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232A - 기능성 컨택터 - Google Patents

기능성 컨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232A
KR20190007232A KR1020170088409A KR20170088409A KR20190007232A KR 20190007232 A KR20190007232 A KR 20190007232A KR 1020170088409 A KR1020170088409 A KR 1020170088409A KR 20170088409 A KR20170088409 A KR 20170088409A KR 20190007232 A KR20190007232 A KR 2019000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or
functional
functional device
conductive v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830B1 (ko
Inventor
임병국
공동훈
문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7008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830B1/ko
Priority to PCT/KR2018/007908 priority patent/WO201901356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능성 컨택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는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접촉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 탄성을 갖는 전도체에 연결되며,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구비되는 기능소자; 및 탄성을 갖는 전도체의 하면과 기능소자의 제1전극을 결합하는 솔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능소자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컨택터{Functional contactor}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장치용 컨택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소자 상에 솔더링에 의해 적층되는 컨택터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컨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심미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탈 재질의 하우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휴대용 전자장치 내부로 침투하거나 그로부터 누설되는 전자파를 감소시키고, 외장하우징에 배치되는 안테나와 내장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 등과 같은 도전성 탄성부를 사용한다.
그러나, 외부의 메탈 하우징과 같은 전도체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정전기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통하여 정전기가 내장회로기판에 유입되어 IC 등의 회로를 파손시키며, AC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전류가 회로의 접지부를 따라 외장 하우징으로 전파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정전기나 누설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소자가 메탈 하우징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와 함께 구비되며,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의 사용에 따라 단순한 전기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 내의 회로를 보호하거나 통신 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컨택터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기능성 컨택터는 도전성 탄성부를 솔더링에 의해 기능소자의 전극에 적층하는데, 이때 도전성 탄성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기능소자의 전극과 몸체 사이의 접합강도가 감소한다. 특히, 기능소자의 전극이 대면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면 상대적으로 도전성 탄성부와 인접한 부분의 전극의 깨짐 또는 박리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다량의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KR 2013-0128543 A (2013.11.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능소자의 전극과 몸체 사이의 접합면적을 증대함으로써 전극과 몸체 사이의 접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성 컨택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접촉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에 연결되며,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구비되는 기능소자; 및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의 하면과 상기 기능소자의 제1전극을 결합하는 솔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소자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대하여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대하여 각각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 및 하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도체와 접촉하는 클립 형상의 접촉부;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정 곡률로 이루어진 절곡부; 및 상기 기능소자의 제1전극에 접촉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는 장변에서 상기 단자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자부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소자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 방지 기능, 도전성 케이스로 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신 신호 전달 기능, 및 상기 도전성 케이스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방전에 의해 통과시키는 ESD 방호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소자의 몸체에 대면적의 상하 전극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를 구비함으로써, 기능소자의 전극과 몸체가 접합하는 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기능소자의 전극과 몸체 사이의 접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기능소자의 전극이 몸체로부터 박리되거나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기능소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에서 도전성 비어의 다른예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에서 탄성을 갖는 전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 기능소자(120) 및 솔더(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성 컨택터(100)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외장 메탈 케이스와 같은 도전성 케이스와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에 일측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도전성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기능성 컨택터(100)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가 회로기판 또는 도전성 브래킷에 접촉되고, 기능소자(120)가 도전성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가 도전성 케이스에 접촉되고, 기능소자(120)가 회로기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례로, 기능성 컨택터(100)가 SMT 타입인 경우, 즉, 솔더링을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기능소자(120)는 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접착층 타입인 경우, 즉, 도전성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기능소자(120)는 도전성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DMB, 전자책, 넷북, 태블릿 PC, 휴대용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와 외부기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케이스는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장치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탄성력을 갖는다. 일례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회로기판에 결합된 브래킷, 및 케이스와 같은 인체 접촉가능한 전도체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가 상기 전도체에 접촉되는 경우, 그 가압력에 의해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기능소자(120) 측으로 수축될 수 있고, 상기 전도체가 분리되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가 가압되는 경우, 부식 환경에 노출되면 이종금속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갈바닉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접촉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그 일측이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접촉하고, 그 타측은 기능소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하면이 장변(115a) 및 단변(115b)으로 이루어진다. 즉,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그 하면이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기능소자(120)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며,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이 구비된다.
일례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은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기능소자(120)는 몸체(120a)가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 보다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은 커패시턴스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은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21)은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가 적층 결합되고, 제2전극(122)은 솔더링을 통하여 회로기판에 결합되거나 도전성 접착층에 의해 도전성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에 결합될 수 있다.
솔더(130)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와 기능소자(120)를 연결하기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의 하면과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을 결합한다.
이러한 솔더(130)는 제1전극(121)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솔더링 공정에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를 솔더 페이스트 상에 배치한 후 가열함으로써, 용융된 솔더 페이스트가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의 하면과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에 용착됨으로써,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와 기능소자(120)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은 외곽으로 갈수록 몸체(120a)와의 접합강도가 감소한다. 즉,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은 그 테두리 부분에서 몸체(120a)와의 접합강도가 가장 작다.
이때,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에 외부 접촉 등의 충격이 가해지면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와 결합되는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으로 충격이 전달되거나 몸체(120a)를 경유하여 제2전극(122)으로 충격이 전달되기 때문에 제1전극(121) 또는 제2전극(122)과 몸체(120a)의 접합상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제1전극(121)은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의 하면보다 큰 면적을 갖기 때문에, 외부 충격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의 주변에서 제1전극(121)이 깨지거나 몸체(120a)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초래하여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와 기능소자(120)가 분리되는 제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100)는 기능소자(120)가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가 구비되어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의 깨짐이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비어(124,125)는 몸체(120a)에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을 형성한 후,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으로부터 몸체(120a)로 일정한 홈을 가공하고, 가공된 홈에 도전성 물질을 충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비어(124,125)는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성 비어(124,125)는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몸체(120a) 사이의 접합면적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에 더하여 몸체(120a) 내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즉, 제1전극(121) 또는 제2전극(122)이 박리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기능성 컨택터(1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1전극(121) 또는 제2전극(122)의 깨짐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기능소자(120)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즉,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에 구비되는 도전성 비어(124)와 제2전극(122)에 구비되는 도전성 비어(125)는 수직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시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균일한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몸체(120a)의 접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수평방향으로도 균일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제1방향(a) 및 제1방향(a)에 수직한 제2방향(b)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방향(a) 및 제2방향(b)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에 대하여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124,125)는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방향(a) 및 제2방향(b) 모두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시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에 의해 수평방향(a,b)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균일한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몸체(120a)의 접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224,224a)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에 대하여 인접한 도전성 비어(224,224a)가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224,224a)는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방향(a) 및 제2방향(b) 모두에 대하여 인접한 도전성 비어(224,224a)가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21)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는 최외곽의 도전성 비어(224a)는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최외곽의 도전성 비어(224a)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에 대하여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의 깨짐이나 박리를 초래할 수 있는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의 외곽에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224,224a)를 집중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기능소자(1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과 몸체(120a)의 접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접촉부(111), 절곡부(112), 측벽(114) 및 단자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여기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대략적으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C-클립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기 때문에, 갈바닉 부식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접촉부(111)는 클립 형상의 만곡부 형상을 가지며 전자장치의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11)는 측벽(114)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112)는 접촉부(111)로부터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절곡부(112)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정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112)는 단자부(115)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부(112)는 접촉부(111)와 단자부(1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12)는 측벽(114)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부분은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고정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도록 그 하측에 제1전극(121) 및 솔더(13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도 2 참조).
측벽(114)은 장변(115a)에서 단자부(11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측벽은 절곡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115b)의 일부(114a)에 연장될 수 있다. 즉, 측벽(114)은 절곡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115b)에서, 일부(114a)만이 측벽(114)의 양측에 형성되어 측벽(114)의 일부(114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측벽(114)의 일부(114a) 사이의 공간에서, 절곡부(112)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111)가 유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걸림 등과 같은 외부요소들에 의해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단자부(115)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110)의 하면에 대응하며 측벽(114)의 하측에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부(115)는 솔더(130)에 의해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에 결합되어 기능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부(111), 절곡부(112), 측벽(114) 및 단자부(115)는 탄성력을 갖는 도전성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능소자(120)는 사용자 또는 내부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기능소자(120)는 감전보호소자, 바리스터(varistor), 써프레서(suppressor),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소자(120)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로부터 상기 전도체로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소자(120)는 그 항복전압(Vbr) 또는 내압이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격전압은 국가별 표준 정격전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40V, 110V, 220V, 12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도전성 케이스가 안테나 기능을 갖는 경우, 기능소자(120)는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이 커패시터로 기능하여,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함과 아울러 전도체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능소자(120)는 상기 도전성 케이스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ESD)를 절연파괴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기능소자(120)는 그 항복전압(Vbr)이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 사이에 구비되는 몸체(120a)의 절연파괴 전압(Vcp)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는 통신 신호 및 정전기(ESD) 등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케이스와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과시키지만,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는 상기 도전성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100)는 측벽이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는 접촉부(311), 절곡부(312), 이격부(313), 외장부(314) 및 단자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는 대략적으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C-클립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는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기 때문에, 갈바닉 부식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접촉부(311)는 클립 형상의 만곡부 형상을 가지며 전자장치의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311)는 외장부(314)의 상면(314a)의 일측에 구비된 개구(314b)에 배치되어 만곡부가 개구(314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312)는 접촉부(311)로부터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절곡부(312)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정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312)는 일단이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의 내측에서 접촉부(311)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장부(314) 사이의 상면(314a)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격부(313)는 절곡부(312)의 하단에서 외장부(314)의 측벽(314c)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이에 의해 절곡부(312)는 단자부(315)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이격부(313)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절곡부(312)를 구속하지 않도록 절곡부(312)와 단자부(315)를 이격시킨다. 따라서, 접촉부(311) 및 절곡부(312)에 의한 탄성력은 단자부(315)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외장부(314)는 상면(314a), 개구부(314b) 및 측벽(31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314a)은 절곡부(312) 및 측벽(314c)과 연결되며, 개구부(314b)는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접촉부(3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314b)는 절곡부(312)의 탄성력에 따라 접촉부(311)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314c)은 장변(315a)에서 단자부(31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314c)은 절곡부(312)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315b)에서 단자부(31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장부(314)는 접촉부(311) 및 절곡부(312)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촉부(311) 및 절곡부(312)의 단부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걸림 등과 같은 외부요소들에 의해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단자부(315)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310)의 하면에 대응하며 외장부(314)의 하측에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부(315)는 기능소자(120)의 제1전극(121)에 접촉되어 기능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부(311), 절곡부(312), 외장부(314) 및 단자부(315)는 탄성력을 갖는 도전성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컨택터 110,310 : 탄성을 갖는 전도체
111,311 : 접촉부 112,312 : 절곡부
114,314c : 측벽 115,315 : 단자부
120,220 : 기능소자 120a : 몸체
121 : 제1전극 122 : 제2전극
124,125,224,224a : 도전성 비어 130 : 솔더
313 : 이격부 314 : 외장부
314a : 상면 314b : 개구부

Claims (12)

  1.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접촉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체;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에 연결되며,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구비되는 기능소자; 및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의 하면과 상기 기능소자의 제1전극을 결합하는 솔더;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소자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가 구비되는 기능성 컨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대하여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비어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에 대하여 각각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 및 하면 전체에 구비되는 기능성 컨택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도체와 접촉하는 클립 형상의 접촉부;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정 곡률로 이루어진 절곡부; 및
    상기 기능소자의 제1전극에 접촉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갖는 전도체는 장변에서 상기 단자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는 기능성 컨택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는 기능성 컨택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자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기능성 컨택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소자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 방지 기능, 도전성 케이스로 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신 신호 전달 기능, 및 상기 도전성 케이스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방전에 의해 통과시키는 ESD 방호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컨택터.
KR1020170088409A 2017-07-12 2017-07-12 기능성 컨택터 KR10244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09A KR102441830B1 (ko) 2017-07-12 2017-07-12 기능성 컨택터
PCT/KR2018/007908 WO2019013567A1 (ko) 2017-07-12 2018-07-12 기능성 컨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09A KR102441830B1 (ko) 2017-07-12 2017-07-12 기능성 컨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32A true KR20190007232A (ko) 2019-01-22
KR102441830B1 KR102441830B1 (ko) 2022-09-08

Family

ID=6500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409A KR102441830B1 (ko) 2017-07-12 2017-07-12 기능성 컨택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1830B1 (ko)
WO (1) WO201901356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43A (ko) 2012-05-17 2013-11-27 이중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JP2014138168A (ja) * 2013-01-18 2014-07-28 Tdk Corp 積層コイル部品
KR101738984B1 (ko) * 2016-05-26 2017-05-2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보호 컨택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6494A (ja) * 2013-08-28 2015-03-12 京セラ株式会社 チップ型電子部品
KR20170031010A (ko) * 2015-09-10 2017-03-20 조인셋 주식회사 복합 필터의 제조방법
KR20170060846A (ko)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아모텍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543A (ko) 2012-05-17 2013-11-27 이중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JP2014138168A (ja) * 2013-01-18 2014-07-28 Tdk Corp 積層コイル部品
KR101738984B1 (ko) * 2016-05-26 2017-05-2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보호 컨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567A1 (ko) 2019-01-17
KR102441830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029B1 (ko) 가이드 결합형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0650945B2 (en) Functional conta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180051826A (ko) 기능성 컨택터
KR101887369B1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0999916B2 (en) Functional cont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0100355B (zh) 功能性接触器
KR101704646B1 (ko) 기능성 컨택터
KR20190007232A (ko) 기능성 컨택터
KR102655606B1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14936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90007233A (ko) 기능성 컨택터
KR102655612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2527074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2527075B1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49942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49945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90017408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70040625A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1094777B2 (en) Functional contactor
KR20180049944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35444A (ko) 초박형 컨택터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컨택터
KR20180049943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06153A (ko) 기능소자 및 이를 구비한 컨택터
KR20170141379A (ko) 가이드 결합형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0618A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