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816A -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 Google Patents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816A
KR20190006816A KR1020170088014A KR20170088014A KR20190006816A KR 20190006816 A KR20190006816 A KR 20190006816A KR 1020170088014 A KR1020170088014 A KR 1020170088014A KR 20170088014 A KR20170088014 A KR 20170088014A KR 20190006816 A KR20190006816 A KR 2019000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water
main body
bel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근
이훈
임수정
이향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7008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816A/ko
Publication of KR2019000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설치되는 빌트인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기기의 벽체(20)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2)의 내부에 가습기본체(3)를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되, 가습기본체(3)의 내부일측에 형성되는 가습부(4)에는 송풍팬(13)의 전방에 복수개의 지지롤러 사이(9)에 권취된 벨트형 항균벨트(10)와 물보라용 수차(12)가 구동모터(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습기본체(3)의 내부타측에 형성되는 물공급부(5)에는 가습부(4)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1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Built-in humidifi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설치되는 빌트인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기기의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의 내부에 가습기본체를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되, 가습기본체의 내부일측에 형성되는 가습부에는 송풍팬의 전방에 복수개의 지지롤러 사이에 권취된 벨트형 항균벨트와 물보라용 수차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습기본체의 내부타측에 형성되는 물공급부에는 가습부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느 계절이든 사람이 느끼는 가장 쾌적한 습도는 40 ~ 60%이며, 습도를 관리하지 않으면 여름 70% 이상, 겨울 30% 이하가 되어 쉽게 불쾌해지게 되고, 습도가 50% 이하로 낮으면 실내공기로 인해 바이러스 질병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건조한 실내공기로 인해 감기 등과 같은 호흡기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짐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 내에서의 적정한 습도조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는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서 습도조절을 하고자 할 때 기존의 가습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기존의 가습기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됨에 따라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빌트인 가습기를 수송기기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종래의 빌트인 가습기는 대부분 급수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물통을 이용하지 않고 직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빌트인 가습기를 수송기기내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빌트인 가습기가 매립되는 벽체의 내부에 별도의 급수배관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090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송기기의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의 내부에 가습기본체를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되, 가습기본체의 내부일측에 형성되는 가습부에는 송풍팬의 전방에 복수개의 지지롤러 사이에 권취된 벨트형 항균벨트와 물보라용 수차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습기본체의 내부타측에 형성되는 물공급부에는 가습부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개구부의 상ㆍ하단에는 전면개구부를 개폐하는 상하측 그릴커버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매립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개구부 하측에는 전면판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습부와 물공급부로 분할하는 수직격벽이 설치되며 물공급부의 내부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하는 경사형 수평격벽이 설치되고 하부공간의 내부에는 물통결합부와 구동제어부로 분할하는 내부격벽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완충용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가습기본체가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습기본체의 내부일측에 형성된 가습부의 전후방 상하측에는 벨트형 항균필터가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가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습부의 중앙부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가습부의 중앙부 하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를 향해 물보라를 발생시키는 물보라용 수차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습부의 후면부 내측에는 가습부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기본체의 내부타측에 형성된 물공급부의 상부공간에는 하부일측에 상기 물통결합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형 마개가 결합되고 하부타측에 상기 경사형 수평격벽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물통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물통결합부의 내부일측에는 상기 가습부의 하부공간과 연통시키는 물공급공이 관통형성되며 내부타측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구동제어부의 내부에는 벨트 전동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와 물보라용 수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부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과 구동모터와 수위감지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습부의 전방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비틀림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는 수송기기의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의 내부에 가습기본체를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되, 가습기본체의 내부일측에 형성되는 가습부에는 송풍팬의 전방에 복수개의 지지롤러 사이에 권취된 벨트형 항균벨트와 물보라용 수차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습기본체의 내부타측에 형성되는 물공급부에는 가습부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가습기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가습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물공급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송기기의 벽체(20)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2)와, 매립케이스(2)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가습기본체(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립케이스(2)는 수송기기의 벽체(20)에 매립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개구부의 상ㆍ하단에는 전면개구부를 개폐하는 상하측 그릴커버(2a)(2b)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매립케이스(2)의 상하측 그릴커버(2a)(2b)는 힌지축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커버의 개방시 안정적인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서로 겹치는 부분에 강력한 자석을 부착하여 커버의 폐쇄시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기본체(3)는 매립케이스(2)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개구부 하측에는 전면판(3a)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습부(4)와 물공급부(5)로 분할하는 수직격벽(3b)이 설치되며, 물공급부(5)의 내부에는 상부공간(5a)과 하부공간(5b)으로 분할하는 경사형 수평격벽(3c)이 설치되고, 하부공간(5b)의 내부에는 물통결합부(6)와 구동제어부(7)로 분할하는 내부격벽(3d)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완충용 스페이서(8)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기본체(3)의 전면개구부 하측에 설치되는 전면판(3a)은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물(19)이 저장되도록 가습기본체(3)의 전면개구부 하측을 폐쇄하게 되는데, 전면판(3a)의 상단부에는 월류방지판(18a)을 내향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판(3a)의 상단부에 월류방지판(18a)을 형성하게 되면, 수송기기의 운행시 가습기본체(3)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19)이 외부로 쏟아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5)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형 수평격벽(3c)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공급부(5)의 상부공간(5a)에 물통(14)을 결합할 때 물통(14)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4b)에 안착되면서 전방은 높고 후방은 낮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물통(14)이 가습기본체(3)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습기본체(3)의 외측면에는 설치되는 복수개의 완충용 스페이서(8)는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가습기본체(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매립케이스(2)의 내측면과 가습기본체(3)의 외측면 사이를 이격시켜 송풍팬(1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본체(3)의 내부일측에 형성된 가습부(4)의 전후방 상하측에는 벨트형 항균필터(10)가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9)가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11)가 설치되고, 중앙부 하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10)를 향해 물보라를 발생시키는 물보라용 수차(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면부 내측에는 가습부(4)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공(3e)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10)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13)이 설치된다.
상기 벨트형 항균필터(10)는 항균처리된 천 또는 부직포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습부(4)의 전후방 상하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면서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속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자연증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형 항균필터(10)의 전방 상측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V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스크레이퍼(17)를 비틀림스프링(17a)을 개재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벨트형 항균필터(10)가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회전할 때마다 벨트형 항균필터(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스크레이퍼(17)에 걸려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벨트형 항균필터(10)를 더욱더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조절기(11)는 상부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핀이 형성된 누름봉과, 가이드핀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과, 가이드핀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조절너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롤러(9)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형 항균필터(10)가 헛돌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절너트를 이용하여 벨트형 항균필터(10)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보라용 수차(12)는 봉형상으로 된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15)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지지롤러(9)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10)를 향해 물보라를 발생시킴으로써 송풍팬(13)에 의해 토출되는 가습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팬(13)은 가습부(4)의 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습부(4)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공(3e)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벨트형 항균필터(10)에 흡수된 물과 물보라용 수차(12)에 의해 발생된 물보라로 송풍하여 자연증발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가습부(4)의 내부에서 생성된 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의 하측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월류방지판(18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수송기기의 운행시 가습기본체(3)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19)이 송풍팬(13)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습기본체(3)의 내부타측에 형성된 물공급부(5)의 상부공간(5a)에는 물통(1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물통(14)은 하부일측에 상기 물통결합부(6)에 삽입되는 체크밸브형 마개(14a)가 결합되고 하부타측에 상기 경사형 수평격벽(3c)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사면(14b)이 형성된다.
상기 물통(14)의 체크밸브형 마개(14a)는 물통의 분리시에는 스프링에 의해 체크밸브가 폐쇄되면서 물통(1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고, 물통의 결합시에는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물통(1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통(14)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공급부(5)의 상부공간(5a)에 물통(14)을 결합할 때 하부타측에 형성된 경사면(14b)이 경사형 수평격벽(3c)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전방은 높고 후방은 낮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물통(14)이 가습기본체(3)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5)의 하부공간(5b)에 형성된 물통결합부(6)의 내부일측에는 상기 가습부(4)의 하부공간과 연통시키는 물공급공(6a)이 관통형성되며 내부타측에는 수위감지센서(6b)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부(5)의 하부공간(5b)에 형성된 구동제어부(7)의 내부에는 벨트 전동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9)와 물보라용 수차(1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부(7)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13)과 구동모터(15)와 수위감지센서(6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6)이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6b)는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수위감지센서(6b)로는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 또는 전자식 수위감지센서가 주로 사용되는데, 장치를 슬림화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보다 부피가 적어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전자식 수위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15)는 벨트 전동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9)와 물보라용 수차(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형 항균필터(10)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롤러(9)와는 직경이 큰 풀리로 연결되며, 물보라용 수차(12)는 벨트형 항균필터(1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직경이 작은 풀리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패널(16)은 상기 송풍팬(13)과 구동모터(15)와 수위감지센서(6b)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습도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송풍팬(13)과 구동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수위감지센서(6b)의 신호에 따라 물보충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송기기 내부의 벽체에 매립케이스(2)를 매립설치한 후 매립케이스(2)의 내부에 가습기본체(3)를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습기본체(3)의 내부타측에 형성된 물공급부(5)의 상부공간(5a)에 물이 저장된 물통(14)을 삽입한 후 물통결합부(6)에 물통(14)의 체크밸브형 마개(14a)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물통(14)의 체크밸브형 마개(14a)에 구비된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물통(1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물통결합부(6)의 물공급공(6a)을 거쳐 가습부(4)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된 후 제어패널(16)에 구비된 스위치를 켜서 빌트인 가습기(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제어부(7)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5)와 가습부(4)의 내측 후면부에 장착된 송풍팬(13)이 가동된다.
이 때, 상기 구동모터(15)가 가동되면, 벨트형 항균벨트(10)는 구동모터(14)와 벨트 전동으로 연결된 지지롤러(9)에 의해 느린 속도로 회전하면서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게 되고, 물보라용 수차(12)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물보라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이 가동되면, 상ㆍ하측 그릴커버(2a)(2b)의 테두리부에 관통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매립케이스(2)의 내측면과 가습기본체(3)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된 외부공기는 가습부(4)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공(3e)을 통해 가습부(4)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5)에 의해 가습부(4)의 하부공간에 저장된 물을 흡수한 벨트형 항균필터(10)가 천천히 회전하는 동시에 물보라용 수차(12)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물보라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송풍팬(13)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면, 가습부(4)의 내부에서 자연증발이 촉진되어 습공기가 원활하게 생성되는데, 이렇게 가습부(4)의 내부에서 생성된 습공기는 송풍팬(13)의 바람을 타고 상ㆍ하측 그릴커버(2a)(2b)의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면서 수송기기의 실내공간을 효과적으로 가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1)는 수송기기의 벽체(20)에 매립설치되는 매립케이스(2)의 내부에 가습기본체(3)를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되, 가습기본체(3)의 내부일측에 형성되는 가습부(4)에는 송풍팬(13)의 전방에 복수개의 지지롤러(9) 사이에 권취된 벨트형 항균벨트(10)와 물보라용 수차(12)가 구동모터(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습기본체(3)의 내부타측에 형성되는 물공급부(5)에는 가습부(4)의 하부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1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이나 기차,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수송기기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송기기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가습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빌트인 가습기 2 : 매립케이스
2a ; 상측 그릴커버 2b : 하측 그릴커버
3 : 가습기본체 3a : 전면판
3b : 수직격벽 3c : 경사형 수평격벽
3d : 내부격벽 3e : 흡기공
3f : 배수구 4 : 가습부
5 : 물공급부 5a : 상부공간
5b : 하부공간 6 : 물통결합부
6a : 물공급공 6b : 수위감지센서
7 : 구동제어부 8 : 완충용 스페이서
9 : 지지롤러 10 : 벨트형 항균필터
11 : 장력조절기 12 : 물보라용 수차
13 : 송풍팬 14 : 물통
14a : 밸브형 마개 14b : 경사면
15 : 구동모터 16 : 제어패널
17 : 스크레이퍼 17a : 비틀림 코일스프링
18a, 18b : 월류방지판 19 : 물
20 : 벽체

Claims (2)

  1.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개구부의 상ㆍ하단에는 전면개구부를 개폐하는 상하측 그릴커버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매립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개구부 하측에는 전면판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습부와 물공급부로 분할하는 수직격벽이 설치되며 물공급부의 내부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하는 경사형 수평격벽이 설치되고 하부공간의 내부에는 물통결합부와 구동제어부로 분할하는 내부격벽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완충용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가습기본체가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습기본체의 내부일측에 형성된 가습부의 전후방 상하측에는 벨트형 항균필터가 권취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가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습부의 중앙부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가습부의 중앙부 하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를 향해 물보라를 발생시키는 물보라용 수차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습부의 후면부 내측에는 가습부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기본체의 내부타측에 형성된 물공급부의 상부공간에는 하부일측에 상기 물통결합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형 마개가 결합되고 하부타측에 상기 경사형 수평격벽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물통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물통결합부의 내부일측에는 상기 가습부의 하부공간과 연통시키는 물공급공이 관통형성되며 내부타측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구동제어부의 내부에는 벨트 전동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와 물보라용 수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부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과 구동모터와 수위감지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의 전방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벨트형 항균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KR1020170088014A 2017-07-11 2017-07-11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KR20190006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4A KR20190006816A (ko) 2017-07-11 2017-07-11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4A KR20190006816A (ko) 2017-07-11 2017-07-11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16A true KR20190006816A (ko) 2019-01-21

Family

ID=6527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14A KR20190006816A (ko) 2017-07-11 2017-07-11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8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03B1 (ko) 2007-02-13 2008-11-28 김덕용 빌트인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03B1 (ko) 2007-02-13 2008-11-28 김덕용 빌트인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802B1 (ko) 가습 장치, 필터 및 회전 구동 구조
EP2993420A2 (en) Air washer
CN111238020B (zh) 加湿器
KR102340052B1 (ko) 가습기
KR10188166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70051105A (ko) 가습청정장치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KR100501916B1 (ko) 냉풍기
CN104380000A (zh) 具备清洗功能的天花板嵌入型气化式加湿器
JP2009047402A5 (ko)
JP2017072320A (ja) 送風装置
KR20190006816A (ko) 수송기기용 빌트인 가습기
JP5715016B2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02327940A (ja) 空気調和機
CN210569003U (zh) 一种通风口带防水结构的加湿器
JP2019023542A (ja) 加湿装置
CN101737854A (zh) 空调机
KR20150121780A (ko)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JP2019032122A (ja) 加湿装置
KR101849084B1 (ko) 수차 및 수차가 구비된 가습장치
KR20210112772A (ko) 워터방식의 공기청정기
JP5904819B2 (ja) フィルタ及び加湿装置
JP6105899B2 (ja) 加湿装置
KR101946716B1 (ko) 전해수 대공간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