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365A - 차량용 호스클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호스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365A
KR20190006365A KR1020170087267A KR20170087267A KR20190006365A KR 20190006365 A KR20190006365 A KR 20190006365A KR 1020170087267 A KR1020170087267 A KR 1020170087267A KR 20170087267 A KR20170087267 A KR 20170087267A KR 20190006365 A KR20190006365 A KR 2019000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and
clip
hose clamp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우
정형도
안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365A/ko
Publication of KR2019000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서 각종 호스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호스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된 클립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호스를 조일 수 있는 차량용 호스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는, 호스의 둘레를 조이는 호스클램프에 있어서, 호스의 둘레를 감고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밴드(11)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밴드(11)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11)를 조이는 클립(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호스클램프{HOSE CLAMP FOR VEHE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서 각종 호스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호스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된 클립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호스를 조일 수 있는 차량용 호스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호스를 배관이 연결시키기 위해 호스클램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룸에서는 흡기호스를 스로틀바디와 결합하는 부위에는 상기 흡기호스의 외측을 조여 상기 흡기호스의 단부를 상기 스로틀바디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호스클램프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110)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클램프(110)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호스(H)의 외측을 둘러싸는 밴드(111)와, 상기 밴드(111)의 단부를 조여 상기 밴드(111)가 상기 호스(H)를 조이도록 하는 고정볼트(112)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110)는 협소한 공간에서는 공구(T1)로 상기 고정볼트(112)로 상기 밴드(111)를 조이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는 다른 형태의 차량용 호스클램프(1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호스의 외측을 둘러싸는 밴드(121)와, 상기 밴드(121)의 양단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호스클램프(120)는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T2)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122)를 집어 상기 밴드(121)의 직경이 커지도록 한 다음, 호스(H)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플라이어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호스클램프(120)로 호스(H)를 조이는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클램프(110)(120)는 모두 별도의 공구(드라이버, 플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클램프(110)(120)를 장착하게 되므로, 협소한 공간에 여러 가지 부품이 장착된 엔진룸에서 상기 공구(T1)(T2)를 투입하고 조작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호스(H)의 조립불량을 유발하기도 한다.
한편, 이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스클램프에 고정장치가 적용된 호스클램프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상기 고정장치는 재사용을 위하여 수거해야 하고, 상기 호스클램프의 탈거/재장착시 결국은 공구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071550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착된 클립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체결과 분리가 가능토록 한 차량용 호스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는, 호스의 둘레를 조이는 호스클램프에 있어서, 호스의 둘레를 감고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밴드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를 조이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클립의 양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폭이 다른 부분이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줄이는 해제부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가 중첩되는 정도를 늘여 상기 호스를 조이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부와 상기 결속부는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에서 상기 해제부와 상기 결속부 사이에는 폭이 가변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결속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클립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와 상기 해제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클립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의 양단에는 상기 클립을 파지하는 클립파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파지부는 상기 밴드의 양단을 상기 호스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된 부위에서 상기 클립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호스 클램프에 따르면, 호스의 장착을 위해 호스클램프를 조이거나, 호스의 분리를 위해 호스클램프를 푸는 경우, 공구없이 클립을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상기 호스클램프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룸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용이하게 호스의 장착 또는 탈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호스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호스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를 이용하여 호스를 조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를 이용하여 호스를 조인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를 이용하여 호스를 조인 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의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를 이용하여 호스를 조인 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는, 호스(H)의 둘레를 감고,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밴드(11)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밴드(11)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11)를 조이는 클립(12)을 포함한다.
밴드(11)는 스트립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스(H)의 둘레를 감싸 상기 호스(H)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11)의 양단에 각각 인접한 부위는 서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그 중첩 정도를 다르게 하여, 상기 호스(H)를 조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11)의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서로 중첩되는 정도가 작으면, 상기 밴드(11)의 둘레가 늘어나게 되어 상기 호스(H)를 조이지 않게 되고, 상기 밴드(11)의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서로 중첩되는 정도가 커지면, 상기 밴드(11)의 둘레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호스(H)를 조이게 된다.
다만, 상기 밴드(11)에는 그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서로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11)의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클립(12)은 상기 밴드(11)의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클립(12)은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11)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클립(12)의 구체적인 예시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12)은 전체가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클립(12)에서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줄이는 해제부(12a)와, 상기 해제부(12a)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늘여 상기 밴드(11)의 길이를 줄이는 결속부(12b)를 포함한다.
상기 해제부(12a)는 상기 클립(12)의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줄인다.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상기 해제부(12a)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밴드(11)이 길이는 상대적으로 커져 상기 호스(H)를 조이지 않게 된다.
상기 결속부(12b)는 상기 클립(12)의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해제부(12a)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늘인다.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상기 결속부(12b)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밴드(11)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호스(H)를 조이게 된다.
한편, 상기 해제부(12a)와 상기 결속부(12b)는 그 폭이 가변하는 경사부(12c)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밴드(11)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클립(12)을 파지하는 클립파지부(11a)(1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클립파지부(11a)(11b)는 상기 밴드(11)의 양단을 상기 호스(H)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된 부위에서 상기 클립(12)을 파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10)가 상기 호스(H)를 조이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각각 상기 클립(12)의 해제부(12a)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하는 정도가 줄어들어 상기 밴드(11)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서, 상기 밴드(11)는 상기 호스(H)를 조이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클립(12)을 잡아당기면, 상기 밴드(11)의 양단은 각각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밴드(11)가 결속부(12b)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11)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가 늘어나게 되면서, 상기 밴드(1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밴드(11)가 상기 호스(H)를 조이게 된다.
도 6과 같이 조여진 상태가 되면, 상기 밴드(11)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려하지만, 상기 클립(12)의 결속부(12b)에 의해 오므려지지 않게 되므로,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12)을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밴드(11)는 호스(H)를 조이지 않게 된다.
작업자는 작은 힘으로 상기 클립(12)을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도 상기 밴드(11)가 상기 호스(H)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을 잡아 단기는 힘(화살표 a 방향의 힘)은 상기 밴드(11)와 클립(1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화살표 b방향의 힘에 마찰계수, 특히 동적마찰계수를 곱한 힘) 이상이면 충분히 상기 클립(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엔진룸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별도의 공구 없이 상기 클립(12)을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호스(H)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호스클램프에서 상기 클립(12')에는 스토퍼(1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12')으로 상기 밴드(11)를 조인 후, 차량이 운송되거나,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중 상기 클립(12')이 의도하지 않게 상기 호스(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2d)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d)는 상기 클립(12')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호스클램프(10)의 결속시 또는 해제시 상기 밴드(11)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부(12c)가 상기 해제부(12a)와 연결되는 부위, 상기 경사부(12c)와 상기 결속부(12b)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d)가 상기 밴드(11)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클립(12')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립(12')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호스클램프(10)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 호스클램프 11 : 밴드
11a : 클립파지부 11b : 클립파지부
12, 12' : 클립 12a : 해제부
12b : 결속부 12c : 경사부
12d : 스토퍼 110 : 호스클램프
111 : 밴드 112 : 고정볼트
120 : 호스클램프 121 : 밴드
122 : 돌출부 T1, T2 : 공구

Claims (9)

  1. 호스의 둘레를 조이는 호스클램프에 있어서,
    호스의 둘레를 감고 양단에 인접한 부위가 중첩되는 밴드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를 조이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클립의 양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폭이 다른 부분이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양단이 중첩되는 정도를 줄이는 해제부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가 중첩되는 정도를 늘여 상기 호스를 조이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와 상기 결속부는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서 상기 해제부와 상기 결속부 사이에는 폭이 가변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결속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클립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해제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클립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단에는 상기 클립을 파지하는 클립파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파지부는 상기 밴드의 양단을 상기 호스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된 부위에서 상기 클립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클램프.



KR1020170087267A 2017-07-10 2017-07-10 차량용 호스클램프 KR20190006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267A KR20190006365A (ko) 2017-07-10 2017-07-10 차량용 호스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267A KR20190006365A (ko) 2017-07-10 2017-07-10 차량용 호스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65A true KR20190006365A (ko) 2019-01-18

Family

ID=6532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267A KR20190006365A (ko) 2017-07-10 2017-07-10 차량용 호스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3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8B1 (ko) 2006-07-05 2007-05-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8B1 (ko) 2006-07-05 2007-05-07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및 산업용 호스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600A (en) Band clamp
CN108457938B (zh) 可调节的p型夹具
US8060991B2 (en) Fixing device for hose clamp
US8127406B2 (en) Hose clamp
JP6920387B2 (ja) 複数の設置オプションを有する調整可能なpクランプ
EP2280206B1 (en) Supporting bracket for hoses
EP1039195A1 (fr) Collier de fixation pour pièce tubulaire
US1942600A (en) Clamp
US4073317A (en) Adjustable clamping device
US11142143B2 (en) Clamp for wire harness
US10584817B2 (en) Hose clamp with retaining bracket
JP3950785B2 (ja) 締付けバンド
US20190176722A1 (en) Bi-stable flat spring clipping device
KR20190006365A (ko) 차량용 호스클램프
US11066022B1 (en) Positioning clamp and carrier using the same
WO2012008062A1 (ja) ベルト取付治具
KR20070084676A (ko) 클램프 탈착공구
JP2008263746A (ja) 柱状立設体への線状体の保持構造及びその保持方法
JPH08338410A (ja) 緊締バンド
KR19980037451A (ko) 자동차의 케이블 및 배선 고정용 클램프
US11953132B2 (en) Hose clamp
KR20140086720A (ko) 호스 클램프
JP2018009590A (ja) ベルトクランプ
JPH0710515U (ja) 結束バンド
US2617164A (en) Circular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