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46A -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46A
KR20090002546A KR1020070065971A KR20070065971A KR20090002546A KR 20090002546 A KR20090002546 A KR 20090002546A KR 1020070065971 A KR1020070065971 A KR 1020070065971A KR 20070065971 A KR20070065971 A KR 20070065971A KR 20090002546 A KR20090002546 A KR 20090002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data
internet
user
lectu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세정
Original Assignee
변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세정 filed Critical 변세정
Priority to KR102007006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46A/en
Publication of KR2009000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lecture material creat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and an online-offline lecture system are provided to offer data about a lecture material utilizing method corresponding to an edited lecture material and additional reference data in addition to lecture materials to achieve smooth and profound lecture. A lecture material creat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includes a step(S10) of authenticating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 step(S13) of searching a basic lecture material requested by a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basic lecture material in an editable document window, a step(S15) of editing the basic lecture material according to an inputted editing instruction, a step of adding another lecture material to a region of the document window, selected by a user, and editing the lecture material, and a step of storing edited lecture materials in lecture storages for respective users.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METHODO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강의자료 제작 및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의 제어블록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ternet lecture material production and lecture production system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강의자료 종류의 일예;2 is an example of the kind of lectur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서의 강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aching method in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 2 : 사용자 단말기1: Lecture production system on the Internet 2: User terminal

3 : 인터넷 10 : 데이터베이스 서버3: internet 10: database server

20 : 웹 서버 21 : 자료검색부20: Web Server 21: Data Search Department

23 : 자료편집부 30 :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23: data editing department 30: individual lecture data storage

40 : 칠판 50 : 컴퓨터40: blackboard 50: computer

60 :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강의자료를 간단하게 편집하여 강의 목적에 맞는 자신만의 강의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오프라인 실제 강의 중 강의에 필요한 자료를 온라인으로 공급받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nd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Internet enables users to easily edit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nd create their own lecture material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le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lecture data on-line and a system for supplying online materials for offline lectures.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대중화로 인해 교육 분야 또한 인터넷으로 이전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특히,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던 강의가 온라인 상으로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원 등을 찾아가지 않고,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강의를 통해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강의는 오프라인 상의 강사의 강의를 온라인상으로 전달 매체만을 달리하여 일방적으로 전달할 뿐 오프라인 강의와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the education field is also being transferred to the Internet. In particular, lectures that were taken offline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online. Therefore, students can take classes through online lectures on the Internet using a personal computer without visiting the school. However, these online lectures are one-way delivery of instructor's lectures on-line only by different media, and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from offline lectures.

그리고 강의가 온라인 100%로 이루어지는 경우, 학생이 집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온라인이 갖는 장점과 종래 오프라인이 갖는 장점을 함께 접목하여 효율적인 강의시스템을 이끌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nd if the lecture is made up of 100% onlin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tudent to concentrate and bilateral communication is difficult.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on-line with the advantages of offline in order to derive an effective lecture system.

예를 들어, 종래에는 학교 및 학원 선생님들이 사용하는 강의 교재는 출판사에서 제작한 페이퍼 문서로 제작된 참고서, 문제집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물론, 강의자의 필요에 따라 자신이 직접 강의 자료를 만들거나 편집하여 페이퍼 문서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한편, 온라인상에서는 종래 텍스트 위주의 강의자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lecture textbooks used by school and academy teachers were mainly composed of reference books and problem books produced from paper documents produced by a publishing company. Of course, according to the lecturer's needs, he himself created or edited the lecture materials and produced them as paper documents. On the other hand, onl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use a variety of multimedia materials as textbooks as well as conventional text-based lecture materials.

강의자는 이러한 온라인상의 강의자료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강의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기에 더욱 효과적이며, 더욱이 최근에는 강의실에 컴퓨터시스템 및 영상시스템이 갖춰서 있어서 이러한 활용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Lecturers can use these online lecture materials in their classes, and these teaching methods are more effective because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and more recently, the use of computer and video systems in the classroom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to be.

그런데 온라인상의 강의자료를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안 되지만 이미 만들어진 강의자료가 강의자의 강의 목적 및 취향에 맞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강의자가 원하는 강의자료의 제작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However, it is not a problem to bring online lecture materials as they are, but there is a nee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s that lecturers want because the lecture materials that are already made do not meet the purpose and taste of the lecturers.

예를 들어, 강의 자료의 일정부분이 가감이 필요한 경우 종래 온라인상이 구축된 시스템에서는 이에 관한 삽입, 삭제가 불편하였다. 또한, 강의자가 직접 온라인 강의자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문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의자가 온라인상의 강의자료를 제작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For example, when a certain portion of lecture data needs to be added or subtracted, it is inconvenient to insert or delete the related information in a system that is constructed online. In addition, in order for a lecturer to produce online lecture materials directly,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producing a lecture material online because the lecturer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docu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강의 목적, 의도에 맞게 강의자료를 원하는 대로 간단하게 편집 및 제작할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이를 실제 강의에 적절하게 이용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편집한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를 강의 자료와 연계하여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원활하고 심도 있는 강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이를 실제 강의에 적절하게 이용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k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which allows users to easily edit and produce lecture materials as desired in accordance with the lectur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user online, and to use the online-offline method appropriately for the actual lecture. To provide a lecture system. In addition, by providing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lecture data, and additional contents reference materials in conjunction with the lecture materials,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that can help smooth and in-depth lectures and It is to provide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that uses this appropriately for actual lecture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기본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편집 가능한 문서창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기본 강의자료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기본 강의자료를 편집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창에 상기 타 강의자료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추가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의 저장이 선택되면, 사용자별 강의 자료 보관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 on the Internet, comprising the steps of: processing authentication of a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Retrieving the basic lecture data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edited document window; If the editing command of the searched basic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editing the basic lecture data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If another instruction for inputting other lecture data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dditionally editing the other lecture data in an area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ocument window; And if the storage of the edited lecture data is selected, it can be achieved by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user-specific lecture material storage box.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강의자료의 제작기능이 선택되면 편집 가능한 문서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강의자료의 추가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문서창의 일 영역에 상기 강의자료를 추가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의 저장이 선택되면, 사용자별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the step of processing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Providing an editable document window when a production function of lecture material is selected from a user terminal; Retrieving and displaying lecture material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instruction to add the searched lecture data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dditionally editing the lecture data in a region of the document window selected by the user; And if the storage of the edited lecture data is selected, can also be achieved by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user-specific lecture material storage box.

여기서, 사용자가 강의실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강의자료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the user selects the lecture data stored in the lecture library by accessing the Internet from the computer system of the classroom, providing the selected lecture data to the image display of the computer system; And using the lecture data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또한,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는 상기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를 강의 자료와 연계하여 별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parately displaying data on a method of using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data edited by the user and additional content reference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lecture data.

그리고, 상기 강의자료는 교과 자료, 문제 자료, 전자칠판 강의 자료, 동영상 강의 자료, 및 전자 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자료의 유형은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플래시영상, 3D영상, 동영상, 참고 웹링크 중 적어도 하 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ctur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curriculum materials, problem materials, electronic blackboard lecture materials, video lecture materials, and electronic books; The type of lectur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xt, a picture, a picture, an audio, a flash image, a 3D image, a video, and a reference web link.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포맷의 학습자료에 관한 DB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강의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색하여 편집 가능한 문서창으로 제공하는 자료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강의자료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강의자료를 편집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창에 상기 타 강의자료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삽입 편집하는 자료편집부를 갖는 웹 서버; 및 사용자별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가 저장된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offline grafting system, the database server for storing the learning data of various formats; A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lecture data requested from a user terminal from the database server and providing the editable document window; When the edit command of the retrieved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lecture data is edi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When the additional instruction of other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other lecture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window. A web server having a data editing unit for inserting and editing data into an area selected by a user; And it can be achieved by the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brary of individual lecture data stored by the user edited lecture data.

여기서, 강의실에 설치되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상기 웹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컴퓨터; 및 상기 강의실의 칠판의 전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칠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공된 강의자료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mputer is installed in the lecture room can b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 receives the lecture data stored in the lecture data storage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web server provided;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blackboard to move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blackboard of the classroom,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display the provided lecture data as an imag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은 사용자정보 DB 및 각종 강의자료 DB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서버(10), 웹 서비스가 가능한 웹 서버(20), 및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30)을 포 함한다. 여기서, 웹 서버(20)에는 본 발명의 인터넷 강의자료 제작 서비스에 필요한 웹솔루션이 구축되어 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server 10 on which a user information DB and various lecture data DBs are constructed, and a web server 20 capable of web services. ), And personal lecture lockers (30). Here, the web server 20 has a web solution required for the Internet lecture material produc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video streaming server for multimedia data processing.

사용자(2)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상에서 본 발명의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는 인터넷 강의자료 제작 시스템(1)과의 연동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The user 2 can access a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user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ernet web browser and receive a desired service. In this case, various programs for interworking with the Internet lecture material production system 1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database serve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강의자료 종류의 일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서버(10)는 크게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 정보(11), 각종 강의자료에 관한 DB,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30)을 포함한다. 2 is an example of the kind of lectur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atabase server 10 includes a member information 11 that has largely subscribed to a service, a DB regarding various lecture materials, and a library of lecture data for each individual 30.

회원 정보 DB(11)는 회원의 로그인 아이디, 암호, 등을 비롯한 신상정보가 저장되고, 학습자료 DB는 강의자료 등록 및 검색에 필요한 기본데이터인 학년, 과목, 단원 분류 데이터(13, 학년, 과목, 출판사, 교재명, 단원 분류 정보 등)와 각종 강의자료(15, 텍스트, 그림, 음성, 플래시 영상, 3D영상, 동영상, 전자칠판, 전자책, 참고 웹링크, 기타 참고 자료 등) 등이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The member information DB 11 stor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member's login ID, password, and the like, and the learning material DB includes grade, subject, and unit classification data (13, grade, subject, which are basic data necessary for registering and retrieving lecture materials). , Publisher, textbook name,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etc.) and various lecture materials (15, text, picture, audio, flash image, 3D image, video, electronic blackboard, e-book, reference web link, other reference materials). If necessary, it can be added or deleted by the administrator.

여기서, 강의 자료는 교과 자료(15a), 문제 자료(15b), 전자칠판 강의자 료(15c), 동영상 자료(15d), 전자북(e-book, 15e), 기타자료(15f)를 포함할 수 있다. 교과 자료는 교과서(기타 교재)의 내용 또는 강의자의 내용 설명을 위한 강의자료 등이 될 수 있고, 문제 자료는 객관식, 주관식 등을 포함한 문제들, 전자칠판 강의자료는 전자칠판을 통해 강의한 판서내용 및 강의 내용, 동영상 자료는 강의 동영상, 플래시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북은 전자북으로 제작된 교과서, 참고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자료의 분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르게 분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lecture material may include a curriculum material (15a), problem material (15b), electronic blackboard lecture material (15c), video material (15d), e-book (e-book, 15e), other materials (15f). have. Curriculum materials can be the contents of textbooks (other textbooks) or lecture materials to explain the contents of lecturers.The problem materials are questions including multiple-choice and subjective questions, and the electronic blackboard lecture materials are written on the electronic board. And lecture content, video material may include lecture video, flash materia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lectronic book may include a textbook, a reference book, and the like produced as the electronic book. The classification of such lecture material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lassified differently.

예를 들어, 과목별 강의자료의 예로서, 논술의 경우 특정 주제에 관한 오프닝 화면, 배경지식의 화면, 상황 설정 삽화, 논리 구성의 흐름도 등이 음악과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수학의 경우 도형의 표현, 도형의 3차원 구현, 통계도표 작성의 흐름, 적용 공식 표현, 문제풀이의 과정 등이 효과음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어의 경우 원어민 발음, 강의 지문, 대표지문 등이 순서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과학의 경우 도표, 수업화보, 실험 동영상, 과학영상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의 경우 지도자료, 유적지 삽화, 역사 영상물, 역사 연표 등을 강의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subject-specific lecture materials, in the case of essay writing, an opening screen, a screen of background knowledge, a setting example of a situation, a flow chart of logic composition, etc. may be provided along with music. Expressions, three-dimensional implementations of figures, the flow of statistics plotting, application formula expressions,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can be provided with sound effec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English, native speaker pronunciation, lecture fingerprints, representative fingerprints, etc. may be provided in order, and in the case of science, diagrams, instructional pictorials, experimental videos, scientific images,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a society, instructional materials, historical site illustrations, historical videos, and timelines can be provided as lecture materials.

한편, 강의 자료에는 기본 강의 자료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강의 자료라 함은 각 단원 또는 각 주제에 대응하여, 전술한 다양한 포맷의 강의 자료를 미리 편집하여 만들어 놓은 일종의 샘플이 되는 강의 자료로서, 각 단원별로 하나 이상의 샘플이 되는 기본 강의 자료가 제공될 수 있다. 강의자는 이 샘플이 되는 기본 강의자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간단히 편집하여 강의자료로서 활 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lecture data may include basic lecture data. Here, the basic lecture material is a lecture material that is a kind of sample prepared by pre-editing the lecture materials of the various formats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to each unit or each subject, and the basic lecture material that becomes one or more samples for each unit is Can be provided. The lecturer can use the basic lecture material that is the sample as it is, or simply edit it and use it as lecture materia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30)에는 회원들이 각각 검색 또는 제작한 강의자료가 저장되어 있다. The lecture materials library 30 for each individual stores lecture materials searched or produced by members.

웹 서버(20)는 인터넷(3)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의 검색요청에 따라 강의 자료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부(21) 및 사용자(2)의 명령에 따라 강의자료를 편집하는 자료편집부(23)를 포함한다. 자료검색부(21) 및 자료편집부(23)는 검색 프로그램, 편집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다. The web server 20 provides a web service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3, and as illustrated in FIG. 1, a data search unit 21 for searching lecture materials according to a search request of the user 2. ) And a data editing unit 23 for editing lecture dat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user 2. The data searching unit 21 and the data editing unit 23 may be implemented by a search program, an editing program, and a processor on which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executed.

자료검색부(21)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강의자료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때, 검색된 강의자료는 편집이 가능한 문서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검색어는 학년, 단원, 단원명 등이 될 수 있다. The data retrieval unit 21 retrieves the lecture data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server 10 and provides a search result to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retrieved lecture material may be provided as an editable document window. In this case, the search word may be a grade, a unit, a unit name, and the like.

자료편집부(23)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된 강의자료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강의자료를 편집하여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창에 타 강의자료를 사용자(2)가 선택한 영역에 삽입 편집한다. 여기서, 자료편집부(23)는 HTML 문서를 사용한 편집 프로그램일 수 있다. When the editing command of the lecture data retrie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input, the data editing unit 23 edits and provides lecture data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When the additional command of other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other lecture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window. Insert and edit the material in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2). Here, the data editing unit 23 may be an editing program using an HTML document.

자료편집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ata editing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가 인터넷(3)을 통해 본 발명의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을 완료하면(S10), 웹 서버(20)는 회원메뉴창을 표시한다(S11). 회원메뉴창에는 다양한 제공 서비스에 관한 항목들이 표시되며, 만약 사용자(2)가 기본 강의자료 검색을 요청한 경우(S12), 웹 서버(20)의 자료검색부(21)는 요청된 기본 강의자료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서 검색하여 편집 가능한 문서창으로 표시한다(S13).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2)는 학년, 단원, 단원명 등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원하는 강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강의 자료는 다양한 포맷의 강의 자료가 포함된 미리 제작된 각 단원별 또는 각 주제별 샘플이 되는 기본 강의 자료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의자는 기본 강의 자료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약간 편집하여 자신의 강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when the user 2 accesses the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the Internet 3 and completes the member login (S10), the web server 20 displays the member menu. The window is displayed (S11). In the member menu window, items related to various services are displayed, and if the user 2 requests basic lecture data search (S12), the data search unit 21 of the web server 20 displays the requested basic lecture data. The database server 10 displays the editable document window (S13). As described above, the user 2 may search for desired lecture materials by inputting grade, unit, unit name, etc. as a keyword. As mentioned above, the basic lecture materials are basic lecture materials that are samples of each pre-produced unit or each subject including various formats of lecture materials. As described below, the lecturer may slightly change the basic lecture materials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lecturer. You can edit and use it as your teaching material.

사용자(2)가 검색된 강의 자료의 편집을 원하는 경우, 문서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원하는 텍스트를 기본 강의 자료에 직접 입력하거나, 기본 강의 자료에 포함된 내용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2)로부터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S14), 웹 서버(20)의 자료편집부(23)는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문서창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편집한다(S15).If the user 2 wants to edit the searched lecture materials, the cursor can be placed in the document window to directly input the desired text into the basic lecture data or delete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basic lecture data. As such, when an edit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2 (S14), the data editing unit 23 of the web server 20 edits the lecture data displayed in the document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S15).

그리고, 사용자(2)가 다른 타 강의 자료에 있는 문제,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 명령을 입력하여 원하는 타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검색된 강의자료가 별도의 활성창에 표시되면 삽입을 원하는 부분을 마우스 등으로 드래그 선택하여 현재 편집중인 문서창의 원하는 삽입 영역에 드롭하는 방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2)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S16), 웹 서버(20)의 자료편집부(23)는 사용자(2)가 삽입을 원하는 영역에 타 강의자료를 삽입 처리한다(S17).In addition, when the user 2 wants to insert a problem, multimedia data, etc. in another lecture data, the user inputs a search command to search for desired lecture data, and when the searched lecture data is displayed in a separate active window, the insertion is performed. You can insert the desired part by dragging it with a mouse and dropping it into the desired insertion area of the currently editing document window. As such, when an additional instruction for inputting other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2 (S16), the data editing unit 23 of the web server 20 inserts and processes other lecture data in an area that the user 2 wants to insert. (S17).

이때, 삽입되는 강의자료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동영상, 플래시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및 드롭 방식을 비롯한 마우스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편집,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타 강의자료의 삽입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erted lecture material may be not only text but also multimedia data such as a video and a flash image. As described above, the lecture data may be edited and produced by a simple operation of a mouse including a drag and drop method. Such other lecture data can be inserted repeatedly.

예를 들어, 사용자(2)가 기존 강의자료에 문제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문제자료에서 삽입을 원하는 문제인 1번, 5번, 6번, 30번 문제를 드래그하여 현재 편집중인 문서창의 삽입을 원하는 영역에 드롭하여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자료편집부(23)는 자료의 번호 및 문제의 번호의 자동 소팅(SORTING) 기능이 있어서, 자동 또는 사용자(2)의 선택에 의해 번호를 소팅하여 변경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번호가 5번, 1번, 30번, 6번이었던 문제가 해당 순서대로 삽입된 경우, 해당 번호가 1,2,3,4 번으로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2) wants to add a problem to the existing lecture materials, drag the questions 1, 5, 6, and 30, which he wants to insert from the problem materials, to insert the document window currently being edited. You can add it by dropping it in the area. At this time, the data editing unit 23 has an automatic sorting function of the number of the material and the number of the problem, and sorts and changes the number automatically or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if a problem of the original numbers 5, 1, 30, and 6 is inserted in the corresponding order, the corresponding numbers may be changed to 1,2,3,4.

또한, 동영상 자료를 문서의 끝에 삽입하고 싶으면 원하는 동영상자료를 클릭, 이동선택하여 현재의 편집창에 삽입시킬 수 있다. Also, if you want to insert the video data at the end of the document, you can click and move the video data you want to insert into the current edit window.

만약, 편집이 완료되고(S18), 사용자(2)가 편집이 완료된 강의자료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S19), 웹 서버(20)는 저장이 선택된 강의자료를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30)에 저장시킨다(S20).If the editing is completed (S18) and the user 2 selects to save the edited lecture data (S19), the web server 20 stores the selected lecture data in the personal lecture storage box 30. (S20).

이와 같이, 사용자(2)는 자료를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강의안에 가까운 강 의자료를 찾고, 이 강의자료에 원하는 내용을 직접 입력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직접 삭제할 수도 있고, 타 강의자료 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삽입함으로써, 자신만의 강의자료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 2 searches for materials to find lecture materials that are close to his or her desired lecture, directly inputs desired contents or deletes unnecessary portions, or selects desired portions of other lecture materials. By inserting it, you can easily create your own lecture material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강의자료를 편집, 저장할 뿐 아니라, 편집된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를 강의 자료와 연계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강의 자료 활용 방법은 예컨대, 강의 자료가 강의자의 조작에 의해 전개되는 동영상 또는 플래시 영상인 경우 이의 조작 방법에 대한 설명 자료가 될 수 있고,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는 강의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강의를 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기타 자료를 의미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diting and storing the desired lecture data,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lecture data, and additional content reference materials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lecture data. Here, the lecture data utilization method may be, for example, when the lecture data is a moving image or a flash image developed by the lecturer's manipulation, and may be an explanatory material on how to operate the lecture data. Means other material for referenc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의자료의 활용 방법 등에 관한 자료의 표시를 선택하면(S50), 웹서버는 편집된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 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에 관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한다(S51). 예를 들어, 편집된 강의자료에 포함된 자료들 중에 문제자료의 경우, 강의자료 활용방법에 관한 자료로서, 문제 풀이 과정, 해답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표의 경우 도표의 설명방법, 파워포인트나 플래시 영상 자료의 경우 해당 자료의 툴을 조작하는 방법 및 관련 내용, 강의에 필요한 부가적인 내용 참고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 of data on the method of using the lecture data (S50), the web server displays data on the method of using the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lecture data, and additional contents reference materials. Display the data on the screen (S51). For example, among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edited lecture materials, the problem data, which is the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can provid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solution, etc. In the case of flash image data,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operate the tool, related contents, and additional reference materials for lectures.

이때, 이러한 강의방법과 툴 조작방법, 내용 참고 자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된 강의자료와 동일한 문서창 또는 별도의 문서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쇄를 선택하면(S52), 이러한 강의자료 활용방법에 관한 자료를 강의 자료와 함께 출력할 수 있으며(S53), 강의자는 이러한 강의 자료 활용방법에 관한 자료를 참고하여 강의를 하게 된다. In this case, such a lecture method, a tool operation method, and content reference data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document window or a separate document window as the lecture data edited by the user's selection. In addition, if print is selected (S52),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may be output along with the lecture data (S53), and the lecturer will give a lecture by referring to the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강의 자료의 편집을 드래그 및 드롭 방식이 아닌, 각각의 강의자료의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편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문제, 교과서 지문, 도표, 동영상 자료 등에는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함께 표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강의자료로 만들고자 하는 자료의 식별정보가 각각 1-2-30594번, 1-2-78930번인 경우 이를 문서창에 입력하거나 또는 각각의 번호를 선택하여 문서창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or sel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lecture material, instead of dragging and dropping the editing of the lecture material may be edited. For example, each problem, textbook fingerprint, chart, video material, etc. are identified with identifying information, and the user needs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hat they want to make into lecture data 1-2-30594. For example, if the number is 1-2-78930, you can enter it in the document window or select each number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document window.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가 인터넷(3)을 통해 본 발명의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에 접속하여 회원로그인을 완료하면(S21), 웹 서버(20)는 회원메뉴창을 표시한다(S22). 회원메뉴창에는 다양한 제공 서비스에 관한 항목들이 표시되며, 사용자(2)가 이 중에서 강의자료 제작기능을 선택하면(S23), 웹 서버(20)는 편집 가능한 문서창을 제공한다(S24).As shown in FIG. 4A, when the user 2 accesses the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the Internet 3 and completes the member login (S21), the web server 20 displays the member menu. The window is displayed (S22). In the member menu window, items related to various services are displayed, and when the user 2 selects a lecture material production function among them (S23), the web server 20 provides an editable document window (S24).

사용자(2)가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강의자료 검색을 요청한 경우(S25), 자료검색부(21)에서는 요청한 자료를 검색하고(S26), 검색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2)가 검색된 강의자료를 현재 편집 중인 문서창에 추가하기를 원 하는 경우, 검색된 강의자료에서 추가를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추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2)로부터 검색된 자료의 추가명령이 입력되면(S27), 자료편집부(23)는 사용자(2)가 현재 편집중인 문서창의 선택된 영역에 해당 강의자료를 삽입한다(S28).When the user 2 requests a search for lecture data by inputting a desired search word (S25), the data search unit 21 searches for the requested data (S26), and displays the searched result on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user 2 wants to add the searched lecture data to the document window currently being edited, the user 2 may select and add a desired part of the searched lecture data. As such, when an instruction for adding data retrieved from the user 2 is input (S27), the data editing unit 23 inserts the corresponding lecture data into the selected area of the document window currently being edited by the user 2 (S28).

만약, 사용자(2)가 직접 편집을 원하는 경우(S29), 사용자(2)로부터 입력된 내용에 따라 강의자료를 제작할 수도 있다(S30).If the user 2 wants to directly edit (S29), the lecture data may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contents input from the user 2 (S30).

이러한 자료의 추가 및 직접 편집 과정은 편집이 완료될 때까지 수행되며, 편집이 완료되고(S31), 사용자(2)가 편집이 완료된 강의자료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S32), 웹 서버(20)는 저장이 선택된 강의자료를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30)에 저장시킨다(S33).The process of adding and direct editing of such materials is performed until the editing is completed (S31), and when the user (2) selects to save the edited lecture materials (S32), the web server 20 The store saves the selected lecture data in the individual lecture data storage box 30 (S33).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강의자료를 편집, 저장할 뿐 아니라, 편집된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를 강의 자료와 연계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S34~37). S34~S37의 설명은 전술한 도 3b의 S50~S53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esired lecture data can be edited and stored, but also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lecture data and additional contents reference materials are separately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lecture data. Can be (S34 ~ 37). The description of S34 to S37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S50 to S53 in FIG. 3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기존의 기본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가감하는 방식이 아닌, 처음부터 강의자료 편집기능을 선택하여 원하는 강의자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강의자료를 제작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 method of adding a desired lecture material by selecting a lecture data editing function from the beginning rather than searching and adding existing basic lecture materials. You can also produce lecture materi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을 이용하여 제작한 강의자료를 강의실에서 활용하는 강의시스템 및 강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ecture system and a lecture method using lecture data produced using the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ecture room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의 개 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은 판서를 위한 칠판(40), 인터넷(3)을 통해 본 발명의 강의제작시스템(1)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50), 및 컴퓨터로 전송된 강의자료가 표시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를 포함한다.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is transmitted to a blackboard 50 for writing, a computer 50 accessible to the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the Internet 3, and a comput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60 on which the lecture data is displayed.

강의자는 컴퓨터(5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상의 강의 제작 시스템(1)에 접속 가능하며, 자신이 제작한 시스템의 강의자료 보관함(30)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에 표시된 강의 자료를 이용하고 실시간 학습자의 요구 사항이나 강의자의 상황 판단에 따른 부가적인 강의는 칠판(40) 판서와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영상 장치의 이용과 일방적인 온라인상의 강의 전달이 아닌 학습자와 강의자의 의사 전달이 이루어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이 구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강의자를 위한 별도의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는 강의자가 미리 출력하여 강의에 사용할 수 있다. The lecturer can access the lecture production system 1 on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mputer 50, and downloads the lecture data stored in the lecture data storage box 30 of the system he / she created, and then display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Can be marked on. By using the lecture data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and additional lecture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real-time learner or the situation of the lecturer, the class i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writing of the blackboard 40. Therefore, the online and 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is implemented, which enables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lecturers, rather than the effective use of visual devices and unilateral online lecture delivery.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data on additional lecture data utilization methods for the lecturer and additional content reference materials may be previously output by the lecturer and used in the lecture.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는 강의실의 칠판(40)의 전면에서 사용자(2)의 선택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칠판(4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좌우 이동은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사용자(2)가 수동으로 끌고 밀거나,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영상장치와 강의자가 항상 가까이 위치하여 강사의 동선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강의자가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나는 내용을 가까이에서 설명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와 컴퓨터(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컴퓨터(50)와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 간의 케이블 선은 칠판(40) 뒤쪽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 선이 자동으로 감기고 풀리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선이 풀리는 것은 당김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지만, 감기는 것은 별도의 감김 조정장치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lackboard 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mov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front of the blackboard 40 in the classroom.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may be manually dragged and pushed by the user in a sliding manner, or may be taught by moving to a desired position using an adjusting device. Since the video device and the lecturer are always close to each other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instructor, the lecturer can explain what appears on the video display device up close.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and the computer 50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o transmit image data.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the cable line between the computer 50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may be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blackboard 40, and the cable line may be automatically wound and unwound a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moves. Can be. In this case, the cable wire is released automatically as the pull is pulled, but the winding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separate winding adjusting devic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의 뒤에는 칠판(40)이 위치하며, 강의자는 칠판(40)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을 판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ehind the image display device 60, the blackboard 40 is located, the lecturer can write the desired content using the blackboard (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서의 강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aching method in an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강의자가 강의실에 마련된 컴퓨터(50)를 통해 인터넷(3)을 통해 본 발명의 인터넷 강의자료 제작시스템(1)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을 완료하면(S40), 웹 서버(20)는 회원메뉴창을 표시한다(S41). 회원메뉴창에는 다양한 제공 서비스에 관한 항목들이 표시되며, 강의자가 자신의 강의자료 보관함(30)을 선택하면(S42), 웹 서버(20)는 강의자료 보관함(30)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리스트로 표시한다(S43).When the lecturer completes the member login by accessing the Internet lecture material produc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ternet 3 through the computer 50 provided in the classroom (S40), the web server 20 opens the member menu window. (S41). In the member menu window, items related to various services are displayed, and when the lecturer selects his lecture library (S42) (S42), the web server 20 lists the lecture materials stored in the lecture library (30). It is displayed (S43).

강의자가 원하는 강의자료를 선택하면(S44), 웹 서버(20)는 해당 강의자료를 강의실의 컴퓨터(50)로 전송하고, 컴퓨터(50)로 전송된 강의자료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에 표시된다(S45). 강의자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60)에 표시된 자신이 제작한 강의자료를 보면서 강의를 진행하게 된다.When the lecturer selects the desired lecture data (S44), the web server 20 transmits the lecture data to the computer 50 of the classroom, and the lecture data transmitted to the computer 50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S45). The lecturer proceeds with the lecture while watching the lecture material produced by the lecturer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60.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강의 목적과 의도에 적합하게 강의자료를 원하는 대로 간단하게 편집 및 제작할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이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lecture materials and an online-offline lecture system on the Internet, in which a user can easily edit and produce lecture materials as desired in accordance with his lecture purpose and intention onlin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실에 설치된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강의 자료를 이용하고 실시간 학습자의 요구 사항이나 강의자의 상황 판단에 따른 부가적인 강의는 칠판 판서와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영상 장치의 이용과 일방적인 온라인상의 강의 전달이 아닌 학습자와 강의자의 의사 전달이 이루어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이 구현된다. 또한 영상장치가 칠판 전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강의자가 인테넷을 이용하여 이용하는 영상자료와 항상 밀접하게 위치하므로 강의 진행 중 동선을 줄여 영상장치와 칠판 판서가 일체되는 강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data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stalled in the lecture room is used, and additional lecture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real-time learner or the situation of the lecturer ar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blackboard writing. Therefore, the online and 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is implemented, which enables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lecturers, rather than the effective use of visual devices and unilateral online lecture delivery. In addition, since the video device can be moved in front of the blackboard, the lecturer is always closely located with the video material using the internet, so that the lecturer can integrate the video device and the blackboard writing by reducing the moving line during the course.

또한, 편집한 강의자료에 대응하는 강의자료 활용 방법에 관한 자료,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강의 준비와 강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강의 시스템이 제공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data on how to use the le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lecture materials, and additional contents reference materials, the lecture data production method and lecture system on the Internet can be provided to help the lecture preparation and lecture smoothly. .

Claims (7)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Processing authentication of a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기본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편집 가능한 문서창으로 표시하는 단계;Retrieving the basic lecture data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edited document window;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강의자료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기본 강의자료를 편집하는 단계;Editing the basic lecture data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when an editing command of the searched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창에 상기 타 강의자료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추가하여 편집하는 단계; 및If another instruction for adding lecture data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dding the other lecture data to an area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ocument window and editing the text; And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의 저장이 선택되면, 사용자별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If the storage of the edited lecture data is selected, the lecture data production method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in the lecture data storage box for each user.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Processing authentication of a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강의자료의 제작기능이 선택되면 편집 가능한 문서창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editable document window when a production function of lecture material is selected from a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강의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Retrieving and displaying lecture material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강의자료의 추가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가 선택한 상기 문서창의 일 영역에 상기 강의자료를 추가하여 편집하는 단계; 및If the instruction to add the searched lecture data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dding and editing the lecture data in an area of the document window selected by the user; And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의 저장이 선택되면, 사용자별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If the storage of the edited lecture data is selected, the lecture data production method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in the lecture data storage box for each us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는 상기 강의자료의 활용방법 및 부가적인 내용 참고 자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Method of using the lecture material is edited by the user and the method of producing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inform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사용자가 강의실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강의자료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 selected lecture data to an image display of the computer system when a user selects lecture data stored in the lecture library by accessing the Internet from a computer system in a classroom; And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강의자료를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The lecture data production method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using the lecture data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강의자료는 교과 자료, 문제 자료, 전자칠판 강의 자료, 동영상 강의 자료, 및 전자 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The lecture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urse material, a problem material, an electronic blackboard lecture material, a video lecture material, and an electronic book; 상기 강의자료의 유형은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플래시영상, 3D영상, 동영상, 참고 웹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The type of lecture material is a lecture material production method on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ext, pictures, photos, voice, flash image, 3D video, video, reference web link.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다양한 포맷의 학습자료에 관한 DB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A database server storing a DB for learning materials in various formats;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강의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색하여 편집 가능한 문서창으로 제공하는 자료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강의자료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편집명령에 따라 상기 강의자료를 편집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 강의자료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창에 상기 타 강의자료를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삽입 편집하는 자료편집부를 갖는 웹 서버; 및A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lecture data requested from a user terminal from the database server and providing the editable document window; When the edit command of the retrieved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lecture data is edi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input editing command. When the additional instruction of other lecture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other lecture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window. A web server having a data editing unit for inserting and editing data into an area selected by a user; And 사용자별 상기 편집된 강의자료가 저장된 개인별 강의자료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Online-offline grafting lectu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brary of individual lectures where the edited lecture data for each user is stor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강의실에 설치되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강의자료 보관함에 저장된 강의자료를 상기 웹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컴퓨터; 및 A computer installed in a lecture room and accessible to the web server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ceiving and providing lecture data stored in the lecture data storage box requested by a user to the web server; And 상기 강의실의 칠판의 전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칠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공된 강의자료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접목 강의 시스템. Online-off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blackboard to move left and right from the front of the blackboard of the lecture room,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display the provided lecture material as an image Graft lecture system.
KR1020070065971A 2007-07-02 2007-07-02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KR200900025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71A KR20090002546A (en) 2007-07-02 2007-07-02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71A KR20090002546A (en) 2007-07-02 2007-07-02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46A true KR20090002546A (en) 2009-01-09

Family

ID=4048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971A KR20090002546A (en) 2007-07-02 2007-07-02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4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715B1 (en) * 2012-09-07 2013-11-20 (주)천재교육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KR101533760B1 (en) * 2014-08-11 2015-07-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KR20160067449A (en) 2014-12-04 2016-06-14 정복문 Method for real-time sharing online contents based on websocket server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to perform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715B1 (en) * 2012-09-07 2013-11-20 (주)천재교육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KR101533760B1 (en) * 2014-08-11 2015-07-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KR20160067449A (en) 2014-12-04 2016-06-14 정복문 Method for real-time sharing online contents based on websocket server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to perform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0738A1 (en) Methods and related systems for accessing information
US201401205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elivering, Using, and Leverag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US20130031208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CN111279404B (en) Language fluent system
US10955999B2 (en) Controlled content presentation of objects on a canvas in a browser according to a grid
US8244697B2 (en) Versioning system for electronic textbooks
Alksne How to produce video lectures to engage students and deliver the maximum amount of information
Moorefield-Lang Accessibility in online course design
US84238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analysis
KR201300570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s
KR20090002546A (en) Method for making the lecture data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integrating system thereof
Notess Screencasting for libraries
Ostashewski et al. The iPad in the classroom: Three implementation cases highlighting pedagogical activities, integration issue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Liu et al. Metis: A multi-faceted hybrid book learning platform
KR20170073197A (en) Next E-learning High Definition Video Lecture System and How it works
US20030229606A1 (en) Network-aided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Mozharovska Use of Electronic Resources and Web Service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Rachman Students' Problems And Experience On Prezi
JP2003140539A (en) Network aid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Wolff Useful iPad tools for the EFL teacher
KR20060108970A (en) System for video lecture coupled with lecture scenario and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thereof
Bibi et al. A platform for delivering multimedia presentations on cultural heritage
KR101573835B1 (en) Group unit master-slave type E-book control method and system
Bains et al. Using Macromedia Flash to create online information skills materials at Edinburgh University Library
Davis The Metamorphosed Text: A Multimedia Approach to Theodor Fontane's" Mathilde Möhring" in Text an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