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47A -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 Google Patents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47A
KR20190002047A KR1020170082371A KR20170082371A KR20190002047A KR 20190002047 A KR20190002047 A KR 20190002047A KR 1020170082371 A KR1020170082371 A KR 1020170082371A KR 20170082371 A KR20170082371 A KR 20170082371A KR 20190002047 A KR20190002047 A KR 20190002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irror
fresnel
fresnel mirror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069B1 (ko
Inventor
이성우
오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5Cells in which the active layer comprises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후방 측 미러(1)는 상판(21)과 하판(23)의 사이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26)과 전계의 형성으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27)를 구비하고, 전극(26)이 반사판 코팅면(23-1)에 증착 배열된 중앙 전극 패턴(26A)과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으로 형성되어 전원 조절로 곡경이나 편경이나 곡경과 편경으로 후방 측 시야가 확보되는 프레넬 미러(20)를 적용함으로써 전계와 위상 전환의 회절각 변화로 회절각 가변과 곡경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특히 평면과 볼록 및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에 의한 선택적 굴절률로 운전자의 후방 측 방향 시야에 대한 사각영역을 해소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Fresnel Mirror and Rear View Mirror}
본 발명은 후방 측 사각 시야 확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절각 가변과 곡경 소형화 및 가변 반사굴절률로 후방 측 사각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프레넬 미러가 적용된 후방 측미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후방 측미러(즉, 좌,우측 사이드 미러)에 프레넬 미러(Fresnel Mirror)를 접목함으로써 사각지대 형성의 고정 뷰 및 회절각 변경 불가의 경계부로 한계성을 갖는 편경, 곡경, 편곡경 결합구조의 곡경-평경 미러를 대체하고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넬 미러는 2개의 글래스(Glass)(또는 미러) 사이에 고분자 폴리머(polymer)를 내장한 액정으로 봉합하고, 통판의 전극과 Vcom에 전계인가 장치를 연계하며, On/Off 전계인가로 폴리머(polymer)의 위상변이(즉, 위상변화)를 통한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글래스(Glass)(또는 미러)를 투명(On) 및 불투명(Off)으로 전환시켜 준다.
그러므로 프레넬 미러 적용 후방 측 미러는 고분자폴리머의 위상 전환을 이용한 반사굴절로 운전자의 후방 측 사각 시야를 보다 넓게 제공할 수 있다.
미국등록 US 7,079,203 B1(2006.7.18)
하지만 프레넬 미러 적용 후방 측 미러는 통판전극 구성을 위한 ITO(Indium tin oxide,인듐 주석 산화물)의 증착으로 전극 두께(Thickness)증가에 따른 투명도 감소 및 전극의 개별 위상제어 불가에 따른 View Angle 가변이 불가하고, 또한 통판제어를 통하여 굴절률 선형 제어도 불가하다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더구나 프레넬 미러 적용 후방 측 미러는 차량 외부 미러 적용을 위한 폴리머의 위상제어 특성이 온도 변화에 심각한 변이를 나타냄으로써 이의 해소를 위한 기술적용도 요구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회절각 변화를 위한 전극의 전계 효과를 이용하여 고분자폴리머의 위상 전환으로 회절각 가변과 곡경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특히 평면(Flat), 볼록(Convex),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으로 가변 반사굴절률이 구현됨으로써 선택적 굴절률로 운전자의 후방 측 방향 시야에 대한 사각영역을 해소할 수 있는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레넬 미러는 물체의 상을 비춰주는 상판과 상을 반사하는 하판의 사이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 상기 전계의 형성으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가 포함되고; 상기 전극은 반사판 코팅면에 상기 전극이 다수로 배열된 전극 그룹의 중앙 전극 패턴, 상기 중앙 전극 패턴의 좌우에서 상기 전극이 다수로 배열된 전극 그룹의 좌,우측 전극 패턴으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은 상기 중앙 전극 패턴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 조절은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측 전극 패턴 및 상기 우측 전극 패턴을 곡경이나 편경이나 곡경과 편경의 프레넬 렌즈 구조로 전환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반사판 코팅면은 상기 하판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ITO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증착되어 배열되고,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샤프니스가 고려된 공극 간격을 갖는 다수의 전극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전극 패턴은 상기 전극 그룹을 사각형의 중앙 배열 전극 그룹의 좌우로 대칭되는 삼각형 배열 전극 그룹으로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과 다른 배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상기 전극 그룹을 삼각파형 배열 전극 그룹으로 형성하는 동일 배열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극은 전극 스위치로 전원공급이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전극 스위치의 온/오프(On/Off)는 상기 전극 그룹의 각각에 대해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 스위치는 전원부와 이어진 구동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방 측미러는 전원공급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과 상기 전계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를 구비한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프레넬 미러; 상기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차량 후방 측 시야를 확보하도록 상기 프레넬 미러가 결합되고, 차량의 좌우 측면으로 설치된 미러 조립체; 상기 구동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넬 미러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전극(26)에 대한 전원 공급제어로 상기 폴리머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고, 상기 위상변화로 차량 후방 측 시야를 평면, 볼록, 평면과 볼록의 조합을 통한 가변 반사굴절률로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제어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매뉴얼 조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후방 측 미러는 프레넬 미러로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운전자에게 후방측면에 대한 지능형 가변 시야(View)를 제공함으로써 교차로 진입 시 운전자 사각 시야 해소로 주행안전 지원 기능이 크게 강화된다. 둘째, 프레넬 미러의 중앙 및 차량 외측 곡률이 선택적으로 가변 가능함으로써 가변 영역이 선형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셋째, 프레넬 미러의 가변영역 선형제어로 기존 평면거울이나 곡면거울보다 후방 측 방향에 대한 넓은 시야범위 확보가 이루어진다. 넷째, 프레넬 미러의 가변곡률제어로 볼록렌즈 이미지 왜곡현상(어안)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평상시 주행환경에서 왜곡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가변곡률 제어로 주행환경에 적응된 가변 곡률을 지원함으로 운전자의 위험정보 파악에 효과적이다. 여섯째, 주차 시 하향 시야각을 확보해 주기 때문에 운전자 선택영역 시야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주행안전 지원 효과가 향상된다. 일곱째, 후방 측 미러에 Fresnel 구조체 착탈만으로 기능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기 구성된 H/W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여덜째, 프레넬 미러에 내장된 전극을 통해 열선기능도 구현 가능하다. 아홉째, 편-곡경 구조 미러 구현으로 중심부 왜곡이 없도록 제어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이중 복 굴절 볼록렌즈와 같은 이미지 왜곡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의 동작 원리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 제어로 동작하는 후방 측 미러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측미러 장착 차량의 교차로 진입 상태의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의 곡경제어 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의 곡경 및 편경 혼용 제어 상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미러의 편경제어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넬 미러(20)는 상판(21), 하판(23), 액정(25), 구동부(28)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8)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상판(21)은 액정(26)의 앞쪽에서 상을 비춰주며, 상기 하판(23)은 액정(25)의 뒤쪽에서 액정(26)을 지지한다. 상기 액정(26)은 하판(23)의 반사판 코팅면(23-1)에 증착되어 전극 스위치(28-1)로 공급된 전원으로 전계를 형성하도록 다수로 배열된 전극(25), 상판(21)과 하판(23)의 전계 공간에 밀봉되어 전계로 위상변화를 형성하는 폴리머(27)로 구성되고, 상,하판(21,23)과 일체화된다. 상기 구동부(28)는 컨트롤러(40)로 제어되어 전극(28)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치로 구성되고, 전극(28)에 구비된 전극 스위치(28-1)와 연결된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40)는 배터리를 구동부(28)로 연결하여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며, 전극 스위치(28-1)를 온/오프(On/Off)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26)의 특성을 다음과 같다.
전극(26)의 재질은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져 증착방식으로 반사판 코팅면(23-1)에 다수의 ITO 전극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ITO 전극은 Voltage Set에 해당하는 전압 인가 시 각 전극에 전원 천이가 발생하고, 상하판(21-23)의 전계효과에 따라 폴리머(27)의 위상변화를 통해 Fresnel 구조의 미러(렌즈)를 형성시켜 준다.
전극(26)의 적층 구조는 폴리머 렌즈의 정밀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ITO 단층 구조 대비 최저 크로스 톡으로 렌즈 샤프니스 결여가 해소되는 2중 적층 구조로 하여 다수로 이루어지고, 각 전극(26)은 작은 공극의 간격으로 샤프한 패턴의 Fresnel 구조의 미러(또는 렌즈)를 구현한다.
일례로, 프레넬 미러(20)의 수평 단면에서 세로를 높이로 하여 y축으로 하고 가로를 길이로 하여 x축으로 하면, 전극(26)은 x축의 중앙 구간에 형성된 중앙 전극 패턴(26A)에 대해 좌우측의 구간으로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중앙/좌,우측 전극 패턴(26A,26B,26C)의 각각은 작은 공극의 간격을 갖는 2중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x축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는 길이로 배열된다. 특히 상기 중앙 전극 패턴(26A)은 반사판 코팅면(23-1)에 국한된 가장 낮은 y축 높이로 적층된 사각형 중앙 배열 전극그룹, 꼭지점이 상판에 근접되는 y축 높이로 적층되어 중앙 배열 전극그룹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배열된 삼각형 배열 전극그룹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의 각각은 꼭지점이 상판에 근접되는 y축 높이로 적층되어 중앙 전극 패턴(26A)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배열된 삼각파형 배열 전극그룹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 전극 패턴(26A)과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의 각각에 대한 전원 제어로 폴리머 위상을 x축에 대해 각각 다르게 변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좌,우측 전극 패턴(26A,26B,26C)의 각각에는 전극 패턴을 이루는 각 ITO 전극에 전극 스위치(28-1)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전극 스위치(28-1)의 각각은 컨트롤러(40)의 제어로 온(On)된 ITO 전극 만 배터리의 전류를 연결하고 반면 오프(Off)된 ITO 전극 만 배터리의 전류를 차단한다. 그 결과 고분자 폴리머(27)는 ITO 전극의 전류 공급 및 세기로 위상 변화 길이와 높이를 달리한다. 그러므로 상기 컨트롤러(40)는 고분자 폴리머(27)의 위상 변화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로직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머(27)는 높은 투과율로 -40 ~ 80℃의 가용온도 범위를 갖는 고분자 폴리머이다. 그러므로 폴리머 미러(20)가 후방 측 미러(1-1)(도 3 참조)에 적용된 경우 폴리머의 위상제어 특성이 온도 변화에 심각한 변이를 나타내지 않고 가변 곡률 및 편경모드에서의 투과율을 만족할 수 있는 특성 변화 구현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넬 미러(20)의 폴리머 위상변화의 원리가 예시된다.
편경 구현 상태(A)는 구동부(28)의 오프(Off)로 전극(26)에 전원을 비인가하여 전계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반사판 코팅면(23-1)의 상단에서 폴리머(27)의 위상 변화가 없는 경우이다. 또한 편경 구현 상태(A)는 구동부(28)의 온(On)에 의한 전원공급 시 동일한 전류세기로 제어됨으로써 전계가 형성되더라도 반사판 코팅면(23-1)의 상단에서 폴리머(27)의 위상 변화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 결과 프레넬 미러(20)는 고분자 폴리머의 위상 동일로 회절각 변경이 없어 상판(21)이 편경으로 상을 비춰주는 거울 패턴(10)으로 형성된다.
곡경 구현 상태(B)는 구동부(28)의 온(On)으로 전극(26)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계가 형성됨으로써 반사판 코팅면(23-1)의 상단에서 폴리머(27)의 위상 변화가 있는 경우이다. 그 결과 프레넬 미러(20)는 고분자 폴리머의 위상 변화로 프레넬 구조로 변경되어 회절각 변경이 일어남으로써 상판(21)이 곡경으로 상을 비춰주는 거울 패턴(10)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방 측 미러(1-1)는 프레넬 미러(20)와 이를 탈장착하는 미러 조립체(30)로 구성된 예를 알 수 있다. 상기 후방 측 미러(1-1)는 미러 조립체(30)로 차량(1)의 좌우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프레넬 미러(20)로 운전자에게 후방 측 시야를 제공한다. 이 경우 프레넬 미러(20)는 전극(26)에 대한 전원 공급제어로 폴리머(27)의 위상변화를 가져옴으로써 회절각 변화에 의한 평면(Flat), 볼록(Convex),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을 통한 가변 반사굴절률로 운전자의 후방 측 방향 시야에 대한 사각영역이 해소된다.
또한 상기 후방 측미러(1-1)는 폴리머(27)의 위상 변화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로 프레넬 미러(20)를 제어하거나 또는 매뉴얼 조작기(50)로 프레넬 미러(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뉴얼 조작기(50)는 프레넬 미러(20)를 평면(Flat), 볼록(Convex),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으로 제어하도록 전극(26)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운전자가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넬 미러(20)의 제어는 컨트롤러(40)에 의한 자동 제어를 기본으로 하고, 매뉴얼 조작기(50)에 의한 수동제어는 운전자 의지나 또는 컨트롤러(40)의 자동 제어 페일(fail)시 페일 세이프(Fail Safe) 개념으로 적용된다.
도 4 내지 도 7은 프레넬 미러(20)를 이용한 후방 측 미러(1-1)의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 확보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이경우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 확보 동작은 매뉴얼 조작기(50)에 의한 수동제어뿐만 아니라 컨트롤러(40)에 의한 네비게이션 연동 교차로 진입제어, BSD 연동 후측방 경고 제어, 후진시 차량하단 시야확보 제어가 구현되며, 이러한 자동 연동 작동 사항은 하기 동작에 기반되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의 교차로 진입은 진행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운전자의 후 측방 사각 영역 미확보라는 위험 상황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컨트롤러(40)의 자동제어 또는 매뉴얼 조작기(50)의 운전자 제어로 프레넬 미러(20)가 제어됨으로써 후방 측 미러(1-1)는 후 측방 사각 영역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고, 그 결과 운전자는 후 측방 사각 영역에 대한 확인된 안전 상황에서 차량(1)을 교차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측 미러(1-1)의 프레넬 미러(20)를 전체 곡경의 거울 패턴(10)으로 전환하여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를 확보하는 예를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8)와 전극 스위치(28-1)의 온(On)으로 프레넬 미러(2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x축으로 배열된 각 전극(26)은 상,하판(21,23)에서 전계를 형성하고, 폴리머(27)는 형성된 전계로 위상변화를 가져온다. 이 경우 전극(26)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는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의 끝에서 중앙 전극 패턴(26A)쪽으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중앙 전극 패턴(26A)쪽에서 가장 강하게 조절된다. 그 결과 프레넬 미러(20)는 중앙 전극 패턴(26A)을 중심으로 한‘Convex Curvature Fresnel Lens 구조“의 볼록렌즈로 전환됨으로써 전체 곡경의 거울 패턴(10)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후방 측 미러(1-1)는 교차로 진입 시 전체 곡경으로 가장 넓은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후방 측미러(1-1)의 프레넬 미러(20)를 곡경과 편경이 혼합된 거울 패턴(10)으로 전환하여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를 확보하는 예를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8)와 전극 스위치(28-1)의 온(On)으로 프레넬 미러(2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x축으로 배열된 각 전극(26)은 상,하판(21,23)에서 전계를 형성하고, 폴리머(27)는 형성된 전계로 위상변화를 가져온다. 이 경우 전극(26)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는 좌측 전극 패턴(26B)의 끝에서 중앙 전극 패턴(26A)쪽으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중앙 전극 패턴(26A)의 중간부위에서 우측 전극 패턴(26C)쪽으로 가장 강하게 조절된다. 그 결과 프레넬 미러(20)는 좌측 전극 패턴(26B)에서 중앙 전극 패턴(26A)의 ‘Convex Curvature Fresnel Lens 구조’와 중앙 전극 패턴(26A)에서 우측 전극 패턴(26C)의 ‘Flat Fresnel 구조’ 의 볼록 렌즈로 전환됨으로써 곡경-편경의 거울 패턴(10)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후방 측 미러(1-1)는 교차로 진입 시 곡경부위로 넓은 후 측방 사각 영역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후방 측 미러(1-1)의 프레넬 미러(20)를 전체 편경의 거울 패턴(10)으로 전환함으로써 차량(1)의 교차로 진입 후 측방 영역 시야를 확보하는 예를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8)의 오프(Off)로 전극 스위치(28-1)도 오프(Off)되어 프레넬 미러(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구동부(28)와 전극 스위치(28-1)의 온(On) 시 프레넬 미러(20)에 동일한 세기의 전원인가가 이루어진다. 그러면 x축으로 배열된 각 전극(26)은 상,하판(21,23)에서 전계를 형성하지 않거나 동일하게 형성하고, 폴리머(27)는 전계 미형성으로 위상변화가 없거나 또는 동일한 전계로 동일한 위상변화를 가져온다. 그 결과 프레넬 미러(20)는 좌측 전극 패턴(26B)과 중앙 전극 패턴(26A) 및 우측 전극 패턴(26C)의 ‘Flat Fresnel 구조’의 편경 렌즈로 전환됨으로써 전체 편경의 거울 패턴(10)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주행도로 주행에 따른 후 측방 시야를 후방 측 미러(1-1)로 확보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 측 미러(1)는 상판(21)과 하판(23)의 사이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26)과 전계의 형성으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27)를 구비하고, 전극(26)이 반사판 코팅면(23-1)에 증착 배열된 중앙 전극 패턴(26A)과 좌,우측 전극 패턴(26B,26C)으로 형성되어 전원 조절로 곡경이나 편경이나 곡경과 편경으로 후방 측 시야가 확보되는 프레넬 미러(20)를 적용함으로써 전계와 위상 전환의 회절각 변화로 회절각 가변과 곡경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특히 평면과 볼록 및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에 의한 선택적 굴절률로 운전자의 후방 측 방향 시야에 대한 사각영역이 해소된다.
1 : 차량 1 : 후방 측 미러
10 : 거울 패턴
20 : 프레넬 미러 21 : 상판
23 : 하판 23-1 : 반사판 코팅면
25 : 액정 26 : 전극
26A : 중앙 전극 패턴 26B,C : 좌,우측 전극 패턴
28 : 구동부 28-1 : 전극 스위치
27 : 폴리머
30 : 미러 하우징 40 : 컨트롤러
50 : 매뉴얼 조작기

Claims (13)

  1. 물체의 상을 비춰주는 상판과 상을 반사하는 하판의 사이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 상기 전계의 형성으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가 포함되고;
    상기 전극은 반사판 코팅면에 상기 전극이 다수로 배열된 전극 그룹의 중앙 전극 패턴, 상기 중앙 전극 패턴의 좌우에서 상기 전극이 다수로 배열된 전극 그룹의 좌,우측 전극 패턴으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은 상기 중앙 전극 패턴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은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측 전극 패턴 및 상기 우측 전극 패턴을 곡경이나 편경이나 곡경과 편경의 프레넬 렌즈 구조로 전환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코팅면은 상기 하판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증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극 패턴과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샤프니스가 고려된 공극 간격을 갖는 다수의 전극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극 패턴은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과 다른 배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동일 배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극 패턴은 상기 전극 그룹을 사각형의 중앙 배열 전극 그룹의 좌우로 대칭되는 삼각형 배열 전극 그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극 패턴의 각각은 상기 전극 그룹을 삼각파형 배열 전극 그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극 스위치로 전원공급이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전극 스위치의 온/오프(On/Off)는 상기 전극 그룹의 각각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극 스위치는 전원부와 이어진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미러.
  11. 전원공급으로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과 상기 전계로 위상변화를 발생하는 폴리머를 구비한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프레넬 미러;
    상기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차량 후방 측 시야를 확보하도록 상기 프레넬 미러가 결합되고, 차량의 좌우 측면으로 설치된 미러 조립체;
    상기 구동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측 미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미러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제어로 상기 폴리머의 위상변화를 발생시키고, 상기 위상변화로 차량 후방 측 시야를 평면(Flat), 볼록(Convex), 평면(Flat)과 볼록(Convex)의 조합을 통한 가변 반사굴절률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측 미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제어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매뉴얼 조작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측 미러.
KR1020170082371A 2017-06-29 2017-06-29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KR10237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71A KR102371069B1 (ko) 2017-06-29 2017-06-29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71A KR102371069B1 (ko) 2017-06-29 2017-06-29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47A true KR20190002047A (ko) 2019-01-08
KR102371069B1 KR102371069B1 (ko) 2022-03-07

Family

ID=6502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71A KR102371069B1 (ko) 2017-06-29 2017-06-29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203B1 (en) 2003-06-23 2006-07-18 Research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Inc. Electrically tunable polarization-independent micro lens using polymer network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KR20110104701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절 렌즈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435659B1 (ko) * 2013-02-01 2014-08-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각지대 모니터링 장치
KR101595974B1 (ko) * 2015-02-02 2016-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KR20160144122A (ko) * 2015-06-08 2016-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레넬 렌즈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203B1 (en) 2003-06-23 2006-07-18 Research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Inc. Electrically tunable polarization-independent micro lens using polymer network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KR20110104701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절 렌즈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435659B1 (ko) * 2013-02-01 2014-08-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각지대 모니터링 장치
KR101595974B1 (ko) * 2015-02-02 2016-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KR20160144122A (ko) * 2015-06-08 2016-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레넬 렌즈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069B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464B2 (ja) 車両用灯具
US7092144B2 (en) Mirror assemblies incorporating variable index of refraction materials
US10054281B2 (en) Lighting apparatus
US10914444B2 (en) Lamp unit, vehicular lamp system
US10830407B2 (en) Vehicular lamp
US20170001569A1 (en) Rearview mirror
EP3572722B1 (en) Vehicular lamp, vehicular lamp system
US9914394B2 (en) Rearview mirror
US8536789B2 (en) Head light for a motor vehicle
EP3447368B1 (en) Vehicle headlamp system
US11884213B2 (en) Anti-glare apparatus and mirror having lens assembly with controlled optical axis direction
KR20190002047A (ko) 프레넬 미러 및 이를 적용한 후방 측 미러
CN110703529B (zh) 一种机动车辅助装置及使用方法、车载显示模组
JP2018511075A (ja) 可変焦点薄型電子レンズ
KR20110084785A (ko) 헤드램프장치
KR102540599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
JP2015179603A (ja) 光出射装置
JP2002202486A (ja) 液晶バイザ
KR20110043348A (ko) 헤드램프장치
US20240061311A1 (en) Anti-glare apparatus and mirror having lens assembly with controlled optical axis direction
KR101595974B1 (ko)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JP7515332B2 (ja) 照明用光学系
US11768419B1 (en) Beam steering system
JP6293542B2 (ja) 灯具
KR102626250B1 (ko) 차량용 라이팅 장치 및 이의 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