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741A -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741A
KR20190003741A KR1020187035105A KR20187035105A KR20190003741A KR 20190003741 A KR20190003741 A KR 20190003741A KR 1020187035105 A KR1020187035105 A KR 1020187035105A KR 20187035105 A KR20187035105 A KR 20187035105A KR 20190003741 A KR20190003741 A KR 2019000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all
flow
guide means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473B1 (ko
Inventor
랄프 코린
Original Assignee
손테크 인터내셔널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테크 인터내셔널 아베 filed Critical 손테크 인터내셔널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00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61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using additional means for damping sound, e.g. using sound absorb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 감쇠 장치(sound damping device)로서, 상기 음향 감쇠 장치는 제 1 채널 입구(13a) 및 제 1 채널 출구(13b)를 갖는 제 1 채널(12a)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벽(20a)을 포함하는 제 1 요소(40a), 및 제 2 채널 입구(14a) 및 제 2 채널 출구(14b)를 갖는 제 2 채널(16a)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벽(20b)을 포함하는 제 2 요소(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40a, 40b)는 함께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을 갖는 스택 또는 롤(roll)을 형성하며, 상기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반대편이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40a, 40b) 중 적어도 한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acoustic energy dissipative sheet material)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요소(40a)는 상기 제 1 채널(12a)을 더욱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40b)는 상기 제 2 채널(16a)을 더욱 구획하는 제 2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수단 및 제 2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1 채널(12a)이 상기 제 2 채널(16a)에 대하여 제 1 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Description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본 발명은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 감쇠 장치(sound damp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향 감쇠 장치는 제 1 채널 입구 및 제 1 채널 출구를 갖는 제 1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벽을 포함하는 제 1 요소, 및 제 2 채널 입구 및 제 2 채널 출구를 갖는 제 2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벽을 포함하는 제 2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는 함께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을 갖는 스택 또는 롤을 형성하며, 상기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은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편이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acoustic energy dissipative sheet material)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향 감쇠 장치는 유동 채널의 유동 방향으로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들의 스택을 개시하는, WO 2006/098694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미세-슬릿 시트들의 형태의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WO 97/27370에 공지되어 있다.
시트들 내의 미세-크랙들의 형태의 또 다른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가 WO 99/34974에 공지되어 있다.
DE-C-101 21 940에는 모든 채널들이 서로 및 유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흡음 요소들이 기재되어 있다.
DE-U-9300388은 정사각형의 하우징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유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흡음재들을 함유하는 음향 감쇠기를 개시한다.
DE-U-9402754는 유사한 종류의 음향 감쇠기를 개시한다.
DE-B-1 201 528에서, 흡음기들의 제 1 그룹은 유동 방향에 대해 발산하는 관계로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된다. 흡음기들의 제 2 그룹은 유동 방향에 대해 수렴하는 관계로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된다.
흡음기들의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은 유동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환기 덕트들 내에서, 배플들(baffles)과 같은, 유동 방향에 걸쳐 음향 감쇠 부재들이 구비된 음향 감쇠기들은 원하지 않은 압력 강하를 유발한다. WO 02/064953는 덕트에 연결된 챔버 내부에 배치된 음향 감쇠기를 개시한다. 훨씬 더 큰 챔버 내에서 덕트의 유동을 분리하고, 덕트 내부의 유동에 측 방향인 반대 방향들로 유동을 보내고, 덕트 내부로 다시 되돌려 보내면, 유동의 원치않는 압력 강하가 야기되며, 심지어 배플들을 사용했을 때의 압력 강하보다 훨씬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안으로 음향 감쇠기가 장착되는 덕트를 통한 유동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개선된 음향 감쇠 특성들을 갖는 음향 감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처음에 정의된 종류의 음향 감쇠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제 1 요소는 상기 제 1 채널을 더욱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는 상기 제 2 채널을 더욱 구획하는 제 2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수단 및 제 2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1 채널이 상기 제 2 채널에 대해 제 1 각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이로써, 음향 에너지 손실들은 덕트의 전반적인 유동(general flow)과 관련하여 기울어진 채널들의 벽들 사이의 채널 벽들 내에서 직접 달성된다. 따라서, 채널들의 상이한 방향들은 음향 에너지가 소산되도록 에너지 소산성 벽들(energy dissipative walls)에 걸쳐 국부적인 압력 차를 생성할 것이다.
또한, 연질 음향 감쇠 재료를 포함하는 음향 감쇠기에 비해 감소된 제조 비용이 달성된다.
적절하게는,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1 채널의 입구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2 채널의 입구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입구가 추가로 구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1 채널의 출구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2 채널의 입구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입구가 더욱 구획된다.
적절하게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1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의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2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한다. 이로써,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출구가 더욱 구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의 전체 단면적은 상기 음향 감쇠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는 채널의 전체 단면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이로써 상기 음향 감쇠 장치는 각각 상기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의 실질적인 압력 강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로써 낮은 유동 저항을 갖는 효율적인 음향 감쇠 장치가 달성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제 1 각은 10° 내지 150°,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140°,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 가장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4°의 범위 내에 있다. 이로써 낮은 압력 강하를 갖는 음향 감쇠기가 달성된다.
적절하게는, 상기 음향 감쇠 장치는 제 3 채널 입구 및 제 3 채널 출구를 갖는 제 3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 3 벽을 포함하는 제 3 요소, 및 제 4 채널 입구 및 제 4 채널 출구를 갖는 제 4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 4 벽을 포함하는 제 4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요소 및 제 4 요소는 함께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와 함께 스택 또는 롤을 형성하며, 상기 제 3 요소 및 제 4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요소는 상기 제 3 채널을 더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요소는 상기 제 2 채널을 더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채널은 상기 제 3 채널이 상기 제 2 채널에 대하여 제 2 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요소에 대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 4 요소는 상기 제 3 채널이 상기 제 4 채널에 대해 제 3 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3 요소에 대해 배열된다.
이로써 4개의 요소들의 스택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며, 상기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로써 2개의 각진 유동들로 전반적인 유동을 분리하는 4개의 채널들이 달성된다.
적절하게는,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3 채널의 입구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4 채널의 입구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3 채널의 출구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4 채널의 출구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의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3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의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2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제 2 각은 10° 내지 150°,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140°,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 가장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4°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제 3 각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각에 대응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이 상기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떨어져 있는 한, 상기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은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은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인접한 요소의 벽을 포함한다. 이로써, 요소들의 컴팩트한 스택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상기 요소를 인접한 요소로부터 분리시키는 중간 벽(intermediate wall)을 포함한다. 이로써, 개별 요소들의 스택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매 두 번째 벽(at least every second wall)은 인접한 벽에 대해 거리 유지 부재들(distance holding members)을 구성하는 돌출부들(protrusions) 및/또는 만입부들(indentations)을 구비한다. 이로써 별도의 거리 유지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스택을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벽에는 돌출부들 및/또는 만입부들이 제공되어, 인접한 벽과 관련하여 거리 유지 부재들을 구성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돌출부들 및/또는 만입부들은 상기 채널들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배열된다. 이로써 요소들의 스택에 걸쳐 낮은 압력 강하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또는 프레임은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또는 프레임은 상기 덕트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는 상기 덕트 내에 쉽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 또는 챔버 내에서, 삽입 소음기와 같은 사전결정된 크기의 표준화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치 과정에서 생산 비용과 인건비가 절감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프레임 또는 하우징은 상기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입구들의 이등분선(bisector)이 실질적으로 상기 채널의 유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채널 내부의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의 입구에서 실질적으로 대칭인 유동 패턴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의 출구에서 실질적으로 대칭인 유동 패턴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 또는 하우징은 상기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출구들의 이등분선이 실질적으로 상기 채널의 유동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채널 내부의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를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요소들의 상기 채널들의 전체 단면적은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70%이며, 특히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면적의 적어도 95%, 가장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7%이다. 이로써, 흡음은 덕트 내의 유동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달성되며, 즉 상기 채널의 전체 단면적이 더 커지면, 상기 유동 저항은 더 낮아지고, 또는 다시 말하면, 상기 스택의 상기 벽들의 전체 단면적이 더 작으면, 상기 유동 저항은 더 낮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들은 장방형, 정사각형, 마름모와 같은 평행사변형으로, 또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들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연질 흡음 재료로 이루어진 벽들보다 더 낮은 횡단 치수가 달성된다. 따라서, 연질 흡음재로 이루어진 벽들은 미세-천공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벽들보다 적합하지 않으며, 이는 연질 흡음재는 횡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벽들의 횡단 치수는 실질적으로 흡음 시트 재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음향 감쇠 장치의 재료는 쉽고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경질 금속(hard metal), 및 세라믹 중 임의의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예를 들어 고온 또는 저온 또는 부식 환경들에서 음향 감쇠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에 플레이트들의 사용을 적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미세-다공성(micro-porous)이다.
적절하게는,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미세-슬릿들(micro-slits)과 같은 미세-천공들(micro-perforations)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미세-크랙들 또는 원형 구멍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소결된 금속 또는 소결된 초경 합금(sintered cemented carbid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의 두께는 10-9 m 내지 2 m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8 m 내지 1 m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7 m 내지 0.9 mm의 범위 내에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의 공기 유동 저항(air flow resistance)은 100 RaylsMKS 내지 10,000 RaylsMKS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200 RaylsMKS 내지 1000 RaylsMKS 범위, 더욱 구체적으로는 300 RaylsMKS 내지 500 RaylsMKS 범위 내에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천공되지 않은 시트 형태의 멤브레인 완충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완충 재료의 두께는 10-9 m 내지 1 mm, 보다 구체적으로는 10-8 m 내지 0.7 m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7 m 내지 0.5 mm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상이한 방향들로 유동 채널들을 형성하는 장방형 요소들의 스택을 구비한 음향 감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b 내지 도 1c는 상이한 방향들로 유동 채널들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요소들의 스택을 구비한 대안적인 음향 감쇠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2는 평행한 관계로 장방형 파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요소들의 대안적인 스택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교차-방향 관계로 배열된 정사각형의 파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요소들의 대안적인 스택들의 분해도들이다;
도 4는 환형의 홈들 및 융기부들을 갖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요소들의 대안적인 스택을 도시한다;
도 5는 나선형 형상의 홈들 및 융기부들을 갖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요소들의 대안적인 스택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범프들 및 만입부들을 갖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요소들의 대안적인 스택을 도시한다;
도 7은 장방형의 덕트 내에 배치된 도 1b의 음향 감쇠 장치를 도시한다;
도 8a는 관형 덕트 내부에 관형 유닛으로서 배치된 교차된 장방형 플레이트들의 스택을 구비한 음향 감쇠 장치를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c는 도 8b에 도시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부분들이 부분적으로 파단된 관형 요소들을 구비한 관형 음향 감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미세-슬릿 음향 에너지 소산성 재료를 도시한다.
도 1a는 덕트 내부의 유동을 위한 음향 감쇠 장치(sound damping device)(10)를 도시한다. 유동은 입구 영역(11a)에서 음향 감쇠 장치 내로 들어가고 출구 영역(11b)에서 나간다.
음향 감쇠 장치는 입구 영역(11a)에 있으며, 제 1 채널 입구(13a)를 갖는 제 1 채널(12a); 제 2 채널 입구(14a)를 갖는 제 2 유동 채널(16a); 제 3 채널 입구(15a)를 갖는 제 3 유동 채널(12b); 및 제 4 채널 입구(17a)를 갖는 제 4 유동 채널(16b)을 구비한다.
또한, 음향 감쇠 장치의 출구 영역(11b)에서, 제 1 채널(12a)은 제 1 채널 출구(13b); 제 2 유동 채널(16a)은 제 2 채널 출구(14b)를 갖는다; 제 3 유동 채널(12b)은 제 3 채널 출구(15b)를 갖는다; 그리고 제 4 유동 채널(16b)은 제 4 채널 출구(17b)를 갖는다.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은 서로의 위에 배열된다.
제 1 채널, 제 2 채널, 제 3 채널, 및 제 4 채널(12a, 16a, 12b, 16b)은 서로의 위에 배열된다. 그러나,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16a, 16b)은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에 수직으로 돌려져 있다.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은 서로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16a, 16b)은 서로 평행하다.
제 1 채널, 제 2 채널, 제 3 채널, 및 제 4 채널(12a, 16a, 12b, 16b)은 장방형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제 1 벽, 제 2 벽, 제 3 벽, 제 4 벽, 및 제 5 벽(20a, 20b, 20c, 20d, 20e)에 의해 구획된다.
입구 영역(11a)에서, 제 1 밀봉 수단(22a, 22b)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은 모든 제 2 쌍의 벽들(20b, 20c; 20d, 20e)의 제 1 주변 영역(24a)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입구 개구(14a)를 자유롭게 남겨두며, 상기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을 제 1 유동(A)을 위해 모든 다른 제 2 쌍들의 벽들(20a, 20b; 20c, 20d) 사이에 구획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밀봉 수단(23a, 23b)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은 모든 제 2 쌍의 벽들(20a, 20b; 20c, 20d)의 제 2 주변 영역(24b)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입구 개구(18a)를 자유롭게 남겨두며, 상기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16a, 16b)을 제 2 유동(B)을 위해 모든 다른 제 2 쌍들의 벽들(20b, 20c; 20d, 20e) 사이에 구획한다.
도 1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제 1 유동 채널 내지 제 4 유동 채널을 향하는 전반적인 유동(G)은 제 1 유동 채널과 제 3 유동 채널(12a, 12b), 및 제 2 유동 채널과 제 4 유동 채널(16a, 16b)에 의해 상기 제 1 유동(A), 및 상기 제 2 유동(B)으로 나누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벽들(20a 내지 20e)은 장방형 플레이트들의 형태이므로, 상기 제 2 주변 영역(24b)은 상기 제 1 주변 영역(24a)에 수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요소(40a)는 제 1 유동 채널(12a)을 형성하는 벽들(20a, 20b)에 의해 구성되며, 제 2 요소(40b)는 제 1 요소(40a)의 벽(20b) 및 그의 인접한 벽(20c)으로 구성되며, 제 2 요소의 벽들(20b, 20c)은 상기 제 2 유동 채널(16a)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3 요소(40c)는 제 3 유동 채널(14b)을 형성하는, 제 2 요소(40b)의 벽(20c) 및 그의 인접한 벽(20d)으로 구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 4 요소(40d)는 상기 제 4 유동 채널(16b)을 형성하는, 제 3 요소(40c)의 벽(20d) 및 그의 인접한 벽(20e)으로 구성된다.
벽들(20a 내지 20e)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향 에너지 소산성(sound energy dissipative)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다. 물론, 벽들 중 하나, 복수의 벽들, 또는 심지어 모든 벽들은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플레이트들의 각 모서리에 거리 유지 부재들(distance holder members)(50)을 포함하는 프레임(51)에 의해 사전결정된 거리로 유지되며, 이로써 유동 채널들(12a, 12b, 16a, 16b)의 일정한 단면을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상기 거리 유지 부재(50)는 가이드 수단(21), 즉 제 1 밀봉 부재 및 제 2 밀봉 부재(22a 내지 22b, 23a 내지 23b)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단부 플레이트가 제 1 요소(40a)의 상단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유동 채널들(12a, 16a, 12b, 16b)을 추가로 구획하기 위해, 가이드 수단(21)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즉 제 1 밀봉 부재 및 제 2 밀봉 부재(22a 내지 22b, 23a 내지 23b)의 반대 방향으로 출구 영역(11b)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방향 유동(A)가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 내에서 생성되고, 일방향 유동(B)가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16a, 16b) 내에서 생성되며, 유동(A)는 유동(B)와 수직이다.
음향 감쇠 장치를 통과한 후, 유동(A) 및 유동(B)는 덕트 내부에서 혼합될 것이다.
음향 감쇠 장치는 서로 수직하게 배열된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12a, 12b)을 형성하는 요소들(40a, 40b)만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b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제 1 벽, 제 2 벽, 제 3 벽, 제 4 벽, 제 5 벽, 및 제 6 벽(20a, 20b, 20c, 20d, 20e, 20f)들이, 세장형 접힘부들(elongated folds)(52)의 형태이며 또한 일체형 거리 부재들(50)을 구성하는 가이드 수단(21)을 구비하는 또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벽(20g)은 접힘부들이 없는 단부 플레이트(61)이다. 도 1b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벽들(20b, 20c; 20d, 20e; 및 20f, 20g) 간의 거리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매 두 번째 벽(20a, 20c, 20e)은 다른 매 두 번째 시트(20b, 20d, 20f)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된다(turned). 따라서, 제 1 벽(20a)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향된 제 2 벽(20b)을 지지하며, 이로써 접힘부들(52) 사이의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1 유동 채널(12a)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 2 벽(20b)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 3 벽(20c)을 지지하며, 이로써 접힘부들(52) 사이에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2 채널(16a)을 형성한다.
도 1b에서, 세장형 접힘부들(52) 중 거의 하나만이 제 2 벽(20b)에서 볼 수 있고, 그 특정 접힘부(52)의 전방에 제 2 채널(16a) 중 하나가 형성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는 제 4 벽(20d) 및 제 6 벽(20f)과 상응하여 관련된다.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3 벽(20c)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 4 벽(20d)을 지지하며, 이로써 접힘부들(52) 사이에서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3 유동 채널(12b)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4 벽(20d)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 5 벽(20e)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접힘부들(52) 사이에서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4 유동 채널(16b)을 형성한다.
또한, 제 5 벽(20e)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 6 벽(20f)을 지지하며, 접힘부들(52) 사이에서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5 유동 채널(12c)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 6 벽(20f)의 세장형 접힘부들(52)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 7 벽(20g)을 지지하며, 이로써 접힘부(52) 사이에서 병렬 채널들로 분할된 제 4 유동 채널(16c)을 형성한다. 물론, 또한 제 7 벽(20g)은 추가 벽 등과 함께 추가 유동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접힘부들(52)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벽(20a 내지 20f)은 접힘부들이 제공되며 그들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된 인접한 벽과 접촉하며, 이로써 제 2 유동 채널, 제 4 유동 채널, 및 제 6 유동 채널(16a, 16b, 16c)에 수직인 제 1 유동 채널, 제 3 채널, 및 제 5 유동 채널(12a, 12b, 12c)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요소(40a)는 제 1 채널(12a)을 형성하는 제 1 벽 및 제 2 벽(20a, 20b)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요소(40b)는 제 1 요소(40a)의 제 2 벽(20b) 및 그의 인접한 제 3 벽(20c)으로 구성되며, 제 2 요소(40b)의 벽들은 상기 제 2 채널(16a)을 형성한다; 제 3 요소(40c)는 제 3 채널(12b)을 형성하는, 제 2 요소(40b)의 제 3 벽(20c) 및 그의 인접한 제 4 벽(20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4 요소(40d)는 제 3 요소(40c)의 제 4 벽(20d) 및 그의 인접한 제 5 벽(20e)으로 구성되며, 제 4 요소(40d)의 벽들은 상기 제 4 채널(16b)을 형성한다.
또한, 제 5 요소(40e)는 제 4 요소(40d)의 제 5 벽(20e) 및 그의 인접하는 제 6 벽(20f)으로 구성되고, 제 5 요소(40e)의 벽들은 상기 제 5 채널(12c)을 형성한다.
제 6 요소(40f)는 제 5 요소(40e)의 제 6 벽(20f) 및 그의 인접하는 제 7 벽(20g)(즉, 단부 플레이트(61))에 의해 구성되며, 제 6 요소의 벽들은 상기 제 6 채널(16c)을 형성한다.
인접한 벽에 연결된 접힘부들(52)의 세장형 연장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은 유동(G)을 유동(A) 및 유동(B)으로 분리하는 밀봉 수단(도 1a 참조)의 필요성을 회피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같은 이유로, 벽들의 스택(stack)이 자체-지지하기 때문에, 프레임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접힘부들이 음향 에너지 소산성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음향 감쇠 효과를 증가시킬 것이며, 이는 음파들이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경우보다 음향 에너지 소산성 재료에 더 자주 부딪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요소(40a)는 도 1b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대응하도록 접힘부들(52)의 형태로 거리 유지 수단(50)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나, 상기 제 1 요소(40a)는 제 1 중간 벽(60a)에 대해 맞닿아 있다. 따라서, 다수의 병렬 제 1 채널들(12a)이 각각의 접힘부(52)와 제 1 중간 벽(60a)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요소(40b)는 제 2 중간 벽(60b)에 대해 맞닿아 있는 접힘부들(52)이 제공된 제 2 벽(20b)에 의해 구성되어, 이로써 다수의 병렬 채널들(16a)이 각각의 접힘부(52)와 제 2 중간 벽(60b) 사이에 형성된다.
다시, 제 3 요소(40c)는 제 3 중간 벽(60c)에 대해 맞닿아 있는 접힘부들(52)이 제공된 제 3 벽(20c)에 의해 구성되어, 이로써 다수의 병렬 채널들(14b)이 각각의 접힘부(52)와 제 3 중간 벽(60c)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4 요소(40d)는 제 4 중간 벽(60d)에 대해 맞닿아 있는 접힘부들(52)이 제공된 제 4 벽(20d)에 의해 구성되어, 이로써 다수의 병렬 채널들(16b)이 각각의 접힘부(52)와 제 4 중간 벽(60d) 사이에 형성된다.
수직으로 배열된 채널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요소(40a)는 제 2 요소(40b)에 수직으로 선회하고, 제 2 요소(40c)는 제 3 요소(40d) 등에 수직으로 선회한다.
물론, 도 1b 및 1c의 실시예들에서, 더 많거나 적은 채널들을 생성하기 위해 더 많거나 적은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요소들의 스택은 제 1 수직 채널 및 제 2 수직 채널(12a, 12b)을 형성하는 요소들(40a, 40b)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접힘부들(52)의 긴 형상(enlongation)은 유동(G)을 유동(A) 및 유동(B)로 분리하기 위한 밀봉 부재들(도 1a 참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요소들(40a 내지 40d)이 함께 용접되거나 접착되지 않는다면, 요소들(40a 내지 40d)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도 1b 및 도 1c의 실시예들에서, 도 1a에 도시된 것과 대응하는 방식으로 밀봉 부재는 모든 제 2 쌍의 벽들의 에지들에서 입구 영역(11a) 내에 물론 배열될 수 있으며, 유동(A)를 위한 유동 채널들(12a, 12b, 및 12c), 및 유동(B)을 위한 유동 채널들(16a, 16b, 및 16c)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구 영역(11b)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c의 실시예에서, 벽들(20a 내지 20d)은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 1 중간 벽 내지 제 4 중간 벽(60a 내지 60d) 중 임의의 하나, 복수, 또는 전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는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요소(40a)의 상단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a의 요소들(40a 내지 40d)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벽들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접힘부들은 없다.
도 2는 음향 감쇠 장치(10)가 융기부들(ridges)(70) 및 골부들(valleys)(72)을 갖는 장방형의 파형(corrugated)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벽들(20a 내지 20e)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형들의 융기부들(70) 및 골부들(72)은 거리 유지 부재들(50)을 포함하는 프레임(51)에 의해 동일한 수직 평면 내에 배열되고, 이로써 유동 채널들(12a, 12b, 16a, 및 16b)의 일정한 단면을 각각 생성한다.
유동(G)을 유동(A) 및 유동(B)으로 분리하기 위해, 제 1 요소를 구성하는 벽들(20a, 20b)은 제 1 주변 영역(24a)에 제 1 밀봉 부재(22a)의 형태로 가이드 수단(21)을 구비한다. 제 2 요소(40b)를 구성하는 벽들(20b, 20c)은 제 2 주변 영역(24b)에 제 2 밀봉 부재(23a)의 형태로 가이드 수단(21)을 구비한다. 제 3 요소(40c)를 구성하는 벽들(20c, 20d)에는 제 1 주변 영역(24a)에 제 3 밀봉 부재(22b)의 형태로 가이드 수단(21)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함께 제 4 요소(40d)를 구성하는 벽들(20d, 20e)은 주변 영역(24b)에 제 4 밀봉 부재(23b)의 형태로 가이드 수단(21)을 구비한다.
유동(A)은 융기부들(70) 위로, 그리고 골부들(72) 아래로 가압될 것이며, 그동안에 유동(B)은 실질적으로 직선일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벽들(20a 내지 20e)의 적어도 매 두 번째 벽,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모든 벽들(20a 내지 20e)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벽들(20a 내지 20e)은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로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단부 플레이트는 안정성을 추가하기 위해 제 1 요소(40a)의 상단 상에, 및 제 3 요소(40c)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파형(corrugation) 발생 후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파형 플레이트들의 형태인 벽들(20a 내지 20f)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10)를 도 1b의 음향 감쇠 장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들(20a 내지 20f)은 이웃하는 시트들의 융기부들(70) 및 골부들(72)이 실질적으로 수직 관계에 있고 서로에 대해 맞닿게 되도록 배열되며, 이로써 융기부들(70) 및 골부들(72)은 인접하는 벽(20a 내지 20f)에 대해 거리 유지 부재들(50)을 구성한다(도 3a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벽들은 서로로부터 다소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벽들(20a 내지 20f)은 서로에 대해 수직인 단부 영역(24a, 24b)을 각각 갖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파형 플레이트들의 스택을 형성한다.
사각형의 파형의 벽들(20a 내지 20f)은 서로에 대해 맞닿게 되는 영역들 또는 지점들에서 함께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벽들(20a 내지 20f)은 프레임에 의해 스택으로서 유지될 수 있지만, 벽들이 함께 접착되거나 용접되는 경우, 스택은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체 지지된다. 융기부들(70)과 골부들(72)을 서로를 향해 접착 또는 용접함으로써, 가이드 수단이 각각의 채널들에 대해 형성된다.
제 1 요소(40a)는 제 1 벽, 및 제 2 벽(20a, 20b)으로 구성된다. 제 2 요소(40b)는 제 2 벽, 및 제 3 벽(20b, 20c)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3 요소(40c)는 제 3 벽, 및 제 4 벽(20c, 20d)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4 요소(40d)는 제 4 벽, 및 제 5 벽(20d, 20e)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5 요소(40e)는 제 5 벽, 및 제 6 벽(20e, 20f)으로 구성된다.
제 1 유동 채널, 제 3 유동 채널, 및 제 5 유동 채널(12a, 12b, 12c)은 스택의 단부 영역(24a)에, 및 매 두 번째 벽(20b, 20c; 20d, 20e) 사이에 밀봉 수단(도시 생략)의 형태로 가이드 수단(21)을 배열함으로써 생성된다. 제 2 유동 채널, 및 제 4 유동 채널(16a, 16b)은 수직 단부 영역(24b), 및 스택의 다른 매 두 번째 벽(20a, 20b; 20c, 20d; 20e, 20f) 사이에 밀봉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밀봉 부재들은 생략되었다.
결과적으로, 제 1 유동 채널, 제 3 유동 채널, 및 제 5 유동 채널(12a, 12b, 12c)은 제 2 유동 채널, 및 제 4 채널(16a, 16b)에 수직이다.
선택적으로, 밀봉 부재들의 형태인 가이드 수단(21)은 스택의 수직인 채널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방향인 유동(즉, 파형들을 제외하고)을 생성하기 위해, 상응하는 방식으로, 즉 입구 영역에서의 밀봉 부재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출구 영역(11b)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단부 벽이 벽(20a)의 상단 상에 부가되는 경우, 이들 사이의 추가 유동 채널이 이들 사이에 형성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6 벽(20f) 아래에 단부 벽이 제공되는 경우, 추가 제 6 유동 채널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추가 파형 플레이트들을 추가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스택 내에 배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플레이트(61)의 아래에서, 제 1 요소(40a)는 도 1c의 것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파형의 제 1 벽(20a), 및 제 1 중간 벽(60a)을 포함한다.
단부 플레이트(61)를 향한 거리 유지 부재들(50)은 파형 벽(20a)의 융기부들(70)의 형태로 제공되고, 융기부들(70)은 단부 플레이트(61)에 대해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복수의 제 1 채널들(12a)이 각 융기부들(70)과 단부 플레이트(61) 사이에 형성된다(도 3b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벽들은 서로로부터 다소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제 1 벽(20a)의 반대 측 상에서, 골부들(72)은 함께 제 1 요소(40)를 형성하는 제 1 중간 벽(60a)에 대해 맞닿아 있다. 복수의 추가 제 1 채널들(12a')은 각 골부(72)와 제 1 중간 벽(60a)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단부 플레이트(61)는 제 1 벽(20a)과 함께 제 1 채널(12a)을 형성하는 반면, 제 1 요소(40a)는 제 1 채널(12a)과 평행한 추가 제 1 채널(12a')을 형성하며, 제 1 채널(12a) 및 추가 제 1 채널(12a') 모두 제 1 유동(A)을 위한 것이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2 요소(40b)는 제 2 벽(20b), 제 2 중간 벽(60b), 제 3 중간 벽(60c), 및 제 2 중간 벽 및 제 3 중간 벽(60b, 60c) 사이에 배열된 제 2 파형 벽(20b)을 포함한다. 제 2 파형 벽(20b)의 융기부들(70)은 제 2 중간 벽(60b)에 대하여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하며, 이로써 복수의 제 2 채널들(16a)은 융기부들(70)과 제 2 중간 벽(60b)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파형 벽(20b)의 골부들(72)은 제 3 중간 벽(60c)에 대하여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하며, 이로써 추가 복수의 제 2 채널들(16a')은 융기부들(70)과 제 2 중간 벽(60b)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채널들(16a) 및 추가 제 2 채널들(16a')은 평행 관계가 되며, 제 2 유동(B)을 위한 채널들을 구성한다.
제 2 요소(40b)의 제 2 파형 벽(20b)은 제 1 요소(40a)의 제 1 파형 벽(20a)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제 3 요소(40c)는 제 3 중간 벽(60c), 제 4 중간 벽(60d), 및 제 3 중간 벽과 제 4 중간 벽(60c, 60d) 사이에 배열된 제 3 파형 벽(20c)을 포함한다. 제 3 파형 벽(20c)의 융기부들(70)은 제 3 중간 벽(60c)에 대하여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하며, 이로써 복수의 제 3 채널들(12b)은 융기부들(70)과 제 3 중간 벽(60c)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3 파형 벽(20c)의 골부들(72)은 제 4 중간 벽(60d)에 대하여 거리 유지 부재들(50)을 구성하며, 이로써 복수의 추가 제 3 채널들(12b')이 골부들(72)과 제 4 중간 벽(60d) 사이에 형성된다. 제 3 채널들(12b) 및 추가 제 3 채널들(12b')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에 있고, 제 1 유동(A)을 위한 채널들을 구성한다.
제 3 요소(40c)의 제 3 파형 벽(20c)은 제 2 요소(40b)의 제 2 파형 벽(20b)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제 4 요소(40d)는 제 4 중간 벽(60d), 제 5 중간 벽(60e), 및 제 4 중간 벽과 제 5 중간 벽(60d, 60e) 사이에 배열된 제 4 파형 벽(20d)를 포함한다.
제 4 파형 벽(20d)의 융기부들(70)은 제 4 중간 벽(60d)에 대하여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하며, 이로써 복수의 제 4 채널들(16b)은 융기부들(70)과 제 4 중간 벽(60d)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4 파형 벽(20d)의 골부들(72)은 제 5 중간 벽(60e)에 대하여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하며, 이로써 복수의 추가 제 4 채널들(16b')은 골부들(72)과 제 5 중간 벽(60e) 사이에 형성된다. 제 4 채널들(16b) 및 추가 제 4 채널들(16b')은 평행 관계에 있고 제 2 유동(B)을 위한 채널들을 구성한다.
제 4 요소(40d)의 제 4 파형 벽(20d)은 제 3 요소(40c)의 제 3 파형 벽(20c)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제 5 요소(40e)는 제 5 중간 벽(60e), 제 6 중간 벽(60f), 및 제 4 중간 벽과 제 5 중간 벽(60e, 60f) 사이에 배열된 제 5 파형 벽(20e)을 포함한다. 제 1 요소 및 제 3 요소(40a, 40c)의 방식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5 중간 벽(60e) 및 제 5 파형 벽(20e)은 함께 제 5 채널(12c)을 형성하며, 제 6 중간 벽(60f) 및 제 5 파형 벽(20e)은 함께 추가 제 5 채널(12c')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5 채널(12c)과 제 5 채널(12c')은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제 5 요소(40e)의 제 5 파형 벽(20e)은 제 4 요소(40d)의 제 4 파형 벽(20d)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5 채널(12c)과 추가 제 5 채널들(16c')은 평행 관계에 있고, 제 2 유동(A)을 위한 채널들을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음향 감쇠 장치(10)를 통해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인 제 1 유동(A) 및 제 2 유동(B)로 유동(G)을 분리하기 위해서, 제 1 요소, 제 3 요소, 및 제 5 요소(40a, 40c, 40e)의 유동 채널들 및 추가 유동 채널들(12a, 12a', 12b, 12b', 12c, 12c')은 서로 병렬이며, 제 2 요소 및 제 4 요소(40b, 40d)의 유동 채널들 및 추가 유동 채널들(16a, 16a', 16b, 16b')에 수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든 채널들(12a, 12b, 16a, 16b)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치수들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도, 융기부들(70) 및 골부들(72)의 신장은 유동(G)를 제 1 유동(A)과 제 2 유동(B)으로 분리하기 위한 밀봉 부재들의 형태의 거리 유지 부재들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G)는 플레이트들의 코너에서 프레임 형태의 거리 유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유동(A) 및 유동(B)로 분리될 것이다.
물론, 도 3a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스택의 매 두 번째 요소 사이에 밀봉 부재들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시, 벽들(20a 내지 20f) 및 중간 벽들(60a 내지 60f)은 프레임(51)에 의해 스택으로서 함께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 또는 챔버 내에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4는 환형 융기부들(70) 및 골부들(72)을 구비한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벽들(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0I)을 도시한다. 스택의 일부는 도면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잘린다.
주변 영역(24a) 내에, 및 음향 감쇠 요소의 입구 영역(11a)과 출구 영역(11b)에서의 매 두 번째 벽 사이에는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e)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이 제공된다. 또한, 수직의 주변 영역(24b) 내에서, 및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11a, 11b) 사이에는 밀봉 부재들(23a 내지 23f)이 제공된다.
이로써, 전반적인 유동(G)을 유동 채널들(12a 내지 12f) 내의 제 1 유동(A)및 유동 채널들(16a 내지 16e) 내의 제 2 유동(B)로 분리하기 위해, 거리 유지 수단(50)은 벽들(20a 내지 20l)의 스택을 서로 원하는 거리에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e, 및 23a 내지 23f)의 크기는 유동 채널들(12a 내지 12f, 및 16a 내지 16e)의 일정한 단면이 달성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e)의 크기는 밀봉 부재들(23a 내지 23f)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f)의 크기는 밀봉 부재들(23a 내지 23f)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나선형 융기부(spirally shaped ridge)(70) 및 나선형 골부(72)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벽들(20a 내지 20e)의 스택의 분해도이다. 시트들을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하게 또는 180° 회전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시트들의 융기부(70) 및 골부(72)가 거리 유지 수단(50)을 구성할 것이다. 벽들의 스택은 융기부들(70)과 골부들 사이의 접촉 영역들에서 함께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단지 맞닿을 수 있다.
물론, 이들을 서로 접착 또는 용접하는 대신에, 적절한 거리 유지 수단(도 4 참조)에 의해 서로로부터 떨어진 파형 플레이트들을 벽들의 스택 내에 배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스택의 벽들이 함께 접착되는지의 여부를 무시하고,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벽들을 서로로부터 떨어지게 유지하고 유동(G)을 유동(A) 및 유동(B)로 분리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주변 영역 내에, 및 음향 감쇠 요소의 입구 영역(11a)과 출구 영역(11b)에서의 매 두 번째 벽 사이에는 밀봉 부재들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면은 생략됨)이 제공된다. 또한, 밀봉 부재들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은 수직의 주변 영역 내에, 및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11a, 11b)에서의 매 다른 두 번째 벽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결과는 이러한 경우 스택의 상호 수직한 채널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직선 유동(나선형 융기부들 및 골부들에 의해 유발된 것을 제외함)을 생성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직선 유동 경로이다.
또한, 벽들을 융기부들 및 골부들의 2개 이상의 평행한 나선들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매 두 번째 벽을 90° 또는 180°로 돌리는 대신 위아래로 뒤집을 수 있다.
도 6은 반대 방향으로 네거티브 범프(negative bump)(72')의 형태로 유사하게 형성된 만입부들(indentations)에 의해 둘러싸인, 포지티브 범프(positive bump)(70')의 형태로 돌출부들이 제공된 정사각형 플레이트들의 형태의 벽들(20a 내지 20e)의 스택을 도시한다.
제 1 밀봉 부재들(22a, 22b)은 일 측 상의 영역들(24a)에서의 매 두 번째 벽 사이에 배열되는 반면, 제 2 밀봉 수단은 유동(G)을 채널들(12a 내지 12c) 내의 제 1 유동(A) 및 유동 채널들(16a, 16b, 16c) 내에서의 제 2 유동(B)으로 분리하기 위해 수직 영역(24b)에서의 다른 매 두 번째 벽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단면을 갖는 유동 채널들(12a 내지 12c), 및 동일한 단면을 갖는 유동 채널들(16, 16b)을 달성하기 위해서,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c 및 23a 내지 23b)의 형태의 조합된 가이드 수단(21) 및 거리 유지 수단(50)은 이웃하는 벽들의 포지티브 범프들(70')이 서로의 위로 배열되며, 네거티브 범프들(72')이 서로의 위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호 수직한 유동 채널들의 원하는 단면을 달성하고/하거나 덕트 또는 챔버 내에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장방형 단면을 갖는 덕트(100) 내에 배치된, 도 1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종류의 음향 감쇠 장치(10)를 도시한다.
음향 감쇠 장치는, 유동 채널들(12a, 12b, 12c) 및 유동 채널들(16a, 16b, 16c)이 전반적인 유동(G)을 제 1 유동(A) 및 제 2 유동(B)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정사각형 벽들(도 1b의 20a 내지 20f 참조) 및 단부 플레이트(61)를 구비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플레이트들의 스택의 코너, 또는 즉, 플레이트들의 스택의 대각선은 유동 방향(G)을 향한다.
음향 감쇠 장치를 지난 후, 덕트(10)의 유동 방향으로, 유동들(A 및 B)은 다시 전반적인 유동(G)으로 혼합될 것이다. 추가 단부 플레이트가 스택의 하단, 즉 채널(16c)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b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세장형 접힘부들(52)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은 거리 유지 수단(50)뿐만 아니라, 밀봉 부재들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접힘부들은 인접한 벽을 향해 용접되거나 접착된다.
도 7에 도시된 음향 감쇠 장치 대신에, 도 1c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종류의 음향 장치, 즉 중간 벽들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가 덕트(100)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벽들의 정사각형 모양이 선택되는 경우에, 도 2, 도 3a, 도 3b, 도 4,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의 음향 감쇠 장치는 덕트(100)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또한, 스택의 대각선은 유동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는 특히 덕트 벤드(duct bend) 직전에 덕트 내부에 장착된 음향 장치가 있는 경우이다.
상기 덕트의 횡단면은 물론 장방형이 아닌 정사각형일 수 있다.
도 8a는 원통형 하우징(90)의 형태인 프레임(51), 및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10° 내지 150°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140°,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 가장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4°의 범위로 배열된 장방형 요소들(40) 또는 벽들(20)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10)를 구비하는 원통형 덕트(100)를 도시한다.
원통형 하우징(90)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그의 신장(elongation)을 통해 축을 가로지르는 개방 단부들(91a, 91b)을 갖는다. 따라서, 요소들(40) 또는 벽들(20)의 에지들은 실린더의 개방 단부들(91a, 91b)을 통하여 연장된다. 물론, 벽들의 폭은 하우징(90)의 원통형 형상으로 인해 벽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더욱 더 좁아진다.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원통형 덕트(100) 내로의 용이한 설치는 원통형 하우징(90)의 개방 단부들(91a, 91b)과 일치하도록 장방형 요소들(40) 또는 벽들(20)의 에지들을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벽들(20 등)은 절단 직후에 직각이 아닌 평행사변형의 형태가 될 것이며, 즉 측변들이 동일한 길이인 경우, 각 벽은 마름모 형태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음향 감쇠 장치(10)는 벽들(20a 내지 20x), 및 또한 밀봉 부재들(22a 내지 22g; 23a 내지 23f)의 형태의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는 요소들(40a 내지 40k)을 구비하는 원통형 유닛(92)으로 형성된다.
제 1 밀봉 부재들(22a, 22b 등) 및 제 2 밀봉 부재들(23a, 23b 등)은 실린더 내에서 유동(G)을 십자형으로(in a cross-wise manner)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유닛(92)의 원형 단면으로 인해, 마름모(20e)의 폭은 마름모(20a 및 20)의 폭보다 넓다
물론 장방형(도 7 참조)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덕트 내부에 장방형 요소들 또는 벽들을 구비하는 음향 감쇠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의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벽(20a)(부분적으로 파단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하우징(90)(부분적으로 파단됨)의 형태인 가이드 수단(21)과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나, 하우징(90)의 지름보다 지름이 더 작은 제 1 중간 벽(60a)(부분적으로 파단됨)의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원통형 하우징(90), 제 1 벽(20a), 중간 벽(60a) 및 제 2 벽(20b)의 축 방향 연장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중간 벽(60b)의 축 방향 연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우징(90) 및 제 1 중간 벽(60a)의 직경들은, 필요하다면, 융기부들(70)은 예를 들어 하우징(90)의 내부에 접착함으로써 연결되고, 필요하다면, 골부들(72)은제 1 중간 벽(60a)의 외부에 연결되도록 선택된다. 이로써 추가 제 1 유동 채널(12a')에 평행한 제 1 유동 채널(12a)을 갖는 제 1 요소(40a)가 생성된다.
또한, 파형 플레이트 형태의 제 2 벽(20b)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중간 벽(60a)의 내부에 배열된다.
벽(20b)의 직경은, 필요하다면 그의 융기부들(70)이 제 1 원통형 중간 벽(60a)의 내부에,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제 1 원통형 중간 벽(60a)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원통형 벽(60b)은 상기제 2 벽(20b)의 내부에 배열된다. 제 2 원통형 중간 벽(60b)의 직경은 제 2 파형의 원통형 시트(20b)의 골부들(72)이 제 2 원통형 중간 벽(60b)의 외부에, 예를 들어, 필요하다면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이로써, 추가 제 2 유동 채널(16a')과 평행한 제 2 유동 채널(16a)을 갖는 제 2 요소(40b)가 생성된다.
제 2 파형의 원통형 벽(20b)은 그의 파형들이 제 1 파형의 원통형 벽(20a)의 파형들에 실질적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at an angle) 배열된다. 따라서, 제 1 유동(A)을 위한 제 1 유동 채널(12a) 및 그의 평행한 추가 제 1 유동 채널(12a')은 제 2 유동(B)을 위한 제 2 유동 채널(16a) 및 그의 평행한 추가 제 2 유동 채널(16a')에 상기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각도는 10° 내지 150°,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140°,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 가장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4° 범위일지라도 수직일 수 있다.
도 9에는 단지 2개의 요소들(40a, 40b)만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실린더의 중심을 향한 추가 요소들(40c, 40d, 등)은 도면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생략되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제 1 원통형 중간 벽 및 제 2 원통형 중간 벽(60a, 60b)은 제외될 수 있다. 대신에, 제 1 파형의 벽(20a)의 골부들(72)을 제 2 파형의 시트 벽(20b)의 융기부들(70)에 수직으로 연결함으로써(도 3a 참조), 제 1 파형의 벽 및 제 2 파형의 벽(20a, 20b)은 서로에게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술된 음향 감쇠 장치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벽들의 수는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각각 상호교환가능하게 적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술된 음향 감쇠 장치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의 수는 다른 실시예들과 각각 상호교환가능하게 적용가능하다. 벽들의 수는 2개 요소들의 중간 벽을 형성하는 단일 벽만큼 적을 수 있다.
상술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벽들(20a, 20b) 중 하나, 복수의 벽들 또는 전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를 구비한다. 물론, 그것은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에 의해 완전히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감쇠 요소(16)의 흡수도는 천공 정도에 따라 다르다. 원형 구멍들이 있는 시트나 플레이트의 천공 정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미세-슬릿들 또는 미세-크랙들을 구비하는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천공 정도는 계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따라서, 단위 RaylsMKS를 사용하여 천공 정도와 비슷한 크기를 얻기 위해 ASTM C 522-73에 기술된 허용된 방법에 따라 공기 유동 저항(airflow resistance)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문맥에서 1 RaylsMKS = 1N·s/m3 = 1Pa·s/m = 1kg/s·m2임을 주목해야 한다.
한 종류의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140)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미세-슬릿들(150)을 구비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미세-천공된 시트의 형태이다. 미세-천공된 흡음 요소의 공기 유동 저항은, 100RaylsMKS 내지 10 000RaylsMKS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나, 400RaylsMKS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00RaylsMKS 내지 1000RaylsMKS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더욱 특히는 300RaylsMKS 내지 500RaylsMKS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흡음 요소의 미세-슬릿들(150)은 바람직하게는 시트(140)를 물결 모양을 갖는 나이프 롤(knife roll)에 의해 다른 에지에 대해 절단함으로써 제조되고, 이로써 재료 평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가압되는 제 1 슬릿 에지(150a) 및 제 2 슬릿 에지(150b)가 생성된다.
그 후, 제 1 슬릿 에지 및 제 2 슬릿 에지(150a, 150b)는 후속하는 롤링 작업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사전결정된 길이(154) 및 사전결정된 폭(156)의 미세-슬릿들(150)이 형성된다. 폭(156)은 바람직하게는 10-10m 내지 10-3m의 범위 내에 있다. 미세-슬릿들(18)의 길이(22)는 10-10m 정도로 작을 수 있지만, 단일 시트(140)로 구성된 벽(20a, 20b 등)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측 방향 연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절단은 대신에 레이저 또는 워터 제트 절단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미세-천공들은 대안적으로 미세-크랙들, 또는 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임의의 형상의 관통 구멍들로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들은 압축 금속 섬유들(compressed metal fibres) 또는 소결 재료(sintered material)로 구성되거나, 부직포 또는 직물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음향 임피던스는 인접한 채널들 간의 전송 손실들에 의해 생성된다.
물과 같은 액체, 또는 덕트 또는 챔버 내의 공기와 같은 가스에 의한 유체 유동은 소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소음은, 예를 들어 환기 시스템 내 또는 환기 시스템의 수냉 시스템 내에서의 물과 같은, 덕트 또는 챔버에 연결된 펌프 또는 팬의 사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소음은 대안적으로 펌프 또는 팬 또는 압축기 또는 연소 엔진의 사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연소 엔진의 경우, 머플러는 일반적으로 매니폴드(manifold) 뒤의 배기장치(exhaust)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술된 음향 감쇠 장치는 매니폴드의 하나, 또는 여러 개, 또는 모든 튜브들 내에 배치될 수 있어, 배기 라인 내에서 초기 단계에서 소음을 제거하는 이점을 제공하여 라인의 타 단부 내의 공간을 절약하며, 따라서 배기장치 소음기는 보다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시트의 두께는 10-10m 내지 2mm, 보다 구체적으로는 10-9m 내지 1m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8m 내지 0.9mm의 범위 내에 있다.
미세-슬릿들(150) 대신에 미세-천공된 흡음 요소는 10-10m 내지 10-3m의 직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관통-구멍들을 구비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미세-슬릿들(150)의 길이(154) 및 폭(156)은, 시트(140)가 공기 유동 저항의 상기 기술된 범위를 갖는 천공 정도를 갖도록 슬릿들(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상기 기술된 미세-천공들)의 수와 조합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감쇠 장치(10)는, 화학 공장들과 같은 산업 분야들에서의 굴뚝들 내에서, 예를 들어 엔진들을 분사하는 입구들, 차량들용 배기관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들의 흡음 장치에는 프레임(51)이 구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감쇠 장치의 사용을 무시하고, 유체 유동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전송 손실들을 줄이기 위해, 단면의 감소는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벽들의 두께 및/또는 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70%의 요소들의 유동 채널들의 전체 단면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낮은 유동 저항이 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벽들의 사전결정된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0%의 유동 채널들의 총 단면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선택된 벽들의 수에 따라, 유동 채널들의 총 단면적을 적어도 95%, 또는 심지어 97% 초과로 달성할 수 있다.
실례
환기 덕트는 15cm * 15cm의 단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감쇠 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방식으로 덕트(100) 내에 구비된다.
플레이트들(20a 내지 20e)의 스택은 1mm의 두께를 가지며, 이로써 6개의 유동 채널들을 형성한다(도 1b 참조).
덕트의 횡단면은 15 * 15cm = 225cm2이고, 5개의 플레이트들의 두께는 합쳐서 5mm이다. 따라서, 5개의 플레이트들의 단면적은 합쳐서 15 cm * 0.5 cm = 7.5 cm2이다.
결과적으로, 덕트의 단면적과 스택의 유동 채널들의 총 단면적 간의 관계는 (225-7.5)/225 = 0,97, 즉 97%이다.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12a, 12b)은 제 2 및 제 4 채널(16a, 16b)에 수직으로, 그리고 제 1 유동(A) 및 제 2 유동(B) 모두 전반적인 유동(G)에 대해 45°가 되도록 덕트의 전반적인 유동(G)에 대하여 배열된다.
전반적인 유동 방향(G)과 관련하여 각진 채널들(12a, 12b, 16a, 16b)에 의해 음향 에너지 손실들이 채널들 내에서 직접 달성되며, 이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모든 채널들의 입구가 덕트의 전반적인 유동에 대해 모두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플레이트들이 미세-천공된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세-천공들을 통한 채널들(12a, 12b, 16a, 16b) 간의 압력 차들로 인해 음향 에너지 손실들이 발생할 것이다.
A 제 1 유동
B 제 2 유동
G 전반적인 유동
10 음향 감쇠 장치
11a 입구 영역
11b 출구 영역
12a 제 1 유동 채널
12a' 추가 제 1 유동 채널
12b 제 3 유동 채널
12b' 추가 제 3 유동 채널
12c 제 5 유동 채널
12c' 추가 제 5 유동 채널
13a 제 1 채널 입구
13b 제 1 채널 출구
14a 제 2 채널 입구
14b 제 2 채널 출구
15a 제 3 채널 입구
15b 제 3 채널 출구
16a 제 2 유동 채널
16a' 추가 제 2 유동 채널
16b 제 4 유동 채널
16b' 추가 제 4 유동 채널
16c 제 6 유동 채널
17a 제 4 채널 입구
17b 제 5 채널 출구
20a 내지 20g 벽
21 가이드 수단
22a, 22b 제 1 밀봉 수단 및 제 3 밀봉 수단
23a, 23b 제 2 밀봉 수단 및 제 4 밀봉 수단
24a, 24b 주변 영역
40a 제 1 요소
40b 제 2 요소
40c 제 3 요소
40d 제 4 요소
40e 제 5 요소
50 거리 유지 부재
51 프레임
52 접힘부
60a 내지 60d 중간 벽
61 단부 플레이트
70 융기부
70' 포지티브 범프
72 골부
72' 네거티브 범프
90 원통형 하우징
91a, 91b 개방 단부
92 원통형 유닛
100 덕트
140 시트
150 미세-슬릿들
150 제 1 슬릿 에지
150b 제 2 슬릿 에지
154 길이
156 폭

Claims (28)

  1.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 감쇠 장치(sound damping device)로서,
    제 1 채널 입구(13a) 및 제 1 채널 출구(13b)를 갖는 제 1 채널(12a)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벽(20a)을 포함하는 제 1 요소(40a), 및
    제 2 채널 입구(14a) 및 제 2 채널 출구(14b)를 갖는 제 2 채널(16a)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벽(20b)을 포함하는 제 2 요소(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40a, 40b)는 함께 입구 영역(11a) 및 출구 영역(11b)을 갖는 스택 또는 롤(roll)을 형성하고,
    상기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반대편에 있으며,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40a, 40b)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acoustic energy dissipative sheet material)를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40a)는 상기 제 1 채널(12a)을 더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요소(40b)는 상기 제 2 채널(16a)을 더 구획하는 제 2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수단 및 제 2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1 채널(12a)이 제 2 채널(16a)에 대하여 제 1 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감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1 채널의 입구(13a)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22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2 채널의 입구(14a)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23a)를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1 채널의 출구(13b)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제 2 채널의 출구(14b)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21)의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1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2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는, 음향 감쇠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전체 단면적은 상기 음향 감쇠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채널의 단면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음향 감쇠 장치는 각각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12a; 16a)의 입구(13a, 14a)로부터 출구(13b, 14b)로의 실질적인 압력 강하를 일으키지 않는, 음향 감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은 10° 내지 150°, 더 구체적으로 30° 내지 140°,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100°, 더 구체적으로 60° 내지 94°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 감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채널 입구(15a) 및 제 3 채널 출구(15b)를 갖는 제 3 채널(12b)의 적어도 하나의 제 3 벽(20c)을 포함하는 제 3 요소(40c), 및
    제 4 채널 입구(17a) 및 제 4 채널 출구(17b)를 갖는 제 4 채널(16b)의 적어도 하나의 제 4 벽(20d)을 포함하는 제 4 요소(40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요소 및 제 4 요소(40c, 40d)는 함께 상기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40a, 40b)와 함께 스택 또는 롤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요소 및 제 4 요소(40c, 40d)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요소(40c)는 상기 제 3 채널(12b)을 더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요소(40d)는 상기 제 2 채널(16a)을 더 구획하는 가이드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채널(40c)은 상기 제 3 채널(12b)이 제 2 채널(16a)에 대하여 제 2 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요소(40b)에 대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 4 요소(40d)는 상기 제 3 채널(12b)이 제 4 채널(16b)에 대해 제 3 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3 요소(40c)에 대해 배열되는, 음향 감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및 제 3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제 2 채널 및 제 4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음향 감쇠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3 채널의 입구(15a)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4 채널의 입구(17a)에 근접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3 채널의 출구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제 4 채널의 출구(17b)에 근접한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 수단(21)의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3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 4 가이드 수단(21)의 가이드 부재 및 추가 가이드 부재는 함께 상기 제 2 채널을 측 방향으로 구획하는, 음향 감쇠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은 10° 내지 150°, 더 구체적으로 30° 내지 140°,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100°, 더 구체적으로 60° 내지 94°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 감쇠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40a)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요소(40b)의 벽(20b)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40a)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요소를 인접한 요소(40b)로부터 분리시키는 중간 벽(intermediate wall)(60a)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매 두 번째 벽(at least every second wall)(20a, 20b)은 인접한 벽(20b; 60a)에 대해 거리 유지 부재들(50)을 구성하는 돌출부들 및/또는 만입부들(70, 72)을 구비하는, 음향 감쇠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및/또는 만입부들(70, 72)은 상기 채널들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배열되는, 음향 감쇠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또는 프레임이 상기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또는 프레임은 상기 덕트 내부에 끼워지는, 음향 감쇠 장치.
  1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하우징은, 상기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의 입구들의 이등분선(bisector)이 실질적으로 상기 채널의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채널 내부의 스택 요소 또는 롤 요소를 유지하게 구성되는, 음향 감쇠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의 채널들의 전체 단면적은,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70%, 특히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0%,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5%,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택의 단면적의 적어도 97%인, 음향 감쇠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20a, 20b)은, 장방형, 정사각형, 마름모와 같은 평행사변형, 또는 디스크형(112a, 112b)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들로서 형성되는, 음향 감쇠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경질 금속(hard metal),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음향 감쇠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미세-다공성(micro-porous)인, 음향 감쇠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미세-슬릿들(micro-slits)과 같은 미세-천공들(micro-perforations)을 구비하는, 음향 감쇠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소결된 금속 또는 소결된 초경 합금(sintered cemented carbide)을 포함하는, 음향 감쇠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의 두께는 10-9 m 내지 2 mm, 더 구체적으로 10-8 m 내지 1 m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7 m 내지 0.9 mm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 감쇠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의 공기 유동 저항(air flow resistance)은 100 내지 10,000 RaylsMKS, 더 구체적으로 200 내지 1000 RaylsMKS, 더 구체적으로 300 내지 500 RaylsMKS 범위 내에 있는, 음향 감쇠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에너지 소산성 시트 재료는 천공되지 않은 시트 형태의 멤브레인 완충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완충 재료의 두께는 10-9 m 내지 1 mm, 더 구체적으로 10-8 m 내지 0.7 mm, 더 구체적으로 10-7 m 내지 0.5 mm인, 음향 감쇠 장치.
  2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 제 3 각, 및 제 4 각은 실질적으로 90°인, 음향 감쇠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은 실질적으로 90°인, 음향 감쇠 장치.
KR1020187035105A 2016-05-04 2017-05-04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KR102182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1700P 2016-05-04 2016-05-04
EP16168396.6A EP3242293B1 (en) 2016-05-04 2016-05-04 A sound damping device for a duct or chamber
EP16168396.6 2016-05-04
US62/331,700 2016-05-04
PCT/EP2017/060712 WO2017191286A1 (en) 2016-05-04 2017-05-04 A sound damping device for a duct or cha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741A true KR20190003741A (ko) 2019-01-09
KR102182473B1 KR102182473B1 (ko) 2020-11-24

Family

ID=5597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105A KR102182473B1 (ko) 2016-05-04 2017-05-04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11042B2 (ko)
EP (3) EP3242293B1 (ko)
KR (1) KR102182473B1 (ko)
CN (1) CN109074795A (ko)
DK (1) DK3242293T3 (ko)
ES (1) ES2710337T3 (ko)
PL (1) PL3242293T3 (ko)
WO (2) WO20171912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0512A1 (en) * 2018-09-13 2020-03-19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Vehicular sensor network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347A1 (fr) * 2016-12-23 2018-06-29 Airbus Operations Procede d'obtention d'une couche acoustique poreuse et couche acoustique poreuse ainsi obtenue
FR3088133B1 (fr) * 2018-11-06 2021-06-04 Airbus Operations Sas Structure d’absorption acoustique comprenant des cellules avec au moins un canal annulaire, ensemble propulsif d’aeronef comprenant ladite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7597A1 (de) * 1991-12-18 1993-09-01 Rex-Patent Graf von Rex KG Thermisches und akustisches Isolierlaminat
JP2004520530A (ja) * 2001-02-09 2004-07-08 エンクラバン アクチエボラーク サイレンサとサイレンサを有する排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1944A (en) 1959-03-18 1962-05-01 Thermotank Inc Ceiling air diffuser
DE1201528B (de) 1959-06-25 1965-09-23 Bahco Ab Geraeuschdaempfer fuer Ventilationsaggregate
DE3022850A1 (de) * 1980-06-19 1982-01-07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Hamburg Und Kiel, 2300 Kiel Kassette fuer laermschutzwaende
DE3642056A1 (de) 1986-12-09 1988-06-23 Mueller E Gmbh & Co Luftauslassvorrichtung fuer lueftungs- und klimaanlagen
DE9300388U1 (ko) 1993-01-14 1993-03-11 H. Krantz Gmbh & Co, 5100 Aachen, De
DE9402754U1 (de) 1994-02-21 1994-05-05 Trox Gmbh Geb Schalldämpfkulisse für Schalldämpfer in lüftungstechnischen Anlagen
SE506188C2 (sv) 1996-01-25 1997-11-17 Dale Edward Knipstein Ljudabsorberande element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detta element samt användning av elementet
WO1999034974A1 (de) 1997-12-30 1999-07-15 Rieter Automotive (Internationa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solationspaketes für ein isolationsteil
PL194357B1 (pl) * 2000-04-17 2007-05-31 Rieter Automotive Internat Ag Sposób wytwarzania stosu z tłoczonych wstęg foliowych oraz stos z tłoczonych wstęg foliowych na osłonę cieplną pojazdu
DE10121940C1 (de) 2001-05-05 2003-01-23 Howatherm Klimatech Gmbh Absorptionsschalldämpfer für raumlufttechnische Anlagen
WO2006098694A1 (en) * 2005-03-18 2006-09-21 Tumane Enterprises Limited A sound dampening flow channel device
EP1715189B1 (de) * 2005-04-22 2013-12-04 Kaeser Kompressoren AG Schalldämpfer ausgebildet und bestimmt für einen Kompressor
DE102005027314A1 (de) * 2005-06-13 2006-12-14 Müller, Ulrich, Dr.-I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chtbaubleches
JP2007101959A (ja) * 2005-10-05 2007-04-19 Kobe Steel Ltd 防音パネルおよび防音壁
JP4879320B2 (ja) * 2006-05-24 2012-02-22 エアバス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輸送の手段の音波吸収内側のクラッディングのためのサンドイッチ部材、特に、航空機の音波吸収内側のクラッディングのためのサンドイッチ部材
SE531516C2 (sv) * 2007-09-25 2009-05-05 Scania Cv Ab Ljuddämpande arrangemang
DE102007046256A1 (de) * 2007-09-26 2009-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kustikoptimierte Flüssigkeitsleitung
SE536860C2 (sv) * 2012-02-23 2014-10-07 Noisetech Hb En ljudabsorbent
ITPI20130048A1 (it) * 2013-06-04 2014-12-05 Rolando Masini Struttura perfezionata di materiale composito fonoisolante
NO337032B1 (no) * 2014-04-29 2016-01-04 Deamp As Lydabsorberende film
US9704467B1 (en) * 2016-04-15 2017-07-11 Rohr, Inc. Acoustic panel with corrugated baffles and septums
US10851713B2 (en) * 2017-08-29 2020-12-01 Mra Systems, Llc. Acoustic liner having internal structure
FR3088133B1 (fr) * 2018-11-06 2021-06-04 Airbus Operations Sas Structure d’absorption acoustique comprenant des cellules avec au moins un canal annulaire, ensemble propulsif d’aeronef comprenant ladi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7597A1 (de) * 1991-12-18 1993-09-01 Rex-Patent Graf von Rex KG Thermisches und akustisches Isolierlaminat
JP2004520530A (ja) * 2001-02-09 2004-07-08 エンクラバン アクチエボラーク サイレンサとサイレンサを有する排気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0512A1 (en) * 2018-09-13 2020-03-19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Vehicular sensor network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3016A1 (en) 2019-03-13
CN109074795A (zh) 2018-12-21
DK3242293T3 (en) 2019-01-28
EP3242293B1 (en) 2018-12-05
WO2017191291A1 (en) 2017-11-09
EP3453017A1 (en) 2019-03-13
PL3242293T3 (pl) 2019-05-31
EP3242293A1 (en) 2017-11-08
KR102182473B1 (ko) 2020-11-24
ES2710337T3 (es) 2019-04-24
US11211042B2 (en) 2021-12-28
US20190147842A1 (en) 2019-05-16
WO2017191286A1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476B2 (en) Sound dampening flow channel device
US4287962A (en) Packless silencer
US9574791B2 (en) Acoustic dispersing airflow passage
US8083026B1 (en) Diffuser muffler
US20170276397A1 (en) Sound Attenuating Baffle Including a Non-Eroding Liner Sheet
KR102182473B1 (ko)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US10260772B2 (en) Duct mounted sound attenuating baffle with an internally suspended mass layer
EP3245649B1 (en) A panel for sound suppression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JP2006313055A (ja) 換気風洞用消音器
JP2005009483A (ja) 多孔板消音構造
CN209944712U (zh) 消声件、消声器以及通风系统
EP0006955B1 (en) Packless silencer
CN209944714U (zh) 消音装置及空调器
CN108800518B (zh) 扩散消声装置及通风通道消声系统
JP6767800B2 (ja) 消音ユニットおよび消音ユニットを用いた消音構造体
CN213272874U (zh) 消声装置及全热交换系统
RU2752539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ш) (варианты)
JP2018028599A (ja) 消音部材およびこの消音部材を用いた消音構造体
CZ5392U1 (cs) Buňkový tlumič hluk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