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64U -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64U
KR20190002464U KR2020180001276U KR20180001276U KR20190002464U KR 20190002464 U KR20190002464 U KR 20190002464U KR 2020180001276 U KR2020180001276 U KR 2020180001276U KR 20180001276 U KR20180001276 U KR 20180001276U KR 20190002464 U KR20190002464 U KR 201900024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anel
pocket
folding groo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93Y1 (ko
Inventor
유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Priority to KR2020180001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9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관한 것으로, 커버부의 내부에 패널부를 삽입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세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를 보호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일면의 하부측에 접이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접이홈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접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커버부는 다수의 상기 패널부를 각각 수용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사이를 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Protection panel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관한 것으로, 고정을 위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이삿짐을 옮기거나, 자재를 운반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내장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 패널을 사용한다. 보호 패널은 일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물에 젖기 쉽고, 젖은 상태에서는 충분한 보호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수지재 패널을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부착하는 보호 패널이 제안되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20-0449546호(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2010년 7월 12일 등록)에는 패널을 엘리베이터의 내측 면부분에 세워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을 보호하는 보호 패널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처럼 수지재의 패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보호함으로써 물에 젖지 않아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반복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위의 등록실용신안은 엘리베이터의 내측면부분에 보호패널을 세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된다. 복수의 면보호기재와 복수의 모서리보호기재에 부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면보호기재와 모서리보호기재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보호 패널의 고정을 위하여 다른 수단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소요되며, 제작비용 문제와 보관시 상대적인 부피의 증가를 피할 수 없다는 개선점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면보호기재와 모서리보호기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의 해소 요구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개선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서리보호기재와 면보호기재를 구분하지 않고, 제작하여 제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은, 커버부의 내부에 패널부를 삽입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세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를 보호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일면의 하부측에 접이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접이홈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접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커버부는 다수의 상기 패널부를 각각 수용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사이를 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홈은, 내각이 85 내지 95도인 제1면과 제2면으로 이루어지며, 설치상태에서 내각이 감소하여 상기 지지부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접하여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상부측 상기 패널부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접이홈에 이르는 분할슬릿홈에 의해 분할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의 포켓부는, 상기 분할된 지지부를 각각 수용하는 분할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홈의 상부측 상기 패널부의 상기 접이홈이 마련된 면의 반대편 면에 위치하여, 설치상태에서 패널부의 무게 중심을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사유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하부 일부를 설치시에만 절곡되어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설치와 철거가 더 용이하며,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은, 종래와 같이 면보호기재와 모서리보호기재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관에 필요한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하단부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패널부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6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패널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고안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포켓부(210)가 접이가 가능한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는 커버부(200)와, 상기 포켓부(210) 각각에 삽입되며, 설치 상태에서 하단부의 지지부(110)가 소정의 각도로 접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하여 판재부(130)가 삽입된 커버부(200)를 엘리베이터의 내측 벽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널부(100)로 구성된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과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은, 다수의 포켓부(210)가 접이가 가능한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는 커버부(200)와, 상기 포켓부(210) 각각에 삽입되며, 설치 상태에서 하단부의 지지부(110)가 소정의 각도로 접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하여 판재부(130)가 삽입된 커버부(200)를 엘리베이터의 내측 벽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널부(100)로 구성되며, 지지부(110)가 분할되고, 커버부(200)의 포켓부(210)의 하단도 분할된 지지부(110)가 삽입되도록 분할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패널부(100)는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중공된 패널을 사용한다. 재질은 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는 한 쌍의 판재부(130)를 서로 대면하도록 다수의 격벽부(131)로 연결한 구조이며, 격벽부(131)들의 사이에는 통공부(132)가 위치하도록 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부(132)와 격벽부(131)에 의하여 약간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보호 패널 자체가 손상될 수 있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패널부(100)의 하부에는 설치상태에서 절곡되어 나머지 부분을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110)가 위치한다.
도 1의 예에서 지지부(110)는 패널부(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분할되지 않은 형태이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00)가 패널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길이방향(L)으로 분할슬릿홈(111)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며, 분할된 지지부(110)는 바닥면의 단차에 대응하기 용이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모서리(구석 부분)에 적용할 때 인접한 다른 패널부의 지지부와 중첩될 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부(100)는 판재부(130)와 지지부(110)의 사이 경계에 접이홈(120)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부(110)는 접이홈(120)을 기준으로 절곡된다.
접이홈(120)의 형상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부(100)는 커버부(200)에 삽입된다.
커버부(200)의 구성은 상기 패널부(100)가 수용되는 다수의 포켓부(210)를 포함하며, 포켓부(210)들을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30)에 의해 단일한 구조가 된다.
상기 커버부(200)를 이루는 포켓부(210)와 연결부(230)는 모두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 장의 PVC를 소정의 간격으로 높이 방향(H)으로 긴 형태로 융착시켜 연결부(230)를 형성하고, 하단부도 융착하여 포켓부(210)를 정의할 수 있다. 포켓부(210)의 상부는 개구(220)가 형성된 상태이며, 개구(220)를 통해 상기 패널부(100)를 포켓부(210) 내에 넣고, 다시 포켓부(210) 상부를 융착하여 개구(220)를 밀폐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이며, 두 장의 PVC 원단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패널부(100)를 배치한 후에 융착을 통해 패널부(100) 둘레의 PVC 원단을 서로 융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켓부(210)의 하단은 상기 패널부(100)의 분할된 지지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부(240)에 의해 분할된 분할 포켓(25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릿부(240)의 수는 분할슬릿홈(111)의 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30)의 하부도 슬릿부(240)와 높이가 동일한 슬릿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200)는 연결부(230)가 자유롭게 접히는 구조이며, 상기 패널부(100)의 지지부(110)가 접히는 접이홈(120)에 대응하는 접이선(260) 부분이 쉽게 접힐 수 있다.
도 4은 본 고안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의 하단부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을 설치할 때,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내로 보호 패널을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설치할 때 보호 패널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패널부(100)의 지지부(110)가 접이홈(120)을 따라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가 삽입되어 있는 분할 포켓(250)도 함께 접히게 된다.
상기 지지부(110)가 접힌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면에 접하게 되며, 이는 지지부(110)의 상부측 패널부(10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지지하게 된다. 커버부(200)의 관점에서는 접이선(260)을 기준으로 분할 포켓(250)이 접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10)와 지지부(110) 상부측 패널부(100)의 각도는 상기 접이홈(120)에 의해 유지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패널부(100)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6는 정면도이다.
도 5와 도 6를 각각 참조하면 패널부(100)는 일면 하단측에 접이홈(120)이 마련된다. 상기 접이홈(120)을 경계로 하부는 지지부(110)가 되며, 상부는 판재부(130)가 된다.
접이홈(120)는 내각이 Θ인 제1면(121)과 제2면(122)으로 이루어지며 Θ는 85 내지 95도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제1면(121)은 접이홈(120)의 상부이며 제2면(122)은 하부가 된다.
상기 접이홈(120)의 위치에 따라 지지부(110)가 접히는 방향이 결정되며, 설치상태에서 상기 접이홈(120)을 기준으로 상부측의 패널부(100) 무게에 의하여 접이홈(120) 하부측인 지지부(110)가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Θ는 감소하게 되며, 결국 제1면(121)과 제2면(122)은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제1면(121)과 제2면(122)이 서로 접하여 상기 접이홈(120)을 기준으로 상부측의 패널부(100)가 전면방향(A)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설치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 패널을 엘리베이터의 벽면을 따라 세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 패널을 철거하면 일부 복원력과 함께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10)를 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30)를 기준으로 접어 패널부(100)가 수용된 포켓부(210)를 적층하여 보관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부(230) 부분을 접어서 엘리베이터 내부 측면들의 사이인 모서리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어 별도의 모서리 보호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즉, 엘리베이터의 내측면 보호를 위한 면 보호부재와 모서리 부분에 적용하기 위한 모서리 보호부재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단일한 구조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를 기준으로 서로 인접한 엘리베이터의 두 측면부에 위치하는 포켓부(210)의 하단은 엘리베이터의 안쪽을 향해 모두 접힌 상태가 되며, 따라서 일부는 중첩되어야 한다.
중첩부분에서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부(100)의 하단부인 지지부(110)는 분할슬릿홈(111)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분할된 지지부(110)는 각각 포켓부(210)의 하단에 슬릿부(240)에 의해 나눠진 분할 포켓(250)에 수용된다.
분할 포켓(250)은, 엘리베이터의 내측면 중 일면의 모서리부분에 적용된 제1분할 포켓(250a)과, 상기 제1분할 포켓(250a)의 상부에 중첩되는 제2분할 포켓(250b)와, 상기 제2분할 포켓(250b)과는 동일한 포켓부(210)에서 분할된 제3분할 포켓(250c)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 포켓(250a)이 분할된 포켓부와 상기 제2분할 포켓(250b) 및 제3분할 포켓(250c)이 분할된 포켓은 서로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된 것이며, 그 연결부(230)는 엘리베이터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2분할 포켓(250b)은 제1분할 포켓(250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3분할 포켓(250c)은 제2분할 포켓(250b)과는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에 단차가 있는 경우, 그 단차에 의해 설치면에 경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는 연결부(230) 자체의 연성과 포켓부(210)의 분할 구조에 의해 단차에 기인한 경사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본 고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패널부(100)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나, 상기 접이홈(120)의 상부측에서 상기 접이홈(120)과는 반대편 판재부(130)에 형성된 경사유도홈(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유도홈(140)은 내각이 Θ1인 두 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설치 상태에서 내각(Θ1)이 경사유도홈(140) 상부측 패널부(100)의 무게에 의해 점차 감소되어 경사유도홈(140)을 이루는 두 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경사유도홈(140)을 기준으로 상부측이 후면 방향(B)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면 방향(B)은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이며, 무게 중심 방향을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측으로 기울여 더욱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는 설치 상태에서 전면 방향(A)으로의 쓰러짐을 더욱 방지함과 아울러 보호 패널이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패널부 110:지지부
111:분할슬릿홈 120:접이홈
121:제1면 122:제2면
130:판재부 131:격벽부
132:통공부 140:경사유도홈
200:커버부 210:포켓부
220:개구 230:연결부
240:슬릿부 250:분할 포켓
260:접이선

Claims (5)

  1. 커버부의 내부에 패널부를 삽입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세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를 보호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일면의 하부측에 접이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접이홈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접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커버부는 다수의 상기 패널부를 각각 수용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사이를 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홈은,
    내각이 85 내지 95도인 제1면과 제2면으로 이루어지며,
    설치상태에서 내각이 감소하여 상기 지지부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접하여 상기 접이홈을 기준으로 상부측 상기 패널부의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리터 호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접이홈에 이르는 분할슬릿홈에 의해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포켓부는,
    상기 분할된 지지부를 각각 수용하는 분할 포켓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홈의 상부측 상기 패널부의 상기 접이홈이 마련된 면의 반대편 면에 위치하여, 설치상태에서 패널부의 무게 중심을 엘리베이터의 내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사유도홈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KR2020180001276U 2018-03-23 2018-03-23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KR200490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6U KR200490593Y1 (ko) 2018-03-23 2018-03-23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6U KR200490593Y1 (ko) 2018-03-23 2018-03-23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64U true KR20190002464U (ko) 2019-10-02
KR200490593Y1 KR200490593Y1 (ko) 2019-12-04

Family

ID=6816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76U KR200490593Y1 (ko) 2018-03-23 2018-03-23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550A (ko) * 2021-04-08 2022-10-17 (주)수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CN115303918A (zh) * 2022-09-19 2022-11-08 浙江恒达富士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上梁组件
ES2950031A1 (es) * 2022-03-02 2023-10-04 Zelaia Mikel Arruabarrena Protector adaptable para paredes de ascensor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y desinstalación de dicho pro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98Y1 (ko) * 2007-03-13 2009-05-15 이영진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KR20130127671A (ko) * 2012-05-15 2013-11-25 실드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98Y1 (ko) * 2007-03-13 2009-05-15 이영진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KR20130127671A (ko) * 2012-05-15 2013-11-25 실드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550A (ko) * 2021-04-08 2022-10-17 (주)수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ES2950031A1 (es) * 2022-03-02 2023-10-04 Zelaia Mikel Arruabarrena Protector adaptable para paredes de ascensor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y desinstalación de dicho protector
CN115303918A (zh) * 2022-09-19 2022-11-08 浙江恒达富士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上梁组件
CN115303918B (zh) * 2022-09-19 2024-05-31 浙江恒达富士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上梁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93Y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593Y1 (ko)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CN102955514B (zh) 折叠式盖体
CN204197492U (zh) 被包装的窗户、用于窗户的包装以及由包装组成的套件
US20140203070A1 (en) Packing box
CN104136331A (zh) 可折叠盒
US10683130B2 (en) Packing case
US3537200A (en) Display panel assembly
KR101101187B1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US6047884A (en) Boxes with angled inner panels
US20150228207A1 (en) Freestanding display apparatus and substrate for freestanding display apparatus
US10323915B2 (en) Variable firework battery
CN109878901B (zh) 一种笔记本电脑缓冲衬垫
CN210063898U (zh) 一种笔记本电脑缓冲衬垫
CN105902069A (zh) 多功能环保拼装式会展型材及其使用方法
KR102113337B1 (ko) 봉제 파티션
JP6916087B2 (ja) 立設装置
CN202743593U (zh) 塑料周转箱
KR100830412B1 (ko) 유리 기판의 포장용 완충재
JP6841471B2 (ja) 容器
JP7392979B2 (ja) 表示プレート支持具
CN105730876A (zh) 电视包装箱
KR102614989B1 (ko)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CN110733723A (zh) 可折叠的物料箱
CN213800588U (zh) 纸卡内衬及包装盒
JPH10203525A (ja) 緩衝体及び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