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35U - 부스바 서포터 - Google Patents

부스바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35U
KR20190002735U KR2020180001813U KR20180001813U KR20190002735U KR 20190002735 U KR20190002735 U KR 20190002735U KR 2020180001813 U KR2020180001813 U KR 2020180001813U KR 20180001813 U KR20180001813 U KR 20180001813U KR 20190002735 U KR20190002735 U KR 201900027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temperature sensor
supporter
passage
insul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634Y1 (ko
Inventor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3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는, 절연 바디; 절연 바디에 구비되고 부스바와 체결되는 부스바 체결바디; 부스바 체결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 절연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너 통로와 연통되는 아우터 통로; 이너 통로 및 아우터 통로에 배치되고 부스바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 및 온도센서 커플러에 연결되고 절연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바 서포터{Busbar supporter}
본 고안은 부스바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배전반에 구비되는 부스바를 지지하는 부스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등과 같은 전력기기 판넬은 적어도 하나의 부스바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상기 부스바의 전기적 절연 및 기계적 고정을 위한 구성이 필수적이다. 또한, 전력기기 판넬에서는 부스바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는지 감시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종래 배전반에서는 부스바의 온도 측정을 위해 부스바에 별개의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부스바의 온도를 관리한다. 그러나, 별개의 온도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온도 센서의 부착상태, 부착 위치에 따른 온도측정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부착된 온도 센서가 떨어지거나 이탈할 경우, 떨어진 온도센서에 의한 추가적인 절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도 센서 대신 온도 감응 스티커를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하나, 온도 감응 스티커는 온도의 상승 여부를 사후 확인하는 것만 가능할 뿐 온도가 상승하는 시점에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것과 같은 감시기능을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온도 감응 스티커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투시창이 필요하며, 투시창을 통한 내부의 확인이 어려운 부품의 경우에는 유지 보수 기간중에 사선 상태에서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온도 측정을 위한 구성이 내장된 부스바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는, 절연 바디; 상기 절연 바디에 구비되고 부스바와 체결되는 부스바 체결바디; 상기 부스바 체결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 상기 절연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통로와 연통되는 아우터 통로; 상기 이너 통로 및 아우터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는,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통로는, 상기 절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아우터 통로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절연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는 상기 절연바디의 외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부스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가 배치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출력단자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 체결바디에는 일 체결공 및 상기 일 체결공과 이격된 타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일 체결공과 상기 타 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는, 절연 바디; 상기 절연 바디에 형성되고 부스바가 끼워지는 부스바 장착홈; 상기 부스바 장착홈에서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와 연통되고 상기 절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 상기 함몰부 및 이너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이너 통로에 내장되고,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통로 또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부스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 장착홈은 상기 절연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부스바 장착홈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는, 상기 절연 바디의 양 단부 중 상기 일 부스바 장착홈과 더 가까운 단부 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는 상기 절연바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부스바 장착홈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부스바 장착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부스바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스바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부스바의 활선 상태에서도 부스바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부스바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부스바의 위치에 상관없이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온도측정장치를 부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오차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에 부스바가 체결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를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를 B-B`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에 부스바가 체결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의 절연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에 부스바가 체결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를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를 B-B`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부스바 서포터(2)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방향과 같이 상하로 길게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부스바 서포터(2)의 배치 방향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2)는, 절연 바디(4); 상기 절연 바디(4)에 구비되고 부스바(1)와 체결되는 부스바 체결바디(5); 상기 부스바 체결바디(5)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13); 상기 절연바디(4)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통로(13)와 연통되는 아우터 통로(19); 상기 이너 통로(13) 및 아우터 통로(19)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1)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8);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8)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4)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2)는 애자 타입의 서포터일 수 있다.
부스바 서포터(2)는 부스바(1)에 체결되어 부스바(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절연을 수행하고 활선 상태에서 부스바(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부스바 서포터(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부스바 서포터(2)는 절연바디(4)와, 부스바 체결바디(5)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바 서포터(2)는 메인 체결바디(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바디(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바디(4)는 BMC(Bulk Molding Compound), 에폭시,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절연 바디(4)는 제1바디(4A), 제2바디(4B) 및 제3바디(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4A)에는 부스바 체결바디(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바디(4B)에는 후술할 메인 체결바디(5A)가 구비될 수 있다.
제3바디(4C)는 제1바디(4A)와 제2바디(4B)를 연결하며 외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수직 방향에 대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바디(4C)의 일 단부에는 제1바디(4A)가 연결되고 타 단부에는 제2바디(4B)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바디(4C)의 높이는 제1바디(4A) 및 제2바디(4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절연바디(4)의 외둘레에는 온도센서 출력단자(9)가 배치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출력단자 연결부(4D)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출력단자 연결부(4D)는 제1바디(4A)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출력단자 연결부(4d)는 제1바디(4A)의 외측가장자리 일부를 수직하게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력단자 연결부(4D)가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온도센서 출력단자(9)에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등이 용이하게 연결 내지는 장착될 수 있다.
부스바 체결바디(5)는 절연 바디(4), 좀 더 상세히는 제1바디(4A)에 구비될 수 있다. 부스바 체결바디(5)는 부스바(1)와 체결되어 부스바(1)를 지지할 수 있다.
부스바 체결바디(5)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는 제1바디(4A)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바디(4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는 부스바(1)와 접하는 부스바 접촉면일 수 있다.
부스바 체결바디(5)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C1)가 강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기 위함이다.
부스바 체결바디(5)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6)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공(6)은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공(6)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체결공(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체결공(6)은 부스바(1)에 형성된 서포터 체결공(7)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별개의 체결부재(C1)는 서포터 체결공(7)과 체결공(6)을 관통하여 부스바(1)와 부스바 체결바디(5)를 체결시킬 수 있다.
다만, 부스바 서포터(2)와 부스바(1)의 체결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스바(1)는 별도의 클램프(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가 부스바 체결바디(5)에 체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메인 체결바디(5A)는 절연 바디(4), 좀 더 상세히는 제2바디(4B)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체결바디(5)는 배전반의 외함등과 같은 서포터 고정부재(12)에 고정되어 부스바 서포터(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체결바디(5A)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는 제2바디(4B)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바디(4B)에 수용될 수 있다.
메인 체결바디(5A)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C2)가 강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기 위함이다.
메인 체결바디(5A)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6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공(6A)은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공(6A)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체결공(6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체결공(6A)은 서포터 고정부재(12)에 형성된 서포터 체결공(7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별개의 체결부재(C2)는 서포터 체결공(7A)과 체결공(6A)을 관통하여 서포터 고정부재(12)와 메인 체결바디(5A)를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부스바 서포터(2)는 이너 통로(13) 및 아우터 통로(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통로(13)는 부스바 체결바디(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통로(13)는 부스바 체결바디(5)의 평면부부터 곡면부까지 관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통로(13)는 제1통로(15)와 제2통로(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로(15)은 부스바 체결바디(5)의 평면부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통로(15)는 절연 바디(4)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통로(15)에는 후술할 접촉부(10)가 위치할 수 있고, 제1통로(15)는 접촉부 수용홀로 명명될 수 있다.
부스바 체결바디(5)에 복수개의 체결공(6)이 형성된 경우, 제1통로(15)는 일 체결공(6)과, 상기 일 체결공(6)과 이격된 타 체결공(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부스바(1)에서 접촉부(10)와 접하는 부분과 접촉부(10)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통로(18)는 제1통로(15)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제1통로(15)와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통로(18)는 절연바디(4)의 반경 방향(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통로(18)는 직관이 아닌 곡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19)는 절연 바디(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통로(19)는 제1바디(4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19)는 제1바디(4A)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19)는 이너 통로(13)의 제2통로(18)와 연통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19)의 일 단은 제2통로(18)와 연통되고 타 단은 출력단자 연결부(4D)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부스바 서포터(2)는 온도센서 커플러(8) 및 온도센서 출력단자(9)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 커플러(8)는 부스바(1)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온도센서 커플러(8)는 부스바(1)에 접할 수 있으며, 이너 통로(13) 및 아우터 통로(19)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센서 커플러(8)는 부스바(1)에 접하는 접촉부(10)와, 상기 접촉부(10)에서 온도센서 출력단자(9)까지 연장되는 연장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0)는 부스바 체결바디(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부스바(1)가 부스바 체결바디(5)에 체결된 경우, 접촉부(10)는 부스바(1)에 접할 수 있다.
접촉부(10)는 제1통로(15)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0)는 제1통로(15) 내에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경우, 부스바 서포터(2)는 탄성부재(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는 제1통로(15)에 배치되고 접촉부(10)가 부스바(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통로(15)에는 탄성부재(16)가 지지되는 탄성부재 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는 접촉부(10)와 탄성부재 지지부(17)의 사이에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부스바(1)가 부스바 체결바디(5)에 체결되기 이전에는 접촉부(10)가 부스바 체결바디(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부스바(1)가 부스바 체결바디(5)에 체결되면 부스바(1)에 의해 접촉부(1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16)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6)가 접촉부(1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어 접촉부(10)와 부스바(1)의 접촉이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연장부(11)는 제1통로(15), 제2통로(18) 및 아우터 통로(19)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의 일 단은 접촉부(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온도센서 출력단자(9)에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9)는 절연바디(4)의 외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센서 출력단자(9)는 절연바디(4)의 제1바디(4A)에 형성된 출력단자 연결부(4D)에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9)는 온도센싱 장치(14)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싱 장치(14)는 온도센서 커플러(8)에서 검출된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온도센싱 장치(14)는 별개의 라인에 의해 온도센서 출력단자(9)와 연결되고 부스바 서포터(2)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온도센싱 장치(14)가 곧바로 온도센서 출력단자(9)에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온도센서 커플러(8)에서 검출된 부스바(1)의 온도는 온도센서 출력단자(9)를 통해 온도센싱 장치(14)로 전달되고, 온도센싱 장치(14)는 부스바(1)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온도센싱 장치(14)는 부스바(1)가 활선 상태인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부스바(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싱 장치(14)는 전력기기(예를 들어, 배전반)의 운용중에 부스바(1)의 온도가 설정값을 넘게 되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울릴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에 부스바가 체결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서포터의 절연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22)는, 절연 바디(23); 상기 절연 바디(23)에 형성되고 부스바(21)가 끼워지는 부스바 장착홈(24); 상기 부스바 장착홈(24)에서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25); 상기 함몰부(25)와 연통되고 상기 절연 바디(23)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28); 상기 함몰부(25) 및 이너 통로(28)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21)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30);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23)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서포터(22)는 클램프 타입의 서포터일 수 있다.
부스바 서포터(22)는 부스바(21)를 고정함과 동시에 절연을 수행하고 활선 상태에서 부스바(2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부스바 서포터(2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부스바 서포터(22)는 절연바디(23)와, 부스바 장착홈(24)과, 함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바디(23)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연 바디(23)는 BMC(Bulk Molding Compound), 에폭시,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재질을 가질 수 있다.
부스바 장착홈(24)는 절연바디(23)에 형성될 수 있다. 부스바 장착홈(24)에는 부스바(21)가 끼워질 수 있으며, 부스바 장착홈(24)의 폭은 부스바(21)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스바 장착홈(24)은 제1부스바 장착홈(24A)과 제2부스바 장착홈(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스바 장착홈(24)에는 동일한 상의 전류가 흐르는 한 쌍의 부스바(2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부스바(21) 중 어느 하나는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 끼워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2부스바 장착홈(24B)에 끼워질 수 있다.
제1부스바 장착홈(24A)과 제2부스바 장착홈(24B)은 이격될 수 있다.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는 함몰부(25)가 형성되고 제2부스바(24B)에는 함몰부(25)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 끼워지는 부스바(21)와 제2부스바 장착홈(24B)에 끼워지는 부스바(21)에는 동일한 상의 전류가 흐르므로 각 부스바(21)의 온도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2부스바 장착홈(24A)(24B) 각각에 함몰부(25)를 형성하여 상기 각 부스바(2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장착홈(24)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부스바 장착홈(24)는 절연 바디(2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바디(23)에는 4개의 부스바 장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스바 장착홈(24)에 끼워지는 부스바에는 각각 R, S, T, N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각 부스바 장착홈(24) 간의 거리는, 일 부스바(24)의 제1부스바 장착홈(24A)과 제2부스바 장착홈(24B) 간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5)는 부스바 장착홈(24)에서 일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함몰부(25)는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서 제2부스바 장착홈(24B)의 반대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부스바 장착홈(24)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25)는, 절연 바디(23)의 양 단부 중 상기 일 부스바 장착홈(24)과 더 가까운 단부 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부스바 서포터(22)는 이너 통로(28), 온도센서 커플러(30) 및 온도센서 출력단자(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통로(28)는 절연 바디(2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온도센서 커플러(30)는 부스바 장착홈(24), 좀 더 상세히는 제1부스바 장착홈(24B)에 끼워지는 부스바(21)와 접하여 상기 부스바(21)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온도센서 커플러(30)는 함몰부(25) 및 이너통로(28)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센서 커플러(30)는 접촉부(31) 및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은 부스바(21)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1)는 함몰부(25)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31)는 함몰부(25)에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31)는, 제1부스바 장착홈(24A)로 삽입되는 부스바(21)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이드면(31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31A)은 접촉부(31)의 외면 중 일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면(31A)은, 부스바(21)가 제1부스바 장착홈(24A)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촉부(31)가 함몰부(25)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접촉부(3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로써, 부스바(21)가 접촉부(31)에 걸릴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3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경우, 부스바 서포터(2)는 탄성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이너 통로(28) 또는 함몰부(25)에 배치되고 접촉부(31)가 부스바(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33)가 이너 통로(28)에 배치되는 경우, 이너 통로(28)에는 탄성부재 지지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접촉부(31)와 탄성부재 지지부(29)의 사이에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부스바(21)가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 끼워지기 이전에는 접촉부(31)가 제1부스바 장착홈(24A) 내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부스바(21)가 제1부스바 장착홈(24A)에 삽입되면 부스바(21)에 의해 접촉부(31)가 함몰부(25)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33)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3)가 접촉부(31)에 제1부스바 장착홈(24A)측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어 접촉부(31)와 부스바(21)의 접촉이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연장부(32)는 이너 통로(28)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2)의 일 단은 접촉부(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온도센서 출력단자(26)에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26)는 절연바디(23)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26)는 절연바디(2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스바 장착홈(24)과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센서 출력단자(26)는 절연바디(2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부스바 장착홈(24A)과 오버랩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26)의 일부는 이너 통로(28)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장부(32)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서 출력단자(26)는 온도센싱 장치(14)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센싱 장치(14)는 온도센서 커플러(30)에서 검출된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온도센싱 장치(14)는 별개의 라인에 의해 온도센서 출력단자(26)와 연결되고 부스바 서포터(22)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온도센싱 장치(14)가 곧바로 온도센서 출력단자(26)에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온도센서 커플러(30)에서 검출된 부스바(21)의 온도는 온도센서 출력단자(26)를 통해 온도센싱 장치(14)로 전달되고, 온도센싱 장치(14)는 부스바(21)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온도센싱 장치(14)는 부스바(21)가 활선 상태인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부스바(2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싱 장치(14)는 전력기기(예를 들어, 배전반)의 운용중에 부스바(21)의 온도가 설정값을 넘게 되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울릴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부스바 서포터 4: 절연바디
4D: 출력단자 연결부 5: 부스바 체결바디
8: 온도센서 커플러 9: 온도센서 출력단자
10: 접촉부 11: 연장부
13: 이너통로 14: 온도센싱 장치
15: 제1통로 16: 탄성부재
18: 제2통로 19: 아우터 통로
22: 부스바 서포터 23: 절연바디
24: 부스바 장착홈 25: 함몰부
26: 온도센서 출력단자 28: 이너통로
30: 온도센서 커플러 31: 접촉부
32: 연장부

Claims (14)

  1. 절연 바디;
    상기 절연 바디에 구비되고 부스바와 체결되는 부스바 체결바디;
    상기 부스바 체결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
    상기 절연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통로와 연통되는 아우터 통로;
    상기 이너 통로 및 아우터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는,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통로는,
    상기 절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아우터 통로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절연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2통로를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는 상기 절연바디의 외둘레에 구비된 부스바 서포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부스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가 배치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출력단자 연결부가 형성된 부스바 서포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체결바디에는 일 체결공 및 상기 일 체결공과 이격된 타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일 체결공과 상기 타 체결공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스바 서포터.
  8. 절연 바디;
    상기 절연 바디에 형성되고 부스바가 끼워지는 부스바 장착홈;
    상기 부스바 장착홈에서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와 연통되고 상기 절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
    상기 함몰부 및 이너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온도센서 커플러; 및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온도센서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커플러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에 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이너 통로에 내장되고,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통로 또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부스바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장착홈은 상기 절연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 부스바 서포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일 부스바 장착홈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는, 상기 절연 바디의 양 단부 중 상기 일 부스바 장착홈과 더 가까운 단부 측으로 함몰 형성된 부스바 서포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출력단자는 상기 절연바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부스바 장착홈과 오버랩되는 부스바 서포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부스바 장착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부스바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부스바 서포터.
KR2020180001813U 2018-04-24 2018-04-24 부스바 서포터 KR200490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13U KR200490634Y1 (ko) 2018-04-24 2018-04-24 부스바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13U KR200490634Y1 (ko) 2018-04-24 2018-04-24 부스바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35U true KR20190002735U (ko) 2019-11-01
KR200490634Y1 KR200490634Y1 (ko) 2019-12-09

Family

ID=6853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13U KR200490634Y1 (ko) 2018-04-24 2018-04-24 부스바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3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269B2 (ja) * 1990-03-06 2000-04-04 株式会社東芝 絶縁物異常検出装置
JP2002367457A (ja) * 2001-05-22 2002-12-20 Sediver Soc Europ Isolateurs En Verre & Composite 一体型光ファイバセンサを有する複合電気碍子
KR100921963B1 (ko) * 2009-03-18 2009-10-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용 부스바
KR101647456B1 (ko) *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269B2 (ja) * 1990-03-06 2000-04-04 株式会社東芝 絶縁物異常検出装置
JP2002367457A (ja) * 2001-05-22 2002-12-20 Sediver Soc Europ Isolateurs En Verre & Composite 一体型光ファイバセンサを有する複合電気碍子
KR100921963B1 (ko) * 2009-03-18 2009-10-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용 부스바
KR101647456B1 (ko) *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34Y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846B2 (ja) 温度監視アセンブリ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JP4778481B2 (ja) 温度検出器の取付構造
EP2619598B1 (en) Current detecting device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of
US8854036B2 (en) Current detecting apparatus
CA2565472A1 (en) Electronic thermometer with flex circuit location
EP3264056B1 (en) Temperature sensor
EP3018754B1 (en) Battery stat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111167B2 (en) Level indicator and process for assembling a level indicator
WO2015162641A1 (ja) シース型測温センサのターミナルヘッド
KR970705850A (ko) 측정 센서(A measuring sensor)
KR200490634Y1 (ko) 부스바 서포터
JP6701894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2047132A (zh) 部分放电检测装置
KR20160019826A (ko) 열전대 온도보상용 단자대
KR200481519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KR101198834B1 (ko) 클램프 일체형 배터리 센서
KR20110002790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03966U (ko) 열전대
KR102499820B1 (ko) 온도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블럭
KR20150002414U (ko) 배터리셀용 감지모듈 및 그 장착장치
JP6785448B2 (ja) 電流センサ及び分電盤
JP2019045192A (ja) 一線地絡電流センサおよびスイッチギヤ
CN112449677B (zh) 用于监测连接至气体绝缘开关设备的电缆的电缆接头的温度和电压的装置以及相关联的制造方法
CN213779316U (zh) 测温装置和具有其的触臂
CN211553130U (zh) 浸泡式双通道液体温度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