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708U - 레벨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벨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708U
KR20190001708U KR2020170006748U KR20170006748U KR20190001708U KR 20190001708 U KR20190001708 U KR 20190001708U KR 2020170006748 U KR2020170006748 U KR 2020170006748U KR 20170006748 U KR20170006748 U KR 20170006748U KR 20190001708 U KR20190001708 U KR 201900017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vel switch
present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708U/ko
Publication of KR20190001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Landscapes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는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일측이 연결된 로드부;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는 관경이 다른 복수개의 로드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로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벨 스위치{LEVEL SWITCH}
본 발명은 로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저장 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벨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레벨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유체에 부유할 수 있는 부유체 및 부유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레벨 스위치에 구비되는 센서부는 부유체가 유체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서 유체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다만,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반해 레벨 스위치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어, 유체 저장 탱크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저장 탱크의 구조에 맞에 새로운 레벨 스위치를 장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구조의 저장 탱크에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레벨 스위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로드부를 포함하는 레벨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는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일측이 연결된 로드부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는 복수 개의 로드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상기 로드는 이웃한 로드와 체결부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로드는 회전가능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로드의 회전은 제한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상기 로드가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도록 캡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상기 로드는 일측이 상기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는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로드부 사이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센서부에 결합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레벨 스위치는 로드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가 설치된 저장 탱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로드부가 절곡되는 개략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로드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 동작도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가 설치된 저장 탱크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로드부가 절곡되는 개략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는 저장 탱크(T)에 설치되는 센서부(100), 센서부(10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200) 및 로드부(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부유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레벨 스위치(1)는 저장 탱크의 유체 양을 판단하여, 유체가 불충분한 경우 유체를 저장 탱크(T)내로 유입시키거나 유체가 충분한 경우 유체가 저장 탱크(T)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등 유체의 수위에 대응하여 전기적/기계적 동작을 취하는 장치로서, 각 종 선박, 해양 구조물등에 사용되는 레벨 스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저장 탱크(T)에 결합되고, 후술할 로드부(200)의 회전여부를 판단하여, 저장 탱크(T)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00)는 플랜지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면이 저장 탱크(T)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110) 및 고정 플랜지(110)의 타면에 배치되어 로드부(200)의 회전각을 판단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랜지(110)지는 일면이 저장 탱크(T)에 밀착된 상태에서 저장탱트(T)의 외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 플랜지(110)와 저장 탱크(T)사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110)의 타면에는 측정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측정부(120)는 로드부(200)의 회전각도를 판단하여 유체의 수위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20)는 마그네틱 소자를 이용하여 로드부(20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부(200)의 일측단부에는 마그네틱 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측정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부(200)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소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마그네틱 소자 감지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부(200)가 유체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경우, 로드부(2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소자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정부(120) 내부의 마그네틱 소자 감지 소자가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틱 소자 감지 소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측정부(120)는 유체의 수위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로드부(200)는 센서부(100)에 일측이 연결되어 유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드부(200)의 일측은 센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저장 탱크(T) 내의 유체 수위가 변화게 되면 로드부(200)에 결합된 부유체(30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의해 로드부(200)는 회전할 수 있다.
로드부(200)는 일측이 센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로드부(200)의 타측에는 유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부유체(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부유체(300)가 승강하는 경우 로드부(200)는 회전할 수있다.
여기서, 부유체(300)는 저장 탱크(T)에 저장된 유체에 부유된 상태에서 유체의 수위가 변화에 따라 승강하는 부재로서, 저장 탱크(T)에 저장되는 유체보다 밀도가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에서 로드부(200)는절곡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평방향 전체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부(200)는 복수 개의 로드(210, 220, 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로드(210, 220, 23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로드(210, 220, 230)의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로드부(200)의 수평방향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210, 220, 230)들은 단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로드(210, 220, 230)는 이웃한 로드와 별도의 체결부재(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240)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드(210, 220, 230)간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 로드(210, 220, 230)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2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드(210, 220, 230)간을 체결하는 경우 로드(210, 220, 230)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재(240)를 해제한 후, 저장 탱크(T)의 크기에 맞게, 로드(210, 220, 230)의 회전범위를 조절한 후 체결부재(240)를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저장 탱크(T)에 대응하여 로드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로드부(200)를 구성하는 로드(210, 220, 23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체결부재(240)를 감싸도록 별도의 캡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캡부재(250)는 착탈 가능하게 로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에서 로드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 동작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는 저장 탱크(T)에 설치되는 센서부(100), 센서부(100)에 일측이 연결된 로드부(200), 로드부(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부유체(300) 및 센서부(100)와 로드부(200) 사이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는 길이 조절부(400)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2)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1)에서 길이 조절부(400)는 센서부(100) 및 로드부(20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400)는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프(telescope)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400)는 센서부(100)에 결합된 실린더(410) 및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경우, 텔레스코프(telescope)형상의 길이 조절부(400)를 구비하여 일차적으로 레벨 스위치(1)의 수평방향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로드부(200)를 구성하는 로드를 절곡가능하게 구비하여 이차에 걸쳐 로드부(200)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레벨 스위치 100: 센서부
110: 고정플랜지 120: 측정부
200: 로드부 210: 제1 로드
220: 제2 로드 230: 제3 로드
300: 부유체 400: 길이 조절부

Claims (6)

  1. 저장 탱크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일측이 연결된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는 복수 개의 로드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레벨 스위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이웃한 로드와 체결부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로드는 회전가능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로드의 회전은 제한 되는 레벨 스위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도록 캡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벨 스위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일측이 상기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레벨 스위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로드부 사이에는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가 결합되는 레벨 스위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센서부에 결합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레벨 스위치.
KR2020170006748U 2017-12-27 2017-12-27 레벨 스위치 KR201900017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8U KR20190001708U (ko) 2017-12-27 2017-12-27 레벨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8U KR20190001708U (ko) 2017-12-27 2017-12-27 레벨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8U true KR20190001708U (ko) 2019-07-05

Family

ID=6722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748U KR20190001708U (ko) 2017-12-27 2017-12-27 레벨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70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858B1 (ko) 다수의 압력센서와 레벨센서 기반의 위치 보정 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용 계류장치
US9381987B1 (en) Air-based-deployment-compatible underwater vehicle configured to perform vertical profiling and, during information transmission, perform motion stabilization at a water surfa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75235B1 (ko) 압력 평형 장치를 가지는 부력 조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중 글라이더 및 압력 평형을 이용한 부력 제어 방법
JP6455046B2 (ja) 水中機器の姿勢制御装置
US10370186B2 (en) Subsea fluid storage system
KR101644549B1 (ko) 부유식 구조물
BRPI0920396B1 (pt) Dispositivo disposto de modo a ser submerso em uma massa de água
BR112015032646B1 (pt) dispositivo de sensoreação de superfície de líquido
US10196112B2 (en) Adaptive observation platform device for sea surface
JP2018069881A (ja) 浮沈式観測ブイ
KR20190001708U (ko) 레벨 스위치
KR200481033Y1 (ko) 흘수 측정장치
KR20150015813A (ko) 플로트 밸브
KR101340298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구조물 설계를 위한 실험용 축소모형
KR20100136254A (ko) 접이식 빌지 킬
KR101870171B1 (ko) 대기압 보정이 필요 없는 지하수 관측시스템
JP2019520263A5 (ko)
KR101615545B1 (ko) 층별 침하계
KR200484804Y1 (ko) 제수밸브 보호통
US7162923B1 (en) Adjustable floating open-water evaporation pan
CN105259594A (zh) 基于开放型浮船的漂浮式水面蒸发平台
JP2008261781A (ja) 液面レベルセンサ
KR20050107908A (ko) 부유식 측정장비용 지지장치
KR101722212B1 (ko) 앵커
KR100958856B1 (ko)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부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