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05A -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05A
KR20190002805A KR1020170082966A KR20170082966A KR20190002805A KR 20190002805 A KR20190002805 A KR 20190002805A KR 1020170082966 A KR1020170082966 A KR 1020170082966A KR 20170082966 A KR20170082966 A KR 20170082966A KR 20190002805 A KR20190002805 A KR 2019000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decoration panel
decorative plate
hexagonal b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식
Original Assignee
(주)지성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성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지성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7008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805A/ko
Publication of KR2019000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가 있으나, 전면 장식판재의 전면에 볼트 장착공과 장착볼트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므로 장식부의 미관이 극히 불량하여 자연 친화적인 미관이 크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블록전면에 ㅠ형 연결핀(20)을 삽입할수 있는 T형공간(12)을 형성하여 장식판재(1)를 관통한 육각 볼트(3)가 회전, 삽입될수 있는 연결핀을 삽입 후 연결핀에 의해 장식판재(1)의 결착이 이루어지는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및 결착에 사용되어지는 ㅠ형 연결핀(2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옹벽블럭의 전면(11)에 장착되는 장식판재가 연결핀에 의해 결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외부충격 등으로 인한 장식판재의 탈락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옹벽블록(10)의 전면부(11)에 대하여 장식판재(1)를 장착할 때 장식판재(1)에는 볼트 장착공 또는 볼트의 돌출을 배재하기 위해 육각볼트의 두부가 결착 후 돌출되는 길이를 감안하여 장식판재(1) 좌우에 T형 홀(4)을 생성하여 육각볼트의 마감이 장식스톤 바깥면(2)에 돌출되지 않게 한다. 장식판재(1)와의 결착을 위해 옹벽블럭에 생성된 T형 공간(12)에 육각볼트(3)가 관통될수 있도록 나선형 홀(21)을 생성한 강화플라스틱 ㅠ형 연결핀(20)을 삽입 후 장식판재(1)와 육각볼트(3)를 이용하여 결착하며 장식판재와 색상이 유사한 마무리캡(30)을 사용하여 장식판재와의 이질감 없이 고유한 미적감각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식판재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Mounting structure of Decoration Panel Block by ㅠ type connecter}
본 발명은 반분리형 옹벽블럭의 전면에 형성된 장식판재(1)의 장식부(2)를 미려하게 자연친화적으로 장식하는 장식판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의 전면(11)에 장착되는 장식판재(1)를 종래에는 편중된 위치에 볼트로 돌출되게 장착하거나 접착제만으로 결합하여 자연석재의 고유한 자연적인 미관의 손상 및 장식판재가 탈락 되었으나,
본발명은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의 장식판재(1)의 장식부(2)에는 육각볼트(3)의 돌출 및 장착공을 최소화하며 ㅠ형 연결핀(20)에 의해 장식판재(1)를 반분리형 옹벽블록(10)과 결착함으로써 외관을 자연친화적으로 형성하여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의 장식판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구조물은 건축 및 토목현장에서 협소한 부지확보 등을 위하여 토사 및 암반의 깎기 비탈면과 쌓기 비탈면 등의 전면에 토압과 우수 등에 의한 활동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옹벽 구조물은 주로 콘크리트 재질로 다수의 옹벽블럭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잡석과 토사 등을 뒤채움하여 축조하는 옹벽시공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옹벽블럭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질감이 주변 미관을 해치고 삭막한 분위기 연출을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옹벽블럭의 전면에 천연석재 및 인조석재 등과 같은 장식판재를 부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홀딩부재의 설치를 위해 옹벽블럭의 상부에 요홈부 및 결착요홈을 가공해야 함으로 옹벽블럭의 제작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며, 홀딩부재의 크기가 항상 일정해야 하고, 석재크기 및 옹벽블럭의 제작 치수오차, 시공후 시간경과에 따른 결착부분에서의 결함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 및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반분리형 블록 전면(11)에는 일체형 석재판 또는 목재로 형성된 장식판재를 장착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10)에서 블록의 전면부(11)에 대하여 일체형 석재판, 목재, 기타 아크릴 및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장식판재가 ㅠ형 연결핀에 의해 결착되어 분리되어 낙하하지 않아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새로운 옹벽블록의 장식판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은 블록 전면부(11)와 장식판재(1)를 장착할 때 장식부(2)에는 볼트 장착공의 노출을 최소화 시켜 장식판재(2)의 고유한 자연적 미관이 발생하도록 장식판재(2)가 ㅠ형 연결핀(20)에 의해 장착되어지는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판재(1)를 반분리형 옹벽블럭(10)에 장착하기 위해 블록에 나선형 홀을 생성한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ㅠ형 연결핀(20)을 삽입하기 위해 T형 모양의 공간을 두었으며 ㅠ형 모양의 연결핀을 삽입하여 장식판재(1) 외부로 볼트의 노출이 없겠금 T형 홀(31,32)이 생성된 장식판재를 육각볼트를 이용 결착 후 마무리 캡으로 마감하므로 반분리형 옹벽블럭(10)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진행이 장식판재(1)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완전히 차단되므로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장식판재(1)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과 장식판재의 결착이 옹벽 쌓기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경관옹벽시공 대비 공기를 1/2로 단축함과 동시에 육각볼트(3)를 사용하여 손쉽게 회전, 삽입하여 장착되므로 시공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강우시에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의 장식판재(1)로는 배수되지 않아 반분리형 옹벽블럭(10)에서 백화현상이 발생하여도 장식판재(1)를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다.
종래의 옹벽블럭에는 전면의 장식부에 볼트 장착공과 볼트가 돌출되어 그 외관이 자연친화적이지 못하고 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장식판재(1)의 전면부(2)에는 볼트 장착공 또는 육각볼트(3)의 돌출을 최소화 하고 장식판재(1)와 같은 색상 및 질감을 적용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마무리캡(30)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므로 자연 친화적인 일체형 장식판재로 형성되어 미려한 장식판재(1)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분리형 블록(10)에 장착되는 ㅠ자 모양의 연결핀을 이용하여 장착하므로 블록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진행이 장식판재(1)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되므로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장식판재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우시에 반분리형 옹벽블록(10)의 장식판재(1)로는 배수되지 않아 반분리형 옹벽블럭(10)의 백화현상이 없어서, 이로 인한 장식판재(1)를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장식판재(1)를 미려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옹벽블록과 장식판재 결합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ㅠ형 연결핀 부품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럭(10)의 장식판재 결합구조를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옹벽블럭(10)의 전면에 ㅠ형 연결핀(20)을 삽입할수 있도록 T형 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블록에 삽입되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ㅠ형 연결핀(20)에는 육각볼트(3)가 관통될수 있도록 나선형 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육각볼트(3)를 회전 삽입할수 있으며, T형 홀(4)이 생성된 장식판재(1)를 걸착과 동시에 회전 조임하여 ㅠ형 연결핀과 체결함으로서 장식판재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장식판재(1)는 석재, 목재, 기타 아크릴 및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옹벽블럭(10)을 현장에서 적층 시공하는 과정에서 옹벽블럭 전면(1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ㅠ형 연결핀(20)이 삽입되고 발생되는 공간(12)에는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여 보다 견고한 접착층을 형성시킨후 장식판재(1)를 육각볼트(3)에 의해 걸착과 동시에 회전 조임함으로써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장식판재(1)는 ㅠ형 연결핀(20)과 나선형 육각볼트(3)에 의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옹벽블럭(10)의 전면에 설치되는 ㅠ형 연결핀(20)과 장식판재를 관통하는 육각볼트(3)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장식판재(1)는 본드와 무수축 몰탈에 의한 접착층에 의한 접착력과 함께 ㅠ형 연결핀(20), 육각볼트(3)에 의한 회전 조임으로 발생하는 지지력으로 압축력이 더해짐으로서 장식판재(1)가 옹벽블럭(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옹벽블럭(10)이 적층 시공되어짐에 따라 각각의 블럭에 설치된 ㅠ형 연결핀과 육각볼트에 의한 조임, 빈공간의 무수축 몰탈 타설에 의한 접착력으로 장식판재(1)를 지지하게 되므로 장식판재(1)의 시공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은 장식판재(1)가 옹벽블럭(10)에 장착된 후 마감 체결되어지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장식판재(1)에 T형 홀(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장식판재(1) T형 홀(4) 내부에서 육각볼트(3)의 두부가 장식판재의 장식면(2)으로부터 돌출이 없이 삽입된 형태를 이룸으로서 장식판재(1)가 옹벽블럭(10)에 더욱 밀착되어질 수 있게 되고, 육각볼트(3)와 장식판재(1)간에 발생하는 색상 이질감을 실리콘 재질의 장식판재(1)와 유사한 색상으로 제작되어진 실리콘 마무리캡(30)을 육각볼트의 두부(3)에 씌움으로써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장식판재(1)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블록에 설치된 ㅠ형 연결핀(20)과 장식판재(1)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옹벽블럭(10)에서 응력집중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이 장식판재(1)까지 전달되지 못하여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장식판재(1)를 유지할 수 있다.
1: 장식판재 2: 장식판재 전면부 3: 육각볼트 4: T형 홀(장식판재)
10: 옹벽블록(반분리형) 12: T형 홈 20: ㅠ형 연결핀 21: 나선형 홀 30: 마무리캡

Claims (3)

  1. 옹벽 전면에 장식판재(1)가 부착 결합되는 옹벽블럭(10)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의 전면에는 장식판재(1)를 결착하기 위한 ㅠ형 연결핀(20)을 삽입할수 있는 T형 홈(12)
    상기 T형 홈(12)에 삽입 되어지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ㅠ형 연결핀(20)은 좌우에 회전 삽입되어지는 나선형 육각볼트(3)의 직경에 맞는 원형홀(21)이 구비되며,
    상기 나선형 육각볼트(3)의 몸통부에 장착되어지는 장식판재(1)에는 미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장식을 유지할수 있게 T형 홀(4)을 생성하며 나선형 육각볼트(3)의 몸통부에 장식판재(1)를 걸착과 동시에 육각볼트를 조인 후 마무리캡(21)을 육각볼트의 두부에 씌워 옹벽블럭(10)과 장식판재(1)를 결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ㅠ형 연결핀(20)에 의한 장식판재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1)의 걸착에 사용되는 ㅠ형 연결핀(20)에 구비된 나선형 홀(21)과 육각볼트(3)는 회전식 조립, 분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ㅠ형 연결핀(20)에 의한 장식판재(1)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반분리형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의 시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옹벽블럭(10)의 전면부(11)에 장착되어지는 상기 장식판재(1)는 일체형 자연석재, 목재, 기타 아크릴 및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되,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 육각볼트(3)에 의거 장착되므로 상기 장식판재(1)가 옹벽블럭(10)의 전면부로부터 이탈되어 낙하 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ㅠ형 연결핀(20)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20170082966A 2017-06-30 2017-06-30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20190002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66A KR20190002805A (ko) 2017-06-30 2017-06-30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66A KR20190002805A (ko) 2017-06-30 2017-06-30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05A true KR20190002805A (ko) 2019-01-09

Family

ID=6501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966A KR20190002805A (ko) 2017-06-30 2017-06-30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8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34U (ko) * 2020-04-25 2021-11-03 강성호 그라우팅 앵커용 지압판을 위한 경관블록 장치
KR20210148588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34U (ko) * 2020-04-25 2021-11-03 강성호 그라우팅 앵커용 지압판을 위한 경관블록 장치
KR20210148588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0811A1 (en) Precast concrete veneer panel system
CN203834865U (zh) 墙面施工用角形件单元
US21785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rick-faced concrete walls
US8960636B1 (en) Edge form system for forming simulated stone coping
JP2006283541A (ja)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KR20190002805A (ko) ㅠ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US20120199721A1 (en) Landscaping wall structure and form
US5325652A (en) Contoured marble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80130186A (ko) ┐┌형 연결핀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스톤 장착구조
JP5185742B2 (ja) 柵および柵の施工方法
CN106760297A (zh) 外墙面装饰装置
CA2621937C (en) Method and elements for forming a building facade
JP4462991B2 (ja) 建築板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10002402U (ko)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JP2005207193A (ja) 石組み構造体
RU2031209C1 (ru) Надгробный памятник
RU97421U1 (ru) Надгробный памятник
KR20160001367A (ko)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GB2480715A (en) Grave marker with a support structure.
JP4525053B2 (ja) 入隅構造
JP3226383U (ja) 構造物
JP4954731B2 (ja) 飾り窓
KR20090075769A (ko) 크랙이 형성된 인공암석의 제조방법 및 인조암석
KR200415090Y1 (ko) 무줄눈 벽면 일체화 스플릿 블록
JP3041920U (ja) 自然石を結合した消波ブロ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