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80U -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380U KR20190002380U KR2020180001122U KR20180001122U KR20190002380U KR 20190002380 U KR20190002380 U KR 20190002380U KR 2020180001122 U KR2020180001122 U KR 2020180001122U KR 20180001122 U KR20180001122 U KR 20180001122U KR 20190002380 U KR20190002380 U KR 2019000238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lock
- paid
- paid product
- product prov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케이스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와,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결제 박스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텔, 모텔 등의 숙박 업소에서 관리 인력을 절감하면서도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인 숙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숙박 업소에서 사용자가 입실하기 위하여 프론트 데스크에서 키를 발급 받고, 객실을 사용한 후, 퇴실 시에 정산하기까지의 사무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숙박 업소에서 무인 숙박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리모델링 비용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워 이러한 무인 숙박 자동화 시스템을 쉽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투숙객의 편의에 대한 배려가 잘 되어 있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객실 내에 소형 자동 판매기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호텔이나 모텔 등과 같은 숙박업소의 각 객실에 비치되어 투숙객들에게 음료 캔이나 음료 병 및 간단한 안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통체 형상의 본체에, 내부 격벽에 의해 다수층과 다수열로 각종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보관실에 보관된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객실용 자동판매기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가 늘어나게 되는 경우에, 공급 상품 종류를 추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새로운 객실용 자동판매기를 한대 더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객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상품들(예를 들어, 음료수, 과자류, 면도기, 칫솔 등)을 투숙객이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나, 일반적인 전자식 자동판매기는 그 크기가 매우 크고,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호텔, 모텔 등의 숙박 업소에서 관리 인력을 절감하면서도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은, 투숙객이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투명 도어를 개방 후 선택적으로 슬라이더를 인출하여 유료 상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료 상품 제공 블럭 내부에 유료 상품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은, 투명 도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각 케이스에 보관 중인 유료 상품에 대하여 투숙객이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는 시선을 통하여 인출하고자 하는 유료 상품을 위치에 빠르게 파악하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결제 박스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제 박스는,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입 금액의 결제를 인식하는 결제 인식부;와,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제 박스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레일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박스부의 전면 안쪽에 위치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돌출 및 삽입 동작되는 락커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열쇠의 동작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상기 락커의 일단을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박스부를 상기 케이스에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쇠를 포함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에서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일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블럭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명 도어;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결제 박스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투명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상품 선택 버튼;과, 상기 투명 도어를 상기 블럭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링크부;와, 상기 블럭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유료 상품이 상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향 인출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블럭 하우징;과, 상기 블럭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케이스;와, 상기 사각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가지는 투명 도어;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결제 박스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투명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상품 선택 버튼;과, 상기 블럭 하우징과 상기 사각 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사각 케이스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호텔, 모텔 등의 숙박 업소에서 관리 인력을 절감하면서도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투숙객이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투명 도어를 개방 후 선택적으로 슬라이더를 인출하여 유료 상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료 상품 제공 블럭 내부에 유료 상품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투명 도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각 케이스에 보관 중인 유료 상품에 대하여 투숙객이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는 시선을 통하여 인출하고자 하는 유료 상품을 위치에 빠르게 파악하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전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전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변형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 5에 도시된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전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변형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 5에 도시된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전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전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10a)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케이스(10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2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311)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313)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321)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32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323)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과,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4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결제 박스(400)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 아웃 케이스(110)와, 아웃 케이스(110)와의 사이에 소정의 단열재가 개입되는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이너 케이스(120)로 구성된다.
케이스(100)의 전면 개구부에는 전면 도어(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면 도어(200)는, 케이스(100)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케이스(100)의 개구면을 개폐한다.
전면 도어(20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보관된 무료 상품 및 유료 상품의 종류를 외부에서 살필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비된다.
물론, 전면 도어(200)를 투명한 소재로 구비함으로써 전면 도어(200)를 열지 않고도 저장된 무료 상품 및 유료 상품의 종류를 알 수 있으므로, 케이스(100)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케이스 내부 공간의 온도 변화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311)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313)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321)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32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323)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의 제2블럭 하우징(322)은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의 제1블럭 하우징(312)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데 이렇게 제1 및 제2블럭 하우징(322)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이 좌우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이 상하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의 제1 및 제2투명 도어(313,323)는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한다.
다만, 좌우 회동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의 제1 및 제2투명 도어(313,3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개폐될 수 있는데, 이러현 변형 개폐 방식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에는 각각 제1 및 제2유료 상품이 보관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유료 상품은, 주류나 음료 등의 유료 액상 상품을 포함하고, 제2유료 상품은, 성인 용품과 위생 용품 등의 유료 비액상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에는 주류나 음료 등의 유료 액상 상품을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이 보관되고,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에는 성인 용품과 위생 용품 등의 유료 비액상 용품을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이 보관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품에 대하여 객실용 자동 판매기(10a)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320)과 인접하게는 지폐를 비롯한 화폐를 투입하여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을 이용하기 위한 결제 박스(4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결제 박스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박스(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부(410)와, 박스부(410)의 전면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0)와, 박스부(410)의 전면 중앙측에 배치되어 유료 상품의 구입의 금액의 결제를 인식하는 결제 인식부(430)와, 박스부(4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박스부(410)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되게 하는 레일부(440)와, 케이스(100) 및 박스부(410)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박스부(410)가 케이스(100)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스부(410)는, 결제 박스(4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대체로 육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박스부(410)의 전면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한다.
결제 인식부(430)는, 지폐를 인식하는 지폐 인식부(431)와, 동전을 인식하는 동전 인식부(432) 및 은행/신용카드나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박스(400)에 지폐 인식부(431)와 동전 인식부(432) 및 카드 인식부가 마련됨으로써 지폐 인식부(431)와 동전 인식부(432)를 통해 유료 상품 대금으로 결제되는 현금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카드 인식부를 통해 유료 상품 대금으로 결제되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의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레일부(440)는, 결제 박스(400)가 케이스(100) 내부 상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0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레일부(440)는 박스부(410)의 외측면에서 구비되어 결제 박스(40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레일부(440)에 대향되는 케이스(100)의 내면에는 레일 결합부(미도시)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잠금부(45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451)와,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돌출 및 삽입 동작되는 락커(452)와,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열쇠의 동작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락커(452)의 일단을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잠금쇠(4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쇠를 열쇠구멍(453a)에 삽입하여 잠금쇠(453)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잠금쇠(453)에 의해 락커(452)가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면서 결제 박스(400)가 케이스(100)에 구속되면서 잠기게 되고, 결제 박스(400)의 잠금을 해제할 때에는 열쇠구멍(453a)에 다시 열쇠를 삽입한 다음 결제 박스(400)를 잠글 때와 반대 방향으로 잠금쇠(453)를 회전시킴으로써 락커(452)의 고정을 해제하여 결제 박스(400)가 케이스(100)에서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00) 내부에서 결제 박스(400)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500)이 구비된다.
무료 상품 제공실(500)은 사용자가 투숙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무료 상품을 보관하는 공간인데, 이러한 무료 상품 제공실(5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과 결제 박스(400)를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므로 케이스(100)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내부 격벽과 같은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하는 것으로 인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용 자동 판매기(10a)는 호텔이나 모텔 등과 같은 숙박업소의 객실 내부에 구비되어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될 수 있도록 무료 상품 제공실(500)과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을 동시에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하고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 이외의 케이스(100) 내부 공간이 무료 상품 제공실(5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변형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6은 도 5에 도시된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10a)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은, 케이스(100)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케이스(100)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을 포함하며, 결제 박스(400)는 케이스(100) 내부 상단에서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은, 전면에 제1개구부를 가지는 제1블럭 하우징(312)과, 제1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투명 도어(313)와,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에 설치되되 결제 박스(400)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제1투명 도어(313)가 개방되게 하는 제1상품 선택 버튼(311)과, 제1투명 도어(313)를 제1블럭 하우징(3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제1링크부(314)와, 제1블럭 하우징(312) 내부에 구비되어 보관물이 상면에 안착되는 제1슬라이더(315)와, 제1블럭 하우징(3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315)의 전후방향 인출을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 수납부(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블럭 하우징(312)은 내부에 보관된 주류나 음료 등의 유료 상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제1투명 도어(313)는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제1개구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제1투명 도어(313)는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1투명 도어(313)의 전방 회동에 의해 제1개구부가 개방되어 제1블럭 하우징(312)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투숙객은 제1투명 도어(313)를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개구부를 개방하게 되고 제1개구부가 개방됨으로 인하여 제1블럭 하우징(312) 내부에 수납된 주류나 음료 등의 유료 상품을 용이하게 외부에서 꺼낼 수 있게 된다.
제1상품 선택 버튼(311)은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에 설치되되 결제 박스(400)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제1투명 도어(313)가 개방되게 한다. 즉, 결제 박스(400)에 결제가 완료된 후 제1상품 선택 버튼(311)을 누르게 되면 제1투명 도어(313)가 개방되면서 제1블럭 하우징(312)의 내부에 진열된 주류나 음료 등의 유료 상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링크부(314)는 제1블럭 하우징(312)의 내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14a)과, 일측은 제1가이드홈(314a)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투명 도어(313)에 연결되는 제1링크(3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슬라이더(315)는 사각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슬라이더 수납부(316)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더(315)의 일측 선단에는 투숙객이 파지하여 제1슬라이더(315)를 용이하게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손잡이(315a)가 더 형성된다. 한편, 제1슬라이더 수납부(316)는 상부에는 제1슬라이더(315)가 삽입되어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10a)의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은 제1 및 제2투명 도어(313,323)의 개방 후 투숙객이 선택적으로 제1슬라이더(315)를 인출하여 유료 상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 내부에 유료 상품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311)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313)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321)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32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323)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은, 전면에 제1개구부를 가지는 제1블럭 하우징(312)과,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1사각 케이스(317)와, 제1사각 케이스(317)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1사각 케이스(317)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손잡이(313a)를 가지는 제1투명 도어(313)와,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되 결제 박스(400)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제1투명 도어(313)가 개방되게 하는 제1상품 선택 버튼(311)과, 제1블럭 하우징(312)과 제1사각 케이스(317)의 사이서 제1사각 케이스(317)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제1슬라이드 부재(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사각 케이스(317)는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박스형태로 제작하되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사각 케이스(317)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투숙객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시선으로부터 저장된 유료 상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료 상품을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동작을 용아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1사각 케이스(317)는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제1개구부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라이드 부재(318)는, 제1블럭 하우징(312)과 제1사각 케이스(317)의 사이서 제1사각 케이스(317)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즉, 제1사각 케이스(317)는 제1슬라이드 부재(318)에 의해 전후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 이루어짐에 따라 유료 상품을 수납하거나 인출시키기 위한 동작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투명 도어(313)가 완전 개방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제1사각 케이스(317) 내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슬라이드 부재(318)는 제1블럭 하우징(312) 내며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부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부(318a)와, 제1사각 케이스(317)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고 고정 레일부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부(31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레일부(318b)의 일단에는 제1사각 케이스(317)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걸림부(318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레일부(318a)와 이동 레일부(318b) 사이에는 롤러(318d)를 설치하여 제1사각 케이스(317)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은 제1투명 도어(313)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각 케이스에 보관 중인 유료 상품에 대하여 투숙객이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는 시선을 통하여 인출하고자 하는 유료 상품을 위치에 빠르게 파악하고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투명 도어(313)가 완전 개방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제1사각 케이스(317) 내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10b)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케이스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2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311)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313)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a)과,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a)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321)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32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323)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a);과,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a)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4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결제 박스(400)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a)은, 케이스 내부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a)과, 케이스(100)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a)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a)을 포함하며, 결제 박스(400)는, 케이스(100) 내부 상단에서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a)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10c)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케이스(10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2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311)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31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312)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b)과,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b)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321)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322)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323)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b)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b);과,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b)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4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결제 박스(400)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b)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유료 상품 제공 블럭(300b)은 케이스(100) 내부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b)과, 케이스(100) 내부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b)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20b)을 포함하며, 결제 박스(400)는, 케이스(100) 내부 일단에서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310b,320b)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는 케이스 내부에서 결제 박스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을 모두 무료 상품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로 제공하여 케이스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a,10b,10c...객실용 자동 판매기
100...케이스
200...전면 도어 300...유료 상품 제공 블럭
400...결제 박스 500...무료 상품 제공실
200...전면 도어 300...유료 상품 제공 블럭
400...결제 박스 500...무료 상품 제공실
Claims (7)
-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제1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1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1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제2유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상품 선택 버튼에 의해 제2블럭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투명 도어를 포함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는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금 투입 또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 카드 접촉을 통해 이용되도록 하는 결제 박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결제 박스와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으로 정의되어 무료 상품이 제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박스는,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유료 상품과 제2유료 상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입 금액의 결제를 인식하는 결제 인식부;와,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제 박스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레일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박스부의 전면 안쪽에 위치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돌출 및 삽입 동작되는 락커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열쇠의 동작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상기 락커의 일단을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박스부를 상기 케이스에 잠금 상태로 하는 잠금쇠를 포함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에서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기 케이스 내부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 박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 일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료 상품 제공 블럭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블럭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명 도어;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결제 박스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투명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상품 선택 버튼;과,
상기 투명 도어를 상기 블럭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링크부;와,
상기 블럭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유료 상품이 상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향 인출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상품 제공 블럭은,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블럭 하우징;과,
상기 블럭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케이스;와,
상기 사각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가지는 투명 도어;와,
상기 블럭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결제 박스를 통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투명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상품 선택 버튼;과,
상기 블럭 하우징과 상기 사각 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사각 케이스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22U KR200490285Y1 (ko) | 2018-03-15 | 2018-03-15 |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22U KR200490285Y1 (ko) | 2018-03-15 | 2018-03-15 |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380U true KR20190002380U (ko) | 2019-09-25 |
KR200490285Y1 KR200490285Y1 (ko) | 2019-10-22 |
Family
ID=6806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122U KR200490285Y1 (ko) | 2018-03-15 | 2018-03-15 |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285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0864A (ko) * | 2005-07-20 | 2007-01-24 | 백명기 | 숙박업소용 자동판매기의 보안장치 |
KR20130122109A (ko) * | 2012-04-30 | 2013-11-07 | 웰스코리아 주식회사 | 냉장고 일체형 객실용 자판기 |
-
2018
- 2018-03-15 KR KR2020180001122U patent/KR20049028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0864A (ko) * | 2005-07-20 | 2007-01-24 | 백명기 | 숙박업소용 자동판매기의 보안장치 |
KR20130122109A (ko) * | 2012-04-30 | 2013-11-07 | 웰스코리아 주식회사 | 냉장고 일체형 객실용 자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285Y1 (ko) | 2019-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38852B2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 |
US20100152892A1 (en) | Device for displaying articles for sale, particularly flowers | |
EP2548182B1 (en) | Vendor | |
US20110238210A1 (en) | Vending Systems and Methods | |
US7264138B2 (en) | Anti-pilfer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 |
US20110238209A1 (en) | Vending Systems and Methods | |
CN105913566A (zh) | 一种避免货品损坏的大容量自动售货机 | |
US10140801B2 (en) | Controlling dispensing of items | |
GB2549127A (en) | A vending apparatus | |
ITPD20120071A1 (it) | Distributore a moneta con azionamento manuale | |
KR200490285Y1 (ko) |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 |
RU130813U1 (ru) | Мини-бар | |
US20210074113A1 (en) | Automatic product dispensing machine | |
KR102565602B1 (ko) |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 |
US20130038187A1 (en) | Storage drawer for banknotes and valuables | |
KR102665663B1 (ko) | 무인 판매기 | |
CN108629903B (zh) | 自动售货机 | |
US20070262083A1 (en) | Vending machine with non-vend storage area and modular storage unit | |
JP3247198U (ja) | 自動販売機 | |
CN211149561U (zh) | 一种新型售货机 | |
KR20130122109A (ko) | 냉장고 일체형 객실용 자판기 | |
TW201810194A (zh) | 商品自動搬出裝置 | |
JP2008165487A (ja) | 自動販売装置 | |
JP5434553B2 (ja) | 自動販売機 | |
JP2004245536A (ja) | 貯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