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18U - 전계완화 실드 - Google Patents
전계완화 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418U KR20190002418U KR2020180001195U KR20180001195U KR20190002418U KR 20190002418 U KR20190002418 U KR 20190002418U KR 2020180001195 U KR2020180001195 U KR 2020180001195U KR 20180001195 U KR20180001195 U KR 20180001195U KR 20190002418 U KR20190002418 U KR 2019000241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
- hole
- shield body
- terminal
- field relax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는, 부하개폐기의 전극과 연결된 어퍼 접속부재,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하측에 체결되는 로어 접속부재 및 상기 컨덕터에 체결되고 차단기의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핑거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 실드는, 상기 어퍼 접속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일부가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어퍼 실드바디; 및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핑거가 수용되며 상기 터미널 핑거와 이격되는 내면을 갖는 로어 실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실드바디에는, 상기 차단기의 터미널이 통과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 실드는, 상기 어퍼 접속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일부가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어퍼 실드바디; 및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핑거가 수용되며 상기 터미널 핑거와 이격되는 내면을 갖는 로어 실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실드바디에는, 상기 차단기의 터미널이 통과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계완화 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배전반의 부하 개폐기에 구비되고 인입출형 차단기와 접속되는 접속모듈에 포함된 전계완화 실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전력 계통도 대용량, 초고압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설비의 안정화와 신뢰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른 초고압 변전설비는 용지확보의 곤란, 유지보수 비용의 과다, 안정성 확보 등의 이유로 변전설비의 추세가 주회로 계통은 밀폐, 은폐화 되고 제어계통은 전자화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공기 또는 유류 절연형 변전설비에서 가스 절연형 변전설비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폐장치(스위치기어, Switchgear)는 송전라인 또는 배전라인 등에 구비되어, 정상적인 상태에 의한 개폐뿐만 아니라 지락, 단락 등과 같은 이상 상태에서 선로를 개방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하게 보호하는 기기이다.
개폐장치는 절연 매체에 따라 공기절연개폐장치(Air Insulated Switchgear; AIS), 고체절연개폐장치(Solid Insulated Switchgear; SIS) 및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GIS)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폐장치(Swichgear)는 전기계통의 전원측과 부하측간의 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전류상태에서 인위적으로 회로를 개폐할 때 또는 회로상에 지락이나 단락 등 이상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여 전력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특히 공기절연개폐장치(Air Insulated Switchgear; AIS)는 정격전압 24kV 이하의 2차 배전 계통에 적용되는 고압 수배전 설비로, 2차 배전 계통의 저가형 수변전 설비 및 민수용 수전설비에 이용된다.
개폐장치의 내부에서는 절연 매질에 따라 절연거리가 달라지는데, 공기절연개폐장치는 기중 절연을 사용하여 SF6가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큰 절연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기기간의 연결부위 등에 절연거리 확보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최외각 면이 유선형인 전계완화 실드를 장착할 경우 상기 전계완화 실드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빠르게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내부의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는 전계완화 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는, 부하개폐기의 전극과 연결된 어퍼 접속부재,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하측에 체결되는 로어 접속부재 및 상기 컨덕터에 체결되고 차단기의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핑거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 실드는, 상기 어퍼 접속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일부가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어퍼 실드바디; 및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핑거가 수용되며 상기 터미널 핑거와 이격되는 내면을 갖는 로어 실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실드바디에는, 상기 차단기의 터미널이 통과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 내둘레와 하측 내둘레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외면을 연결하는 엣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관통홀이 형성되며, 절연 재질을 갖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외면에 접하는 아우터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내면에 접하는 이너부; 상기 아우터부와 상기 이너부를 연결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에 접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부, 이너부 및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와 상기 어퍼 실드바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아우터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높이는 상기 어퍼 실드바디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로어 실드바디의 하측 둘레면 및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계완화 실드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의 열이 방출되어 열의 체류를 방지하고 기기의 회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의 엣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관통홀에 절연 재질의 패킹이 장착되어 절연 파괴 및 전계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전계완화 실드의 외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전계가 완화되고 절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과 그에 접속되는 차단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과 차단기의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차단기가 접속된 경우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드의 정면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관통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패킹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과 차단기의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차단기가 접속된 경우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드의 정면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관통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패킹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킹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과 그에 접속되는 차단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20)은 부하 개폐기(1)(LBS: Load Breaker Switch)의 전극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부하 개폐기(1)는 개폐장치(switchgear)의 구성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부하 개폐기(1)는 내부에 구동 메커니즘이 배치된 개폐기함(3)과, 개폐기함(3)의 상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어퍼 부싱부재(7A)와, 개폐기함(3)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로어 부싱부재(7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부싱부재(7A)의 내부에는 모선측 또는 부하측 회로와 연결된 어퍼 터미널(미도시)이 배치되고, 로어 부싱부재(7B)의 내부에는 상기 어퍼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로어 터미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터미널은 개폐기함(3)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어퍼 터미널과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어 터미널의 단부를 부하 개폐기(1)의 전극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접속 모듈(20)은 로어 부싱부재(7B)의 하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속 모듈(20)은 로어 부싱부재(7B)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접속 모듈(20)은 부하 개폐기(1)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2)는 접속 모듈(20)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로써 차단기(2)와 부하 개폐기(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2)는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장치(switchgear)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입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2)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대차부(4)와, 상기 대차부(4)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5)의 상측으로는 차단기(2)의 터미널(6)이 돌출될 수 있으며, 대차부(4)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터미널(6)은 접속모듈(20)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터미널(6)는 하우징(5) 내의 진공 인터럽터와 연결되는 연장부(6A, 도 2 참조)와, 상기 연장부(6A)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고 후술할 터미널 핑거(60)에 접속되는 접속자(6B,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모듈(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과 차단기의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차단기가 접속된 경우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드의 정면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실드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관통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모듈(20)은 부하 개폐기(1)의 전극에 연결되고 차단기(2)의 터미널(6)과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접속 모듈(20)은 부하 개폐기(1)의 전극에 연결되는 접속부재(30); 상기 접속부재(30)에 체결되고 상기 차단기(2)의 터미널(6)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핑거(60); 및 상기 접속부재(30)와 상기 터미널 핑거(60)를 함께 둘러싸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계완화 실드(21)에는 상기 차단기(2)의 터미널(6)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개방부(27) 및 상기 개방부(27)와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28A)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접속 부재(30)는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접속 부재(30)는 부하 개폐기(1)의 전극에 연결되는 어퍼 접속부재(31)와, 어퍼 접속부재(31)의 하측에 체결되고 터미널 핑거(60)가 체결되는 로어 접속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접속부재(31)는,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부에 수용된 어퍼 체결바디(33)와, 상기 어퍼 체결바디(33)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하개폐기(1)의 전극에 연결되는 연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33)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33)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퍼 체결바디(33)의 둘레면은 전계완화 실드(21)의 유선형 바디에 대응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33)의 둘레면에는 이너 체결공(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체결공(33A)는 전계완화 실드(21)에 형성된 아우터 체결공(26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아우터 체결공(26A)과 이너 체결공(33A)을 함께 통과하여 어퍼 체결바디(33)를 전계완화 실드(21)와 체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32)는 어퍼 체결바디(33)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는 전계완화 실드(21)에 형성된 연결홀(25)을 통과하여 부하 개폐기(1)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2)는 개폐기 연결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연결부(3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32)의 직경은 어퍼 체결바디(3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로어 접속부재(34)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어 접속부재(34)는, 어퍼 체결바디(33)의 하측에 체결되는 로어 체결바디(35)와, 상기 로어 체결바디(35)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터미널 핑거(60)가 체결되는 핑거 고정바디(36)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35)는 어퍼 접속부재(31), 좀 더 상세히는 어퍼 체결바디(33)의 저면에 접하여 체결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35)는 수평하게 배치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35)의 상하방향 두께는 어퍼 체결바디(33)의 상하방향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핑거 고정바디(36)는 수직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핑거 고정바디(36)는 로어 체결바디(35)의 저면에 수직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핑거 고정바디(36)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에는 후술할 체결부재(40)가 관통되어 핑거 고정바디(36)와 터미널 핑거(60)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며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미널 핑거(60)는 체결부재(40)에 의해 접속 부재(3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터미널 핑거(60)은 로어 접속부재(34)의 핑거 고정바디(36)에 체결될 수 있다.
터미널 핑거(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핑거(60)는 핑거 고정바디(36)의 일면에 배치된 제1터미널 핑거(61)와, 핑거 고정바디(36)의 타면에 배치된 제2터미널 핑거(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차단기(2)의 접속자(6B)는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의 사이로 삽입되며 제1터미널 핑거(61) 및 제2터미널 핑거(62)에 접속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 각각은 복수개의 핑거 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는 각각 3개씩의 핑거 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 부재(6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핑거 부재(63)에는 어퍼 볼록부(65) 및 로어 볼록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볼록부(65)는 핑거 고정바디(36)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핑거 고정바디(36)에 접할 수 있다.
제1터미널 핑거(61)의 핑거부재(63)에 형성된 로어 볼록부(66)와 제2터미널 핑거(62)의 핑거부재(63)에 형성된 로어 볼록부(66)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로어 볼록부(66)는 차단기(2)의 접속자(6B)에 접할 수 있다.
핑거 부재(63)는 체결부재(40)에 의해 핑거 고정바디(36)와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재(40)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핑거 부재(63)에는 체결부재(40)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어퍼 볼록부(65)와 로어 볼록부(6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0)는 제1터미널 핑거(61)의 핑거부재(63)와, 핑거 고정바디(36)와, 제2터미널 핑거(62)의 핑거부재(63)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40)에는 코일 스프링등의 탄성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1)는 터미널 핑거(60)와 접속자(6B)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 사이로 접속자(6B)가 삽입되면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의 사이가 벌어지며 탄성부재(41)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41)는 제1터미널 핑거(61)와 제2터미널 핑거(6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고, 이로써 접속자(6B)와 제1,2 터미널 핑거(61)(62)간의 접속이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기(2, 도 1 참조)는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접속 모듈(20)과 차단기(2)의 접속은 고정형이 아닌 인출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형과 같이 전계 완화를 위해 접속부 등을 절연물로 둘러싸는 대신 금속재질의 전계완화 실드(21)가 사용될 수 있다.
전계완화 실드(21)는 접속모듈(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부에는 접속부재(30) 및 터미널 핑거(60)가 수용될 수 있다.
전계완화 실드(21)은 대략 직경이 가변적이며 엣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계완화 실드(21)의 외면은 엣지가 형성되지 않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계가 완화되고 파괴방전이 방지되며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전계완화 실드(21)는 어퍼 체결바디(33)가 수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어퍼 실드바디(22); 및 상기 어퍼 실드바디(2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핑거(60)가 수용되며 개방부(27) 및 복수개의 관통홀(28A)이 형성된 로어 실드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실드바디(22)는 전계완화 실드(21)의 상측 일부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어퍼 실드바디(22)는 전계완화 실드(21)의 상면(24)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실드바디(22)의 내부에는 어퍼 체결바디(33) 및 로어 체결바디(35)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실드바디(22)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연결부(32)가 통과하는 연결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실드바디(22)는 반경 방향으로 어퍼 접속부재(31) 및 로어 체결바디(35)와 오버랩될 수 있다.
어퍼 실드바디(22)의 내면에는 어퍼 체결바디(33) 및 로어 체결바디(35)가 안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체결바디 고정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실드바디(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26)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26)에는 아우터 체결공(26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체결공(26A)은 어퍼 체결바디(33)의 이너 체결공(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함몰부(26)에 삽입되며 이너 체결공(33A)과 아우터 체결공(26A)을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함몰부(26)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전계완화 실드(21)의 유선형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절연 파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는 어퍼 실드바디(22)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는 전계완화 실드(21)의 하측 일부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는 전계완화 실드(21)의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의 높이(H2)는 어퍼 실드바디(22)의 높이(H1)보다 높을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의 내부에는 핑거 고정바디(36) 및 터미널 핑거(60)가 수용될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의 내면은 터미널 핑거(60)와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실드바디(23)에는 개방부(27) 및 복수개의 관통홀(28A)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7)는 로어 실드바디(23)의 하측 둘레면 및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7)는 차단기(2, 도 1 참조)의 터미널(6)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6)의 접속자(6B)가 터미널 핑거(60)에 접속된 경우, 터미널(6)의 연장부(6A)는 개방부(27)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28A)은 로어 실드바디(23)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8A)은 개방부(27)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관통홀(28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차단기(2)의 접속자(6b)가 터미널 핑거(60)에 접속되며 발생한 열은 관통홀(28A)을 통해 전계완화 실드(21)의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전계완화 실드(21)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부를 관찰하여 차단기(2)의 터미널(6)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각 관통홀(28A)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 또는 슬릿일 수 있다. 관통홀(28A)의 내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관통홀(28A)의 상측 및 하측 내둘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측 내둘레는 수직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8A)의 내둘레와 로어 실드바디(23)의 외면을 연결하는 엣지(28B)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각진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절연파괴의 가능성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조립구조의 측면에서 전계완화 실드(21)는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는 전계완화 실드(21)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구성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의 구성은 수직면에 대해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 각각에는 돌출 체결부(29A) 및 함몰 체결부(29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드(21A)의 돌출 체결부(29A)는 제2실드(21B)의 함몰 체결부(29B)와 체결될 수 있고, 제1실드(21A)의 함몰 체결부(29B)는 제2실드(21B)의 돌출 체결부(29A)와 체결될 수 있다.
돌출 체결부(29A) 및 함몰 체결부(29B)는 각 실드(21A)(21B)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 각각에는 앞서 설명한 함몰부(26) 및 아우터 체결공(2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실드(21A)와 제2실드(21B) 각각은 어퍼 체결바디(33)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의 패킹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킹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21)는 패킹(70)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21)는 복수개의 패킹(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70)은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70)에는 관통홀(28A)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관통홀(74)이 형성될 수 있다.
각 패킹은(70)은 전계완화 실드(21)에 형성된 각 관통홀(28A)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실드(21)의 관통홀(28A)은 패킹 장착공으로 기능할 수 있고,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서브 관통홀(74)을 통해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패킹(70)은, 전계완화 실드(21)의 외면에 접하는 아우터부(71)와; 전계완화 실드(21)의 내면에 접하는 이너부(72)와; 아우터부(71)와 이너부(72)를 연결하고 관통홀(28A)의 내둘레에 접하는 연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관통홀(74)은 아우터부(71), 이너부(72) 및 연결부(7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부(71)는 로어 실드바디(23)의 외면에 접할 수 있고, 이너부(72)는 로어 실드바디(23)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연결부(73)의 둘레면은 관통홀(28A)의 내둘레에 접할 수 있다.
아우터부(71) 및 이너부(72)의 크기는 연결부(7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8A)에 패킹(70)이 장착됨으로써, 관통홀(28A)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지 않고도 관통홀(28A)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전계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접속 모듈
21: 전계완화 실드
22: 어퍼 실드바디 23: 로어 실드바디
25: 연결홀 26: 함몰부
26A: 아우터 체결공 27: 개방부
28A: 관통홀 28B: 엣지
30: 접속부재 31: 어퍼 접속부재
32: 연결부 33: 어퍼 체결바디
33A: 이너 체결공 34: 로어 접속부재
35: 로어 체결바디 36: 핑거 고정바디
40: 체결부재 41: 탄성부재
60: 터미널 핑거 61: 제1터미널 핑거
62: 제2터미널 핑거 70: 패킹
71: 아우터부 72: 이너부
73: 연결부 74: 서브 관통홀
22: 어퍼 실드바디 23: 로어 실드바디
25: 연결홀 26: 함몰부
26A: 아우터 체결공 27: 개방부
28A: 관통홀 28B: 엣지
30: 접속부재 31: 어퍼 접속부재
32: 연결부 33: 어퍼 체결바디
33A: 이너 체결공 34: 로어 접속부재
35: 로어 체결바디 36: 핑거 고정바디
40: 체결부재 41: 탄성부재
60: 터미널 핑거 61: 제1터미널 핑거
62: 제2터미널 핑거 70: 패킹
71: 아우터부 72: 이너부
73: 연결부 74: 서브 관통홀
Claims (9)
- 부하개폐기의 전극과 연결된 어퍼 접속부재,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하측에 체결되는 로어 접속부재 및 상기 컨덕터에 체결되고 차단기의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핑거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전계완화 실드에 있어서,
상기 어퍼 접속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의 일부가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어퍼 실드바디; 및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핑거가 수용되며 상기 터미널 핑거와 이격되는 내면을 갖는 로어 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실드바디에는,
상기 차단기의 터미널이 통과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이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 내둘레와 하측 내둘레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외면을 연결하는 엣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관통홀이 형성되며, 절연 재질을 갖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전계완화 실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외면에 접하는 아우터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내면에 접하는 이너부;
상기 아우터부와 상기 이너부를 연결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둘레에 접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부, 이너부 및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실드바디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어퍼 접속부재와 상기 어퍼 실드바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아우터 체결공이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높이는 상기 어퍼 실드바디의 높이보다 높은 전계완화 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로어 실드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로어 실드바디의 하측 둘레면 및 저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전계완화 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95U KR200491171Y1 (ko) | 2018-03-20 | 2018-03-20 | 전계완화 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95U KR200491171Y1 (ko) | 2018-03-20 | 2018-03-20 | 전계완화 실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418U true KR20190002418U (ko) | 2019-09-30 |
KR200491171Y1 KR200491171Y1 (ko) | 2020-05-15 |
Family
ID=6808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195U KR200491171Y1 (ko) | 2018-03-20 | 2018-03-20 | 전계완화 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171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2247A (ko) * | 2000-09-19 | 2002-03-27 | 이종수 | 진공 인터랍터 |
WO2012117506A1 (ja) * | 2011-02-28 | 2012-09-0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母線 |
KR20150088956A (ko) * | 2014-01-24 | 2015-08-04 | 일진전기 주식회사 | 개폐장치 |
-
2018
- 2018-03-20 KR KR2020180001195U patent/KR20049117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2247A (ko) * | 2000-09-19 | 2002-03-27 | 이종수 | 진공 인터랍터 |
WO2012117506A1 (ja) * | 2011-02-28 | 2012-09-0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母線 |
KR20150088956A (ko) * | 2014-01-24 | 2015-08-04 | 일진전기 주식회사 |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171Y1 (ko) | 2020-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5479B1 (ko) | 스위치 기어 | |
EP3062403B1 (en) | Gas-insulated switchgear | |
WO2014050184A1 (ja) | 電力開閉装置 | |
KR102355564B1 (ko) |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아크제거기 | |
US7986061B2 (en) | Electrical switching device | |
CN108493035A (zh) | 设有引弧装置的隔离开关 | |
KR101490176B1 (ko) |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 |
KR200491171Y1 (ko) | 전계완화 실드 | |
JP4515966B2 (ja) | 三相一括形ガス絶縁開閉装置 | |
CN206116273U (zh) | 一种户外高压隔离开关 | |
CN214228770U (zh) | 40.5kV高压开关柜用封堵型触头盒 | |
CN110060904B (zh) | 一种新型隔离开关触头结构 | |
KR101324731B1 (ko) |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 |
CN102364783B (zh) | 一种矿用隔爆兼正压型高压配电装置 | |
KR102281673B1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 |
CN204967248U (zh) | 一种防止高压母线短路的保护装置 | |
KR102066227B1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 | |
CN211150409U (zh) | 一种户外真空断路器真空绝缘传动装置 | |
KR20190094696A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 |
CN215378241U (zh) | 开关柜电缆室 | |
KR102611655B1 (ko) |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도체 | |
KR102267102B1 (ko) | 다중 접속 구조의 개폐기기 | |
KR20180104808A (ko)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디스크형 스페이서 | |
Fedorov et al. |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Transient Recovery Voltage on the Breaking Capacity of Switches 6–20 kV | |
KR20230099135A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고속 접지 스위치 및 이를 갖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