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909A -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909A
KR20190007909A KR1020170089564A KR20170089564A KR20190007909A KR 20190007909 A KR20190007909 A KR 20190007909A KR 1020170089564 A KR1020170089564 A KR 1020170089564A KR 20170089564 A KR20170089564 A KR 20170089564A KR 20190007909 A KR20190007909 A KR 2019000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dewatering
sludge
dehydrating
sewag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종
Original Assignee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909A/ko
Publication of KR2019000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6Overpressure, high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탈수하는 탈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수슬러지를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를 포함하는 1차 탈수기로 탈수 하는 (1)과정과; 상기 1차 탈수기에서 탈수된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를 혼합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에서 형성된 슬러지를 필터프레스로 2차로 탈수하는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1차 탈수된 케이크로 생성된 슬러지의 응집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식성이 적은 탈수보조제를 활용하여 탈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최적의 탈수보조제 사용량과 혼합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High Pressure Filter Press De-watering Device of Sewage Sludge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수율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는 하수슬러지 탈수케이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Sludge)란 정수 및 하·폐수처리를 함으로써 수중의 부유물이 액체로부터 분리되어 발생되는 침전물을 말하며 오니(汚泥)라고도 한다.
슬러지는 반고형물로서 이의 처리는 각종 산업 현장 및 한정된 토지면적을 가진 도시에서 고형폐기물과 함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하수관로의 정비와 하수보급율의 증가로 유입하수의 하수량 및 고형물질의 증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와의 병합처리 등으로 인하여 대량으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문제는 환경보전 및 유용자원을 재활용하는 측면에서 종합적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2012년 1월 1일부로 해양환경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됨으로 인해, 기존 해양투기에 의존하고 있던 하수슬러지 처리를 소각 후 소각재를 활용하는 방안, 건조 후 고체연료화, 퇴비화 등으로 재활용하는 다양한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하수슬러지는 2014년 기준으로 3,687,943톤으로 연료화 27%, 소각 22%, 비료화 6%, 매립 19%, 그리고 기타 재활용 26%로 최종 처리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하수슬러지는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에 의해 최종 탈수 처리되고 있어 80wt% 이상의 매우 높은 함수율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함수율로 인한 하수슬러지 발생량 증가는 최종 처리, 처분 시설로의 운송비 상승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건조 및 소각처리, 매립을 위한 고화처리 등에 매우 많은 에너지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80wt% 이상인 높은 함수율의 하수슬러지를 함수율 65wt% 이하의 저 함수율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신규의 탈수장치 및 탈수공정 개발은 최종 발생량을 40% 이상 감소시킴으로서 운송 및 건조, 소각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직매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립의 유효성 및 기타 재활용에 대한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하수슬러지의 함수율 저감과 이에 따른 감량화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8948호 (2005.04.29.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135122호 (2012.04.03. 공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탈수된 케이크로 생성된 슬러지의 응집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식성이 적은 탈수보조제를 활용하여 탈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탈수보조제 사용량과 혼합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70 내지 65wt% 사이, 또는 그 이하로 함수율이 낮은 탈수 케이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수 케이크의 재활용율을 향상시키거나 건조, 소각 등의 경우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차적으로 데칸터를 통해 탈수한 케이크를 재탈수하여 난 탈수성의 하수슬러지를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경제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슬러지를 탈수하는 탈수 방법에 있어서, 하수슬러지를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를 포함하는 1차 탈수기로 탈수 하는 (1)과정과; 상기 1차 탈수기에서 탈수된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를 혼합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에서 형성된 슬러지를 필터프레스로 2차로 탈수하는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스에 의하여 탈수되어 형성된 케이크의 함수율은 70wt%에서 60w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보조제에서 제1철(Fe(II))은 0.07wt% 이하, 황산이온(SO4 2-)은 24~29wt%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량은 하수슬러지 고형물 중량 대비 철 이온을 3~7w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스는 복수의 여과판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판은 압착여과판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판으로 슬러지를 설정된 목표 압력까지 이송한 후 공기 또는 물을 포함하는 압착유체를 상기 압착여과판으로 공급하여 상기 여과판 내부에 포집된 케이크를 고압으로 압착 탈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판 사이의 공간인 여실의 폭으로 케이크가 채워지는 두께는 2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탈수케이크와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시간은 5분에서 20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탈수케이크와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은 리본믹서를 포함하는 혼합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탈수된 케이크로 생성된 슬러지의 응집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식성이 적은 탈수보조제를 활용하여 탈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최적의 탈수보조제 사용량과 혼합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65wt% 이하의 함수율이 낮은 탈수 케이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건조, 소각 등의 경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직매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타 재활용의 가치 및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차적으로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 등을 포함한 탈수기로 탈수한 케이크를 재탈수하여 난 탈수성의 하수슬러지를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경제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하수슬러지의 탈수시험을 한 시험설비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탈수보조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고 시간에 따른 여액 배출속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의 혼합시간에 따른 여액 배출속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100, 이하에서 ‘탈수 방법’ 또는 ‘탈수 장치’라 함)에 대하여 아래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하수슬러지의 탈수시험을 한 시험설비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탈수보조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고 시간에 따른 여액 배출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의 혼합시간에 따른 여액 배출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슬러지를 생화학적인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전처리하고 농축된 농축조(30)의 농축슬러리를 농축슬러리 이송라인(115)을 통해 농축슬러리 이송펌프(113)로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 등을 포함하는 1차 탈수기(110)로 이송하여 여액과 케이크를 분리하여 즉, 고체 성분인 케이크와 액체 성분인 여액을 서로 분리시킨다(도 5의 S210 단계 참조). 이 과정에서 발생된 1차 케이크는 1차 탈수케이크 이송라인(117)을 따라 리본믹서를 포함하는 혼합부(150)로 이송된다.
이때, 1차 탈수기(110)에서 탈수된 1차 케이크의 함수율은 대략 80~85wt% 이다.
이렇게 혼합부(150)에 이송된 1차 탈수케이크는 탈수보조부(130)에서 이송된 탈수보조제와 혼합부(150)에서 일정시간 혼합된다(도 5의 S230 단계 참조). 여기서, 탈수보조제는 제1철(Fe(II)) 0.07wt% 이하, 황산이온(SO4 2-) 24 ~ 29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탈수보조제는 구조적으로 황산제이철의 SO4 2-의 일부를 OH-로 옮겨놓은 삼차원의 배위를 하고 있으며, OH기를 가교로서 중합되어 있으며, 1차 탈수케이크와 혼합된 슬러지에 대한 응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염기도를 가지기 때문에 알칼리도의 소비가 적고, 부식성이 적다는 특징을 갖는다.
탈수보조제는 총 Fe 성분이 11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출원인이 수십 년간 탈수가 어려워 함수율을 저하시키기 어려운 난 탈수성의 유기슬러지에 대한 탈수 방법을 연구해온 이래로 수많은 착오를 거쳐 도출한 수단이 탈수보조제이다. 이러한 탈수보조제는 케이크를 형성하는 고형입자와 결합된 물분자를 부분적으로 파괴하여 탈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되며 본 출원인은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더욱 더 연구를 기울일 예정이다.
탈수보조부(130)는 탈수보조제를 저장하는 보조제 저장탱크(131)와 보조제 저장탱크(131)에서 혼합부(150)로 이송시키는 보조제 이송라인(135)과 보조제 이송라인(135) 상에 결합되어 탈수보조제를 혼합부(150)로 가압하는 보조제 이송펌프(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탈수보조제는 예를 들어 1차 탈수케이크의 이송량을 미도시된 센서로 감지하고 1차 탈수케이크의 함수율을 고려하여 1차 탈수케이크 내의 총 고형분을 제어부(190)에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탈수케이크 내의 총 고형분량에 기초하여 제어부(190)에서 예를 들면, 정량으로 공급되는 보조제 이송펌프(133)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에, 1차 탈수케이크의 총 고형분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탈수보조제를 정량으로 공급시켜 혼합부(150)에서 안정적으로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제어부(190)에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렇게 혼합부(150)에서 혼합된 슬러지는 필터프레스(170)로 이송된다(도 5의 S250 단계 참조).
즉, 혼합부(150)에서 필터프레스(170) 사이의 혼합슬러지 이송라인(175)을 따라 혼합된 슬러지는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는 다양한 공지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노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프레스(170)의 핵심구성인 여과판(171)은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압착여과판(171b)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여과판(171a)과 압착여과판(171b)이 교대로 설치된 여과판(171)이 그 일예이다.
여기서, 필터프레스(170)는, 압착여과판(171b)으로 물 또는 공기(주로 물임)를 포함하는 압착유체가 공급되는 압착유체 공급라인(179)과, 압착유체 공급라인(179)에서 공급되어 각 압착여과판(171b)으로 분배하는 압착유체 헤드(179a)와, 압착유체 헤드(179a)에서 각 압착여과판(171b)으로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압착유체 호스(179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여과판(171) 사이의 공간이 여실의 폭(도 1의 ‘t’ 참조)이고, 이 폭이 케이크 두께가 되고 여기에 프레스 탈수케이크(177)가 형성된다. 다만, 압착여과판(171b)의 압착에 의하여 여실에 형성된 케이크는 탈수가 더 진행되어 더 얇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터프레스(170)에 의해 혼합된 슬러지는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에 의해 혼합슬러지 이송라인(175)을 통해 혼합부(150)에서 필터프레스(170)의 여과판(171)의 여실 내부로 가압 이송된다(도 5의 S250 단계 참조).
가압 이송된 슬러지는 여과판(171)의 표면을 둘러싸는 여과포(미도시)에 의하여 고형분은 여실 내에 포집되어 케이크화 되고 여과포를 통과한 여과액 내지 여액은 다시 농축조(30) 등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혼합슬러지를 가압 이송하는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의 가압하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압력을 목표압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의 목표압력에 도달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혼합슬러지의 이송을 제어부(190)에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혼합슬러지 이송펌프(173)가 압력에 의해 혼합슬러지의 탈수를 완료한 후 압착여과판(171b)으로 물을 포함하는 압착유체를 공급하여 여과판(171) 사이에 형성된 케이크를 다시 압착 가압함으로써 케이크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더 배출시켜 케이크의 함수율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도 5의 S250 단계 참조).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100)에 대한 시험, 실험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슬러지의 예로는 하수슬러지가 선택되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를 축소한 소형 시험설비(300)이다.
실험에 사용된 시험설비(300)는 탈수보조제와 혼합된 1차 탈수케이크가 혼합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본체(321)는 내경 14cm, 높이 25cm 이며 하측의 여액이 통과하는 여과판(327)의 여과면적이 154 cm2이고, 본체(321) 내에 전술한 탈수보조제와 혼합된 1차 탈수케이크를 일정량 주입하고, 본체(321) 상부에 설치된 피스톤(315)에 의해 본체(321) 내부의 이동판(323)이 일정한 압력으로 슬러지를 압착하는 형식의 가압식 소형 시험설비이다.
본체(321)의 슬러지가 수용되는 상하에는 여과포(325)와 여과판(327)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크층에 인가된 압력으로 인해 수분은 케이크 층과 여과포(325), 여과판(327)의 기공을 통해 본체(321)의 하부로 배출되어 여과액라인(331)을 따라 용기에 수용되고 수용된 여액은 저울(333)에 의하여 그 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본체(321) 하부로 배출된 탈수 여액은 본체(3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에 포집되며 저울(333)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탈수 여액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체(321)를 가압하는 피스톤(315)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되고, 가압되는 압축공기 배관라인에 밸브(317), 압력조절기(310), 압력계(313) 등이 구비되어 있어 가압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참고로 탈수보조제는 적갈색 액체이고, 비중(20℃)이 약 1.45~1.49이고, 점도(20℃)가 10~30cps이다. 또한, pH(1w/v%)는 2 이상이며, total Fe는 11% 이상이며, 염소이온(Cl-)은 0.05wt% 이하이고, 빙점은 12±1℃이다.
이러한 시험장비(300)로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 등의 1차 탈수기로 탈수된 하수슬러지(함수율 83wt%)의 고형물 중량 대비 탈수보조제에 함유되어 있는 철(Fe) 이온의 중량 기준으로 0%(검은색 원 표시), 1%(흰색 원 표시), 3%(검은색 사각 표시), 5%(흰색 사각 표시), 7%(검은색 삼각 표시)씩 첨가하여 혼합하고 각각에 따른 탈수된 여액의 배출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과정에서 케이크 층에 인가되는 압력은 탈수 초기부터 종료 시까지 전 기간 동안 15bar를 유지하였으며, 도 3에 따르면, 탈수보조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탈수여액의 배출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최종 탈수케이크의 함수율은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탈수보조제 0% 1% 3% 5% 7%
최종 함수율 81% 72% 67% 65% 63%
상기의 결과에서와 같이 함수율 65wt% 이하의 탈수 케이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탈수보조제를 하수슬러지 고형물 중량 대비 철(Fe) 이온의 중량 기준으로 5% 이상 첨가하여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하수슬러지의 성상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첨가량을 조절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고, 탈수보조제를 하수슬러지 고형물 중량 대비 철(Fe) 이온의 중량 기준으로 3% ~ 7% 범위가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하수슬러지와 탈수보조제의 혼합 정도에 따른 탈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탈수보조제를 하수슬러지 탈수 케이크(함수율 80~85wt%)의 고형물 중량 대비 탈수보조제에 함유되어있는 철(Fe) 이온의 중량 기준으로 5% 첨가하고, 혼합 시간은 0min(검은색 원 표시), 5min(흰색 원 표시), 10min(검은색 사각 표시), 20min(흰색 사각 표시)으로 각각 달리하여 전술한 시험장비(300)를 이용하여 탈수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케이크 층에 인가되는 압력은 탈수 초기부터 종료시까지 전 기간 동안 15bar를 유지하였으며, 도 4와 같이 혼합 시간 5min의 경우가 가장 좋은 여액 배출속도(3min의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보이나, 3min보다 적은 경우에는 혼합되는 시간이 적어 혼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음)를 나타내었으며, 10min 이상 혼합한 경우에는 오히려 탈수성이 악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시험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의 혼합은 리본믹서 형태로 가능하면 빠른 시간 내에 간단히 혼합하는 것이 탈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실제 탈수장치의 구성과 생산성의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점이 될 것으로 이해된다.
즉, 필터프레스(170) 1회 운전시 투입되는 량만큼 1차 탈수케이크를 리본믹서로 이송하고 탈수보조제를 첨가하여 3~5분 혼합하여 필터프레스(170)로 이송하여 탈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의 혼합은 배치식으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혼합슬러지 탈수과정에서 케이크 두께는 함수율과 탈수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케이크 두께가 작을 경우 최종 탈수 케이크의 함수율은 감소하지만 탈수장치의 여과판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호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험에서는 필터프레스(170)를 이용하여 하수슬러지의 최종 탈수를 통해 필터프레스(170)에서 생성된 탈수케이크의 함수율을 65wt% 이하로 하기 위한 최적의 케이크 두께를 파악해 보기로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파일럿 탈수장치는 여과판의 크기가 가로, 세로 각각 470mm인 파일롯 필터프레스 탈수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케이크 두께를 20mm, 25mm, 30mm 로 조절하여 각 케이크 두께에 따른 탈수효율을 분석하였다.
혼합된 슬러지를 파일럿 필터프레스로 이송하는 수단은 모노펌프를 용하였으며, 모노펌프의 가압 압력이 10bar에 도달하면 혼합슬러지의 이송을 중단하였고, 그 이후에는 일정시간 압착여과판에 압착유체인 15bar 압력의 물을 이용하여 케이크를 최종적으로 압착 탈수하였다,
아래의 [표 2]에 케이크 두께에 따른 탈수실험에 대한 운전조건 및 결과를 나타내었다.
필터
프레스
케이크 두께 mm 20 25 30
여과면적 m2/Ch 0.31.
여과체적 L/Ch. 2.1 3.5 4.7
가축분뇨 함수율 % 76
탈수보조제 첨가량 하수슬러지 고형물 중량 대비 Fe 5% 중량
운전조건 탈수시간 min 60
탈수압력 bar 15
결 과 케이크 두께 mm 11 14 25
케이크 함수율 % 63 65 67
탈수속도 DSkg/m2.cycle 1.2 1.5 1.9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크 두께가 클수록 처리량이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최종 탈수 케이크의 함수율 역시 증가하였으며, 케이크의 두께가 작을수록 처리량은 다소 감소하지만 최종 탈수 케이크의 함수율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을 통해 하수슬러지를 필터프레스로 재탈수를 통해 함수율 65wt% 이하의 탈수케이크를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 필터프레스 탈수장치의 케이크 두께는 2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함수율이 70wt 이하인 경우에는 케이크 두께는 30mm 이하가 바람직할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하수슬러지의 처리량 및 경제성 등을 감안하여 탈수보조제의 첨가량과 운전조건에 따라 케이크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함수율 80wt%의 케이크 1,000kg(수분 800kg, 고형분 200kg)이 함수율 65wt%로 되는 경우 케이크량이 570kg(수분 370kg, 고형분 200kg)으로 케이크량이 40% 이상 줄어듦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케이크의 수분함수율이 감소하게 되면 건조 등을 위한 비용도 획기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그 경제적 효과가 매우 증대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그 활용범위도 넓어진다. 즉. 난 탈수성의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한 케이크의 함수율을 65wt% 이하의 저함수율로 탈수가 가능하므로 매립 및 소각, 재활용 및 고체연료와 같은 에너지 자원화 등에 따른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증대될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하수슬러지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필터프레스를 포함하는 기계탈수로 저함수율을 유도하기 어려운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탈수된 케이크로 생성된 슬러지의 응집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식성이 적은 탈수보조제를 활용하여 탈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최적의 탈수보조제 사용량과 혼합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65wt% 이하의 함수율이 낮은 탈수 케이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탈수 케이크의 재활용율을 향상시키거나 건조 등의 경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차적으로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 등을 포함한 탈수기로 탈수한 케이크를 재탈수하여 난 탈수성의 하수슬러지를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경제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의 탈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탈수 장치 30 : 농축조
110 : 1차 탈수기 113 : 농축슬러리 이송펌프
115 : 농축슬러리 이송라인 117 : 1차 탈수케이크 이송라인
130 : 탈수보조부 131 : 보조제 저장탱크
133 : 보조제 이송펌프 135 : 보조제 이송라인
150 : 혼합부
170 : 필터프레스 171 : 여과판
171a : 일반여과판 171b : 압착여과판
173 : 혼합슬러지 이송펌프 175 : 혼합슬러지 이송라인
177 : 프레스 탈수케이크 179 : 압착유체 공급라인
179a : 압착유체 헤드 179b : 압착유체 호스
190 : 제어부

Claims (8)

  1. 하수슬러지를 탈수하는 탈수 방법에 있어서,
    하수슬러지를 벨트프레스 또는 데칸터를 포함하는 1차 탈수기로 탈수 하는 (1)과정과;
    상기 1차 탈수기에서 탈수된 1차 탈수케이크와 탈수보조제를 혼합하여 슬러지를 형성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에서 형성된 슬러지를 필터프레스로 2차로 탈수하는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스에 의하여 탈수되어 형성된 케이크의 함수율은 70wt%에서 60wt%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보조제에서 제1철(Fe(II))은 0.07wt% 이하, 황산이온(SO4 2-)은 24~29wt%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량은 하수슬러지 고형물 중량 대비 철 이온을 3~7wt%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스는 복수의 여과판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판은 압착여과판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판으로 슬러지를 설정된 목표 압력까지 이송한 후 공기 또는 물을 포함하는 압착유체를 상기 압착여과판으로 공급하여 상기 여과판 내부에 포집된 케이크를 고압으로 압착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 사이의 공간인 여실의 폭으로 케이크가 채워지는 두께는 20~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탈수케이크와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시간은 3~5분 범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탈수케이크와 상기 탈수보조제의 혼합은 리본믹서를 포함하는 혼합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방법.
KR1020170089564A 2017-07-14 2017-07-14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KR20190007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64A KR20190007909A (ko) 2017-07-14 2017-07-14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64A KR20190007909A (ko) 2017-07-14 2017-07-14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909A true KR20190007909A (ko) 2019-01-23

Family

ID=6532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64A KR20190007909A (ko) 2017-07-14 2017-07-14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9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01B1 (ko) * 2019-02-08 2019-10-22 하점용 연속식 여과 탈수 장치
CN110632257A (zh) * 2019-09-20 2019-12-31 安徽省通源环境节能股份有限公司 污泥脱水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3526838A (zh) * 2021-07-30 2021-10-22 城康(上海)生态科技有限公司 污泥脱水工艺
CN115108707A (zh) * 2022-07-07 2022-09-27 江苏迈未环境科技有限公司 污泥脱水装置及污泥脱水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01B1 (ko) * 2019-02-08 2019-10-22 하점용 연속식 여과 탈수 장치
CN110632257A (zh) * 2019-09-20 2019-12-31 安徽省通源环境节能股份有限公司 污泥脱水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3526838A (zh) * 2021-07-30 2021-10-22 城康(上海)生态科技有限公司 污泥脱水工艺
CN115108707A (zh) * 2022-07-07 2022-09-27 江苏迈未环境科技有限公司 污泥脱水装置及污泥脱水系统
CN115108707B (zh) * 2022-07-07 2023-09-12 江苏迈未环境科技有限公司 污泥脱水装置及污泥脱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909A (ko) 고압 필터프레스 하수슬러지 탈수 방법
CN110590092B (zh) 一种河湖淤泥脱水固结一体化处理工艺
CN106517720B (zh) 一种基于多点进泥的污水污泥多级耦合板框压滤脱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358431A (zh) 一种污泥化学调理深度脱水方法
KR101887416B1 (ko) 가축 분뇨의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
SK284032B6 (sk) Spôsob odvodnenia splaškových kalov
JP2000354900A (ja) 排水スラッジ脱水乾燥システム
KR101212334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중의 유기물질, 질소 및 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100953061B1 (ko) 고함수율 슬러지케익의 재탈수처리 방법 및 장치
CN108383347A (zh) 一种城镇污水处理厂污泥强化处理及资源化利用装置和方法
CN110981296A (zh) 一种建筑废泥浆的压制法制砖工艺
CN210340671U (zh) 一种污泥破壁、深度脱水系统
CN102358680A (zh) 造纸废水污泥的一种脱水方法
CN113716822A (zh) 一种污泥破壁与超高压压榨机结合的污泥脱水工艺及系统
CN101935142A (zh) 一种废纸造纸污泥的脱水方法
CN211546311U (zh) 一种小型市政污水厂污泥处置系统
CN201473431U (zh) 一种造纸污泥处理装置
CN106489340B (zh) 一种污泥与沙漠土壤掺混改良沙漠土壤的方法
CN210974194U (zh) 磷石膏回水的综合利用系统
CN108249732A (zh) 一种造纸污泥调理、脱水、干化、焚烧处理工艺
CN202390301U (zh) 机械式污泥快速脱水系统
CN215756976U (zh) 一种污泥深度脱水处理系统
CN210237418U (zh) 一种污泥生态处置深度处理系统
CN104591515A (zh) 污泥干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210117329U (zh) 一种排泥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