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936A - 기능성 컨택터 - Google Patents

기능성 컨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936A
KR20180014936A KR1020160098366A KR20160098366A KR20180014936A KR 20180014936 A KR20180014936 A KR 20180014936A KR 1020160098366 A KR1020160098366 A KR 1020160098366A KR 20160098366 A KR20160098366 A KR 20160098366A KR 20180014936 A KR20180014936 A KR 2018001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haped conductor
functional
electrod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기
임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6009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936A/ko
Publication of KR2018001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능성 컨택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는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력을 갖는 도전성 탄성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또는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솔더를 통하여 상기 도전성 탄성부가 적층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기능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도전성 탄성부가 적층되는 적층 영역의 주변에 상기 솔더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클립 형상의 전도체가 스토퍼에 의해 기능소자의 상면 모서리에 지지되므로 솔더링 공정중 액상 솔더에 의한 컨택터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컨택터{Functional contactor}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장치용 컨택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소자 상에서 솔더링에 의해 적층되는 컨택터를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기능성 컨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심미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탈 재질의 하우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휴대용 전자장치 내부로 침투하거나 휴대용 전자장치로부터 누설되는 전자파를 감소시키고, 외장 하우징에 배치되는 안테나와 내장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외장 하우징과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장회로기판 사이에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에 의해, 외장 하우징과 내장회로기판 사이에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메탈 하우징과 같은 전도체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정전기가 유입되는 경우,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를 통하여 정전기가 내장회로기판에 유입되어 IC 등의 회로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AC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전류가 회로의 접지부를 따라 외장 하우징으로 전파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초래한다.
아울러, 메탈 하우징이 안테나로 사용되는 경우,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는 커패시턴스가 낮으면 신호의 감쇄가 발생하여 RF 신호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높은 커패시턴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정전기나 누설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소자가 메탈 하우징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도전성 개스킷 또는 도전성 컨택터와 함께 구비되며,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의 사용에 따라 단순한 전기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 내의 회로를 보호하거나 통신 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컨택터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기능성 컨택터는 컨택터를 솔더링에 의해 기능소자의 전극에 적층하거나, 솔더링에 의해 컨택터를 적층한 기능소자를 회로기판에 2차 솔더링에 의해 실장하는 경우, 최초에 솔더가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컨택터가 고정되지 않아 위치가 틀어짐에 따라 다량의 불량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솔더링 공정 동안 컨택터가 기능소자의 상측에서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2007-0109332A (2007.11.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능소자의 상측에 적층되는 컨택터의 하면에 스토퍼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기능소자와의 결합 또는 회로기판의 실장을 위해 솔더링하는 경우에도 컨택터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컨택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력을 갖는 클립 형상의 전도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또는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솔더를 통하여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가 적층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기능소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는 그 하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의 모서리의 일부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소자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양측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양측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하면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기능소자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는, 상기 하면에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3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탄성력을 갖는 절곡부의 대향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의 총면적은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에서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탄성력을 갖는 절곡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터의 하면의 양측에서 기능소자의 상면 모서리에 접하도록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솔더링에 의해 컨택터를 기능소자에 적층하는 경우, 컨택터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전기적 또는 기구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소자의 상면의 모서리에 접하도록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기능성 컨택터를 솔더링에 의해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경우, 스토퍼에 의해 컨택터를 구속하여 2번의 리플로우 공정에도 컨택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솔더링 공정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가 컨택터의 양측에서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서 기능소자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컨택터의 틀어짐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택터의 전방부에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기능소자의 상면을 3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컨택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의 기능소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의 기능소자의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의 다른 예의 기능소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컨택터(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 및 기능소자(120)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외장 메탈 케이스와 같은 도전성 케이스와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에 일측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도전성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성 컨택터(100)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회로기판 또는 도전성 브래킷에 접촉되고, 상기 기능소자(120)가 도전성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도전성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기능소자(120)가 회로기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가 SMT 타입인 경우, 즉, 솔더링을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능소자(120)는 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접착층 타입인 경우, 즉, 도전성 접착층을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능소자(120)는 도전성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DMB, 전자책, 넷북, 태블릿 PC, 휴대용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와 외부기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케이스는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장치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는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단자부(111), 및 한 쌍의 스토퍼(112)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111)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하면을 이루며, 상기 기능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부(111)는 상기 기능소자(120)의 제2전극(122)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하면, 즉, 상기 단자부(111)의 하면의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의 모서리의 일부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소자(120)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스토퍼(112)가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 모서리의 일부를 감싸므로써,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는 상기 기능소자(120)에 임시적으로 고정되므로 솔더링 공정 중에 액상 솔더에 의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와 상기 기능소자(1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틀어짐에 의한 전기적 연결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SMT 솔더링 과정에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틀어져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의 외부 영역으로 그 일부가 벗어난 경우, 다른 부품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상기 기능소자(120)로부터 분리되거거나 상기 기능소자(120)와의 결합력이 약화됨에 따른 기구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에 의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상기 기능소자(120)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가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2번의 리플로우 공정에도,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와 상기 기능소자(120) 사이의 솔더가 용융되어 액상으로 그 상태가 변경되어도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솔더링 공정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스토퍼(112)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a) 및 지지부(112b)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12a)는 상기 단자부(111)의 하면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12a)는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 모서리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b)는 상기 연장부(112a)에서 상기 기능소자(120)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112b)는 상기 연장부(112a)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2b)는 상기 연장부(112a)로부터 일정크기의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2b)는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 모서리를 감싸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상기 기능소자(120)에 지지되도록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스토퍼(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양측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하면 중앙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하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112',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양측에서 엇갈리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112")가 상기 단자부(111)의 하면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스토퍼(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후방, 즉, 절곡부(113)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스토퍼(112")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전방, 즉, 길이방향으로 상기 절곡부(113)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112")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기능소자(120)의 모서리를 감싸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좌우 틀어짐에 대한 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는 상기 기능소자(120)에 대하여 좌우 틀러짐은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지만, 길이방향, 즉, 전방 및 후방으로의 구속력은 제공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기능성 컨택터(100)의 변형예의 클립 형상의 전도체(210)는 길이방향으로 스토퍼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형상의 전도체(210)는 그 하면, 즉, 단자부(111)의 하면에서 한 쌍의 스토퍼(112)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3스토퍼(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스토퍼(118)는 단자부(111)에서 접촉부(115)가 구비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스토퍼(1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210)의 탄성력을 갖는 절곡부(113)의 대향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113)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가능해야 하므로, 스토퍼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제3스토퍼(118)는 상기 절곡부(113)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스토퍼(118)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와 직각 방향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능소자(120)를 3지점에서 지지하여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의 양측 및 전방과 같이 3방향으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210)를 구속하므로 좌우 틀어짐뿐만 아니라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는 절곡부(113), 연장부(114), 접촉부(115), 위치정렬부(116), 및 측벽(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13)는 상기 단자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13)는 탄성력을 갖고 유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4)는 상기 절곡부(113)로부터 상기 단자부(111)와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5)는 상기 연장부(114)로부터 상측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15)는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된 브래킷, 및 인체 접촉가능한 전도체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115)는 갈바닉 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단의 중앙부에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15)는 상기 절곡부(113) 및 상기 연장부(114)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렬부(116)는 상기 접촉부(115)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렬부(116)는 상기 접촉부(115)의 폭보다 넓고, 상기 단자부(11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정렬부(116)는 상기 측벽(117)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렬부(116)는 상기 측벽(117)에 의해 좌우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115)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벽(117)은 상기 단자부(111)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117)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112)가 형성되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양측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토퍼(118)가 형성되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전방에서 상기 접촉부(115) 및 상기 위치정렬부(116)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117)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112)가 구비되는 부분에는 금형 제작이 용이하도록 개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112',112")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양측에서 엇갈리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스토퍼(112',112")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개방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소자(120)는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121)은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또는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121)은 솔더링을 통하여 회로기판에 결합되거나 도전성 접착층을 통하여 도전성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22)은 솔더를 통하여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적층된다. 즉, 상기 제2전극(122)은 SMT 솔더링 공정에 의해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전극(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122a~122c)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122a~122c)의 총 면적은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극(122)은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에서 상기 제2전극(12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탄성력을 갖는 상기 절곡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113)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110)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가능해야 하므로, 상기 제2전극(122)에 완전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절곡부(113)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2전극(122)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기능소자(120')가 커패시턴스를 증대하기 위해 대면적 전극을 구현하는 경우, 제2전극(122')은 상기 기능소자(120)의 상면 전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기능소자(120,120')는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 사이에 소체(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체(120a)는 추가적으로 써프레서 형태의 내부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부전극 사이에 정전기(ESD)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극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소체(120a)는 유전율을 갖는 절연체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라믹 재료는 금속계 산화화합물이며, 금속계 산화화합물은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및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능소자(120)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로부터 상기 전도체로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소자(120)는 그 항복전압(Vbr) 또는 내압이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격전압은 국가별 표준 정격전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40V, 110V, 220V, 12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체가 안테나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기능소자(120)는 소체(120a)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이 커패시터로 기능하므로,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함과 아울러 전도체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소자(120)는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ESD)를 절연파괴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소자(120)는 그 항복전압(Vbr)이 상기 소체(120a)의 절연파괴 전압(Vcp)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컨택터(100)는 통신 신호 및 정전기(ESD) 등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 케이스와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과시키지만,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는 상기 도전성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컨택터
110,110',210 : 클립 형상의 전도체 111 : 단자부
112,112',112": 스토퍼 113 : 절곡부
114 : 연장부 115 : 접촉부
116 : 위치정렬부 117 : 측벽
118 : 제3스토퍼 120,120' : 기능소자
120a : 소체 121 : 제1전극
122,122',122a~122c : 제2전극

Claims (9)

  1. 전자장치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력을 갖는 클립 형상의 전도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 또는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솔더를 통하여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가 적층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기능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는 그 하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의 모서리의 일부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소자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기능성 컨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양측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양측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하면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기능소자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컨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는,
    상기 하면에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3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컨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토퍼는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탄성력을 갖는 절곡부의 대향측에 구비되는 기능성 컨택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 형성되는 기능성 컨택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의 총면적은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은 기능성 컨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소자의 상면에서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클립 형상의 전도체의 탄성력을 갖는 절곡부가 배치되는 기능성 컨택터.
KR1020160098366A 2016-08-02 2016-08-02 기능성 컨택터 KR2018001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366A KR20180014936A (ko) 2016-08-02 2016-08-02 기능성 컨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366A KR20180014936A (ko) 2016-08-02 2016-08-02 기능성 컨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36A true KR20180014936A (ko) 2018-02-12

Family

ID=6122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366A KR20180014936A (ko) 2016-08-02 2016-08-02 기능성 컨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9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53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90101155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53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90101155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415B1 (ko) 가이드 결합형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0594047B2 (en) Functional contactor
KR20180051826A (ko) 기능성 컨택터
KR101939651B1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80014936A (ko) 기능성 컨택터
KR101887369B1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704646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1959452B1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N110100355B (zh) 功能性接触器
KR102655606B1 (ko) 기능성 컨택터
CN105430896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KR102441830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2527074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2655612B1 (ko) 기능성 컨택터
KR102442279B1 (ko) 기능성 컨택터
KR20170040625A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39658B1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39649B1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69023B1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N102904115A (zh) 具有esd防护功能的连接器
KR20190017408A (ko) 기능성 컨택터
KR20180051825A (ko) 기능성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139373A (ko) 평판형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복합 기능 소자
KR20170059780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9284A (ko) 감전보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