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66A -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66A
KR20190002166A KR1020170082689A KR20170082689A KR20190002166A KR 20190002166 A KR20190002166 A KR 20190002166A KR 1020170082689 A KR1020170082689 A KR 1020170082689A KR 20170082689 A KR20170082689 A KR 20170082689A KR 20190002166 A KR20190002166 A KR 20190002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g
shiitake
wood
cul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218B1 (ko
Inventor
윤영채
Original Assignee
윤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채 filed Critical 윤영채
Priority to KR102017008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2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생산되는 표고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킨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과, 상기 원목(100)에 형성되는 내부홀(120)과, 상기 내부홀(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200)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200)은 상기 원목(100)에 형성된 수납부(130)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200) 저부에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통공(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Apparatus with Solid wood for growing mushroo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생산되는 표고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킨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은 여러 가지 넓은잎나무, 곧 밤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 등의 마른나무에 자라는 것으로 자연의 임야에서 생산될 뿐 아니라 인공재배에 의한 생산량도 매우 많다. 팽이갓은 3∼6㎝로서 어두운 다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육질이 질기고 건조저장할 수 있다. 건조저장함으로써 표고버섯 특유의 향기가 생긴다. 표고버섯의 인공재배시에는 20∼25년생의 밤나무·떡갈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 등을 적용하고 있다. 사용되는 원목은 늦가을 낙엽이 시작될 때 나무를 잘라 다음해 봄까지 자연건조시키고, 이것을 일정한 길이(약 1m)로 잘라, 여기에 칼자국을 내어 성숙한 포자를 밀어넣는다. 이것을 재워두었다가 기온이 따뜻하여지면 적당한 습기가 있는 수풀 속에 세워둔다. 포자를 심고 2년째에 많은 버섯이 생기고 5∼6년 계속된다.
표고버섯의 원목방식 인공재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종균이 심어져 있는 표고목에 외부에서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표고목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많은 양의 물을 외부에서 살수하여야 하고, 이는 표고버섯이 자라는 주위의 습도를 과도하게 높이게 된다. 이렇게 과도한 습도는 표고버섯의 생육을 저해하여 양질의 표고버섯으로 자라지 못하게 하고 생산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표고버섯을 인공재배하는 기술이 많이 소개된 바 있으며,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하기의 종래의 기술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0137호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은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재배용기는 상면만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이루며,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가 충전되는 몸체;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면에 탈착되게 끼움 결합되어 돌출되는 중간부재; 및 하면만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중간부재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배지를 형성하는 톱밥혼합물의 압축시 상기 톱밥혼합물의 흘러넘침을 방지하고 상기 배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제10-1560137호는 또한, 몸체에 중간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제1 단계;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중간부재에 톱밥혼합물을 충전하는 제2 단계; 상기 톱밥혼합물에 구멍을 천공하며 상기 몸체 쪽으로 압축하는 제3 단계; 상기 중간부재에 덮개를 덮고 압축된 상기 톱밥혼합물을 살균하는 제4 단계; 상기 구멍에 종균을 접종한 후 상기 종균을 암배양하여 균사체를 배양하는 제5 단계; 상기 균사체에 빛을 조사하여 명배양하여 갈변 숙성시켜 배지를 배양하는 제6 단계; 상기 중간부재로부터 상기 덮개를 분리한 후 상기 배지로부터 표고버섯을 발생시키는 제7 단계;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중간부재를 분리하여 표고버섯을 성장시키는 제8 단계; 및 상기 몸체로부터 표고버섯을 수확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재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20035호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은 직경 10-15 ㎝의 참나무류를 높이 20-40 ㎝의 길이로 절단하여 원목(10')을 제조하는 단계(S 11); 상기 원목(10')의 수피 손상 없이 상기 원목(10')의 중심부분을 파내어 홈(11)을 형성하고, 두께 3-4 ㎝의 두께를 갖는 목기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S 12); 상기 원목(10')에 30-40개의 표고 종균(A)을 접종하는 단계(S 13); 상기 원목(10')에 상기 표고 종균(A)이 활착되도록 300-360일 동안 음지에서 너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계(S 14); 표고 종균(A)이 충분히 활착된 상기원목(10')의 상기 표고 홈(11) 안에 보습 재(12)를 채운 다음, 직경 2-3 ㎝의 구멍(13a)을 갖는 비닐 판(13)으로 상기 홈(11)을 막는 단계(S 15); 상기 구멍(13a)으로 상기 보습 재(12)의 심지(12a)를 뽑아 놓은 후, 상기 심지(12a)에 물이 공급되도록 물통(3)이 담긴 화분 받침대(5) 위에 상기 원목(10')을 안착시키는 단계(S 16); 및 상기 물통(3)에 적당 양의 물을 채워서 상기 원목(10')이 마르지 않게 하고, 상기 원목(10')에 물을 분사하여 보습을 유지하여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단계(S 17);를 구비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20035호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공고일자 2013년01월08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0137호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공고일자 2015년10월14일
그러나, 제10-1220035호는 원목내로 수분을 공급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a) 홈(11) 내부에 보습재(12)를 채우고, 비닐판(13)으로 막는 등 구조가 복잡한 문제.
b) 심지를 통해 올라오는 물이 보습재(12)를 적시고 원목으로 공급되어져야 하나 원목으로 공급되는 수분의 공급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
c) 물통의 물이 증발하여 주변의 습도를 높이는 문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의 습도를 높이지 않고 원목내로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과,
상기 원목(100)에 형성되는 내부홀(120)과,
상기 내부홀(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200)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200)은 상기 원목(100)에 형성된 수납부(130)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200) 저부에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통공(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원목에 살수하지 아니하고 직접 원목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 증가를 억제한다.
이에 따라, 원목은 수분을 충분히 공급 받지만 원목 외부에 식생한 버섯은 직접적으로 수분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과다한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적정한 습도에서 생육하는 표고버섯은 좋은 생육조건에서 생기는 등터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이 원목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압력을 주게 되어 수분이 원목 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과,
상기 원목(100)에 형성되는 내부홀(120)과,
상기 내부홀(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200)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200)은 상기 원목(100)에 형성된 수납부(130)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200) 저부에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통공(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원목(100)은 표고목으로써 밤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길이는 70~100cm, 지름은 10~40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은 직경 8~20mm, 깊이 2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되는 원목(100)의 직경에 따라, 상기 내부홀(120)을 원목의 원주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30)은 원목 내에 물통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체결부재 등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수위조절통공(210)은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은,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 준비단계(s100);
원목(100)의 중심부에 내부홀(120) 형성단계(s200);
원목(100)의 외면의 홈(110)에 표고종균을 접종하는 단계(s300);
물이 채워진 물통(200)을 원목(100)의 수납부(130)에 체결하는 단계(s400);
수위조절통공(210)이 원목(100) 내부로 물통(200)의 물이 흡수되는 양 만큼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 준비단계(s100)에서는 홈(110)의 개수를 원목 표면적 20㎠당 1개의 홈(110)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목(100)의 중심부에 내부홀(120) 형성단계(s200)에서 내부홀(120)의 깊이는 원목길이의 5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된 물 역시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더 확산이 되기 때문에 원목길이의 50% 정도의 깊이 만으로도 충분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단계(s500) 중 물통(200)에 물이 부족해진 경우 보충을 해주어 표고버섯의 생육기간 동안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원목에 살수하지 아니하고 직접 원목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 증가를 억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원목은 수분을 충분히 공급 받지만 원목 외부에 식생한 버섯은 직접적으로 수분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과다한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적정한 습도에서 생육하는 표고버섯은 좋은 생육조건에서 생기는 등터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고버섯을 일반 가정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이 원목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압력을 주게 되어 수분이 원목 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원목
110. 홈
120. 내부홀
130. 수납부
200. 물통
210. 수위조절홈

Claims (2)

  1.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과,
    상기 원목(100)에 형성되는 내부홀(120)과,
    상기 내부홀(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200)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200)은 상기 원목(100)에 형성된 수납부(130)에 설치되고,
    상기 물통(200) 저부에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통공(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
  2. 제1항의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장치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에 있어서,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은,
    표고종균접종을 위한 홈(110)이 형성된 원목(100) 준비단계(s100);
    원목(100)의 중심부에 내부홀(120) 형성단계(s200);
    원목(100)의 외면의 홈(110)에 표고종균을 접종하는 단계(s300);
    물이 채워진 물통(200)을 원목(100)의 수납부(130)에 체결하는 단계(s400);
    수위조절통공(210)이 원목(100) 내부로 물통(200)의 물이 흡수되는 양 만큼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고버섯재배방법.
KR1020170082689A 2017-06-29 2017-06-29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KR10195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9A KR101951218B1 (ko) 2017-06-29 2017-06-29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89A KR101951218B1 (ko) 2017-06-29 2017-06-29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66A true KR20190002166A (ko) 2019-01-08
KR101951218B1 KR101951218B1 (ko) 2019-02-25

Family

ID=6502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89A KR101951218B1 (ko) 2017-06-29 2017-06-29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80A (ko) 2020-10-29 2022-05-09 김지수 버섯재배용 원목 및 그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372A (ja) * 1997-11-25 1999-06-15 Pegasus Candle Kk 切り花用の吸水性フォームへの水等の給水具
KR101220035B1 (ko) 2010-08-13 2013-01-08 산림조합중앙회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137B1 (ko) 2015-06-03 2015-10-14 이병열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160084669A (ko) * 2015-01-06 2016-07-14 정선영 참나무 원목 표고버섯배지에 물주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372A (ja) * 1997-11-25 1999-06-15 Pegasus Candle Kk 切り花用の吸水性フォームへの水等の給水具
KR101220035B1 (ko) 2010-08-13 2013-01-08 산림조합중앙회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4669A (ko) * 2015-01-06 2016-07-14 정선영 참나무 원목 표고버섯배지에 물주는 방법.
KR101560137B1 (ko) 2015-06-03 2015-10-14 이병열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80A (ko) 2020-10-29 2022-05-09 김지수 버섯재배용 원목 및 그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218B1 (ko) 201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4020B (zh) 植物生长系统以及采用所述系统的方法
CN105165512B (zh) 台湾桤木控偏冠四季扦插快繁方法
CN106386353A (zh) 一种江南油杉嫩枝扦插的育苗方法
CN104488494A (zh) 一种广玉兰的高效栽培方法
KR101220035B1 (ko)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895B1 (ko) 천마의 인공 재배 방법
CN108718740A (zh) 采用地膜对金槐扦插育苗的方法
KR101859616B1 (ko) 양송이 재배용 복토재
CN107347604A (zh) 一种盆栽欧洲水仙矮化的栽培方法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CN109121769A (zh) 一种微型月季的单芽扦插繁殖方法
KR102416639B1 (ko) 양액을 흡수하여 식물재배를 하는 식물 수경재배장치
CN106386246B (zh) 林木硬枝倒置扦插方法、扦插装置与育苗容器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Ikegaya II. Breeding and cultivation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s: Breeding
KR101170672B1 (ko) 버섯 재배기
JP3673251B2 (ja) 鉢植栽培方法
KR100326149B1 (ko) 버섯재배방법
CN108307981A (zh) 一种三角梅培植基质及其制备方法
KR200309856Y1 (ko) 실내외 원예조경용 식물재배상
CN211931861U (zh) 杉木林仿野生铁皮石斛栽培树干层叠装置
KR100293160B1 (ko) 참숯(목탄)을 이용한 관엽수 재배용 목탄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2001251967A (ja) 竹炭製植木鉢及び植物の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