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956A -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956A
KR20150088956A KR1020140009222A KR20140009222A KR20150088956A KR 20150088956 A KR20150088956 A KR 20150088956A KR 1020140009222 A KR1020140009222 A KR 1020140009222A KR 20140009222 A KR20140009222 A KR 20140009222A KR 20150088956 A KR20150088956 A KR 20150088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ield
opening
ar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190B1 (ko
Inventor
임형우
황동익
Original Assignee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90B1/ko
Priority to PCT/KR2015/000640 priority patent/WO2015111919A1/ko
Publication of KR2015008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6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arc-extinguishing gas is evolved from stationary part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 H01H33/7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arc-extinguishing gas is evolved from stationary part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전계 완화를 이룰 수 있고 아크를 교란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플로팅된 소호용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소호 성능을 높여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이룰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floating) 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상기 통과홀은 그 측부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1 이상 구비되며, 상기 소호용 쉴드가 복수일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와전류에 의한 소호 효과 및 전계 완화 효과를 증대하여 소호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극 간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비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SWITCH-GEAR}
본 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과적으로 전계 완화를 이룰 수 있고 아크를 교란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플로팅된 소호용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소호 성능을 높여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이룰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폐장치 (開閉裝置, Switch-gear) 는 전기회로의 구성, 분리 또는 변경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 또는 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차단기, 단로기, 퓨즈와 같은 기구 뿐만 아니라 모선, 차단기, 단로기, 접지장치, 변성기 등을 금속제함에 내장시킨 가스절연 개폐장치 (GIS; Gas Insulated Switch-gear) 및 MCGS (Metal Clad Switch-gear) 를 포함한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차단기 (遮斷器, Circuit Breaker) 는 개폐장치의 한 종류로서 정상상태의 전로 (電路) 뿐만 아니라 이상상태 특히, 단락상태의 전로도 개폐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국제표준규격 (IEC) 에서는 “정상상태의 전류를 투입, 통전, 차단하며 또한 단락과 같은 소정의 이상상태에 있어서 투입, 일정시간의 통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개폐장치를 말한다.”라고 정의한다.
차단기는, (1) 투입상태에서 양호한 도체로, 정상 또는 단락고장상태와 같은 이상조건에서도 열적, 구조적으로 견디어야 하고, (2) 개방상태에서 양호한 절연체로 상간 또는 상과 대지간 절연이 유지되어야 하고, (3) 차단기 투입시에는 이상전압 발생이 없이 정격 또는 그 이하의 발생전류를 정상적으로 차단하여야 하고, (4) 차단기 개방시에는 접촉자 손상이 없이 신속, 안전하게 회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차단기는 사용회로에 따라 직류용, 교류용으로 분류되며, 소호 (消弧) 방식에 따라 자력식, 타력식 소호 방식으로 구분되고, 소호 매질에 따라 기중 차단기 (ACB), 유입 차단기 (OCB), 자기 차단기 (MBB), 공기 차단기 (ABB), 진공 차단기 (VCB), 가스 차단기 (GCB) 로 분류된다.
가스 차단기는 전로의 차단이 육불화유황 (SF6) 과 같은 특수한 기체인 불활성 가스 (이하, '소호 가스') 를 소호 매질로 사용하는 차단기를 말한다. 가스 차단기의 특징은 소호 가스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고, 소호 능력이 우수하여 아크가 안정되고 절연회복이 빨라 고전압 대전류 차단에 적합하다. 차단시에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공기 차단기와 달리 소음공해가 없으며, 변압기의 여자전류차단과 같은 소전류차단에도 안정된 차단이 가능하다. 개폐 과전압의 발생이 적고, 아크 감소후 절연회복이 우수하여 근거리선로 고장, 탈조 (脫調) 차단, 이상지로 (異常地路) 등 가혹한 조건에서도 강하며 소형으로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유입 차단기 및 공기 차단기를 대체하여 급속하게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차단기는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에 따라 파퍼 소호방식 (puffer type), 로터리 아크 소호방식 (rotating type), 열팽창 소호방식 (thermal expansion type), 복합 소호방식 (hybrid extinction typ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들로서, 도 1a는 전극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전극들이 서로 이격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c는 소호용 쉴드를 구비한 일반적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가스절연 개폐장치 (10) 는, 제1 전극 (11) 과 이 제1 전극 (11) 에 삽입됨으로써 통전되고, 이탈됨으로써 단전되는 제2 전극 (12)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의 단부를 감싸도록 메인 노즐 (13) 이 위치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메인 노즐 (13) 은 제1 전극 (11) 측에 고정되는데, 폭이 좁은 중심부분에서 아크가 발생하게 되고, 메인 노즐 (13) 내로의 소호 가스의 흐름을 통해 아크가 소호된다.
도 1b와 같이, 제2 전극 (12) 이 제1 전극 (11) 으로부터 이탈되면,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사이의 메인 노즐 (13) 의 내부에는 단락 전류에 따른 아크 (A) 가 발생하며, 이 아크 (A) 는 제1 전극 (11) 측으로부터 강력하게 분사되는 소호 가스에 의해 소호된다.
또한,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이 이격되고 아크 (A) 가 소호된다 하여도,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간의 거리가 충분히 크지 않으면,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간에 재점호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재점호는 상용 주파 전압에 있어서 전류 영점 후 4분의 1 주기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생기는 절연 파괴 현상이다. 이러한 재점호가 일어나면 큰 과도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계통 기기의 신뢰성을 위협한다. 그 때문에,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재점호를 회피하고 절연 파괴 현상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신속한 아크의 소호, 재점호의 방지를 위해서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간의 개폐 속도의 향상, 이격 거리의 증대, 소호 가스의 유속 증대 등이 필요하나, 이러한 것들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대형화, 고비용화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사이에,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계 (電界) 를 완화하여, 소호의 속도를 증대시키거나, 재점호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c 에서와 같이, 메인 노즐 (13) 의 내부에 철 재질의 소호용 쉴드 (14) 를 삽입하여 제1 전극 (11) 과 제2 전극 (12) 사이의 전계를 완화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0a) 가 개시되었다 (C.Y.Peng et all, RESEARCH ON THE ELECTRIC FIELD CONTROLLING FOR THE ARC-CHUTE OF HIGH VOLTAGE SF6 CIRCUIT BREAKER, 1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Voltage Engineering, p.59, August 25-30, 2013).
이와 같이 전계의 세기를 완화하는 것으로서, 아크의 소호 및 재점호를 방지하는 것에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보다 강력한 전계 완화 효과 등을 가진 구조에 의해 더욱 소호 성능 및 재점호 방지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개폐장치가 소형화될 여지는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필요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효과적으로 전계 완화를 이룰 수 있고 아크를 교란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플로팅된 소호용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소호 성능을 높여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이룰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floating) 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상기 통과홀은 그 측부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1 이상 구비되며, 상기 소호용 쉴드가 복수일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호용 쉴드는 링 형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floating) 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호용 쉴드는 1 이상의 관통홀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0도 초과의 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호용 쉴드는 강자성체 재질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호용 쉴드는, 니켈, 코발트, 기계강 (machine steel), 페라이트 (ferrite), 퍼멀로이 (permalloy), 뮤메탈 (mumetal), 센더스트 (sendust), 슈퍼멀로이 (supermalloy), 철, 주철, 파우더 철 (powedered iron), 변압기 철 (transformer iron) 및 이들의 합금 중 1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가진다. 상기 제1 전극의 측면으로는 슬릿 (slit) 이 1 이상 형성된다. 상기 슬릿의 일단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잇는 선 및 상기 슬릿의 타단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은 상기 제2 전극이 삽입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0도 초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gas insullated switch-gear)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는 열 팽창식 가스절연 개폐장치, 파퍼형 (puffer type) 가스절연 개폐장치 및 복합형 가스절연 개폐장치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와전류에 의한 소호 효과 및 전계 완화 효과를 증대하여 소호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극 간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비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외측부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아크가 소호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소호용 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소호용 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5b의 소호용 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b는 도 6b의 소호용 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개폐장치에서 제1 전극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전극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슬릿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100) 는 제1 메인 접촉자 (110) 와, 제2 메인 접촉자 (120) 와,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과, 메인 노즐 (150) 과, 소호용 쉴드 (160) 와, 보조 노즐 (17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는 열팽창 소호 방식 (Thermal Expansion type) 에 따른 개폐장치에 적용된 예로 설명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계폐장치를 열팽창 소호 방식에 따른 개폐장치로 한정짓는 것은 아닌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는 이외에도 파퍼형 (puffer type) 소호 방식, 복합형 (hybrid type) 소호 방식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메인 접촉자 (110) 와 제2 메인 접촉자 (120) 는 후술할 제1 전극 (130), 제2 전극 (140) 및 메인 노즐 (150) 의 외측에 위치하고,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100) 에서 주회로를 통전시키는 주접촉 부분이다.
제1 전극 (130) 은 가동 아크 접촉자 (moving arc contactor) 로서 기능하고, 또한 제2 전극 (140) 은 고정 아크 접촉자 (fixed stationally arc contactor) 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모두 가동 아크 접촉자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1 전극 (130) 및 제2 전극 (140) 은 개폐 동작시에 회로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담당하여 메인 접촉자들 (110, 120) 의 손상을 예방한다.
제1 메인 접촉자 (110) 와 제2 메인 접촉자 (120) 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에 비해 늦게 투입되고 먼저 차단되어, 아크에 의한 손상을 예방하게 되고, 아크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에서만 발생하게 된다.
제1 전극 (130) 은 그 내부에 중공 (131) 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 (131) 에 봉 형상의 제2 전극 (140) 이 삽입되어 접촉함으로써 통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130) 및 제2 전극 (140) 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메인 노즐 (150) 은 제1 전극 (130) 의 단부 (端部) 와 제2 전극 (140) 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소호 가스의 흐름을 안내한다. 메인 노즐 (150) 은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 (110) 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메인 노즐 (150) 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노즐 (150) 의 내면 (151) 은 아크의 발생 부분에서는 폭이 좁고, 제1 전극 (130) 측 및 제2 전극 (140)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도록 형성된다. 이는 소호를 위한 가스의 흐름 속도가 아크 발생 부분에서 가장 크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소호를 위한 가스는 팽창실 (152) 에서 공급되는데, 이는 열 팽창식을 채택한 경우의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파퍼형을 채택한 경우에는 파퍼 실린더와 파퍼 피스톤을 구비하여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공급 방식은 기존의 개폐장치의 공지의 구성을 따른다.
소호를 위한 가스는 팽창실 (152) 로부터, 즉 제1 전극 (130) 측으로부터 메인 노즐 (150) 의 내부로 공급되고, 아크를 소호한 후 제1 전극 (130) 및/또는 제2 전극 (140)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가 가스절연 개폐장치인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소호 가스는 소호 성능 및 절연 성능이 우수한 가스이고, 예를 들어 SF6 가스일 수 있으나, SF6 가스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23900배의 지구 온난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SF6 가스보다 지구 온난화 계수가 작은 가스를 이용해도 무방하며, 이러한 가스로는 공기,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 또는 이러한 가스들의 혼합 가스를 들 수 있다.
도 2와 같이, 사고의 발생 시에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간의 단전을 위해,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이 서로 이격되기 시작하면,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에는 고열의 아크가 발생한다. 또한,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이 완전히 이격된 개방 상태에서도 뇌충격 등이 발생하면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로 인하여, 아크 주변의 가스가 급격히 팽창되고, 메인 노즐 (150) 의 내면 (151) 또는 전극들 (130, 140) 이 일부 용삭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한 아크 소호는 장치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신속한 소호를 이루기 위해, 기존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소호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채택해왔다. 또한, 도 1c와 같이 철이 함유되어 있는 재질로 소호용 쉴드를 메인 노즐 내에 삽입하여 전계를 완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100) 는, 도 2에서와 같은 형상을 가진 소호용 쉴드 (160) 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계 완화를 행한다.
도 2와 같이 소호용 쉴드 (160) 는 메인 노즐 (150) 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전극 (130) 과 상기 제2 전극 (140) 간의 단락 시에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소호용 쉴드 (160) 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간의 아크 점유 공간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로부터 소호용 쉴드 (160) 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간의 공간의 전계를 완화함과 함께, 후술할 와전류에 의한 소호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소호용 쉴드 (160) 는 어디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플로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메인 노즐 (150) 내에 매립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소호용 쉴드 (160) 는 메인 노즐 (150) 외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소호용 쉴드 (160) 의 내측에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소호 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내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노즐 (150) 이 적용되지 않는 개폐장치에 적용될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플로팅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100) 의 소호용 쉴드 (160) 는 1 이상 구비되며, 복수일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각 소호용 쉴드 (160) 는 제1 전극 (130) 또는 제2 전극 (140) 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 (340) 만이 통과된다). 예를 들어, 소호용 쉴드 (160) 는 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소호용 쉴드 (160) 는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을 가지되,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통과홀이 측부로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소호용 쉴드 (160) 의 단면은 도 2에서와 같이 와전류의 생성 및 전계 완화에 유리하도록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의 형상은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소호용 쉴드 (160) 의 재질은 강자성체이면서 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전계 완화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호용 쉴드 (160) 는 니켈, 코발트, 기계강 (machine steel), 페라이트 (ferrite), 퍼멀로이 (permalloy), 뮤메탈 (mumetal), 센더스트 (sendust), 슈퍼멀로이 (supermalloy), 철, 주철, 파우더 철 (powedered iron), 변압기 철 (transformer iron) 및 이들의 합금 중 1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소호용 쉴드 (160) 의 재질은 강자성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체이면 상자성체나 반자성체를 사용하여도 와전류에 의한 아크 교란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강자성체 이외의 재질로도 소호용 쉴드 (160) 가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호용 쉴드 (160) 는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텅스텐, 백금, 금, 주석, 망간 및 이들의 합금 중 1 이상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보조 노즐 (170) 은 제1 전극 (130) 의 단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보조 노즐 (170) 은 제1 전극 (130) 의 중공 (131) 을 통해 가스를 아크 발생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 노즐 (150) 과 동일한 절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소호용 쉴드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아크가 소호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 (130) 측으로부터 제2 전극 (140) 측으로 사고 전류가 메인 노즐 (150) 내의 공간으로 흐르면, 이러한 사고 전류에 의해 사고 전류가 흐르는 주변에 일점쇄선과 같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기장은 소호용 쉴드 (160) 가 점유하는 공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자기장의 변화는 소호용 쉴드 (160) 내부에 와전류 (eddy current) 를 흐르게 한다. 이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전류는 자기장의 변화에 저항한다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의해, 자기장의 변화에 반대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따르면, 사고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 (도 3에서 왼쪽 방향) 에 반대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와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소호용 쉴드 (160) 의 상측은 외측으로 나오는 방향, 하측은 내측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와전류가 형성된다 (도 3에서는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로 도시됨).
한편, 이러한 와전류는 그 자체의 자기장을 주변에 형성하는데, 소호용 쉴드 (160) 의 하측의 와전류 (도 3에서
Figure pat00003
로 도시된 부분) 에 의해 아크를 형성하는 임의의 음전하에 영향을 미치며 반경 R를 가지는 자기장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이 형성된다. 자기장 내에서 전자가 이동을 할 경우 F=qν×B 의 로렌츠의 법칙에 의해 아크 내에서 이동하는 전자가 힘을 받아 방향이 변화된다. 다시 말해서, 아크 내의 전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왼쪽 방향을 가지는 와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 하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로렌츠의 힘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왼쪽으로의 자기장 하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게 된다.
아크를 형성하는 전자에 작용하는 힘 (즉, 다시 말하면 로렌츠의 힘) 에 의해, 아크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소용돌이치게 되는 방식으로 교란되며, 이에 따라 소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소호용 쉴드 (160) 의 도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 큰 와전류를 얻을 수 있어, 소호 효과를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와전류에 의한 소호 효과 이외에도 소호용 쉴드 (160) 는 아크가 발생하는 공간 주변의 전계를 완화시킴으로써, 아크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의 개폐장치 (200) 는 소호용 쉴드 (260) 의 구성 만이 도 2의 개폐장치 (100) 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여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200) 의 소호용 쉴드 (260) 는 제1 전극 (230) 및 제2 전극 (240) 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소호용 쉴드 (260) 의 단면은 도 2에서와 같이 와전류의 생성 및 전계 완화에 유리하도록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의 형상은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의 소호용 쉴드 (260) 를 채택하면, 전계 및 와전류에 의한 힘에 의해 아크가 나선형으로 휘어지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아크의 소호 시점이 빨라지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소호용 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는 소호용 쉴드 (360) 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5a의 개폐장치 (300) 는 소호용 쉴드 (360) 의 구성 만이 도 2의 개폐장치 (100) 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여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300) 에 채용된 소호용 쉴드 (360) 는 제1 전극 (330) 의 중심과 제2 전극 (3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길게 형성된 1 이상의 관통홀 (361) 을 구비한다. 여기서, 관통홀 (361) 이란 소호용 쉴드 (360) 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통홀 (361) 에 의해 소호용 쉴드 (360) 의 전계 완화 효과를 증대할 수도 있고, 또한 와전류에 의한 아크 교란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소호용 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는 소호용 쉴드 (460) 의 전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400) 에 채용된 소호용 쉴드 (460) 는 제1 전극 (430) 의 중심과 제2 전극 (4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비스듬한 1 이상의 관통홀 (461) 을 구비한다. 즉, 관통홀 (461) 은 제1 전극 (430) 과 제2 전극 (4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0도 초과의 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소호용 쉴드 (460) 의 관통홀 (461) 의 형상은, 소호용 쉴드 (460) 를 전개 (展開) 하였을 때, 직선, 곡선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 (461) 에 의해 소호용 쉴드 (460) 의 전계 완화 효과를 증대할 수도 있고, 또한 아크가 발생하는 공간 내의 전계의 모양을 나선형으로 유도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계를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아크가 교란되어, 아크를 더욱 쉽게 소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의 개폐장치 (500) 는 소호용 쉴드 (560) 의 구성 만이 도 2의 개폐장치 (100) 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여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 (500) 의 소호용 쉴드 (560) 는 분리되어 복수 개로 구성된다. 즉, 소호용 쉴드 (560) 는 제1 부재 (561) 와 제2 부재 (562) 로 분할되어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중심부가 분리된 소호용 쉴드 (560) 를 구비하면, 분리되지 않은 소호용 쉴드에 비해 내부의 전계 변동 폭을 줄이는 효과 (평등 전계효과) 를 더 기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8a는 도 5b의 소호용 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6b의 소호용 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a와 같이 복수의 소호용 쉴드 (360') 로서 소호용 쉴드를 구비하여도 된다. 여기서, 각 소호용 쉴드 (360') 는 도 7의 단면도와 같이 서로 분리되고, 그 각각은 도 5b와 같은 형상의 관통홀을 가진다.
또한, 도 8b와 같이 복수의 소호용 쉴드 (460') 로서 소호용 쉴드를 구비하여도 된다. 여기서, 각 소호용 쉴드 (460') 는 도 7의 단면도와 같이 서로 분리되고, 그 각각은 도 6b와 같은 형상의 관통홀을 가진다.
도 9는 도 2의 개폐장치에서 제1 전극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제1 전극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슬릿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1 전극 (130) 내의 중공 (131) 으로 제2 전극 (140) 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전극 (130) 의 측면으로 슬릿 (slit) 이 1 이상 형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평행하게 슬릿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슬릿 (132) 은 일반적인 슬릿과 달리 도 9 및 도 10과 같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극 (130) 의 측면에는 제1 전극 (130) 의 중심과 제2 전극 (1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0도 초과의 각을 이루도록 1 이상의 슬릿 (132) 이 형성된다. 즉, 슬릿 (132) 은 제1 전극 (130) 의 중심과 제2 전극 (1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슬릿 (132) 의 형상을 다른 방식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전극 (140) 이 삽입되는 측에서 제1 전극 (130) 을 본 것이다. 슬릿 (132) 은 제2 전극 (140) 측의 일단부 (132a) 와 그 반대측의 타단부 (132b) 를 가진다. 이 일단부 (132a) 와 중공 (131) 의 중심 C 를 잇는 선 및 타단부 (132b) 와 중공 (131) 의 중심 C 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 a가 0도 초과이도록 슬릿 (132) 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 (132) 은 제1 전극 (130) 을 전개 (展開) 하여 보았을 때, 직선 또는 곡선일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슬릿 (132) 으로 인하여 제1 전극 (130) 내부의 중공 (131) 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어, 강고하게 제2 전극 (140) 을 중공 (131) 내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제1 전극 (13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비스듬하게 흐르게 함으로써, 이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제2 전극 (140) 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대조적으로, 슬릿 (132) 이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일반적인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1 전극 (13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제1 전극 (130) 의 측면에만 영향을 미칠 뿐, 제2 전극 (140) 측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전극 (140) 측으로 돌출된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슬릿 (132) 이 제1 전극 (130) 과 제2 전극 (140) 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대해 많이 기울어질수록 좋다. 다르게 말하면, 도 11을 참조할 때, a 값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 (132) 의 기울기는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며, 예를 들어 a는 45도, 90도, 135도, 180도, 360도, 540도, 720도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슬릿 (132) 의 개수는 1 이상이고,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나, 많이 형성할수록 전류를 비스듬하게 흐르게 하는 효과가 크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슬릿 (132) 에 의해, 제1 전극 (130) 에서 제2 전극 (140) 측으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 공간을 점유하게 되는 아크의 음전하는 로렌츠의 힘을 받게 되어, 아크가 제2 전극 (140) 을 직접 향하지 않고, 교란되게 된다.
이러한 슬릿 (132) 은 상술한 소호용 쉴드 (160~660) 와 동시에 사용될 경우 소호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한 아크 소호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소호용 쉴드 (160~560) 는 상술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들 (100~500) 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형태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가스절연 개폐장치 이외에도, 기중 차단기 (ACB) 에 따른 개폐장치, 유입 차단기 (OCB) 에 따른 개폐장치, 자기 차단기 (MBB) 에 따른 개폐장치, 공기 차단기 (ABB) 에 따른 개폐장치, 진공 차단기 (VCB) 에 따른 개폐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개폐장치들 (100~500) 은, 제1 전극 (130~530) 및 제2 전극 (140~540)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제1 전극 (130~530) 과 제2 전극 (140~540) 이 이격되면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팽창하는 내부 가스를 수용하였다가 팽창된 내부 가스를 아크가 발생하는 공간에 분사하는 팽창실 (152~552) 을 더 구비함으로써, 열 팽창식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개폐장치들 (100~500) 은, 팽창실 (152~552) 대신에 파퍼 실린더와 파퍼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파퍼형 (puffer type)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개폐장치들 (100~600) 은, 상술한 팽창실 (152~652) 과 파퍼 피스톤을 같이 구비함으로써, 복합형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210, 310, 410, 510…제1 메인 접촉자
120, 220, 320, 420, 520…제2 메인 접촉자
130, 230, 330, 430, 530…제1 전극
132…슬릿
140, 240, 340, 440, 540…제2 전극
150, 250, 350, 450, 550…메인 노즐
152, 252, 352, 452, 552…팽창실
160, 260, 360, 460, 560…소호용 쉴드
170, 270, 370, 470, 570…보조 노즐
100, 200, 300, 400, 500…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

Claims (11)

  1.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floating) 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소호용 쉴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상기 통과홀은 그 측부로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상기 소호용 쉴드는 1 이상 구비되며, 상기 소호용 쉴드가 복수일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소호용 쉴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용 쉴드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4. 제1 전극과 제2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플로팅 (floating) 된 소호용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소호용 쉴드는 1 이상의 관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0도 초과의 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7.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용 쉴드는 강자성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용 쉴드는, 니켈, 코발트, 기계강 (machine steel), 페라이트 (ferrite), 퍼멀로이 (permalloy), 뮤메탈 (mumetal), 센더스트 (sendust), 슈퍼멀로이 (supermalloy), 철, 주철, 파우더 철 (powedered iron), 변압기 철 (transformer iron) 및 이들의 합금 중 1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9.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가지고,
    상기 제1 전극의 측면으로는 슬릿 (slit) 이 1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일단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잇는 선 및 상기 슬릿의 타단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은 상기 제2 전극이 삽입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0도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0. 제1 항, 제2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gas insullated switch-gea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열 팽창식 가스절연 개폐장치, 파퍼형 (puffer type) 가스절연 개폐장치 및 복합형 가스절연 개폐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KR1020140009222A 2014-01-24 2014-01-24 개폐장치 KR10161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22A KR101610190B1 (ko) 2014-01-24 2014-01-24 개폐장치
PCT/KR2015/000640 WO2015111919A1 (ko) 2014-01-24 2015-01-21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22A KR101610190B1 (ko) 2014-01-24 2014-01-24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956A true KR20150088956A (ko) 2015-08-04
KR101610190B1 KR101610190B1 (ko) 2016-04-08

Family

ID=5388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222A KR101610190B1 (ko) 2014-01-24 2014-01-24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18U (ko) * 2018-03-20 2019-09-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계완화 실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1485T2 (de) 2003-12-19 2007-11-15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 Schaltvorrichtung mit einer Düse
JP2011142035A (ja) * 2010-01-08 2011-07-21 Toshiba Corp ガス絶縁断路器
JP2012146405A (ja) * 2011-01-07 2012-08-02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18U (ko) * 2018-03-20 2019-09-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계완화 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190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urscheim Power circuit breaker theory and design
US5057655A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self-extinguishing expansion and insulating gas
US10014139B2 (en) Over-current protection assembly
US9269514B2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particles generated by an electric switching arc
US10763060B2 (en) Mechanical cut-off apparatus for a high-voltage or very high-voltage electric circuit with splitting device
AU2018217779B2 (en) Arc splitter plate
US4525612A (en) Gas insulated switch
US11087940B2 (en) Electrical interruption device
KR101610190B1 (ko) 개폐장치
KR101534556B1 (ko) 개폐장치
WO2015111919A1 (ko) 개폐장치
KR101621765B1 (ko) 개폐장치
KR101610193B1 (ko) 개폐장치
EP4099522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Duzkaya et al. Comparison of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Medium Voltage SF 6 and Vacuum Circuit Breakers
RU2749031C1 (ru) Экр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вакуумной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й камеры
Rieder Circuit breakers Physical and engineering problems II-Design considerations
Lavrinovich et al. Development of a Vacuum Arc Extinguishing Chamber for a Single-Break Vacuum Circuit Breaker for 110 kV
JP2014067512A (ja) 真空遮断装置
EP4117006A1 (en) Gas-insulated high or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RU82927U1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Leeds A high-power oilless circuit interrupter using water
Park et al. Analysis and experimental study for current break systems in a load break switch of RMU
KR20150134206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차단기
CLIVE et al. Interruption in Vacu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