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105A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105A
KR20170051105A KR1020150185872A KR20150185872A KR20170051105A KR 20170051105 A KR20170051105 A KR 20170051105A KR 1020150185872 A KR1020150185872 A KR 1020150185872A KR 20150185872 A KR20150185872 A KR 20150185872A KR 20170051105 A KR20170051105 A KR 2017005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isual
housing
wate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68B1 (ko
Inventor
이종수
김태윤
이건영
이경호
최지은
손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비주얼바디; 상기 비주얼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와의 사이에 토출유로를 형성시키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비주얼수조; 상기 급수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수조의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분리가능한 비주얼수조가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비주얼수조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모되거나 또는 부족한 물의 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눈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되는 물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비주얼수조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모드 또는 청정모드로 작동 중일 때에도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에 급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회로가 배치된 탑커버어셈블리를 가습모듈에서 분리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물로 닦아서 청소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비주얼바디; 상기 비주얼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와의 사이에 토출유로를 형성시키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비주얼수조; 상기 급수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수조의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급수유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외부급수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급수유로를 향해 개방된 비주얼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수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지지되고,상기 비주얼급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비주얼수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비주얼급수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및 비주얼수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 및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가 형성된 토출그릴; 상기 토출그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그릴급수구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조작급수구가 형성된 조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토출그릴에 조립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하부급수개구부가 형성된 하부조작하우징; 상기 하부조작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조작하우징과의 사이에 조작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상부급수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조작하우징; 상기 상부조작하우징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조작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신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작하우징은 상기 상부급수개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외부급수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와 연통된 비주얼급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비주얼급수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비주얼수조 및 상부조작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조작모듈의 급수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에 형성된 상기 급수유로 상에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에 형성된 상기 급수유로 상에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조작신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개폐밸브 또는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다.
상기 수조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베이스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될 때, 상기 조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베이스바디 상측에 수조가 결합된 비주얼바디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수조 및 가습모듈만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수차유닛이 수조 내부의 물을 끌어올려 비주얼바디로 분사하기 때문에, 비주얼바디에 부딪히는 물을 보고 사용자가 가습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분리가능한 비주얼수조가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비주얼수조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모되거나 또는 부족한 물의 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저수용량을 확대하는 비주얼수조가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시로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전기회로가 내장된 탑커버어셈블리에 유량조절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전원공급 및 제어신호를 위한 배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물 소모량이 많은 계절에만 비주얼수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폭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유량조절수단이 급수유로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의 수위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비주얼수조가 분리된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비주얼수조가 분리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청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거치바디가 제거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거치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수조 및 수차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3에 도시된 수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력전달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가습청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장장치는 청정모듈(100) 및 상기 청정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청정모듈(100)에 대해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한 후 내부에 배치된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이 적층될 때, 여과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청정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청정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갖는 대신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거치될 때, 상기 가습모듈(200) 및 청정모듈(100) 사이로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로 안내하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가 형성된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에 설치되고,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와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베이스(112)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넓은 하측면 전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듈(100)은 하측면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수직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킨다.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동방향이 꺽이거나 전환되는 경우, 공기저항이 크게 발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청정모듈(10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청정모듈(100)을 통과한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유로(106)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고, 사용자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3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수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습유로(106)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 버어셈블리( 230)와 ,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비주얼수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모듈(200)은 베이스바디(11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3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유로(106)는 비주얼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유로(106)는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가습모듈(200)에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수조(30)의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의 자연증발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가습매체(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고, 적셔진 물은 자연증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져지지만, 수조(30)에 잠기지는 않는다.
상기 가습매체(50)를 충분히 적신 물은 상기 수조(30)로 흘러내려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30) 내부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한 후 분사하여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시는 구조가 채택된다. 상기 수조(30)에 저장된 물을 통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시기 위해 노즐(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바깥으로 분사하는 수차유닛(40)과,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적셔지는 가습매체(50)와, 상기 가습매체(50)가 설치되는 가습매체하우징(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물을 분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은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은 가습매체(5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수조(3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의 설치위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습매체(50)는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매체(50)의 자연증발을 이용해 가습을 실시하기 때문에, 상기 가습매체(50)에 의해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하지 않고, 표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여과공기가 상기 가습매체(50)를 통과하는 것이 가습에 유리하다.
상기 가습유로(106)는 가습매체(50)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상기 가습매체(50)부터 후술하는 탑커버어셈블리(230)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설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청정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분리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하우징의 조립체이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거치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바디(130) 및 거치바디(12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치바디(120)에는 손잡이(129)이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바디(120) 상측에 가습모듈(200)이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필터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필터하우징(140)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은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에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차폐하는 필터커버(1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로 안내하는 송풍하우징(1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 사이에 송풍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360도 전방향에서 흡입된다.
상기 베이스(112) 및 베이스바디(110)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바디(110) 및 베이스(112) 사이에 브리지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은 상기 베이스(112) 및 베이스바디(110)를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바디(110)를 지지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을 지나 흡입구(111)로 유동된다.
상기 브리지프레임(115)에 상하로 브리지(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입구(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저항 측면만을 고려하면,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베이스바디(110) 중 로어바디(13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로어바디(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의 유동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하우징(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되면 충분히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을 거슬러 형성된다. 유동방향이 전환되지 않고, 최대한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다수개의 필터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를 통해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필터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모듈(200)로 토출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은 모두 송풍하우징(150)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지지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송풍모터(22)와 조립되고, 상기 송풍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측에 배치된다.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4)은 중앙으로 여과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여과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송풍팬(2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의 유로를 벗어나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상기 거치바디(120)로 유동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송풍하우징(150)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로어바디(130)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로어바디(130)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와 일체화된다. 베이스바디(1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거치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거치바디(120)에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가 삽입되고,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된 거치이너바디(122)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와 결합되고,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 결합되는 거치아우터바디(128)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하는 거치가이드(124)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가 삽입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를 통과한 공기는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형성된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거치이너바디(122) 또는 거치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거치가이드(124)의 상단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단에 밀착된다.
개구된 상기 거치가이드(124)의 상측면 면적이 개구된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측면 면적과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상단에는 상기 거치가이드(124)가 지지되는 거치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거치가이드(124)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거치가이드(124) 및 거치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링(126)은 거치가이드(124)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가이드(124)는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로 유입된 여과공기를 모아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로 안내한다.
상기 거치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수조(30)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상기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거치바디(120)에 후술하는 수차유닛(40)의 수차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수차브래킷(126)을 통해 거치이너바디(122) 외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저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의 구동력을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를 관통하여 상기 수차(30) 내부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차모터(42) 및 송풍모터(22)를 서로 다른 구조물에 분리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진동에 대한 영향을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바디(120)에 설치되고,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두 모터(22)(42)가 동시에 작동될 때, 공진이나 진동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수차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거치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가습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거치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거치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및 거치아우터바디(128)는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려 청정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를 청소하거나 가습매체(50)를 교체할 때,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상기 청정모듈(10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모듈(200)은 크게 구분할 경우, 수조(30), 비주얼바디(210) 및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을 구성하는 수조(30) 및 비주얼바디(210)는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는 청정모듈(100)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수조(30)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수조(30)는 거치바디(120)의 수조삽입공간(125)에 삽입된다. 상기 수조(3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30)에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와 연통되는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개수와 상기 수조유입구(31)의 개수는 서로 대응된다. 상기 가습유로입구(123) 내측에 상기 수조유입구(31)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는 수조바디(32)와, 상기 수조바디(32)의 측면에 형성된 수조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컬럼(35)과, 상기 수조바디(32)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를 나누고, 가습매체(50)에서 흘러내린 물을 수조바디(32) 내부로 안내하는 수조급수가이드(38)와, 상기 수조바디(32)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조리브(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는 수조베이스(34)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바디(32)에 컬럼(35)이 형성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에 저장된 물과 동력전달모듈(60)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수조바디(32)의 외측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수조바디(32)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7)가 배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37)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배치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거치바디(120)의 가습유로입구(123)와 연결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 및 가습유로유입구(123)는 서로 대향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조유입구(31) 내측에 상기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조바디(3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조바디(32)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는 물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차유닛(40)이 작동될 때, 저장된 물이 수조바디(32)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수차유닛(40)이 작동되어 저장된 물이 회전되면 수위가 상승된다. 상기 수조리브(33)는 상기 수위 상승을 최소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는 3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고 3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의 상단에 수조어퍼링(36)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급수가이드(38) 및 수조유입구(31)는 상기 수조어퍼링(36) 밑에 위치된다. 상기 수조어퍼링(36)은 비주얼바디(210)에 고정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설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에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어퍼링(36)에 고정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술한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이너비주얼바디로 사용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개구면이 하측 개구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단이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상단에 밀착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내측면에 형성된 상부가이드홈(215)과,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가이드홈(217)과,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된 상부출구홈(216)과,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된 하부출구홈(218)과,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커넥트개구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은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는 가습모듈(200)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리프트(25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250)는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삽입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체결고정되는 리프트프레임(252)과,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바(254)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프레임(252)은 상부가이드홈(215)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가 상기 리프트프레임(252) 및 비주얼바디(210)를 체결고정한다.
상기 리프트바(254)는 180도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핀결합된다. 상기 리프트바(254)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바(254)는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수납된다. 상기 리프트바(254)가 상부가이드홈(215)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 시 상기 리프트프레임(252)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프프레임(252)은 수납된 리프트바(254)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바(254)가 수납되는 측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홈(215) 및 하부가이드홈(217)은 물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상부가이드홈(215)으로 낙하된 물을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상기 상부출구홈(216)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은 상부 가이드홈(215)과 같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도 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출구홈(218)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는 가습매체하우징(220)이 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거치된다.
한편, 상기 커넥트개구부(213)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트개구부(213)는 상부가이드홈(215)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개구부(213)에는 탑커버어셈블리(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6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힐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홈(215) 및 하부가이드홈(217) 사이로 부딪혀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은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홈(217)에 저장된 물은 하부출구(218)를 통해 수조(30) 또는 가습매체하우징(220)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하부출구(218)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조(30)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출구(218) 및 수조(30)의 수조급수가이드(38)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하부출구(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는 낙수방지유로를 형성한다.
즉, 하부출구(218) 하측에 수조급수가이드(38)가 배치되고, 물은 수조(30)의 내측면을 따라 수조(30)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하부출구(218) 및 수조급수가이드(38)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하부가이드홈(217)에서 넘친 물이 수조(30) 내부로 낙하되고, 낙수된 물이 수조(30)의 저장된 수면에 떨어져 낙수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에 설치된 가습매체(50)를 적실 수 있다. 상기 수차유닛(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직접 적셔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비주얼공간(2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밀폐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주얼공간(211)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평단면이 달라지면 상기 비주얼공간(211)의 형태도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생략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비주얼바디(210)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고정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디스플레이(160)와 분리된다.
상기 비주얼공간(21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60)는 물 및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의해 비주얼공간(211)이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고, 습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통해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때, 급수되는 물이 디스플레이(160)와 접촉되지 않는다. 급수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 내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아우터비주얼바디(214)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디스플레이 피씨비(162, PCB) 및 디스플레이커버(16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커버(164)에도 투영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에도 동일한 효과가 투영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통해 후술하는 수차유닛(40)의 작동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64)에 투영된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 내부에 물에 적셔져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매체하우징(220)에 설치되고,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본 실시예에서 비주얼바디(2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의 상단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부에 걸쳐져 설치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걸쳐지고,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하부가이드홈(217)에 분리가능하게 걸쳐지고,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수조(30)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수조(30)의 수면에 잠기지 않는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가습매체(5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프레임형태로 형성된다.
가습매체(50)는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여과공기와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한다. 상기 여과공기는 가습매체(5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되고, 수조(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진 상태에서 물을 자연증발시킨다.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하는 여과공기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직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수조유입구(31)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 및 수조유입구(31)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상기 수조(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걸쳐져 수조(30)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수조의 저장된 물에 잠기지 않는다.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여도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잠기지 않는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이 잠기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매체(50)는 건조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상기 가습매체(50)는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습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 가습매체(50)가 건조되기 때문에, 곰팡이 또는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하우징(220)은 이너매체프레임(222) 및 아우터매체프레임(2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매체프레임(222) 및 아우터매체프레임(224) 사이에 가습매체(50)가 설치된다.
아우터매체프레임(224)의 직경이 이너매체프레임(222)보다 크게 형성되고, 가습매체는 아우터매체프레임(224) 및 이너매체프레임(22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이너매체프레임(222)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224)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223)가 형성된다.
이너매체유입구(22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223)는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내매체유입구(22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223)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연결유로(103)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수조유입구(31), 아우터매체유입구(223), 가습매체(50) 및 이너매체유입구(2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
외측에서부터 수조유입구(31), 아우터매체유입구(223), 가습매체(50) 및 이너매체유입구(221)가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각 구성이 적층된다.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한 후 비주얼바디(2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경우, 커넥터(260)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홈(215)에 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조작모듈(24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터치 동작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전원은 커넥터(260)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조작모듈(24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유선인 경우, 조작모듈(240) 및 커넥터(260)의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무선인 경우, 조작모듈(240)의 무선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WIFI, 블루투스, IR 신호 등 다양한 전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발신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커넥터(260)에 수신부(264)가 배치되며,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조작신호가 IR 주파수를 통해 커넥터(260)의 수신부(264)로 전달된다.
상기 커넥터(260)에 무선신호의 수신부(264)가 배치될 경우, 전달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되는 전력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 및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가 형성된 토출그릴(232)과, 상기 토출그릴(232)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그릴급수구(233)와 연통되고, 상기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30)로 안내하는 외부급수구(239)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모듈(240)과, 상기 토출그릴(232)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70)와, 상기 커넥터(260) 및 조작모듈(2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탑커넥터(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로(109)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 상에 상기 정수필터(7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2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그릴토출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그릴(2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그릴급수구(2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상기 토출그릴(232)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가 상기 그릴급수구(233)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그릴급수구(233)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232)은 평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가습매체(5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 내측에 설치된 가습매체(50)를 제 1 가습매체(50)로 정의하고,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설치된 가습매체(55)를 제 2 가습매체(5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토출그릴(232)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토출그릴(232)의 그릴토출구(231)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그릴토출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추가로 가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그릴급수구(233)를 제외한 그릴토출구(23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서 부딪혀 튄 물방울에 의해 젖셔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유닛(40)에서 상기 제 2 가습매체(55)를 향해 물을 분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급수구(233)에 상기 정수필터(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는 급수된 물을 정화한다. 상기 정수필터(70)는 경수를 연수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는 외부에서 급수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할 수도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는 필터하우징(72)과, 상기 필터하우징(72) 내부에 배치된 여과재(7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72)은 상기 그릴급수구(233)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72)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72)은 그릴급수구(233)의 평단면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경우,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조작모듈(240)에 배치될 수 있고, 조작모듈(24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넥터(270)가 토출그릴(232)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때, 커넥트개구부(213)로 돌출된 커넥터(260)와 연결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조작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탑커넥터(270) 내부에는 상기 조작모듈(240)의 조작신호를 상기 커넥터(260)로 전송하는 발신부(27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부(274)는 조작신호를 무선신호로 발신한다. 상기 발신부(274)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는 커넥터(260) 내부에 배치된 수신부(264)에서 수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신부(274) 하측에 상기 수신부(264)가 배치된다.
상기 발신부(274) 및 수신부(264)의 거리를 최소화할 경우, 사용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거리가 짧아지면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급수유로(109)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토출그릴(232)에 조립되고, 내측에 조작급수구(241) 중 일부가 형성되는 하부조작하우징(244)과,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의 상부에 조립되어 내부에 조작공간(243)을 형성하고, 내측에 조작급수구(241) 중 나머지가 형성되는 상부조작하우징(242)과,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45)와, 상기 조작공간(243)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신호제어부(246)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24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상기 조작신호제어부(246)는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242)에 은닉될 수 있고, 작동 시에만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위치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5) 및 조작신호제어부(246)의 작동전원은 커넥터(260)를 통해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미들조작하우징(248)이 배치된다.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은 내측에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에는 조작급수구(241)와 연결되는 상부급수개구부(241a)가 형성되고, 하부조작하우징(244)에는 조작급수구(241)와 연결되는 하부급수개구부(241b)가 형성된다.
조작급수구(241)는 상부급수개구부(241a) 및 하부급수개구부(241b)와 연통된다.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작급수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급수구(241)에 정수필터(70)가 조립된다.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급수가이드(236)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급수가이드(236)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상부급수개구부(241a)로 모은다.
상기 외부급수가이드(236)의 내측에 상부급수개구부(241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급수개구부(241a)의 면적은 조작급수구(24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외부급수가이드(236)을 따라 안내된 물은 온전히 조작급수구(241) 내부로 안내된다.
상기 미들조작하우징(248)은 급수된 물이 조작공간(243)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조작하우징(242), 하부조작하우징(244) 및 미들조작하우징(248)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공간(243)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링된다. 이를 위해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개스킷(249)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에는 탑커넥터(270)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연결홀(244b)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270)에도 상기 커넥터연결홀(244b)과 대응되는 커넥터연결홀(270b)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넥터하우징(272) 및 탑커넥터커버(2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하우징(272)은 토출그릴(232)과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탑커넥터하우징(272)은 하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탑커넥터커버(274)는 개구된 탑커넥터하우징(272)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 (230) 상측에는 탈착가능한 비주얼수조(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다. 사용자가 비주얼수조(300)의 설치를 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서 분리할 수 있고, 급수유로(109)를 구성하는 상부급수개구부(241a)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수조(30)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수조(30)에 공급될 물을 임시 저장한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외부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비주얼수조(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300)에 물이 없는 경우, 수시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조작모듈(24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 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상부조작하우징(242)에 거치된다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조작가이드(242)의 외부급수가이드(236)에 거치되고 , 상기 외부급수가이드(236) 내측에 형성된 상부급수가이드(241a)로 물을 공급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상측이 개방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수조(30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수조(300)의 하측 개구부를 비주얼급수구 (301)로 정의한다.
상기 비주얼수조 (300)을 구성하는 면 중 일부는 외부급수가이드(236)와 접촉되는 비주얼수조 지지부(30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수조 지지부(302)는 외부급수가이드(236)와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유로(109)에 제공하는 개폐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밸브(310)는 조작급수구(241)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밸브( 310)는 상기 비주얼급수구(301)를 폐쇄한다. 상기 개폐밸브(310)는 비주얼수조(300) 및 정수필터(7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밸브(310)는 상기 조작급수구(241)를 개폐하고, 개방 시 비주얼수조(300)의 물을 정수필터(70)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수조(300)의 물은 급수유로(109)를 따라 유동되고 , 상기 수조(30)에 저장된다. 상기 비주얼수조(300)에서 공급된 물은 정수필터(70)를 통과한 후 수조(30)로 유동된다 .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개폐밸브(310)는 급수유로 (109) 중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밸브(310)는 정수필터(7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310)는 비주얼수조(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주얼수조 급수구(30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310)는 비주얼수조(300)가 분리된 경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상기 비주얼수조(3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310)가 비주얼수조(300)에 조립된 경우, 상기 개폐밸브(310) 및 조작모듈(240)의 전기적 회로가 연결되는 것으로 비주얼수조(300)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밸브(310)는 수조(30)의 수위에 따라 개폐가 결정된다. 제어부는 수위센서(37)에서 감지된 수위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수위가 소정 높이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개폐밸브(310)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폐밸브(310)의 개폐를 위한 수위는 수차유닛(40)의 양수에 필요한 최소수위일 수 있다. 상기 수조(30)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로 낮아질 경우, 상기 수 차하 우징( 8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분사구 (41) 높이까지 물이 양수되지 않는다.
상기 개폐밸브(31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밸브(310)의 개폐를 위한 수위는 수조(30)의 만수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30)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310)를 폐쇄하여 추가적인 물공급을 차단시킨다 . 사용자는 내부에 은닉된 수조(30)의 물넘침을 고려하지 않고, 비주얼수조(300)의 수위만을 고려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수위센서(37)에서 감지된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개폐밸브(310)를 개방하고, 만수위인 경우 개폐밸브(310)를 폐쇄하여 수조(30)의 수위를 항상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비주얼수조(300)의 물을 확인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특히 가습모드 또는 청정모드가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자는 비주얼수조(30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작동시간을 고려하여 개폐밸브(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후 10시 이후인 경우, 수조(30)의 수위가 만수위 보다 낮아지더라도 즉시 개폐밸브(310)를 개방하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시간에 빈번하게 추가급수를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급수를 지연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일어나는 아침시간까지 작동될 충분한 수위가 확보된 경우, 개폐밸브(310)를 사용자의 기상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수면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을 경우, 기본으로 저장된 수면 시간이 적용된다. 상기 수면 시간은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일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310)가 개방되어 수조(30)로 물이 유동될 때, 정수필터(70)를 통과한 물은 수차하우징(80)의 상측면(수차하우징커버)로 낙하된다 .
상기 정수필터(70) 및 수차하우징커버 (86)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길지 않기 때문에, 물의 낙수 소음은 크게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개폐밸브(310)가 개방될 때, 가습모드가 작동중이라면, 추가공급된 물이 수차하우징(80)에 부딪힌 후 사방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액적이 작게 형성되고,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비주얼수조(300)의 물을 수조(30)로 안내하기 위해 개폐밸브( 310)가 사용되었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유량조절밸브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개폐밸브(310) 및 유량조절밸브 모두 비주얼수조(300)의 물을 수조(30)로 안내하는 유량조절수단이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다이어프램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플립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개폐밸브(310)는 조작급수구(241)에 설치되기 때문에, 조작모듈(240)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유량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제어를 위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의 물을 끌어올린 후 상기 비주얼바디(210)로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려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직접 적시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습매체(50)를 적시고 남은 물은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30)로 유동된다.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되어 수조(30)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수차하우징(80)과,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모터(42)와, 상기 수차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수차하우징(8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60)을 포함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의 내측면에는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기 수차하우징(8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수차모터축(43)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수차모터(42)는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가습모듈(200) 내부에 설치되고, 수차모터(42)는 청정모듈(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와 함께 청정모듈(1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수차모터(42)의 분리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동력을 전달하되, 분리가능한 커플러(61)(62)를 포함한다.
상기 수차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로 정의하고, 상기 가습모듈(2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로 정의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거치바디(1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의 수차모터축(43)은 상기 거치바디(120)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축(43)은 거치이너바디(1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수차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가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커플러(61)는 거치이너바디(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하측에 수차모터(42)가 배치되고, 상측에 제 1 커플러(61)가 배치되고, 수차모터축(43)이 거치이너바디(122)를 관통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는 거치이너바디(122)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러(61)의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의 치형은 수차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제 2 커플러(62)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됩니다. 사기 제 1, 2 커플러(6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 시 형합된다.
제 2 커플러(62)는 상기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 및 제 2 커플러(62)의 치형은 서로 치합되고,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을 형성한다. 수차하우징(80)은 상기 흡입간격을 통해 수조(30)의 물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컵 형상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컵을 거꾸로 놓은 형상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내부에 수조(30)의 컬럼(35)이 위치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컬럼(35)을 감싸게 설치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및 컬럼(35)의 형상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형상이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내부로 흡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수차하우징(8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 내주면에 형성된 수차그루브(81)는 내부로 흡입된 물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에는 흡입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41)를 통해 양수된 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분사구(41)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수차하우징(80)에 높이차를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구를 고속분사구로 정의하고, 수차하우징의 중간에 배치된 분사구를 노멀분사구로 정의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상기 고속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통상적으로 회전되는 속도에는 상기 고속분사구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멀분사구는 수차하우징이 일상적으로 작동되는 모든 단계에서 물을 토출한다.
수차하우징(80)이 통상 회전속도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최소 노멀분사구 보다 높게 상승된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고속분사구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상기 고속분사구는 수차하우징(8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멀분사구 또한 수차하우징(8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지 않으면, 분사구(41)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청정모드로만 작동시키면, 수차유닛(40)이 작동되지 않고, 송풍유닛(20)만 작동된다. 사용자가 가습모드로만 작동시키거나 청정모드 및 가습모드로 작동시킬 때만,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고, 상기 분사구(41)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에서 토출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된다.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1)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타격하면서 회전된다.
사용자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물의 분사를 통해 가습모드가 작동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70)를 통과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신 후,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흘러내린 물은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30) 내부로 안내된다. 이후 수조(30)의 물이 다시 수차하우징(80) 내부로 양수된 후 분사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80)은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하우징(80)은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수조(3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 제 1 수차하우징(82)과,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차하우징커버(86)와,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모듈(60)과 결합되어 제 2 수차하우징(8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에 수차그루브(81)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르부(8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수차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차그루브(81)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차하우징(80)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의 하단은 수조(3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간격을 형성한다.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단은 제 2 수차하우징(84)의 하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은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되게 형성된다.
상기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제 1 수차하우징(82)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2 수차하우징(84)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4)의 외주면에는 수차날개(85)가 형성된다. 상기 수차날개(85)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차날개(85)는 수차하우징(80)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되면 양수되는 물에 의해 상기 수차하우징(80)은 상측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수차날개(85)는 수차하우징(80)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제 2 수차하우징(84)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수차하우징(86)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동력전달모듈(60)과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는 동력전달모듈(60)과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차하우징커버(86)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의 동력전달축(64)이 결합되는 축고정부(86a)가 형성된다. 상기 축고정부(86a)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동력전달축(64)의 상단은 축고정부(86a)와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는 제 1 수차하우징(82) 및 제 2 수차하우징(84)에 각각 형성된다. 제 1 수차하우징(82)에 노멀분사구(44)가 형성되고, 제 2 수차하우징(84)에 고속분사구(45)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88)는 본 실시예에서 제 2 수차하우징(84)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수차하우징(84)에 배치된 동력전달부(88)는 사출 시 수차그루브(81)와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1 수차하우징(8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2 수차하우징(84)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제 2 수차하우징(84)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88)는 수차하우징(80)의 축중심에 위치되는 부싱설치부(89)와, 상기 부싱설치부(89) 및 수차하우징(80)을 연결하는 수차연결부(8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연결부(89) 및 수차연결부(87)는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수차연결부(87)는 리브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수차연결부(87)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상기 수차연결부(87)는 흡입된 물과의 저항을 증가시켜 양수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부싱연결부(89) 내부에 부싱(90)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9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부싱(9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축(64)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래서 상기 부싱(9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90)은 제 2 수차하우징(84)에 이중 사출되어 제작된다. 상기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부싱축중공(91)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수차하우징(80)이 회전될 때, 진동을 저감시킨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축(6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90)은 상기 수차하우징(80)의 무게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부싱(90)에 수차하우징(80)의 무게중심이 위치되기 때문에, 회전 시 수차하우징(80)의 진동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수차모터(42)의 회전력을 수차하우징(8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상기 컬럼(35) 내부에 설치되고, 동력전달모듈(60)이 수조(30)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은 컬럼(35) 내부에 위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63)과,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차하우징(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축(64)과, 상기 동력전달축(64) 및 동력전달하우징(63)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67)과, 수차모터축(43)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커플러(61)와, 상기 동력전달축(64)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 2 커플러(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컬럼(35)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동력전달축(64), 베어링(67), 제 2 커플러(62)는 상기 컬럼(35)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은 동력전달하우징(63)을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은 동력전달하우징(63)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수조베이스(34) 상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제 1 커플러(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39)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의 상단은 상기 수차하우징(80)에 결합되고, 하단은 제 2 커플러(6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플러(62)는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67)은 동력전달하우징(63) 및 동력전달축(6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베어링(67)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의 상측은 수차하우징(80) 내부에 노출되고, 양수된 물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65)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5)의 상측에 결합되고 동력전달축(64)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우징캡(66)과, 상기 하우징캡(66) 및 동력전달축(6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캡(66)에 끼워져 고정되는 축개스킷(68)과, 베어링(67) 및 하우징캡(66)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우징탄성부재(69)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베어링(67)을 지지하는 단(64a)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7)은 상기 단(64a)에 지지된다. 상기 단(64a)의 하측 직경이 상측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베어링하우징(65)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베어링하우징(65)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은 상기 중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하우징캡(66)은 축개스킷(68)이 지지되는 캡지지부(66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개스킷(68)은 상기 캡지지부(66a)에 지지된다.
상기 축개스킷(68)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개스킷(68)은 물이 베어링하우징(6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축개스킷(68)은 캡지지부(66a)에 밀착되는 개스킷바디(68a)와, 상기 개스킷바디(68a)에서 동력전달축(64)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을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바디(68a)는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및 하측면이 하우징캡(66)에 지지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개스킷바디(68a)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동력전달축(64)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b)은 2개로 형성되고, 2중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하우징캡(66) 및 베어링(67)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하우징캡(66)을 탄성지지하고, 하단이 베어링(67)에 탄성지지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베어링(67)을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에 의해 베어링(67)이 단(64a)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는 동력전달축(64)이 회전될 때, 베어링(67)의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유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흡입유로(101)는 외부공기를 필터어셈블리(10)로 안내한다. 상기 흡입유로(101)는 베이스(112)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12)부터 필터하우징(140)의 저면까지를 흡입유로(101)로 볼 수 있다.
외부공기는 필터하우징(140) 저면까지 이동될 때, 유동방향이 90도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흡입유로(101)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방향전환에 따른 저항이 작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필터하우징(14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04) 내부에 설치된 필터어셈블리(10)가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그래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필터하우징(140) 및 필터어셈블리(10)에 형성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분리가능한 청정모듈(100) 및 가습모듈(200)을 연결하고, 여과공기를 가습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유로(103) 중 청정연결유로(104)는 청정모듈(10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정연결유로(104)는 거치바디(120)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너거치바디(122) 및 거치가이드(124) 사이에 상기 청정연결유로(104)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 바깥쪽에 가습연결유로(10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독립적인 유로로 형성되는 대신, 거치바디(120)에 거치될 때, 비로소 가습연결유로(105)로 기능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습모듈(200)이 이너거치바디(122)에 삽입되면, 수조(30) 외측 및 거치가이드(124) 사이의 공간이 연결유로(103)로 기능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습유로(106)로 안내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여과공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송풍팬(24)의 가장자리에서 여과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여과공기는 방향전환 없이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과공기는 상기 거치가이드(124) 및 수조(30) 사이에 형성된 연결유로(103)를 따라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유로(106)는 여과공기에 대해 수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55)가 2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 사이가 가습유로(106)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에서 물이 자연증발하기 때문에, 수분이 공급되는 유로를 정확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에서 제공된 수분 및 수차유닛(40)에서 제공된 수분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지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 사이에서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가습매체(50) 또는 제 2 가습매체(55)만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가습매체 이후가 가습유로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제 1 가습매체(50)만 설치된 경우,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차유닛(40)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여과공기가 지나가는 제 1 가습매체(50) 이후 공간이 가습유로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여과공기는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조(30) 내부를 반드시 통과하기 때문에, 가습유로는 제 1 가습매체(50) 및 수조(30) 내부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제 2 가습매체(55)만 설치되고, 수차유닛(40)이 제 2 가습매체(55)를 적시는 경우, 여과공기가 지나가는 수조(30) 내부공간부터 제 2 가습매체(55)까지를 가습유로로 규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공기가 제 1 가습매체(50) 및 제 2 가습매체(55)를 모두 관통하게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여과공기가 제 1 가습매체(5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제 2 가습매체(55)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습매체(50)(55)에 의한 수분의 공급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55)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여과공기가 평면으로 형성된 가습매체(50)(55)를 관통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가습매체(50)(55)가 굴곡을 형성하거나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매체(50)(55) 내부에도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습매체(55)(55)의 내측 및 외측 사이에 기압차를 형성하고, 여과공기가 통과할 때 가습매체(50)(55)의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화 또는 무화되게 할 수 있다.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여과공기의 방향전환이 약간 발생된다. 하지만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하는 과정에서도 공기의 주된 유동방향은 상측을 향한다.
상기 제 1 가습매체(5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여과공기는 제 1 가습매체(50)를 통과할 때, 주로 상측을 향하는 경사진 방향으로 유동된다.
여과공기가 상기 연결유로(103)에서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공기의 방향전환은 90도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유로(106)로 진입할 때, 수직방향에서 대체로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30) 내부에서 공기는 수직 방향으로 상측으로 이동된 후 토출유로(107)로 진입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공기가 지나가는 제 2 가습매체(55) 이후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습공기는 토출유로(107)를 따라 가습모듈(200)의 상측으로 토출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된다.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가습공기가 진입할 때, 약간의 방향전환이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가습공기가 진입할 때에도 공기의 주된 유동방향은 상측을 향하고, 공기의 방향전환은 45도 이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흡입된 공기가 토출될 때까지 주된 유동방향이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하측을 향하는 구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공기의 방향전환이 최대 90도 이하에서 이루어지고, 대체적으로 예각 이하에서 공기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22 : 송풍모터 24 : 송풍팬
30 : 수조 31 : 수조유입구
32 : 수조바디 34 : 수조베이스
40 : 수차유닛 42 : 수차모터
50 : 제 1 가습매체 55 : 제 2 가습매체
60 : 동력전달유닛 61 : 제 1 커플러
62 : 제 2 커플러 63 : 동력전달하우징
64 : 동력전달축 70 : 정수필터
80 : 수차하우징 81 : 수차그루브
90 : 부싱 100 : 청정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거치바디
130 : 로어바디 140 : 필터하우징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가습모듈 210 : 비주얼바디
220 : 가습매체하우징 230 : 탑커버어셈블리
240 : 조작모듈 250 : 리프트
260 : 커넥터 270 : 탑커넥터

Claims (18)

  1. 물이 저장되는 수조;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비주얼바디;
    상기 비주얼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와의 사이에 토출유로를 형성시키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비주얼수조;
    상기 급수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수조의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급수유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외부급수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급수유로를 향해 개방된 비주얼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수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지지되고,상기 비주얼급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비주얼수조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비주얼급수구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및 비주얼수조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 및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가 형성된 토출그릴;
    상기 토출그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그릴급수구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조작급수구가 형성된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토출그릴에 조립되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하부급수개구부가 형성된 하부조작하우징;
    상기 하부조작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조작하우징과의 사이에 조작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상부급수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조작하우징;
    상기 상부조작하우징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조작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작하우징은 상기 상부급수개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외부급수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에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수조는 상기 외부급수가이드와 연통된 비주얼급수구가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비주얼급수구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비주얼수조 및 상부조작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조작모듈의 급수유로 상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에 형성된 상기 급수유로 상에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상측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에 형성된 상기 급수유로 상에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필터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정수필터 하측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조작신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습청정장치.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개폐밸브 또는 유량조절밸브인 가습청정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베이스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될 때, 상기 조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더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KR1020150185872A 2015-10-30 2015-12-24 가습청정장치 KR101871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KR1020150156254 2015-11-07
KR20150156254 201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05A true KR20170051105A (ko) 2017-05-11
KR101871268B1 KR101871268B1 (ko) 2018-06-27

Family

ID=5874157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41A KR101970245B1 (ko) 2015-10-30 2015-12-24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186044A KR101931707B1 (ko) 2015-10-30 2015-12-24 공기조화기
KR1020150186153A KR20170051108A (ko) 2015-10-30 2015-12-24 가습청정장치
KR1020150185872A KR101871268B1 (ko) 2015-10-30 2015-12-24 가습청정장치
KR1020150186037A KR101750877B1 (ko) 2015-10-30 2015-12-24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22169A KR20170051209A (ko) 2015-10-30 2016-09-23 가습청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41A KR101970245B1 (ko) 2015-10-30 2015-12-24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186044A KR101931707B1 (ko) 2015-10-30 2015-12-24 공기조화기
KR1020150186153A KR20170051108A (ko) 2015-10-30 2015-12-24 가습청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37A KR101750877B1 (ko) 2015-10-30 2015-12-24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22169A KR20170051209A (ko) 2015-10-30 2016-09-23 가습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1970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32B1 (ko) 2018-05-28 2018-10-26 신기산업(주) 비효성 및 병해가 개선된 정원토 조성물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72B1 (ko) * 2018-04-0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KR20210071373A (ko)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10071374A (ko)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10986232A (zh) * 2019-12-16 2020-04-10 佛山市高明欧一电子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定向导流的加湿器
KR102536072B1 (ko) * 2020-07-27 202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CN213272890U (zh) * 2020-08-11 2021-05-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采用水对空气进行处理的装置及空调内机
KR20240009735A (ko) * 2022-07-14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55B1 (ko) * 2001-04-20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JP3930760B2 (ja) * 2002-04-17 2007-06-13 株式会社ラビ 陰イオン発生装置
JP2003339846A (ja) * 2002-05-31 2003-12-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
KR101392092B1 (ko) * 2007-10-22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JP5758814B2 (ja) * 2012-01-25 2015-08-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ンネル換気設備用コーナーベーン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140034383A (ko) * 2012-09-10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76668B1 (ko) * 2013-05-24 202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510610B1 (ko) * 2015-01-20 2015-04-14 유제빈 꽃병형 공기정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10967319B2 (en) 2017-11-27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101912232B1 (ko) 2018-05-28 2018-10-26 신기산업(주) 비효성 및 병해가 개선된 정원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07A (ko) 2017-05-11
KR101970245B1 (ko) 2019-08-20
KR20170064973A (ko) 2017-06-12
KR20170051108A (ko) 2017-05-11
KR20170051106A (ko) 2017-05-11
KR101931707B1 (ko) 2018-12-21
KR101871268B1 (ko) 2018-06-27
KR101750877B1 (ko) 2017-06-26
KR20170051209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81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71268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80484B1 (ko) 가습청정장치
JP7069010B2 (ja) 加湿清浄装置
US1009458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82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7036217B (zh) 加湿净化装置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6989466B (zh) 加湿净化装置
CN107101305B (zh) 加湿净化装置
JP2018536136A (ja) 加湿清浄装置
CN112923465B (zh) 加湿净化装置
EP3163192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3908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38172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1934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86865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39B1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