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13A -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13A
KR20190002213A KR1020170082797A KR20170082797A KR20190002213A KR 20190002213 A KR20190002213 A KR 20190002213A KR 1020170082797 A KR1020170082797 A KR 1020170082797A KR 20170082797 A KR20170082797 A KR 20170082797A KR 20190002213 A KR20190002213 A KR 2019000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cover
control system
temperature cont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연
송종언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213A/ko
Publication of KR2019000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90Energy storage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photovoltaic cells, e.g. capacitors integrated with photovoltaic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24F2005/006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with photovoltaic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으로서, 상기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마련된 하부덮개; 상기 하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를 상기 하부덮개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INTERI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 차량을 장시간 동안 주차하게 되면 차량의 내부온도가 상승되어 차량의 실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품, 예컨대, 차량시트, 전장장치, ECU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장시간 동안 주차된 차량을 탑승하게 될 경우, 차량의 상승된 내부온도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에 에어컨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차량에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이 방치될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온도에 의해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이 호흡곤란 상태를 겪어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되며, 실제로, 유치원 차량에 유치원생이 장시간 방치된 사실을 뒤늦게 인지한 뒤 병원으로 유치원생을 후송하는 사건도 발생된 바 있다.
참고로, 여름철과 같이 폭염이 계속되는 날씨에 차량을 장시간 주차시키게 되면 그 내부온도는 약 60도에서 100도까지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여름철에 급격히 상승되는 차량의 내부온도에 의해 운전자와 탑승자는 각별한 주의를 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실내온도 조절장치는, 차량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차량용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차량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의 창문을 소정 간격으로 개방시킨 채 차량을 실외에 주차시키거나, 햇빛을 피하기 위해 지하 주차장을 찾아 다닐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88-034998호의 "차량의 실내온도 일정유지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배터리나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으로서, 상기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마련된 하부덮개; 상기 하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를 상기 하부덮개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장착되되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모스탯 밸브; 및 상기 서모스탯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의 실린더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상기 상부덮개의 윗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하부덮개의 저면에 마련되되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조작 없이도 상부덮개가 차량의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차량의 루프상에서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방지하여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차량용 배터리나 별도의 전력원에 의존하지 않고 차량의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스스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아울러 에너지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실수에 의해 차량에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이 방치되어도 차량의 실내온도 상승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팬을 가동시켜 차량의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폭염과 같은 날씨에 차량의 실내온도를 신속히 낮춰 운전자가 차량의 실내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라인을 따라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절단하여 화사표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라인을 따라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절단하여 화사표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을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차량의 루프(roof, 1)에 마련되어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100)은, 상기 루프(1)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기공(111)이 마련된 하부덮개(110)와, 상기 하부덮개(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덮개(120) 및 상기 상부덮개(120)를 상기 하부덮개(110)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110)는, 상기 루프(1)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의 크기 및 형태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구부가 사각형의 형태로 차량 루프(1)에 형성될 시에는 상기 하부덮개(110) 또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개구부는 차량의 지붕 역할을 하는 루프(1)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성 위치 및 크기는 차량의 설계사항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덮개(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111)은 차량 실내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덮개(110)가 형성하는 소정의 면적상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120)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덮개(110)가 형성하는 면적을 덮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1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하부덮개(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자유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120)는 힌지핀을 이용한 경첩부(10)에 의해 상기 하부덮개(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덮개(110)의 길이방향 일단과 상기 상부덮개(120)의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경첩부(10)를 마련시켜 상기 하부덮개(110)에 대하여 상기 상부덮개(1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힌지핀을 이용한 경첩부(10)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120)가 상기 하부덮개(110)상에서 회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상기 상부덮개(120)를 상기 하부덮개(110)상에서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장착되되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모스탯 밸브(thermostat valve, 131) 및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덮개(120)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로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는, 차량의 실내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로드(13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왁스(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왁스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가 낮으면 상기 왁스는 이를 감지하여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아울러, 상기 실린더도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의 실내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왁스가 팽창되면서 상기 실린더를 수직 상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모스텟 밸브(131)는 해당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는 그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차량의 실내온도에 반응하기 쉽도록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로드(132)는 전체적으로 'ㄱ'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의 실린더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상기 상부덮개(120)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121)에 삽입될 수 있다.
참고는, 상기 장공(121)은 상기 상부덮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의 실린더가 상승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로드(132)도 상승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로드(132)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장공(121)의 형성방향을 따라 수직 상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상부덮개(1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로드(132)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의 실린더가 하강 된 상태에서는 상기 장공(121)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되었다가 상기 서모스텟 밸브(131)의 실린더가 상승되면 상기 장공(121)의 형성방향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장공(121)의 길이방향 타단에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상부덮개(120)에 의해 차단되었던 상기 하부덮개(120)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덮개(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121)을 통해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차량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120)의 윗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모듈(140) 및 상기 하부덮개(110)의 저면에 마련되되 상기 태양전지모듈(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은, 소정 면적을 갖는 패널의 형태를 가지며,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은 태양광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덮개(120)의 윗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150)은 상기 하부덮개(110)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의 충전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덮개(110)의 저면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140)과 상기 팬(150)을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을 보호하고, 또한, 외관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12)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부터 상기 팬(150)이 장착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이 배선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상기 하부덮개(110)의 저면과 협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태양전지모듈(140)과 팬(150)에 의해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식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100)은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에 충전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15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전지모듈(140)의 충전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력계와 같은 공지의 전력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력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의 충전배터리에 실시간으로 충전되는 전력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실외 온도에 따른 차량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팬(150)을 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30)의 오작동이나 고장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120)가 상기 하부덮개(110)상에서 회동되지 못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부와 태양전지모듈(140) 및 팬(150)에 의해 차량의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조작 없이도 상부덮개가 차량의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차량의 루프상에서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방지하여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차량용 배터리나 별도의 전력원에 의존하지 않고 차량의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스스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아울러 에너지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실수에 의해 차량에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이 방치되어도 차량의 실내온도 상승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팬을 가동시켜 차량의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폭염과 같은 날씨에 차량의 실내온도를 신속히 낮춰 운전자가 차량의 실내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110 : 하부덮개 111 : 통기공
112 : 보호부재 120 : 상부덮개
121 : 장공 130 : 구동부
131 : 서모스텟 밸브 132 : 구동로드
140 : 태양전지모듈 150 : 팬

Claims (3)

  1.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실내온도 조절시스템으로서,
    상기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마련된 하부덮개;
    상기 하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를 상기 하부덮개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장착되되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모스탯 밸브; 및
    상기 서모스탯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의 실린더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윗면에 마련되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하부덮개의 저면에 마련되되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KR1020170082797A 2017-06-29 2017-06-29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KR20190002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97A KR20190002213A (ko) 2017-06-29 2017-06-29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97A KR20190002213A (ko) 2017-06-29 2017-06-29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13A true KR20190002213A (ko) 2019-01-08

Family

ID=6502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797A KR20190002213A (ko) 2017-06-29 2017-06-29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210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CN103912960B (zh) 一种空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90181796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US20150217628A1 (en) Window-mounted motor vehicle ventilation system
CN205440020U (zh) 多功能智能充电桩
KR20200050726A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조절장치
CN101665070A (zh) 一种温控系统
CN208812924U (zh) 汽车循环通风泄压阀装置及汽车
US10414245B2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KR20190002213A (ko) 차량의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CN111655548A (zh) 用于电池的热管理的系统
CN207566052U (zh) 多功能智能储物箱
KR10165926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차량내부온도 자동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47179B1 (ko) 미주행 차량의 실내온도 과열방지장치
US10569618B2 (en) Car roof automatic HVAC apparatus
CN106553496A (zh) 汽车报警系统和方法
CN214011818U (zh) 车载太阳能供电环控系统和车辆
CN206086274U (zh) 一种太阳能汽车散热器
US20090247063A1 (en) Solar powered vehicle ventilation system
US20030013405A1 (en) Ventilation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s
CN209924859U (zh) 一种风雨感应通风防水百叶窗
TWI503239B (zh) 主動式太陽能對流排熱裝置
CN107310363A (zh) 一种车篷
CN207549904U (zh) 一种基于太阳能的汽车车内制冷散热系统
KR101488864B1 (ko) 야간복사냉각으로 차창에 생기는 서리를 최소화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