 컨텐츠 분류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lass content class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예를 들어, 쓰기학습 카테고리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a case of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writing learning category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의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컨텐츠로부터의 텍스트가 추출/입력되고, 쓰기학습 카테고리가 선택되고, 소 정 난이도(예 : 레벨3)가 선택되어 학습 컨텐츠 생성 실행이 선택되면, 기 저장된 난이도 별 단어정보 중 금번 선택된 난이도(예 : 레벨3)에 따른 단어정보를 인지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extracts / inputs text from the content through a text input window item in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selects a writing learning category, selects the degree of difficulty (e.g., level 3) When the generation execution is selected,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difficulty level (e.g., level 3) is recognized from among the word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difficulty levels.

그리고, 컨텐츠 기능부(230)는, 금번 선택된 난이도(예 : 레벨3)에 따른 단어정보를 토대로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내 해당 단어를 블랭크(Blank) 처리한 블랭킹텍스트파일 및 블랭크 처리를 해제한 원본의 텍스트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n,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a blanking text file in which the corresponding word in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window item is blanked based on the 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fficulty level (e.g., level 3) And a text file of the original which has released the learning contents.

즉, 컨텐츠 기능부(230)는, 선택된 난이도(예 : 레벨3)에 따른 단어정보(예 : 단어1,2,3,5,8)를 토대로,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내에 해당 단어(예 : 단어1,2,3,5,8)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는 해당 단어(예 : 단어 2,3,8)을 블랭크 처리한 블랭킹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 블랭크 처리를 해제한 원본의 텍스트 파일 즉 해당 단어(예 : 단어 2,3,8)의 블랭크를 해제한 원본의 텍스트파일을 생성한다.That is,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window item corresponds to the word information (e.g., words 1, 2, 3, 5, 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words (e.g., words 1, 2, 3, 5, and 8) exist and a blanking text file in which corresponding words (e.g., words 2, Creates a text file of the original text file, that is, the original text of the word (for example, words 2, 3, and 8) that has been unblanked.

이에, 컨텐츠 기능부(230)는, 블랭킹텍스트파일 및 원본의 텍스트파일을 포함하는 쓰기학습 카테고리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n,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writing learning category including the blanking text file and the original text file.

여기서, 더 나아가 컨텐츠 기능부(230)는, TTS기능을 활성화시켜,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파일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기능부(230)는, 블랭킹텍스트파일 및 원본의 텍스트파일 및 음성파일을 포함하는 쓰기학습 카테고리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Here, further,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may activate the TTS function to convert the text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window item to speech to generate a speech file. In this case,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may generate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writing learning category including the blanking text file and the original text file and the audio file.

또한, 말하기학습 카테고리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ase of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speaking learning category will be described below.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STT항목이 선택되면 STT기능을 활성화시켜 재생 중인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도록 한다.When the STT item is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the content function module 230 activates the STT function to convert the voice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e.g., video content or audio content) into text to generate a text file.

그리고,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말하기학습 카테고리가 선택되어 학습 컨텐츠 생성 실행이 선택되면,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에 해당되는 음성파일 및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을 분석한 음성분석정보 및 발음매칭률정보 및 전술의 변환한 텍스트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n, when the speaking learning category is selected through the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and the learning content generation execution is selected,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displays the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content (e.g., moving picture content or voice content) For example, video content or audio content), and a text file convert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즉, 컨텐츠 기능부(230)는, 단말장치(200)에서 재생 또는 선택된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을 리코딩(Recording)하도록 하거나 또는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로부터 음성파일을 추출함으로써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에 해당되는 음성파일을 생성한다.That is,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record the audio of the content reproduced or selected (e.g., moving picture content or audio content) i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extracts the voice file to generate a voice file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video content or the voice content).

또는 컨텐츠 기능부(230)는, 컨텐츠(예 : 동영상컨텐츠 또는 음성컨텐츠)의 음성을 분석한 음성분석정보 다시 말해 음성의 인토네이션(Intonation)과 스펙트럼을 분석한 음성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음성분석정보를 토대로 타인의 음성과 발음매칭률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발음매칭률정보를 생성한다.Alternatively,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may generate voice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voice of contents (e.g., moving picture contents or voice contents), that is, voice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intonation and spectrum of voice, And generates pronunciation matching rate information as a basis for deriving the voice and pronunciation matching rate of the other person.

이에, 컨텐츠 기능부(230)는, 음성파일 및 음성분석정보 및 발음매칭률정보 및 텍스트파일을 포함하는 말하기학습 카테고리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speech learning category including the speech file, the speech analysis information, the pronunciation matching rate information, and the text file.

또한, 읽기학습 카테고리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ase of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read learning category will be described below.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의 텍스트입력창항목을 통해 컨텐츠로부터의 텍스트가 추출/입력되고, 입력된 텍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단어(예 : 단어a,b,c,d)가 선택되고, 읽기학습 카테고리가 선택되어 학습 컨텐츠 생성 실행이 선택되면, 입력된 텍스트에 해당되는 텍스트파일 및 설정된 학습시간을 카운팅하는 학습 시간카운팅정보를 생성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extracts / inputs text from content through a text input window item in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and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word (e.g., words a, b, c, d) When the learning learning category is selected and execu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is selected, the text fi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and the learning time counting information for counting the set learning time are generated.

예를 들면, 컨텐츠 기능부(230)는, 학습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습시간(예 : 3분)을 카운팅하는 학습시간카운팅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텍스트파일 내의 단어 개수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학습시간알고리즘에 따라 책정되는 학습시간(예 : 3분 30초)를 카운팅하는 학습시간카운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can generate learning time counting information for counting a learning time (for example, three minutes) selected through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or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in a text file It can generate learning time counting information that counts the learning time (for example, 3 minutes and 30 seconds)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predefined learning time algorithm.

그리고, 컨텐츠 기능부(230)는, 전술의 학습시간 동안 텍스트 내 단어들을 순차적으로 지시하여 리딩(Reading)위치를 표시하는 리딩위치정보를 생성하고, 학습시간 경과 후 텍스트 내의 선택된 단어(예 : 단어 a,b,c,d)를 부각시키는 단어하이라이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lea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ading position by sequentially instructing the words in the text during the above-mentioned learning time, and outputs the selected word (e.g., word a, b, c, d) of the word highlight information.

이에, 컨텐츠 기능부(230)는, 텍스트파일 및 학습시간카운팅정보 및 리딩위치정보 및 단어하이라이트정보를 포함하는 읽기학습 카테고리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The content function unit 230 generates learning contents of a read learning category including a text file, learning time counting information, lea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word highlight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생성한 학습 컨텐츠를 외부의 학습 컨텐츠 서버(400)로 제공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교육 단말(10,20...)로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240 for providing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s to an external learning content server 400 and providing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s to at least one specified education terminal 10, ).

제어부(240)는, 전술과 같이 생성된 학습 컨텐츠 즉 쓰기학습 또는 말하기학습 또는 읽기학습에 해당되는 학습 컨텐츠를 학습 컨텐츠 서버(400)로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 단말(10,20)로 해당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단말장치(200)를 이용하는 해당 교육자의 수강 학습자정보에 따른 해당 교육 단말(10,20)로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40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that is, the writing learning or the speaking learning or the reading learning, to the learning contents server 400, and the at least one education terminal 10 , 20 or provide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s to the education terminals 10 and 20 according to the learner information of the educator using the terminal device 200. [

이에, 학습 컨텐츠 서버(400)를 통해 쓰기학습 또는 말하기학습 또는 읽기학습 카테고리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은 교육 단말(10,20)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습 컨텐츠를 토대로 학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training terminals 10 and 20 provid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writing learning or speaking learning or the reading learning category through the learning contents server 400 perform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will b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특정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단말장치(200)에서 교육자가 기사, 동영상, 교재 등과 같은 컨텐츠의 내용을 발췌하여 과제용의 학습 컨텐츠를 즉각적이고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learning content generation function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of specific contents, The learning content for the task can be instantly and easily generated by extract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such as the moving image, the textbook, and the like.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교육자가 기사, 동영상, 교재 등과 같은 컨텐츠의 내용을 발췌하여 과제용의 학습 컨텐츠를 즉각적이고 간편하게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지도의 편의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vironment in which an educator extracts contents of contents such as articles, moving pictures, teaching materials and the like, and instantly and easily generates learning contents for the tasks and distributes them to learners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learning guidance can be increased.

Claims (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학습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학습 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학습컨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학습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학습 컨텐츠 분류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requesting generation of learning contents using predetermined content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learning content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learning contents server comprises:
Providing a learning program creation menu for supporting learning content cre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text and a voice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learning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es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classif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또는 학습 컨텐츠 서버의 사용자는 상기 학습 컨텐츠에 삽입하고자 하는 텍스트, 사진 또는 영상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컨텐츠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or the user of the learning content server can insert a text, a photograph or an image to be inserted into the learning content by drag and drop.
KR1020170091635A 2017-07-19 2017-07-19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KR201900096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35A KR20190009618A (en) 2017-07-19 2017-07-19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35A KR20190009618A (en) 2017-07-19 2017-07-19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18A true KR20190009618A (en) 2019-01-29

Family

ID=6532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635A KR20190009618A (en) 2017-07-19 2017-07-19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6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6675A1 (en) Platform for educational and interactive ereaders and ebooks
US11657725B2 (en) E-reader interface system with audio and highlighting synchronization for digital books
EP272431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training program
KR20150080556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elivering, Using and Leverag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CN108628940B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JP2010224042A (en) Teaching system, teaching method, and program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KR2018009463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ew through handwriting note and voice note
TW201816747A (en) Online teaching and action learning system
JP2014085998A (en)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electronic note creation support device
Zammit Responding to literature: iPads, apps and multimodal text creation
TWI591501B (en) The book content digit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Rodrigo et al. Accessibility in language MOOCs
Lee et al. e-Textbooks: Types, characteristics and open issues
Stefanov et al. Mobile Devices Supporting People with Special Needs
Krakower et al. Using technology to engag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KR20120027647A (en)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09618A (en)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Giliberti et al. Alternative learning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KR20090002546A (en)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KR1017478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preschool education service
Hersh et al. Representing contextual features of subtitles in an educational context
KR101024995B1 (en) Operation Method of Repetitive Learning Terminal Using Page Index
US20220319152A1 (en) Methods for generating cognitive building blocks
Lin et al. Story-based CALL for Japanese kanji characters: A study on student learning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