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110U -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110U
KR20190003110U KR2020180002522U KR20180002522U KR20190003110U KR 20190003110 U KR20190003110 U KR 20190003110U KR 2020180002522 U KR2020180002522 U KR 2020180002522U KR 20180002522 U KR20180002522 U KR 20180002522U KR 20190003110 U KR20190003110 U KR 20190003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tow
line
length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정
Original Assignee
김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정 filed Critical 김윤정
Priority to KR2020180002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110U/ko
Publication of KR20190003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와 함께 이동시 애견용 견인줄을 견인하는 수단인 손잡이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손을 대신하여 어깨끈에 부착된 회전형 연결고리에 견인줄의 손잡이를 고정함으로써 두 손이 자유로운 형태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반려견을 견인할 수 있도록 개선한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람에게 착용하는 고정구(10)로서 어깨끈(111)과 흉부 고정끈(112)으로 구성된 착용구(11)와 착용구 위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12)로 구성되며, 이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 손잡이를 연결하고 자동줄 회전고리에 일정 길이의 견인줄을 연결한 뒤 견인줄의 회전고리에 개의 목줄 또는 가슴줄(하네스)을 연결하여 사람과 개의 이동과 야외 산책 시 견인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Description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A hands-free movable fixing device for dog lead}
본 고안은 개와 함께 이동시 애견용 견인줄을 견인하는 수단인 손잡이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손을 대신하여 어깨끈에 부착된 회전형 연결고리에 견인줄의 손잡이를 고정함으로써 두 손이 자유로운 형태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를 견인할 수 있도록 개선한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개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대표적인 반려동물이며 점점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개의 산책은 개의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최근 사람이 개에게 물리는 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개의 견인줄(리드줄)을 이용한 제어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반려견과의 이동시 개의 견인줄의 착용이 의무화 된 만큼 사람과 개 양쪽 모두의 안전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견인줄의 제어는 매우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
사람과 개가 함께 이동시 보통 견인줄의 손잡이를 사람이 한 손으로 잡고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사람의 손목에 견인줄의 손잡이를 감거나 사람의 허리에 묶어 견인줄을 고정하는 형태도 있다.
사람의 손으로 견인줄을 제어하는 방법보다는 확실히 사람의 손이 자유로울 수 있는 형태인 손목에 감거나 허리에 견인줄을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측면이 있다. 양 손이 자유로워지게 되면 보행이 한결 편해지고 응급상황 발생 시에도 빠른 대처를 할 수 있게 되며 견인줄을 놓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손목 또는 허리에 견인줄을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견인줄이 바닥에 끌려서 개와 사람의 몸에 엉키는 문제, 개가 묶여있는 사람의 몸을 중심으로 이리저리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견인줄의 꼬임 문제, 두 마리 이상의 개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 한꺼번에 견인줄을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 두 마리 이상의 개가 제각각의 움직임을 보여 두 줄 이상의 견인줄이 서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시킨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어깨와 몸통에 둘러 착용하도록 고안된 회전형 연결고리가 장착된 어깨끈 형태의 핸즈프리(hands-free)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432호(회전식 애견 견인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1500659호(애견용 고정줄 고정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740호(자동 애견줄)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3-0040645(애견용 견인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9290(줄꼬임 방지용 다용도 개목걸이 줄)
반려견과 산책하거나 이동시 개의 견인줄의 손잡이를 사람의 손이 아닌 몸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최대한 사람과 개의 행동에 제약이 없도록 한다.
기존의 손목 또는 허리에 견인줄을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 생겼던 문제인 견인줄의 고정 높이가 낮아서 견인줄이 바닥에 끌려 개와 사람의 몸에 엉키는 문제, 개가 묶여있는 사람의 몸을 중심으로 이리저리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견인줄의 꼬임 문제, 두 마리 이상의 개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 한꺼번에 견인줄을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 두 마리 이상의 개가 제각각의 움직임을 보여 두 줄 이상의 견인줄이 서로 꼬이는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두 마리 이상의 다견과 이동할 때도 제각각 멋대로 움직이는 개들을 홀로 충분히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어깨끈 형태의 고정구는 개의 견인줄 손잡이의 고정을 사람의 가슴 부위 이상으로 높여 줌으로써 개의 견인줄의 고정 높이를 항상 높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는 견인줄이 바닥에 끌려 개와 사람의 몸에 엉키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인줄 손잡이의 고정 고리를 회전형 연결고리로 하여 개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즉각 회전으로 대응하게 함으로써 줄 꼬임 증상을 완화한다.
이 회전형 연결고리에 개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줄의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자동 견인줄(이하 자동줄)을 연결하고 자동줄의 끝에 달린 회전 고리에 최소 1미터 이상 고정 길이의 견인줄을 연결한다. 이 고정 길이의 견인줄 끝에도 회전 고리가 달려있고 이 회전 고리에는 최종적으로 개의 목줄 또는 가슴줄(하네스)의 고리가 연결된다.
어깨끈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에 두 개 이상의 자동줄 연결도 가능하며 이로인해 다견의 통제도 가능하게 된다. 두 개 이상의 견인줄 연결 시 발생하는 견인줄끼리의 꼬임 증상도 회전형 연결고리에 의해 꼬임의 해소가 가능하다.
어깨끈 형태의 고정구의 형태는 기존의 손목 또는 허리에 묶는 고정 형태에 비해 고정 높이를 항상 높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손으로 견인줄의 손잡이를 높게 들고 다니는 것과 같아서 견인줄의 바닥 끌림을 방지하여 개의 몸에 견인줄이 엉키고 조이는 현상을 막는다.
또한 어깨끈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을 연결하고 이 자동줄에 1미터 이상의 고정 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것은 자동줄의 줄 당김 효과로 인해 견인줄이 바닥에 끌리는 것을 계속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개가 멀리 움직여서 줄이 늘어나더라도 자동줄의 자동 당김으로 인해 견인줄이 바닥에 끌리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줄에 굳이 1미터 이상의 고정 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이유는 자동줄의 이 계속적인 자동 당김 증상으로 인해 개의 피로도가 쌓일 것을 염려한 때문이다. 1미터 이상의 고정 견인줄이 사람 가까이에서 개가 움직일 때에는 자동 줄의 당김 증상을 느끼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고정 견인줄의 길이는 개와 이동하는 사람의 키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도록 한다.
어깨끈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을 연결하고 그 견인줄의 회전 고리에 또 일반 고정 길이의 견인줄을 연결하여 주는 방식은 예측불가능하게 움직이는 개의 움직임에 맞춰 유연하게 줄의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며 동시에 회전하는 3개의 회전고리(어깨끈 회전고리, 자동줄 회전고리, 일반 견인줄 회전고리)가 회전 연동하여 줄 꼬임 증상을 다중으로 완화시켜 주면서 견인줄의 바닥 끌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줄 꼬임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사람과 개의 보행을 더 안전하고 자유롭고 편안하게 한다.
두 마리 이상 다견의 견인줄을 연결할 때에는 끈이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어깨끈의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을 한꺼번에 묶어 연결하거나 어깨끈에 회전형 연결고리를 한 개 더 추가로 장착하여 각각의 회전형 연결고리에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에도 회전으로 인해 줄 자체의 꼬임이 훨씬 덜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줄끼리 꼬였을 시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형 연결고리를 돌려줌으로써 단번에 견인줄의 줄 꼬임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개를 산책시킬 때에도 이 고안은 다수의 개의 컨트롤에 종전의 방법보다 더 안전하고 편리하다.
도면대용사진 도 1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한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2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 후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과 고정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전체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3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한 정면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4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 후 회전형 연결고리에 자동줄과 고정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정면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5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한 후면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6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어깨끈을 사선으로 착용하여 응용한 예시1
도면대용사진 도 7(a)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어깨끈을 양쪽 어깨 배낭끈 형태로 응용한 예시2
도면대용사진 도 7(b)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어깨끈을 양쪽 어깨 배낭끈 형태로 응용한 예시2 견인줄 부착 전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7(c)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어깨끈을 양쪽 어깨 배낭끈 형태로 응용한 예시2 견인줄 부착 후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8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의 어깨끈을 어깨패드 형태로 응용한 예시3
도면대용사진 도 9는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후 실제 활용의 예
도면대용사진 도 10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후 줄끼리 꼬였을 때의 사진
도면대용사진 도 11은 본 고안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를 착용후 줄끼리 꼬였을 때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형 연결고리를 돌려서 꼬임을 해결하는 사진
도 1의 사진과 같이 고정구(10)의 어깨끈(111)을 어깨에 걸쳐서 버클(113)을 체결한다. 흉부 고정끈(112)을 흉부에 둘러서 버클(115)을 체결한다. 체형에 맞춰 조리개(113),(114)를 통해 끈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렇게 사람의 흉부와 어깨에 고정구를 알맞게 고정한 후 도 2의 사진과 같이 고정구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12)에 자동줄(13)을 연결하고 자동줄의 회전고리(14)에 고정 길이의 견인줄(15)을 연결하고 견인줄의 회전고리(16)에 개의 목줄 또는 가슴줄(하네스)을 최종적으로 연결한다. 고정구의 회전형 연결고리(12)에는 한 개의 자동줄을 연결하거나 두 개 이상의 자동줄을 복수로 연결할 수 있다.
고정구의 회전형 연결고리(12)에 자동줄의 손잡이를 연결할 때에는 끈이나 고무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와 같은 것으로 고정 시 두 개 이상의 자동줄 연결에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3은 고정구만 착용한 상태, 도 4는 고정구에 자동줄과 고정 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상태, 도 5는 고정구를 착용한 후면 사진, 도 6은 고정구를 다른 쪽 어깨에 어깨끈을 사선으로 걸쳐서 응용을 한 예이다.
도 7은 고정구의 형태의 변형으로 배낭끈 형태로 어깨끈을 양쪽에 걸치도록 보강하여 좀 더 견고하게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회전형 연결고리를 양쪽 어깨에 각각 장착하여 각각의 고리에 자동줄을 한 개씩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중형견 이상의 덩치가 큰 개를 견인할 때 더 무겁고 강한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 어깨끈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강재가 있어 쿠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큰 개가 끌어당기는 강한 힘으로부터 어깨를 보호한다.
크기가 작은 소형견의 경우 고리 한 개당 두 개 이상의 견인줄을 연결하여 다견을 견인할 수 있다.
도 8은 어깨끈을 어깨패드 형태로 디자인의 심미성에 중점을 둔 고정구 형태의 변형이며 이와 같이 보기에 좋은 형태로 사람이 착용하는 것인 만큼 디자인의 다각도의 응용이 가능하겠다.
도 9는 실제 야외에서 고정구를 착용 후 견인을 하는 모습을 촬영한 실시 예이며 이와 같이 고정구에 개를 연결하여 자동줄의 길이가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며 또 필요시에는 손으로 줄을 잡아 짧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타인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10은 두 마리 이상의 개의 자유분방한 움직임으로 인해 흔히 발생하는 줄꼬임 증상으로 이 줄꼬임 증상은 도 11과 같이 회전형 고리를 줄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쉽게 해결된다.
어깨끈 형태의 고정구는 견인줄의 고정 높이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견인줄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개의 몸에 줄이 엉켜서 생기는 불편함과 위험을 방지한다. 자동줄은 개가 사람에게 묶여있는 동시에 일정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한다. 이는 마치 개에게 견인줄을 연결하지 않고 자유롭게 산책시키는 느낌을 선사한다. 또 자동줄에 일정 길이의 고정 길이 견인줄을 연결한 것은 자동줄의 단점인 계속적인 줄 당김 증상을 완화시켜 준다. 이 고정 길이는 동행하는 사람의 키에 따라 그 적절한 길이가 달라져야 하는데 동행하는 사람의 키에서 대략 30~40cm 정도의 길이를 뺀 견인줄의 길이를 추천한다. 이 길이가 줄이 바닥에 끌리지 않으면서도 개가 최대한 편하게 움직이는 길이로 적당하다. 고정구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는 자동줄을 고리 한 개에 여럿 연결했을 때 제각각의 개의 자유분방한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줄 꼬임 증상을 회전으로 그때그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어깨끈에 이 회전형 연결고리를 여럿 장착할 수도 있으나 이 상황에서 줄 꼬임이 발생했을 때 해결이 어려운 측면이 있고 다견의 통제 시 사람의 체중으로 버틸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두 개 까지의 회전형 연결고리의 장착을 추천한다. 분명히 이 고정구가 다견의 제어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중형견 이상의 개를 통제 시에는 이 고정구가 사람의 몸무게로 지탱하는 측면이 있는 만큼 견종의 무게와 동행자의 몸무게를 감안하여 특히 견인하는 사람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0 : 어깨끈(111)과 흉부 고정끈(112)으로 구성된 착용구(11)에 회전형 연결고리(12)가 장착된 고정구
11 : 어깨끈(111)과 흉부 고정끈(112)으로 구성된 착용구
12 : 착용구(11)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
13 : 자동줄
14 : 자동줄의 끝에 달리 회전형 고리
15 : 고정길이 견인줄
16 : 고정길이 견인줄의 끝에 달린 회전형 고리
111 : 착용구(11)의 어깨끈
112 : 착용구(11)의 흉부 고정끈
113 : 착용구(11)의 어깨끈의 길이 조정 및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조리개형 버클
114 : 착용구(11)의 흉부 고정끈의 길이 조정 가능한 조리개
115 : 착용구(11)의 흉부 고정끈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버클(115)
116 : 착용구(11)의 D 또는 O링

Claims (3)

  1. 사람의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착용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는 어깨끈과 흉부 고정끈으로 구성되어 착용하는 착용구(11)와;
    상기 착용구(11) 위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12)와;
    상기 회전형 연결고리(12)와 연결되는 자동으로 줄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줄(13)과;
    자동줄(13)의 끝에 달린 회전형 고리(14)에 연결된 상당한 길이의 고정형 견인줄(15)과;
    고정형 견인줄(15)의 끝에 달린 회전형 고리(16)로 구성하고;
    상기 착용구(11)는 사람의 어깨에 지지되는 어깨끈(111)과;
    사람의 흉부를 둘러싸서 고정되는 흉부 고정끈(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깨끈(111)의 길이 조정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조리개형 버틀(113)과;
    상기 흉부 고정끈(11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조리개(114)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버클(115)과;
    기타 외출시 필요한 물품 연결에 사용되는 고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착용구(11)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12)의 연결부위,
    사람의 어깨 높이 정도로 견인줄의 고정 높이를 올려주는 효과는 견인줄이 항상 위로 들리도록 유지하여서 견인줄이 바닥에 끌려 개와 사람의 몸에 엉키거나 조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고정구(10)의 견인줄 손잡이의 연결 부위를 회전형 연결고리(12)로 장착한 것은 벨크로 테이프로 견인줄의 형태(자동 견인줄, 일반 견인줄, 손잡이 형태, 고리 형태 등)에 무관하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호환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두 줄 이상의 다수의 견인줄 연결이 가능하고, 다견의 견인줄 연결 시 회전으로 인해 생기는 줄 꼬임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착용구(11)에 장착된 회전형 연결고리(12)에 자동줄(13)을 연결하고 자동줄 회전형 고리(14)에 고정 길이 견인줄(15)을 연결하는 3중 연결 조합의 방식,
    3 개의 회전형 고리 (12), (14), (16)의 다중 회전 방식은 줄 꼬임을 대폭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중간에 자동줄의 연결로 개는 사람에게 고정되어 있으면서도 일정 거리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자동줄의 자동 줄 당김 증상은 개가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줄이 늘어나게 되더라도 견인줄이 계속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줄을 올려주는 역할을 해서 줄 꼬임이나 바닥 끌림 없이 개와 사람이 함께 안전하고 편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자동줄에 고정 길이의 견인줄(개와 동행하는 사람의 키 - 30~40cm 를 권장함)을 연결하는 방식은 위 자동줄의 계속적인 줄 당김 현상으로부터 개가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개가 사람 가까이에서 걸을 때에는 줄 당김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개의 편안한 보행에 도움을 준다.
    고정 길이 견인줄의 길이는 개와 동행하는 사람의 키에서 30~40cm를 뺀 길이를 권장하며 이는 견인줄의 바닥 끌림을 방지하면서 사람 가까이에서 개가 편안한 보행을 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며 이는 개인의 취향으로 더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KR2020180002522U 2018-06-08 2018-06-08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KR20190003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22U KR20190003110U (ko) 2018-06-08 2018-06-08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22U KR20190003110U (ko) 2018-06-08 2018-06-08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10U true KR20190003110U (ko) 2019-12-18

Family

ID=6902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22U KR20190003110U (ko) 2018-06-08 2018-06-08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110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0Y1 (ko) 2001-03-27 2001-10-26 임주호 자동 애견줄
KR200457432Y1 (ko) 2011-05-25 2011-12-20 전바다 회전식 애견 견인줄
KR101500659B1 (ko) 2014-10-16 2015-03-09 이선 애견용 고정줄 고정구
KR20180039290A (ko) 2016-10-08 2018-04-18 김성진 줄꼬임 방지용 다용도 개목걸이 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0Y1 (ko) 2001-03-27 2001-10-26 임주호 자동 애견줄
KR200457432Y1 (ko) 2011-05-25 2011-12-20 전바다 회전식 애견 견인줄
KR101500659B1 (ko) 2014-10-16 2015-03-09 이선 애견용 고정줄 고정구
KR20180039290A (ko) 2016-10-08 2018-04-18 김성진 줄꼬임 방지용 다용도 개목걸이 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322B2 (en) Dog harness
US5359964A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US6694923B1 (en) Pet harness with quick connect stand-up leash
US5934224A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formed by continuous loop
JP6215922B2 (ja) 犬用ハーネス
US20120160184A1 (en) Animal Harness
US9491931B2 (en) Animal harness device and method
KR102416638B1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0150257369A1 (en) Multi-Activity Dog Leash Connector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US20160309683A1 (en) Pet Collar and Leash Device
KR102319544B1 (ko) 반려동물용 하네스
KR20190003110U (ko) 핸즈프리 이동형 견인줄 고정구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CN206909416U (zh) 宠物背心带
US20130299541A1 (en) Support arrangement for an implement
JP6550364B2 (ja) ペット用ハーネス
KR102232712B1 (ko) 사전교감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하네스
CN215380747U (zh) 一种宠物牵引绳
KR200496098Y1 (ko) 애완견용 두 줄 하네스
JP3042447U (ja) 犬の散歩綱用緩衝具及びこれを使用した散歩用綱
KR20190042815A (ko) 애견용품 강아지 h형 하네스
KR20230002076U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CN107333676A (zh) 宠物背心带
CN213549049U (zh) 一种宠物项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