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62A -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 Google Patents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62A
KR20190008062A KR1020177031787A KR20177031787A KR20190008062A KR 20190008062 A KR20190008062 A KR 20190008062A KR 1020177031787 A KR1020177031787 A KR 1020177031787A KR 20177031787 A KR20177031787 A KR 20177031787A KR 20190008062 A KR20190008062 A KR 2019000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rhss
product
hot rolled
high strength
strength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015B1 (ko
Inventor
라오 친타 아파
무케르지 모니디파
파딱 프라샨트
찬다 타파스
미쉬라 지아나란잔
Original Assignee
타타 스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타 스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타 스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hot-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조성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을 가진 강 슬라브를 주조하는 단계, 강 슬라브를 850 - 900℃의 마무리 압연 온도 (FRT)에서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열간 압연 스트립을 그것이 380 - 400℃에 도달할 때까지 런 아웃 테이블 (ROT) 상에서 40℃/초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및 열간 압연 스트립을 권취한 다음에 실온으로 공기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본 발명은 열간 압연 초고강도 강철(ultra-high strength steel)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 구조용 적용, 방위 장비 적용, 리프팅(lifting) 및 굴착 장비 적용에 적응할 수 있는 열간 압연 초고강도 강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연료 소비 및 그에 따른 배출은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경량의 환경 친화적 차량 설계가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하다. 성공적인 경량 자동차는 고급(advanced) 고강도 및 초고강도 강철 (UHSS) 시트를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UHSS 시트는, 그의 저조한 성형성 때문에, 다종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쉽게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UHSS 시트에 요구되는 연성 및 성형성은 점점 더 큰 노력을 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시나리오를 해결하는 것은 또한 자동차 부품, 예컨대 하부 현가 장치(lower suspension), 롱 및 크로스(long and cross) 부재(member) 및 범퍼에 대한 우수한 균일 연신율 및 전체 연신율(total elongation)과 결부된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진 열간 압연 강판(steel sheet)의 개발을 필요로 해왔다.
이러한 강철은 많은 연구원에 의해 제조되어 왔으며, 여기서 강화(strengthening)의 주된 부분이 나노-구조화된 베이나이트계 페라이트(bainitic ferrite) 시브(sheave) ('나노-베이나이트계 강철(nano-bainitic steel)'로 널리 공지됨) (Bhadeshia, MSE -A, Volume 481 - 482, pp. 36 - 39, 2008; F. G. Caballero, H. K. D. H. Bhadeshia, K. J. A. Mawella, D. G. Jones and P. Brown, MST, Volume 18, pp. 279 - 284, 2002; C. Garcia-Mateo, F. G. Caballero and H. K. D. Bhadeshia, ISIJ International, Volume 43, pp. 1238 - 1243, 2003)로 인한 것이었다. 비록 이들이 임의의 벌크 재료에서 지금까지 달성된 가장 높은 강도를 초래하긴 하였지만, 압연 시트를 권취(coiling)하는 동안에 의무적인 저온에서의 보다 느린 속도(kinetics)로 인해 강판을 제조하는 데 약 1주가 소요된다. 상업적 생산을 위한 권취 동안에 이러한 장기간은 실행 가능하지 않다. 두 번째 우려는 2260 MPa의 강도 범위에서 약 7%인 제한된 전체 연신율이다. 이 제한된 연신율은 성형성이 중요한 측면인 보다 넓은 적용 분야에서 강철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또 다른 문제는 강철 중의 탄소의 양이 Ni 및 Co와 함께 0.8 - 1.0 중량%의 범위에 전형적으로 있는 합금 조성과 관련이 있다. 높은 함유량의 탄소는 강철의 용접성을 감소시키고 높은 함유량의 합금화(alloying) 첨가물은 강철을 고가가 되게 한다.
또 다른 군의 연구자들 (F. G. Caballero, M. J. Santofima, C. Capdevila, C. G. Mateo and C. G. De Andres, ISIJ International, Volume 46, pp. 1479 -1488, 2006; F. G. Caballero, M. J. Santofima, C. Carcia Mateo, J. Chao and C. Garcia de Andres, Materials and Design, Volume 30, pp 2077 - 2083, 2009)은 그 이후로 양호한 용접성 및 전체 연신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C의 양을 감소 처리하면서 연구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연속 생산 라인을 통해 이러한 강철의 생산에 고려되지 않았으며, 또한 강철은 그의 생산에서 Ni 및 Mo과 같은 고가의 합금화 첨가물을 많은 양으로 함유한다.
현재 자동차 제조업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의 연구 (US 2014/0102600 A1 참조)는 높은 강도 및 연성 조합을 수득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최소 1200 MPa의 인장 강도와 20%의 전체 연신율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 그러나, 이는 높은 함유량의 탄소 (> 0.3 중량%) 및 규소 (> 1.5 중량%)를 갖는다. 많은 양의 탄소는 용접성을 감소시키고 높은 함유량의 규소는 열간 압연 강판의 공정 동안에 표면 스케일(surface scale)을 유발한다. 이들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발명의 목적
선행 기술에 내재된 전술한 한계를 고려하여, 상업적 생산이 실행 가능한,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제품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성이 양호하고 제품 상에 스케일 심각도가 덜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제품의 전체 연신율 ≥ 16%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제품의 인장 강도 ≥ 1000 MPa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성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을 가진 강 슬라브(steel slab)를 주조하는 단계, 강 슬라브를 850 - 900℃의 마무리 압연 온도(finish rolling temperature) (FRT)에서 스트립(strip)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열간 압연 스트립(strip)을 그것이 380 - 400℃에 도달할 때까지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 (ROT) 상에서 40℃/초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및 열간 압연 스트립을 권취한 다음에 실온으로 공기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의 조성, 인장 강도 1000 - 1200 MPa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새로 개발된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다양한 단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새로 개발된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인장 응력 - 변형 플롯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새로 개발된 HRHSS 제품의 광학 미세 구조 (나이탈(Nital) 에칭됨)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새로 개발된 HRHSS 제품의 광학 미세 구조 (르 페라(Le pera) 에칭됨)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저배율: 5000 X 및 고배율: 25000X에서 주사 전자 현미경법 (SEM)을 사용하여 고배율로 촬영된 새로 개발된 HRHSS 제품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부피 기준으로 약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ostenite)를 함유하는 새로 개발된 HRHSS 제품의 XRD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베이나이트의 얇은 시브를 나타내는 새로 개발된 HRHSS 제품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는 조성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을 가진 강 슬라브를 주조하는 단계; 강 슬라브를 850 - 900℃의 마무리 압연 온도 (FRT)에서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열간 압연 스트립을 그것이 380 - 400℃에 도달할 때까지 런 아웃 테이블 (ROT) 상에서 40℃/초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및 열간 압연 스트립을 권취한 다음에 실온으로 공기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의 조성, 인장 강도 1000 - 1200 MPa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에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100)의 다양한 단계를 나타냈다.
단계 (104)에서, 강 슬라브를 주조한다. 강 슬라브의 조성 및 바람직한 조성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pct00001
C: (0.18 - 0.22 중량%) 원하는 강도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적당한 양의 탄소가 필요하다. 탄소는 또한 향상된 연성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강도 및 연성 둘 다가 최대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탄소 함량을 바람직하게는 0.22%로 유지한다. 또한 이 범위의 탄소에서, 강철의 용접성이 양호하다.
Mn: (1.0 - 2.0 중량%) 망간은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최적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수득하는 데 필요하다. Mn의 양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8% 이상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2.0%를 초과하는 과량은 주물 균열과 같은 역 효과를 일으키므로 Mn은 바람직하게는 1.48 중량%로 제어한다.
Si: (0.8 - 1.2 중량%) 규소는 페라이트 안정제이다. 이는 또한 등온 유지 동안에 탄화물 석출(precipitation)을 제한하여 더 많은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결과한다. 그러나, Si의 첨가는 압연 동안에 표면 스케일 문제를 야기하므로 언급된 범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로 제한하여야 한다.
Al: (0.01 - 0.15 중량%) 알루미늄은 Si보다 훨씬 강한 정도로 첨가되는 데, 그 이유는 그것이 페라이트 안정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Al은 베이나이트 변태 단계 동안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탄소의 석출을 억제하며, 이는 더 많은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결과한다. Si와 달리, Al은 아연 도금 능력(galvanisability)에 어떤 해로운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양의 Al은 주조 동안에 문제를 결과하므로 Al의 양은 0.14%로 유지하여야 한다. 더욱이, 용접된 영역에서 Al-산화물의 존재로 인해 용접성이 악화될 수 있다.
P: (최대 0.025 중량%) 인 함량은 최대 0.025%로, 바람직하게는 0.02%로 제한하여야 한다.
S: (최대 0.008 중량%) S-함량은 제한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성형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높은 함유 수준을 결과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황은 <0.004 중량%로 유지한다.
N: (최대 0.005 중량%) N 함량은 최대 0.005 중량%까지로 제한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성형성에 유해한 너무 많은 AlN 및/또는 TiN 석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질소는 0.005 중량%로 유지한다.
Nb: (0.02 - 0.035 중량%) 니오븀은 결정립 미세화(grain refinement)에 의해 강철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한다. 이는 또한 최종 미세 조직에 잔류하는 오스테나이트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용 증가 또는 추가 가공의 곤란함 (예를 들어 압연 하중(rolling force))을 방지하기 위해 니오븀을 0.035 중량%로 유지한다.
Mo: (0.08 - 0.12 중량%) 몰리브데넘은 다각형 페라이트의 형성 및 펄라이트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한다. Mo은 또한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Mo의 과도한 첨가는 강철 가공의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이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로 제한한다.
Cr: (0.8 - 1.2 중량%) 크로뮴은, Mo과 유사하게, 다각형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형성을 방지한다. 이는 UHSS 강철에서 경제적인 합금화 원소 첨가물이다. 그러나, Cr의 과도한 첨가는 Cr의 복합 탄화물을 형성할 것이므로, 크로뮴은 바람직하게는 0.95 중량%로 유지한다.
열간 압연되기 전인 강 슬라브는 약 1250℃의 온도에서 소킹(soaking)한다. 강철을 그의 매스(mass) 전체에 걸쳐 균질 구조 및 조성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한다. 소킹 시간은 공작물의 두께 및 강철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단면이 크면 클수록 더 높은 온도 및 더 긴 소킹 시간이 필요하다.
단계 (108)에서, 강 슬라브는 850 - 900℃의 마무리 압연 온도 (FRT)에서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한다. 온도는 페라이트 변태 시작 온도 초과이다.
단계 (112)에서, 열간 압연 스트립은 그것이 380 - 400℃에 도달할 때까지 런 아웃 테이블 (ROT) 상에서 40℃/초 이상으로 냉각한다. 이는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와 같은 확산 상 변태 생성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116)에서, 열간 압연 스트립은 권취하고 실온에서 공기 냉각한다. 이 단계는 베이나이트 변태 동안에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로 변태할 수 있게 하며 탄소는 인접한 오스테나이트 상에 대해 거부된다. 농축된(enriched) 오스테나이트는 실온에서 안정적이 된다.
다음은 수득된 HRHSS 제품의 특성이다:
항복 응력 = 600 - 650 MPa
인장 강도 = 1000 - 1200 MPa
전체 연신율 = 16 - 17% (균일 연신율 ≥ 9%과 함께)
변형 경화 지수(Strain hardening exponent) ("n") = 0.15 - 0.16
수득된 HRHSS 제품은 베이나이트계 페라이트를 주된 상으로 갖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제2 상으로 갖는다. 일부 양의 불가피한 마텐자이트(martensite)가 강철에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간 압연 강판의 미세 구조 특성은 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베이나이트계 페라이트 [75-80 부피%]: 미세 구조에 존재하는 베이나이트계 페라이트는 본질적으로 전위 밀도가 높은 탄화물 또는 탄화물 미함유(free) 베이나이트와 함께이다. 그것은 라스 형태(lath morphology)를 갖는다. 전위 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강도는 더 높아지지만 동시에 연성이 감소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 [15-20 부피%]: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개발된 HRHSS 제품의 미세 구조의 가장 중요한 구성 성분이다. 변형시,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마텐자이트로 변태되어, 변형 경화 지수를 계속적으로 증가시켜 네킹(necking)의 발생을 지연시키고 향상된 연성을 보장한다 (TRIP 효과). 효과적인 TRIP를 위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어야한다. 그러나 매우 높은 부피 분율은 국부 변형성(local deformability)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20% 이하로 유지한다.
마텐자이트: <5% (0 부피% 포함): 제조된 HRHSS 제품은 제조 공정 (100) 동안에 남아있을 수 있는, 일부 마텐자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HRHSS 제품은 200 nm 미만의 두께를 가진 베이나이트 시브(bainitic sheave)를 보유한다. 강철의 강도는 베이나이트 시브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두께가 작으면 작을수록 강도가 더 높아진다.
실시예 :
HRHSS 제품의 상기 언급된 제조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25 kg의 강 슬라브를 가공을 위해 제조하였다. 그의 조성은 표 1 (바람직한 조성물)에 제시되어 있다. 후속적으로, 강 슬라브를 25 mm 두께로 단조하였고 개방 분위기에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그 다음에 강철을 압연 전 30분 동안 1250℃에서 소킹하였다. 오스테나이트 범위 내에서 압연의 완료를 보장하기 위해, 마무리 압연 온도는 8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압연하는 동안에, 스트립의 두께는 2회 패스(pass) 후 4 내지 6 mm로 감소되었다. 그 다음에, 압연된 시트를 초당 40℃로 냉각하고 1시간 동안 380 - 400℃의 온도에서 유지된 염욕에서 유지한 다음에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권취 공정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샘플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샘플을 상이한 특성화 실험 (미세 구조 및 기계적)을 위해 절단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어떤 추가적 열 처리 또는 공정도 수행하지 않았다.
광학 (둘 다 나이탈 및 르 페라 에칭됨) 및 SEM 미세 구조를 도 3, 4, 5 a 5 b 에 제시하였고 이는 베이나이트계 페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텐자이트로 이루어진다. 50 mm 게이지(gauge) 길이를 가진 인장 시험 샘플을 ASTM E8 표준에 따라 절단하였다. 통상적인 인장 시험 플롯을 도 2에 제시하였다. 새로 개발된 강철의 기계적 특성을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2
새로 개발된 강철은 최소 1100 MPa의 인장 강도, 9%의 균일 연신율 및 최소 16%의 전체 연신율을 갖는다는 것이 도면 및 표로부터 분명하다. 새로 개발된 강철은 또한 높은 변형 경화 계수 즉, 0.15를 갖는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 분율 및 격자 파라미터는 비.디. 컬러티(B.D. Cullity), 1978, 디. 제이. 다이슨(D.J. Dyson) 및 비. 홈스(B. Holmes), 1970에 의해 기재된 방법에 의해 X-선 회절 (XRD) 데이터로부터 계산하였다. 게이지로부터 (시험 완료 후) 인장 시험 샘플로부터 샘플을 절단하였고 그립(grip)은 XRD 분석을 위한 것이다. XRD 플롯을 도 6에 나타냈다. 피크 (111), (200), (220) 및 (311)를 가진 곡선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존재를 나타내며, 이를 정량화하였다. 피크 (110), (200) 및 (211)를 가진 곡선은 베이나이트 페라이트의 존재를 나타낸다.
정량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3
새로 개발된 강철 중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20 부피% 만큼 높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베이나이트 시브의 두께가 200 nm 미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높은 배율의 투과 전자 현미경법 이미지를 도 7a7b에 나타냈다.
이점:
HRHSS의 생산은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제품은 용접성이 양호하고 스케일 심각도가 덜하다. 수득된 제품의 전체 연신율은 ≥ 15%이다. 제품의 인장 강도는 ≥ 1000 MPa이다.

Claims (18)

  1. 조성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을 가진 강 슬라브를 주조하는 단계;
    강 슬라브를 850 - 900℃의 마무리 압연 온도 (FRT)에서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열간 압연 스트립을 그것이 380 - 400℃에 도달할 때까지 런 아웃 테이블 (ROT) 상에서 40℃/초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및
    열간 압연 스트립을 권취한 다음에 실온으로 공기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조성이 C: 0.22, Mn: 1.48, Si: 1.0, Cr: 0.95, S: <0.004, P: 0.02, Al: 0.14, N: 0.005, Nb: 0.035, Mo: 0.1,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항복 응력이 600 - 650 MPa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인장 강도가 1000 - 1200 MPa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전체 연신율이 16 - 17%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균일 연신율이 ≥ 9%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변형 경화 지수 ("n")가 0.15 - 0.16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미세 구조가 부피 기준으로 15 -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미세 구조가 부피 기준으로 < 5%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이 200 nm 미만의 두께를 가진 베이나이트 시브를 보유하는 것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의 제조 방법.
  11. C: 0.18 - 0.22, Mn: 1.0 - 2.0, Si: 0.8 - 1.2, Cr: 0.8 - 1.2, S: 최대 0.008, P: 최대 0.025, Al: 0.01 - 0.15, N: 최대 0.005, Nb: 0.02 - 0.035, Mo: 0.08 - 0.12,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 인장 강도 1000 - 1200 MPa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의 조성
    을 포함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조성이
    C: 0.22, Mn: 1.48, Si: 1.0, Cr: 0.95, S: <0.004, P: 0.02, Al: 0.14, N: 0.005, Nb: 0.035, Mo: 0.1, 나머지 철 (Fe) 및 부수적인 성분 (모두 중량%)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항복 응력이 600 - 650 MPa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균일 연신율이 ≥ 9%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5.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변형 경화 지수 ("n")가 0.15 - 0.16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6.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미세 구조가 15 -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7. 제11항에 있어서, 제품의 미세 구조가 부피 기준으로 < 5%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18. 제11항에 있어서, 200 nm 미만의 두께를 가진 베이나이트 시브를 보유하는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KR1020177031787A 2016-03-30 2017-01-23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KR102630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631011120 2016-03-30
IN201631011120 2016-03-30
PCT/IN2017/000015 WO2017168436A1 (en) 2016-03-30 2017-01-23 A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HRHSS) PRODUCT WITH TENSILE STRENGTH OF 1000 -1200 MPa AND TOTAL ELONGATION OF 1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62A true KR20190008062A (ko) 2019-01-23
KR102630015B1 KR102630015B1 (ko) 2024-01-26

Family

ID=5810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87A KR102630015B1 (ko) 2016-03-30 2017-01-23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6184B2 (ko)
EP (1) EP3436613B1 (ko)
JP (1) JP6692429B2 (ko)
KR (1) KR102630015B1 (ko)
WO (1) WO2017168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498B1 (ko) 2017-03-10 2022-08-26 타타 스틸 리미티드 초고강도 최소 1100 MPa 및 우수한 연신율 21%을 갖는 열간압연강 물품
WO2020203943A1 (ja) * 2019-04-04 2020-10-08 日本製鉄株式会社 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23097A (ko) * 2021-08-09 2023-02-17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480A (ko) * 2003-09-05 2006-06-2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51200A (ja) * 2011-06-02 2012-12-2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20140026628A (ko) * 2011-07-29 2014-03-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고강도 아연 도금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8158B2 (en) * 2004-03-10 2007-10-30 Algoma Steel Inc. Manufacturing process for producing high strength steel product with improved formability
CA2460399A1 (en) * 2004-03-10 2005-09-10 Algoma Steel Inc. High strength steel product with improved formability and steel manufacturing process
JP4445365B2 (ja) * 2004-10-06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伸びと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4716359B2 (ja) * 2005-03-30 2011-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均一伸び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720702C (en) * 2008-04-10 2014-08-12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very good balance between hole expansibility and ductility, and also excellent in fatigue resistanc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teel sheets
MX2012004650A (es) 2010-01-13 2012-05-08 Nippon Steel Corp Lamina de acero de alta traccion, superior en capacidad de conformacion y metodo de manufactura de la misma.
US20130167983A1 (en) * 2010-09-09 2013-07-04 Tata Steel Uk Limited Super bainite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BR112013026185A2 (pt) * 2011-04-13 2016-12-2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folha de aço laminada à quente para nitrocarbonetação gasosa e processo para fabricação da mesma
EP2714947B1 (en) 2011-05-30 2017-07-19 Tata Steel Limited Bainitic steel of high strength and high elongation and method to manufacture said bainitic steel
WO2012169638A1 (ja) * 2011-06-10 2012-1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プレス成形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用薄鋼板
TWI468534B (zh) 2012-02-08 2015-01-1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高強度冷軋鋼板及其製造方法
EP2837707B1 (en) * 2012-04-10 2018-06-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Impact absorb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3014527B (zh) * 2012-11-29 2014-09-10 燕山大学 含铝低温贝氏体钢的制备方法
US9187811B2 (en) * 2013-03-11 2015-11-17 Tenaris Connections Limited Low-carbon chromium steel having reduced vanadium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20160076124A1 (en) * 2013-04-15 2016-03-17 Jfe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s amended)
RU2628184C1 (ru) 2013-09-10 2017-08-15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бе Сейко Се (Кобе Стил,Лтд.) Горячештампованная толстолистовая сталь, формованное штамповкой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штамповкой изделия
JP5967311B2 (ja) * 2014-02-27 2016-08-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29162B1 (de) * 2014-12-01 2018-04-25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m Wärmebehandeln eines Mangan-Stahlprodukts
JP6252692B2 (ja) * 2015-07-27 2017-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480A (ko) * 2003-09-05 2006-06-2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51200A (ja) * 2011-06-02 2012-12-2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20140026628A (ko) * 2011-07-29 2014-03-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고강도 아연 도금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15B1 (ko) 2024-01-26
US10876184B2 (en) 2020-12-29
JP2019508572A (ja) 2019-03-28
US20180187283A1 (en) 2018-07-05
EP3436613A1 (en) 2019-02-06
WO2017168436A1 (en) 2017-10-05
JP6692429B2 (ja) 2020-05-13
EP3436613B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1406A (ko) 고강도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3787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22528420A (ja) 高硬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3140A (ko)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과 그의 제법
JP2017201049A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36498B1 (ko) 초고강도 최소 1100 MPa 및 우수한 연신율 21%을 갖는 열간압연강 물품
KR20220147687A (ko)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48071B2 (ja)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0015B1 (ko) 1000-1200 MPa의 인장 강도 및 16%-17%의 전체 연신율을 가진 열간 압연 고강도 강철 (HRHSS) 제품
KR20190142768A (ko) 우수한 연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가진 고강도 강 시트
KR101543860B1 (ko) 내충격 특성 및 엣지부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18600B1 (ko) 충격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476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518599B1 (ko) 방진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03962B1 (ko) 초고성형,고강도소부경화형냉연강판및그제조방법
KR101543838B1 (ko)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50580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12262B1 (ko) 굽힘성과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강판 제조 방법
KR101988760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8763B1 (ko) 성형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24408A (ja) 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SE542818C2 (en) A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complex phase cold rolled steel strip or sheet
KR101560948B1 (ko) 내충격특성 및 엣지부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복합조직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3342683A (ja) プレス成形性と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RU2785760C1 (ru) Холоднокатаная мартенситная стал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ртенситной ста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