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718A -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718A
KR20190007718A KR1020170089065A KR20170089065A KR20190007718A KR 20190007718 A KR20190007718 A KR 20190007718A KR 1020170089065 A KR1020170089065 A KR 1020170089065A KR 20170089065 A KR20170089065 A KR 20170089065A KR 20190007718 A KR20190007718 A KR 2019000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natural gas
heat transfer
transfer medium
medium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덕수
이용원
유현석
하종만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7008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718A/ko
Publication of KR2019000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 F28D7/1669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the conduit assemblies having an annular shape; the conduits being assembled around a central distribution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6Wate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4Vaporizers, e.g. evaporators

Abstract

제안기술은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가스와 열전달 매체액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Natural gas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제안기술은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가스와 열전달 매체액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운전 목적은 LNG 인수기지에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발전소 및 도시가스사에 적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정압기로 감압시키는 과정에서 Joule-Thomson 효과에 의해 가스온도가 저하되며, 이에 따른 정압기 하류 설비에 대한 저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압기 상류측 가스를 예열할 목적으로 가스히터가 정압기 전단에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 매체액(6)인 물을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하부의 연통(fire tube)(2) 내부로 연소가스를 통과시켜 열전달 매체액(6)인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은 대류를 통하여 내부에 천연가스가 흐르고 있는 상부의 튜브 번들(tube bundle)(4)을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간접 가열 방식은 천연 가스의 연소성 때문에 채택하고 있지만, 간접 가열로 인해 열교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11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연소가스와 열전달 매체액을 직접 접촉시키는 열교환 방식을 적용하여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에 있어서,
천연가스를 가열시키기 위한 열전달 매체액은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와 직접 접촉하여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달 매체액과 천연가스 연소가스의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온수 가열기;
온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열전달 매체액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가스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가열기 내부에서 열전달 매체액과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할 때, 열전달 매체액과 천연가스 연소가스는 서로 대향류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가열기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는 열교환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 부재는 스테인리스 코일과 타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가열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는 열전달 매체액은 스테인레스 코일에 의해 액막 형태로 유동하며, 타공판에 의해 하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인리스 코일에 의해 액적 형태로 쪼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가열기의 하단에는 온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열전달 매체액이 유출되는 온수 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배관에는 열전달 매체액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배관은 가스 가열기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 가열기의 상단에는 온수 가열기로 연결되는 냉수 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배관을 따라 가스 가열기 내부로 유입된 열전달 매체액은 천연가스를 가열시킨 후, 냉수 배관을 따라 온수 가열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가열기의 하단에는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 배관에는 열전달 매체액을 가스 가열기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달 매체액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방법에 있어서,
온수 가열기 상단의 냉수 배관을 통해 온수 가열기 내부로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이 유입되는 냉수 유입 단계;
온수 가열기의 하단으로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천연가스 연소가스 유입 단계;
온수 가열기 내부에서 열전달 매체액과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열교환 단계;
열교환 단계로 인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된 열전달 매체액이 온수 가열기 하단의 온수 배관을 통해 유출되는 온수 유출 단계;
온수 배관을 통해 유출된 열전달 매체액이 가스 가열기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 유입 단계;
열전달 매체액이 가스 가열기 내부의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 단계;
천연가스 가열 단계로 인해 열전달 매체액이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변화되는 온냉 변화 단계;를 포함한다.
온냉 변화 단계에서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은 냉수 유입 단계에서 온수 가열기 내부로 유입되는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가스와 열전달 매체액을 직접 접촉시키는 열교환 방식을 적용하여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H 조절기를 구비하여 연소가스의 응축에 의한 열전달 매체액의 산성화를 제어함으로써 부식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실시예.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가스와 열전달 매체액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천연가스 가열장치는 크게 온수 가열기(10)와 가스 가열기(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측에는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유입되는 연소가스 유입구(18)가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입구(18)는 일반적인 천연가스 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천연가스 배관 내의 천연가스가 상기 연소가스 유입구(18)에 구비된 버너(20)에 의해 연소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되어 상기 연소가스 유입구(18)를 통해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상측 내부에는 냉수 배관(22)이 형성된다. 상기 냉수 배관(22)은 상기 가스 가열기(12)의 상측으로부터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냉수 배관(22) 내부에는 상기 가스 가열기(12)로부터 상기 온수 가열기(10)를 향하여 일정 온도 이하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이 유동한다.
상기 냉수 배관(22) 내부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측을 향해 유동하게 되고, 상기 온수 가열기(10) 하측의 연소가스 유입구(18)로 유입된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는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상측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온도 이하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는 서로 대향류 유동하며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에서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일정 온도 이하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직접 접촉하게 되면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가스 가열기(12)로 이동하여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의 천연가스를 가열시키게 된다.
즉,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높을수록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 천연가스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열교환 부재를 구비하였다.
상기 열교환 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교환 부재를 스테인리스 코일(stainless coil)(30)과 타공판(32)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과 상기 타공판(32)은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에서 서로 겹겹이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공판(32)은 판형상이며, 상기 타공판(32)에는 다수 개의 요철구조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어있다. 상기 타공판(32)의 요철구조에서 오목부(34)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공홀(38)의 상측으로는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이 위치하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상기 오목부(34) 각각에는 상기 오목부(34)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이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이 상기 오목부(3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록부(36)의 돌출 높이는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이 상기 오목부(34)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의 상측으로는 다시 다른 하나의 상기 타공판(32)이 적층된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의 상측에 다른 하나의 타공판(32)이 적층될 때, 상기 다른 하나의 타공판(32)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4)가 상기 다른 하나의 타공판(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스테인리스 코일(30)과 다른 하나의 스테인리스 코일(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과 상기 타공판(32)을 적층하게 된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과 상기 타공판(32)이 적층되는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부재가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과 타공판(32)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냉수 배관(22)으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물방울 형태로 유출되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에 의해 액막 형태로 유동하며, 상기 타공판(32)에 의해 균일하게 분배된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과 상기 타공판(32)에 의해 쪼개진 상태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타공판(32)에 형성된 타공홀(38)을 관통하여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측으로 하강 유동하면서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유동하게 되면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은 상기 타공판(32)의 구성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다수 개의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만을 서로 적층하여 열교환 부재를 구성할 경우,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끼리의 적층이 어려우며,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끼리의 적층이 가능하더라도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30)이 서로 겹쳐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이 효율적인 크기의 액적 형태로 쪼개지지 않게 된다.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의 제원은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10mm, 직경은 10~100mm이며, 피치는 스테인리스 코일 두께의 +1.0~5.0mm 범위인 것으로 한다.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와의 직접 접촉으로 가열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온수 가열기(10) 하단에 형성된 온수 배관(24)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상기 온수 배관(24)은 상기 가스 가열기(12)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이 상기 온수 배관(24)을 따라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 배관(24)에는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관(24)을 따라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로 유입된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천연가스를 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 상기 천연가스와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갖게 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냉수 배관(22)을 따라 상기 온수 가열기(1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온수 가열기(10)로 이동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와 다시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의 성분은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천연가스 배관 내의 천연가스가 상기 연소가스 유입구(18)에 구비된 버너(20)에 의해 연소될 때, 상기 천연가스는 산소와 반응하면서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천연가스와 상기 산소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물은 상기 냉수 배관(22)으로부터 유출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열교환하면서 응축되어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에 섞이게 되고, 상기 물과 섞인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해 점차적으로 PH가 저하되어 강산성화 되어진다.
강산성화 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은 상기 온수 배관(24)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온수 배관(24)을 부식시킬 수 있기 ?문에 상기 온수 배관(24)에 PH조절기(28)를 설치하여 PI 제어방식으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의 PH를 약알칼리성의 적정 범위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단에는 오버플로우 배관(26)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에서 필요 이상의 열전달 매체액(14)의 발생 시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26)을 통해 상기 온수 가열기(1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천연가스 가열장치를 이용한 천연가스 가열방법은,
온수 가열기(10) 상단의 냉수 배관(22)을 통해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로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14)이 유입되는 냉수 유입 단계;(S100)
상기 온수 가열기(10)의 하단으로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유입되는 천연가스 연소가스 유입 단계;(S110)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에서 상기 열전달 매체액(14)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가 직접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열교환 단계;(S120)
상기 열교환 단계(S120)로 인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된 열전달 매체액(14)이 상기 온수 가열기(10) 하단의 온수 배관(24)을 통해 유출되는 온수 유출 단계;(S130)
상기 온수 배관(24)을 통해 유출된 열전달 매체액(14)이 가스 가열기(12)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 유입 단계;(S140)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이 상기 가스 가열기(12) 내부의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 단계;(S150)
상기 천연가스 가열 단계(S150)로 인해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이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변화되는 온냉 변화 단계;(S160)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온냉 변화 단계에서에서 발생된 상기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은 상기 냉수 유입 단계(S160)에서 상기 온수 가열기(10)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14)이 된다.
본 발명의 천연가스 가열장치는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16)와 상기 열전달 매체액(14)을 직접 접촉시키는 열교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천연가스 가열장치의 열교환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천연가스 가열장치에 비해 소형화되기 때문에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H조절기(28)를 구비하여 천연가스 연소가스(16) 응축에 의한 열전달 매체액(14)의 산성화를 조절함으로써 부식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종래의 연통
4 : 종래의 튜브 번들
6 : 종래의 열전달 매체액
10 : 온수 가열기
12 : 가스 가열기
14 : 열전달 매체액
16 : 천연가스 연소가스
18 : 연소가스 유입구
20 : 버너
22 : 냉수 배관
24 : 온수 배관
26 : 오버플로우 배관
28 : PH조절기
30 : 스테인리스 코일(stainless coil)
32 : 타공판
34 : 오목부
36 : 볼록부
38 : 타공홀

Claims (16)

  1. 천연가스 가열장치에 있어서,
    천연가스를 가열시키기 위한 열전달 매체액은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와 직접 접촉하여 가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액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의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온수 가열기;
    상기 온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열전달 매체액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가스 가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가열기 내부에서 상기 열전달 매체액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할 때, 상기 열전달 매체액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는 서로 대향류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가열기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는 열교환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부재는 스테인리스 코일과 타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가열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는 상기 열전달 매체액은 상기 스테인리스 코일에 의해 액막 형태로 유동하며, 상기 타공판에 의해 하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가열기의 하단에는 상기 온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열전달 매체액이 유출되는 온수 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관에는 상기 열전달 매체액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 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관은 상기 가스 가열기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가열기의 상단에는 상기 온수 가열기로 연결되는 냉수 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관을 따라 상기 가스 가열기 내부로 유입된 상기 열전달 매체액은 상기 천연가스를 가열시킨 후, 상기 냉수 배관을 따라 상기 온수 가열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가열기의 하단에는 일정 온도 이상의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연소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관에는 상기 열전달 매체액을 상기 가스 가열기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액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연가스 가열장치를 이용한 천연가스 가열방법에 있어서,
    온수 가열기 상단의 냉수 배관을 통해 상기 온수 가열기 내부로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이 유입되는 냉수 유입 단계;
    상기 온수 가열기의 하단으로 일정 온도 이상의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천연가스 연소가스 유입 단계;
    상기 온수 가열기 내부에서 상기 열전달 매체액과 상기 천연가스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열교환 단계;
    상기 열교환 단계로 인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된 열전달 매체액이 상기 온수 가열기 하단의 온수 배관을 통해 유출되는 온수 유출 단계;
    상기 온수 배관을 통해 유출된 열전달 매체액이 가스 가열기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 유입 단계;
    상기 열전달 매체액이 상기 가스 가열기 내부의 천연가스를 가열시키는 천연가스 가열 단계;
    상기 천연가스 가열 단계로 인해 상기 열전달 매체액이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변화되는 온냉 변화 단계;
    를 포함하는 천연가스 가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냉 변화 단계에서에서 발생된 상기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은 상기 냉수 유입 단계에서 상기 온수 가열기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일정 온도 이하의 열전달 매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가열방법.
KR1020170089065A 2017-07-13 2017-07-13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7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65A KR20190007718A (ko) 2017-07-13 2017-07-13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65A KR20190007718A (ko) 2017-07-13 2017-07-13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18A true KR20190007718A (ko) 2019-01-23

Family

ID=6528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65A KR20190007718A (ko) 2017-07-13 2017-07-13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7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144B1 (ko) 2004-12-27 2006-08-09 한국가스공사 진공가열식 가스히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144B1 (ko) 2004-12-27 2006-08-09 한국가스공사 진공가열식 가스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730B2 (en) Pipeline heater
CN105793653A (zh) 用于供暖锅炉的换热器
US4895136A (en) High-temperature heaters, methods and apparatus
KR20190007718A (ko) 직접접촉 열교환 방식을 적용한 천연가스 가열장치 및 그 방법
CN104154514B (zh) 一种燃气蒸汽发生器
RU201115238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воздуха для горения и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JP5610841B2 (ja) 液体燃料給湯機
CN102345997B (zh) 用于烟气换热器的防露点腐蚀方法
CN216767574U (zh) 一种天然气加热装置
JP2012107814A (ja) 給湯装置
JP5641106B2 (ja) 給湯装置
CN103075895B (zh) 一种过冷水制取装置
WO2007085257A8 (de) Ventilanordnung zum anschliessen eines wärmetauschers einer warmwasserentnahmevorrichtung an ein fernwärmenetz
KR20030064232A (ko) 베이퍼라이저
CN205373060U (zh) 一种燃气壁挂炉用换热系统
CN203810375U (zh) 一种高效无露点腐蚀省煤器
JP2011085314A (ja) 給湯装置
JP5899425B2 (ja) 給湯装置
JP2000205658A (ja) 燃焼機器
CN107655211A (zh) 热交换管长短错位式热水器
CN212390884U (zh) 一种调节型相变热媒传热装置
RU2327096C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641107B2 (ja) 給湯装置
KR20100025204A (ko)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
CN205593175U (zh) 一种全自动微电脑温控空气源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