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25A - 차양매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양매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25A
KR20190005325A KR1020170085800A KR20170085800A KR20190005325A KR 20190005325 A KR20190005325 A KR 20190005325A KR 1020170085800 A KR1020170085800 A KR 1020170085800A KR 20170085800 A KR20170085800 A KR 20170085800A KR 20190005325 A KR20190005325 A KR 2019000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jection
gas
mat
awn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926B1 (ko
Inventor
권병철
Original Assignee
권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철 filed Critical 권병철
Priority to KR102017008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9Structures with a netting or similar for anchorage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매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차양매트를 통해 햇볕이나 빗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차양매트로부터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상기 차양매트를 쉽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양매트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awning mat}
본 발명은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차양매트를 통해 햇볕이나 빗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차양매트로부터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상기 차양매트를 쉽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차양매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햇빛이나 빗물 등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일예로, 여름철 해변 등 그늘이 없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원형의 차양막의 내측 중앙에 구비된 지지봉에 방사형태로 절첩되도록 다수의 지지살이 결합되어 있는 우산형태의 파라솔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시 지지축의 유동을 방지하고 설치 및 보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 파라솔로 겸용할 수 있는 파라솔 겸용 차량 차양장치가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1-000001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1-0000016호의 경우, 설치된 파라솔의 해체가 쉽지 않아 파라솔을 포함한 차양창치의 회수가 여의치 않음은 물론 부피 또한 커서 운반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1-00000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차양매트를 통해 햇볕이나 빗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차양매트로부터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상기 차양매트를 쉽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상에 배치되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수용공간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에 형성되는 가스주입구로 구성되는 차양매트와; 상기 가스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떠오른 상기 차양매트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주파 융착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융착면에는 상하 관통형성되는 공기소통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의 일단부들과 인접한 위치에 공통 가스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주파 융착면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의 일단부와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 사이에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공통가스주입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 및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에 가스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측 차양시트 상에 단열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층 상에 태양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차양매트를 통해 햇볕이나 빗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차양매트로부터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상기 차양매트를 쉽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고주파 융착면에 공기소통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공기소통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측 차양시트상에 단열층과 반사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양매트(10)와 고정와이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차양매트(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측 차양시트(110), 상측 차양시트(120) 및 가스주입구(1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는 합성수지 필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 또한 합성수지 필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수용공간(121)이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내측에 1개의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이 형성되도록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가장자리 부위와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주파 융착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구(130)는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어느 한 모서리 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각 모서리 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상기 가스주입구(130)가 형성된 어느 한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다른 한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에 수용된 가스를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스배출구(150)내에는 상기 가스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캡부재가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의 외부로 가스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주입구(130)는 공기튜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주입 및 배출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스주입구(130)와 상기 가스배출구(150)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각 모서리 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어느 한 모서리 부위 및 다른 한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가스주입구(130)가 공기 주입 및 배출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가스배출구(150)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에 수용되는 가스는 일예로, 가장 가벼원 원소로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이면서 연소하더라도 공해물질을 내뿜지 않는 수소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열성이 우수함은 물론 쉽사리 소실되지 않는 안정된 기체인 질소, 아르곤, 크립톤, 헬륨, 네온, 제논, 라돈 등의 불활성 기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와이어(20)의 상부는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의 각 모서리부위에 각각 일체연결되거나,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의 각 모서리 부위를 관통한 상태로 묶음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20)의 하부에는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와이어(20)의 하부는 돌멩이, 돌덩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중량물을 감싼 상태로 묶음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열팽창 현상에 의해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이 터져 상기 차양매트(10)가 훼손될 경우,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에 수용된 가스 모두가 상기 가스수용공간(121) 외부로 모두 배출되어 상기 차양매트(10)가 차양기능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수용공간(121)은 하나 이상의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매트(10)와 상기 고정와이어(20)로 구성되되,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 사이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 및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에서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타측 및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고주파 융착면(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은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전측 및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전측에서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후측 및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전후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 부위 및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 부위마다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열팽창 현상에 의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 중 어느 하나의 가스주입공간(121a)이 터지면서 훼손되어 일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나머지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내에 가스가 주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훼손되지 않은 나머지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에 주입된 가스를 통해 차양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주입구(130)는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일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구(150)는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타측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타측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상기 가스주입구(130)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내에 가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주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으로,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 모두에 공기를 한번에 간편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차양매트 설치구조는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매트(10)와 상기 고정와이어(20)로 구성되되, 공통 가스주입공간(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일단부들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170)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부위와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부위는 고주파 융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부위와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부위에 상기 차양매트(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고주파 융착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170)을 통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 모두로 가스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일단부와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170) 사이마다 체크밸브(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40)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부위 및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부위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일측부위 및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일측부위와 함께 고주파 융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주입구(130)는 상기 공통가스주입공간(17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 전측 부위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 전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차양시트(110)의 타측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의 타측에 상기 가스배출구(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고주파 융착면에 공기소통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주파 융착면(140)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소통구(160)가 상기 차양매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하관통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양매트(1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그늘로 인해 상기 차양매트(10)의 하부방향의 공기의 온도값은 상기 차양매트(10)의 상부방향의 공기의 온도값보다 낮아지게 된다.
상기 차양매트(10)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차양매트(10)로 부는 바람이 상기 차양매트(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 또는 상기 차양매트(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공기소통구(160)를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차양매트(10)가 자연냉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팽창에 의해 일실시예의 상기 차양매트(10)의 가스수용공간(121) 또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차양매트(10)의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이 터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공기소통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차양매트(10)로 바람이 불지 않을 경우, 상기 차양매트(10)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의 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차양매트(10)의 하부방향의 차가운 공기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소통구(160)를 통과하면서 상기 차양매트(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차양매트(10)가 자연냉각될 수 있다.
도 12는 상측 차양시트상에 단열층과 반사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차양매트(10)의 단열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차양매트(10)의 일실시예의 가스수용공간(121) 및 다른실시예의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121a)이 열팽창 현상에 의해 터져 훼손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차양시트(120) 상부에 종이층, 부직포층, 직물층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열층(50)이 접착접합 또는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50)의 상부에는 상기 차양매트(10)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차양매트(10)의 상부표면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박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사층(60)이 접착접합 또는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50)과 상기 반사층(60)이 상기 공기소통구(160)를 가리지 않도록 상기 공기소통구(160)는 상기 단열층(50)과 상기 반사층(60) 모두를 상하관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상기 차양매트(10)를 통해 햇볕이나 빗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차양매트(10)로부터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상기 차양매트(10)를 쉽고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 및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차양매트, 20; 고정와이어.

Claims (6)

  1. 하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상에 배치되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수용공간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또는 상기 상측 차양시트에 형성되는 가스주입구로 구성되는 차양매트와;
    상기 가스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정적부력을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떠오른 상기 차양매트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차양시트와 상기 하측 차양시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주파 융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융착면에는 상하 관통형성되는 공기소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의 일단부들과 인접한 위치에 공통 가스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주파 융착면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의 일단부와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 사이에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공통가스주입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독립된 가스주입공간 및 상기 공통 가스주입공간에 가스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차양시트 상에 단열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층 상에 태양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매트 설치구조.
KR1020170085800A 2017-07-06 2017-07-06 차양매트 설치구조 KR10211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00A KR102117926B1 (ko) 2017-07-06 2017-07-06 차양매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00A KR102117926B1 (ko) 2017-07-06 2017-07-06 차양매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25A true KR20190005325A (ko) 2019-01-16
KR102117926B1 KR102117926B1 (ko) 2020-06-02

Family

ID=6528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00A KR102117926B1 (ko) 2017-07-06 2017-07-06 차양매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51Y1 (ko) * 2019-07-09 2020-03-25 이호 안정성이 향상된 차양막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16U (ko) 1989-06-22 1991-01-22 김치중 농작물 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9980025652U (ko) * 1996-11-05 1998-08-05 최창회 차양장치
KR200466980Y1 (ko) * 2011-12-26 2013-05-22 오더블유상사 주식회사 구난겸용 에어매트리스
KR20140068534A (ko) * 2012-11-28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방음 패널 및 그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16U (ko) 1989-06-22 1991-01-22 김치중 농작물 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9980025652U (ko) * 1996-11-05 1998-08-05 최창회 차양장치
KR200466980Y1 (ko) * 2011-12-26 2013-05-22 오더블유상사 주식회사 구난겸용 에어매트리스
KR20140068534A (ko) * 2012-11-28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방음 패널 및 그의 제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51Y1 (ko) * 2019-07-09 2020-03-25 이호 안정성이 향상된 차양막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CN114096724A (zh) * 2019-07-16 2022-02-25 白珍钦 使用广告气球的遮阳棚
JP2022541027A (ja) * 2019-07-16 2022-09-21 チン フム ペク, アドバルーンを利用したシェードキャノピ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26B1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325A (ko) 차양매트 설치구조
JP4209451B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527350A5 (ko)
US20110289869A1 (en) Thermally insulating fenestration devices and methods
JP2014511043A (ja) パネル支持装置
KR102126011B1 (ko) 충진매질이 충진된 양면형 태양광방음패널을 이용한 수직형 방음벽과 방음벽 시공방법
JP5004910B2 (ja) 屋根材型太陽電池パネル装置及びその間カバー体
US5497762A (en) Device for collecting solar energy and transferring it to a reception body to be heated
KR101479124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루버 일체형 창호
FR2908861A1 (fr) Colonne lumineuse a zone lumineuse positionnable et de hauteur de colonne ajustable
KR101388006B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102046409B1 (ko) 태양광 발전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재
JP5004909B2 (ja) 屋根材型太陽電池パネル装置
KR101312582B1 (ko) 애드벌룬을 이용한 광고 장치
JP2006063662A (ja) 遮蔽部材
JPH08120625A (ja) 道路用防音壁
EP0003478A1 (fr) Capteur solaire
JP5230309B2 (ja) 屋根材型太陽電池パネル装置及びその軒側端固定具
KR101224518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JP3816517B2 (ja) 透明ウエブプレート
JP2016015960A (ja) 果実用保護傘
WO2012164111A1 (es) Colector de calor solar
FR2851002A1 (fr) Panneau vitre d'isolation acoustique et/ou thermique
WO1992014899A1 (fr) Vitrage a performances multiples
KR20130062968A (ko)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