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39A - Teeth whitening sticker - Google Patents

Teeth whitening sti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39A
KR20190001639A KR1020170080929A KR20170080929A KR20190001639A KR 20190001639 A KR20190001639 A KR 20190001639A KR 1020170080929 A KR1020170080929 A KR 1020170080929A KR 20170080929 A KR20170080929 A KR 20170080929A KR 20190001639 A KR20190001639 A KR 2019000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icker
peroxide
silica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8377B1 (en
Inventor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377B1/en
Publication of KR2019000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eth whitening sticker.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eth whitening sticker which can exhibit an excellent teeth whitening effect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the whitening composition without loss of the whitening composition by allowing a teeth whitening composition with a superior teeth whitening effect to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eeth, thereby directly transferring the teeth whitening composition to the surface of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th whitening sticker comprises: an adhesion layer; a silica layer laid up on the top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a medicine layer laid up on the top surface of the silica layer; and a cover layer laid up on the top surface of the medicine layer. The adhesion layer includes an adhesion part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a portion or more of one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the silica layer includes silica (SiO_2) particles, the medicine layer has pores formed therein, and the medicine layer may comprise a perox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mposed of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oxide, sodium peroxobor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and mixtures thereof.

Description

치아 미백용 스티커{TEETH WHITENING STICKER}Teeth whitening sticker {TEETH WHITENING STICKER}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표면에 치아 미백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이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치아 미백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er for tooth white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cker for teeth whitening that enables a composition having a tooth whitening effect to be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urface of a tooth, thereby enhancing a tooth whitening effect conveniently.

현재까지 알려진 치아의 변색의 원인을 살펴보면 치아 내부의 신경 손상 또는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의 과다 복용 등에 의해 발생되는 내인성 치아 변색과 치아 표면에 흡착된 음식물의 찌꺼기 또는 담배진, 커피, 홍차 등에 의한 외인성 치아 변색으로 나눌 수 있다.The causes of discoloration of teeth known to date include endogenous tooth discolorations caused by nerve damage in the teeth or overdosage of antibiotics such as tetracycline, exudation of food adsorbed on the teeth surface or cigarette spots, It can be divided into tooth discoloration.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변색된 치아를 미백시키기 위하여 치아미백제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치아미백제는 활성산소를 방출하는 과산화물로 과산화수소수 또는 과산화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치아미백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과산화물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산화물은 통상 사용되는 치약성 원료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다. 특히 물리적으로 치아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마제의 경우에 불순물로 금속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제조시 과산화물이 분해되어 제품내 가스 발생으로 튜브가 팽창되거나, 제형이 분리되는 등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Tooth whitening agents are often used to whiten teeth discolored by these various causes. Most tooth whitening agents available on the market today are active oxygen-releasing peroxides which contain hydrogen peroxide or peroxide, Is a peroxide. However, peroxides are not well compatible with commonly used dentifrice raw materia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brasive used to physically remove contamination of a tooth, metal ions are contained as impurities, which causes decomposition of peroxides during manufacture, resulting in expansion of the tube due to generation of gas in the product, .

또한 과산화물의 치아미백효과가 함량에 비례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과산화물의 함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면 자극과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It is well known that the tooth whitening effect of peroxides is proportional to the content. However, when the content of peroxides is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problems arise in stimulation and safety.

따라서 과산화물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치아 미백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치아 미백은 수분이 많은 구강 내 환경 및 식사 또는 호흡 과정에서 미백제의 손실 등으로 치아에 충분한 미백 성분을 전달하기 위하여 미백제의 손실량을 감안하여 과량의 미백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술한 과산화물에 의한 부작용의 문제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osi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whitening effect while reducing the content of peroxide. In particular, since tooth whitening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n excessive amount of whitening ag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ss of whitening agent in order to deliver sufficient whitening ingredient to the teeth due to loss of whitening ag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oral cavity and the eating or breath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of side effects.

그러므로 치아 미백 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치아 표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백 성분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 패치 또는 마우스 피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백 패치는 치아에 상기 패치를 붙이고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이 입을 움직이면 상기 노출부위 보호층이 수용성 연고제와 수용성 점착제로부터 어긋나 상기 수용성 연고제가 잇몸과 혀 등 구강 내의 여러 부위에 묻어 구강 내 트러블 등의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치아 미백용 마우스 피스는 지속적인 미백성분 전달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과 관리에 곤란성이 크고, 구강 내의 침이 고이면서 미백성분의 손실 및 치아 외에 잇몸 등에 부작용 내지 트러블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o use a tooth whitening patch or mouthpiece containing a whitening component as a means for enabling the tooth whitening component to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tooth surfac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hitening patch, when the mouth is moved such that the patch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 mouth is moved, the above-mentioned protection layer is shifted from the water-soluble ointment agent and the water-soluble adhesive so that the water-soluble ointment agent is deposited on various parts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gums and tongue, The conventional whitening mouthpie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transmit whitening ingredients and is difficult to be worn and managed. In addition to the loss of whitening components and loss of whitening components in the oral cavity, There is a problem causing side effects or troubles.

따라서 치아에 부착되어 미백성물을 치아 표면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미백 효과를 크게 높이면서도 일상 생활 영역에서 박리되거나 이물감을 주지 않는 치아 미백용 스티커를 개발하게 되었다.Therefore, it has been developed a sticker for tooth whitening which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directly transfers the whitening substance to the tooth surface, thereby greatly enhancing the whitening effect, but not peeling or giving a foreign body feeling in the daily life area.

KR 20-0388592 Y1KR 20-0388592 Y1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미백 효과가 우수한 치아 미백 조성물이 치아 표면에 직접 맞닿아 치아 미백 조성물이 치아 표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서 상기 미백 조성물의 손실 없이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 뛰어난 치아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hich has excellent teeth whitening effect and i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a tooth surface to directly transmi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to a tooth surface, thereby achieving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with a relatively small content without loss of the whitening composition And to provide a sticker for whitening teeth.

나아가 스티커로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장기간 미백 성분을 치아에 제공하며 미백성분이 잇몸 쪽으로 흘러 발생하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it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with a sticker to provide a long-term whitening ingredient to the teeth, and to prevent the side effect that the whitening ingredient flows to the gum s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에 부착되어 일상생활 중에 부착된 스티커가 치아에서 떨어지거나 박리되되는 문제가 없고, 이질감이 적은 치아 미백용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cker for teeth whitening which has no problem that the sticker adhered to the teeth and adhered to the teeth during daily life is detached or peeled off from the tee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는 점착층(100);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200);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300);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 나트륨(sodium peroxid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oxoborate), 과산화 피로인산 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oth whitening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layer 100; A silica layer (200)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A chemical agent layer 300 laminated on the silica layer; And a label layer (400)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g lay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n adhesive portion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o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ilica layer comprises silica (SiO 2 ) Wherein the drug layer is formed of pores and the drug lay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oxide, sodium peroxoborate, ,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and mixtures thereof. The term " peroxide "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The silica contained in the silica lay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0 μm.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The silica may be on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coated with wax.

상기 약제층은 벼룩나물(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추출물,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dicament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llaria alsina var. Undulata extract, Clematis apiifolia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약제층은 생달나무(Cinnamomum yabunikkei)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dicament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nnamomum yabunikkei extract,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천연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일 수 있다.The natural extract may be nano-encapsulated.

상기 표지층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5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label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resin,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polyethylene (PE), vinylidene chloride (PVDC), PET, PVC, (500). ≪ / RTI >

상기 과산화물 및 천연추출물은 1: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eroxide and the natural extract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10 to 10: 1.

상기 코팅층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And a pattern or color may be printed on one side of the coating layer.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는 점착층(100);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200);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300);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300)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 나트륨(sodium peroxid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oxoborate), 과산화 피로인산 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다.A tooth whitening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layer 100; A silica layer (200)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A chemical agent layer 300 laminated on the silica layer; And a label layer (400)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g lay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n adhesive portion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o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ilica layer comprises silica (SiO 2 ) Wherein the weakener layer is formed of pores and the drug layer 300 comprises at least one of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oxide, sodium perborate Sodium peroxoborate, sodium peroxobor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점착층(100)을 치아에 직접 부착되어 치아 미백용 스티커가 치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착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adhesive layer 10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teeth so that the tooth whitening sticker is fixed to the tee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ich can be applied to a food having a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상기 점착층(100)은 점착제를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를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의 일부분에 도포하여 첨착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to form an impression portion.

구강내부는 침, 음식물 또는 음료 등을 섭취하는 통로가 되므로 항상 수분이 많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점착층이 구강내부에 존재하는 수분과 직접 닿을 경우 점착제가 가진 접착력이 저하되어 상기 치아 미백용 스티커가 치아로부터 쉽게 떨어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즉, 구강 내부는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 유지되는 환경을 가지고 있어, 그렇지 않은 손톱 또는 피부표면에 스티커가 부착되는 환경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Sinc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a passage for taking acupuncture, food or beverage, there is always a lot of water. Therefore, when the adhesive layer directly contacts the moisture present in the oral cavit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decreases, and the tooth whitening sticker easily detaches from the teeth. That is, the inside of the mouth has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maintained,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n environment in which a sticker is attached to a nail or a skin surface.

따라서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층의 경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강 내의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경로 쪽으로 이동한 수분이 상기 실리카층(200)에 포함된 실리카의 다공질로 흡수되기 때문에 점착제와 구강 내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수분이 많은 구강 내 환경에서도 상기 점착층(100)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dhesive layer constituting the adhesive portion,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not applied is provided with a path through which water in the oral cavity can move, and moisture transferred to the path is absorbed by the porous silica of the silica layer 200 The 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100 to the oral cavity can be minimized even in an environment with a large amount of water.

즉,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 중 일부분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부를 이루면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층(100)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접착성을 접착성능과 지속가능한 접착능을 가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adhesive layer 100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and forming the adhesive portion, when the adhesive layer 100 is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on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It is possible to have excellent adhesion property and adhesion ability which are much superior to each other.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층(100)은 전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기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공으로 구강 내 수분이 실리카층(200)으로 이동하고, 약제층(300)에 포함된 치아 미백성분이 치아 표면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Also, 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its entire surface and forming pores. The moisture in the oral cavity may move to the silica layer 200 by the pores and the tooth whitening component contained in the chemical layer 300 may move to the tooth surface.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카층(200)은 구강 내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에 위치하는 점착층(100)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상기 실리카층의 상면에 위치하는 약제층(300)에 포함되는 과산화물과 같은 미백 활성 성분이 실리카층(200)을 통하여 치아 표면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silica layer is to include silica (SiO 2) particles. The silica layer 200 absorbs moisture in the oral cavity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100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is lowered, Such as peroxides, contained in the silica layer 300 is transferred to the tooth surface through the silica layer 200.

즉, 상기 실리카층(200)에 포함된 실리카 입자는 상기 실리카층(200) 상면에 배치된 상기 약제층(300)에 포함된 과산화물을 흡수하고,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쪽으로 구강내 수분이 흡수되면, 상기 실리카 입자는 이미 흡수된 과산화물을 배출하면서 상기 구강내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 내 수분 흡수에 따라 점착층의 접착력 감소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상기 수분의 흡수 과정에서 약제층(300)에 포함된 과산화물과 같은 치아 미백 성분이 치아 쪽으로 이동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닿아 미백활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ilica particles contained in the silica layer 200 absorb the peroxide contained in the drug layer 3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and water in the oral cavity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a layer 200 , The silica particles absorb the moisture in the oral cavity while discharging the already absorbed peroxide. Accordingly, while the problem of decrea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solved according to the absorption of water in the oral cavity, the tooth whitening component such as peroxide contained in the drug layer 300 is moved toward the teeth and absorbs the whitening activity .

이에 따라 치아 표면에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미백 활성을 제공하면서도 구강 내 수분에 의한 스티커의 접착력 상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당 기간 치아에 부착되어 안정적으로 미백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층(100)이 치아표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과산화물이 잇몸 등에 닿아 발생하는 부작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ereby providing a periodic and sustained whitening activity on the surface of the tooth while preventing loss of sticker adhesion due to moisture in the mouth. Therefore, not only the whitening activity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teeth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but also the adhesive layer 100 is detached from the tooth surface, thereby eliminating the side effect of the peroxide occurring due to contact with the gums and the like.

한편, 상기 약제층(300)은 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기공에 의하여 약제층에 포함된 과산화물이 실리카층(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층(300)은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거나 천연직물지 또는 종이재를 사용한 것으로 기공을 포함하면서 상기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drug layer 300 has pores formed therein, and the peroxide included in the drug layer can move toward the silica layer 200 due to the pores. Therefore, the chemical agent layer 300 may be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resin,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ethylene (PE), a vinylidene chloride (PVDC) It may be that it contains the peroxide and contains the peroxide using fabric or paper.

상기 과산화물을 약제층(300)에 포함하게 하는 방식은 캡슐화, 직접 흡수 방식, 기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method of allowing the peroxide to be contained in the chemical agent layer 300 includes all of the encapsulation, direct absorption method, and other methods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약제층(300)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 나트륨(sodium peroxid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oxoborate), 과산화 피로인산 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dicament lay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oxide, sodium peroxobor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s, and mixtures thereof. The term " peroxide "

바람직하게 상기 약제층(300)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및 상기 과산화 수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10 내지 30 중량부 및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edicament layer 300 comprises hydrogen peroxide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carbamide peroxide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calcium perox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gen peroxide. have.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치아 다공질에 흡수가 용이하며, 치아의 미백활성을 높게 유지하고, 기타 치아 산화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후술하는 천연추출물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easy to absorb the dental porous body, the whitening activity of the teeth can be kept high, and other problems caused by tooth oxidation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ange, a synergistic effect according to the mixing of the natural extract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obtained.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의 평균입경이 0.1 μm미만인 경우 수분 흡수에 따른 약제 배출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수분흡수 및 약제층에 포함된 과산화물 기타 미백 조성물을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낼 수 없다. 반면 100 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함된 다공질이 용량이 크게 감소하여 한번 사용으로 수분과 약제의 용량이 평형을 이루면서 수분 흡수 효과가 없게 되므로 점착층(100)의 접착성능이 저하되고 과산화물이 잇몸 쪽으로 흘러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silica contained in the silica lay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0 μm.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a particles is less than 0.1 μm, the effect of releasing the drug due to moisture absorption is not exhibit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absorb the water and to transfer the peroxide or other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drug layer to the teeth.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00 μm, the amount of the contained porous material is greatly reduced, and the moisture and the capacity of the drug are equilibrated by one use, so that the water absorbing effect is lost, and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adhesive layer 100 is lowered. Causing a problem that causes side effects.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3 내지 10 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수분흡수 및 약제층에 포함된 과산화물 이동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lica included in the silica lay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to 10 mu m. By the above range, the object of water absorption and peroxide transfer included in the medicament layer can be achieved most effectively.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The silica may be on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coated with wax.

상기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왁스로 코팅된 경우 실리카의 다공질의 입구를 상기 왁스가 막아 일부 경로에 의한 이동으로 수분 흡수에 따른 실리카에 흡수된 과산화물의 배출을 보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분흡수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왁스가 계속 벗져지면서 수분 흡수 및 약제 배출량을 주기적으로 늘려주기 때문에 치아 미백 활성에 필요한 약제의 공급의 주기를 조절하고 치아 미백용 스티커의 수명을 크게 높일 수 있다.When the surface of the silica particles is coated with wax, the porous inlet of the silica is blocked by the wax, and the migration of the peroxide absorbed in the silica due to moisture absorption can be more uniformly maintained by the movement of the wax. In particular, since the wax formed on the surface is continuously peeled off during the water absorption process, the moisture absorption and the drug discharge amount are periodically increased, so that the period of supplying the agent necessary for the whitening activity can be controlled and the lifetime of the tooth whitening sticker can be greatly increased .

한편, 상기 왁스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x may be a wax which can be used for edible purposes, and the wax may be any wax which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약제층은 벼룩나물(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추출물,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dicament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llaria alsina var. Undulata extract, Clematis apiifolia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 extract " means that it is used in the art as a crude extract as described above, but broadly includes fractions obtained by further fractionating the extract. That is, the plant extract includes not only those obtained by using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ose obtained by further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thereto. For example, a fraction obtained by passing the abov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nd a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fraction obtained by the purification method is also included in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and freeze-drying or spray drying.

벼룩나물은 대표적인 겨울형 한해살이(winter annual)로 로제트를 만들어서 겨울을 나는 해넘이살이다. 생명환이 2년에 걸쳐 있지만, 실제 수명은 1년 이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벼 수확 이후의 논바닥에서 발아하면서 생명환을 시작하고, 이듬해 모내기 할 때쯤에는 생명환을 완성하고 고사한다. 하지만 서식조건이 좋으면 무리(patch)를 형성해 수년간 살아간다. 상기 벼룩나물이 사는 땅이 논바닥 같은 진흙으로 통기성이 불량해 뿌리호흡을 위해 지표면 가까이에 얕게 뿌리를 묻는다. 벼룩나물은 잠시라도 건조한 곳에서는 살수 없다. 특히 하천변 물가나 습지 가장자리의 잔물결이 일렁대는 미세한 습지환경에서도 관찰 빈도가 높다.The flea herb is a typical winter winter, and is made of rosemary. Life cycle is two years, but life expectancy is within one year. Generall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life begins to germinate at the bottom of the rice field after rice harvest. However, when the habitat condition is good, they form a patch and live for many years. The ground in which the flea herb is living is poorly ventilated with mud like rice paddy, so it roots shallowly near the ground surface for root breathing. Flea sprouts can not survive in dry places for a while. Especially, the frequency of observation is high even in the submerged wetland environment where the ripples of the riverside waters and the edges of the wetlands are soggy.

사위질빵은 질빵풀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길이 약 3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거나 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 내지 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난다.It is also called bread roll. It grows frequently in mountains and fields. The length is about 3m. The young branches have fine hairs. Leaves are opposite leaflets with three small leaves, or two leaflets with three small leaves, and petiole is long. The small leaf is egg-shaped or egg-shaped and has a length of 4 to 7 cm. There are sawtooths with sharp tips and deeply pitted edges, and hair on the back veins.

상기 벼룩나무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과산화물과 혼합되어 치아 미백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과산화물의 과량 사용하는 경우 치아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나, 상기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치아 미백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적은 량의 과산화물로도 높은 치아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적은 량의 과산화물의 사용으로 과산화물 사용에 따른 치아 표면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미백 활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When the flea and extracts are used, they can be mixed with the peroxide to enhance the whitening activity. In particular, when the peroxide is used in an excessive amount, there is a problem of damaging the surface of the teeth. However, when the extract is mixed with the toothpaste, the activity of the tooth whitening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even a small amount of peroxide can exert a high whitening effect. Therefore, the use of a small amount of peroxide can inhibit tooth surface damage caused by the use of peroxides,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whitening activity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벼룩나무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치아 미백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entifrice activity and the tooth whitening activity can be greatly increased when the flea extract and the pea extract are mixed together with the peroxide.

상기 약제층은 생달나무(Cinnamomum yabunikkei)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dicament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nnamomum yabunikkei extract,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생달나무는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15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검은 색이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 내지 15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개의 맥이 있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분처럼 흰색이며, 잎자루는 털이 없고 길이가 8 내지 20mm이다. 꽃은 6월초에 노란 색을 띤 연한 녹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대에 산형꽃차례 모양의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피 조각은 3개씩 2줄로 배열하고, 수술은 3개씩 4줄로 배열하며 안쪽 1줄에는 꽃밥이 없고, 암술은 1개이다. 한편 열매는 장과이고 지름 12mm의 타원 모양이며 9월말 내지 11월초에 자주색을 띤 검은 색으로 익는다.It grows in the mountains, reaches a height of 15m, the bark is black, the small branch is green and has no hair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6 ~ 15cm long oval shape, both ends are pointed, edges are flat, and there are 3 veins. The leaf surface is shiny, the back side is white like a minute, the petiole is hairless, and the length is 8 to 20 mm. Flowers bloom in early June in yellowish green color and hang on a long peduncle from the axil of leaves with acute inflorescence. The pieces of horns are arranged in 2 lines of 3, and the stamens are arranged in 4 lines of 3 lines. There is no anther on the inner line and 1 pistil. On the other hand, the fruit is a berry, an ellipt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12 mm, and ripens in purple to black color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beginning of November.

상기 딱지꽃은 우리나라 각처의 들, 개울가, 바닷가에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많이 들어오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 내지 60㎝이고, 잎은 길이가 2 내지 5㎝, 폭이 0.8 내지 1.5㎝로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은 하얀색 털이 많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줄기 끝에 피는데 지름 1 내지 2㎝로 꽃잎은 5장이다. 열매는 7 또는 8월경에 넓은 달걀 모양으로 달린다.The scabbard is perennial herbaceous in the fields, streams, and beaches of each country. The growing environment grows in a place where sunlight is abundant. The leaves are 30 to 60 cm long, 2 to 5 cm long, 0.8 to 1.5 cm wide, long oval, no hairs on the surface, but many white hairs on the back. The flower is yellow and blooms at the end of the stem. Its diameter is 1 ~ 2㎝ and the petals are 5 pieces. The fruit runs in broad egg shape around 7 or 8 days.

상기 생달나무 추출물 또는 딱지꽃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과산화물과 함께 치아 미백활성이 크게 높아지고 치아표면에 효과적인 산화물 침투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치아 미백효과를 낼 수 있다.In the case of further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Agolinus edulis extract or Scutellaria zoniflora extract, the activity of the tooth whitening is greatly increased together with the peroxide, and effective penetration of oxides on the surface of the teeth becomes possible, thereby achieving a more effective tooth whitening effect.

상기 과산화물 및 천연추출물은 1: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eroxide and the natural extract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10 to 10: 1.

바람직하게 상기 약제층은 상기 과산화수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벼룩나무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사위질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생달나무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딱지꽃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edicament layer comprises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flea extract against 100 parts by weight of the hydrogen peroxide;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ude peach extract; 0.1 to 1 part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sea bream and 0.1 to 1 part by weight of the scotch flower extract.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과산화물의 치아 미백 활성을 증가시키면서 치아 표면이 상하는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과산화물과 함께 치아 미백활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과산화물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치아 미백활성은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By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adverse effect that the tooth surface is damaged while increasing the tooth whitening activity of the peroxide. In particular, sinc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whitening activity with the peroxide is the most excellent i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the peroxide to be used can be reduced, and the tooth whitening activity according to long-term use can be reduced.

상기 천연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나노 캡슐화 된 경우 과산화물에 상기 천연추출물이 천천이 녹게 되어 농도가 산도가 조정되게 함으로서 치아 미백용 스티커의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과산화물에 의한 치아 표면의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e natural extract may be nano-encapsulated. When the nanocapsule is formed, the natural extract is dissolved in the peroxide to adjust the acidity of the concentration so that the problem of damaging the tooth surface due to the peroxide can be solved even for long-term use of the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즉, 치아 미백용 스티커 사용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과산화물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강한 치아 미백 활성을 낼 수 있고, 후반부에서는 상기 천연물에 의한 상승 작용으로 보다 적은 양의 과산화물을 사용하게 하면서도 치아 미백활성을 유지되게 하고 과산화물에 의한 치아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게 한다.That is, in the early stage of use of the tooth whitening sticker, since the concentration of peroxide is relatively high, a strong tooth whitening activity can be obtained and in the latter half, the syneresis by the natural product allows the use of a smaller amount of peroxide, And the problem of damaging the tooth surface due to peroxide can be solved.

상기 표지층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5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label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resin,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polyethylene (PE), vinylidene chloride (PVDC), PET, PVC, (500). ≪ / RTI >

상기 코팅층에 의하는 경우 구강 내부에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coating layer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foreign body sensation inside the oral cavity.

상기 코팅층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And a pattern or color may be printed on one side of the coating layer.

상기 색채 또는 무늬의 인쇄로 착용자로 하여금 외관으로 보여지는 치아형태를 꾸밀 수 있도록 하여 밝고 하얀 치아 또는 기타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게 할 수 있다.By printing the color or pattern, the wearer can decorate the shape of the teeth as seen from the outside, and the design can be printed as a bright white tooth or other aesthetics to be utilized as means for expressing personality.

상기 무늬 또는 색채의 인쇄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printing of the pattern or the color includes all the means that can be utilized in a conventional manner in the field.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는 치아 미백 효과가 우수한 치아 미백 조성물이 치아 표면에 직접 맞닿아 치아 미백 조성물이 치아 표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서 상기 미백 조성물의 손실 없이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 뛰어난 치아 미백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tooth whitening st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tooth whitening effect to directly contact the tooth surface so tha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tooth surface, So that the effect can be achieved.

나아가 스티커로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장기간 미백 성분을 치아에 제공하며 미백성분이 잇몸 쪽으로 흘러 발생하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with a sticker to provide a long-time whitening ingredient to the teeth,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effect that the whitening component flows to the gum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는 치아에 부착되어 일상생활 중에 부착된 스티커가 치아에서 떨어지거나 박리되되는 문제가 없고, 이질감이 적은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ticker for teeth whi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problem that the sticker adhered to the teeth during the daily life is separated from or peeled off from the teeth, and has a small feeling of heterogene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를 도시한 단면도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스티커를 도시한 단면도에 대한 것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 whitening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ooth whitening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치아 스티커의 제조] 1: Manufacture of tooth sticker]

본 발명의 치아용 스티커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아용 스티커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 일반점착층은 점착층 일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층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의 실리카층은 일정한 평균입경을 가지는 미분만 실리카를 포함하는 층으로 제조하였다.To confirm the effect of the tooth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 sticker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In the following Table 1, the general adhesive layer means that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on the entire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to form an adhesive layer. The above silica layer was made of a layer containing silica only with fine particles having a certain average particle diameter.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점착층Adhesive layer 일반점착증General adhesions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실리카층Silica layer -- 평균 입경 0. 1 μmAverage particle size 0.1 μm 평균 입경 0. 3 μmAverage particle diameter 0. 3 μm 평균 입경 10μmAverage particle diameter 10 m 평균 입경 20 μmAverage particle diameter 20 μm 평균 입경 30 μmAverage particle diameter 30 μm 약제층Drug layer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표지층Cover layer PE 필름PE film PE 필름PE film PE 필름PE film PE 필름PE film PE 필름PE film PE 필름PE film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치아 스티커의 테스트]: Test of tooth sticker]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 성인 10인에게 부착하게 하고 10일 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초기 부착성, 부착 유지력, 치아 미백활성 정도, 스티커 미백활성 수명을 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시험자의 커피, 담배를 제한하였고, 음식류를 제한하였다. 상기 스티커 미백활성 수명은 실리카층의 입경 자체에 의한 수분 흡수와 약제 배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10인의 성인 중 5인을 선별하여 스티커 부착 후 5일이 되는 날 스티커를 제거하게 하고, 10일간 부착한 다른 5인의 시험자와 비교함으로서 미백활성의 수명을 비교 평가하여 지수로 산정하였다.The above-prepar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for 10 days with 10 adults. As the evaluation items, initial adhesion, adhesive retention, tooth whitening activity, and sticker whitening activity life were evaluated and evaluated with an index of 1 to 10. During the evaluation period, coffee and tobacco were restricted by the tester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food was restricted. The sticky whitening activity lifetime was determined to confirm the water absorption by the particle size of the silica layer itself and the effect of discharging the drug. Five of the 10 adults were selected to remove the sticker for 5 days after sticking, The lifetime of the whitening activity was compared and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other five test subjects.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he higher the number, the better the effec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초기부착성Initial adhesion 88 99 99 99 99 99 부착유지력Attachment retention 22 77 88 99 7 7 66 치아미백활성Tooth whitening activity 33 55 88 99 66 55 스티커 미백 활성 수명Sticker whitening active life 22 66 1010 1010 66 55

(단위: 지수) (Unit: index)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경우 전반적인 평가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초기부착성의 경우 점착층에 기공이 형성되어 치아에 부착되는 형태가 오히려 더 안정적이었으며, 착용감이 편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비교예의 경우 침과 섞이면서 스티커가 이틀 이상을 버티기 어려웠으며, 금방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스티커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점착면이 벌어져 잇몸 쪽으로 과산화수소가 흘러나와 잇몸을 자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의 경우 부착유지력이 상당히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 및 4에 의하는 경우 부착성이 우수하고 지속적으로 구강 내 분비물과 과산화수소가 교체되면서 치아쪽으로 미백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치아 미백활성 및 스티커 미백 활성 수명이 우수다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evaluation is excell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early adhesion, formation of pores in the adhesive layer and adherence to the teeth was more stable, and the opinion that comfortable fit was dominant.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ticker was difficult to stick to for more than two days while being mixed with the needles, and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immediately.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dropping the stick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urface spreads and hydrogen peroxide flows to the gums to irritate the gums. However, according to Examples 3 and 4, the adhesiveness was excellent, and in particular, the adhesion was excellent in Examples 3 and 4, and the oral secretion and hydrogen peroxide were continuously replaced, thereby improving the whitening activity toward the teeth. And sticky whitening activity life were excellent.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미백 조성물 제조] 2: Preparation of whiten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치아용 스티커에 사용되는 미백 조성물의 치아 미백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3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벼룩나무 추출물, 사위질빵 추출물, 생달나무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은 열수 추출한 뒤 감압필터로 정제한 뒤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여 제조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teeth whitening activity of the whitening composition used in the tooth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The following flea extracts, lavender extracts, mulberry extracts and scabbard extracts were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followed by refining with a vacuum filter, followed by lyophilization and pulverization.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벼룩나무 추출물Flea extract 사위질빵 추출물Leaf extract 생달나무 추출물Balsam tree extract 딱지꽃 추출물Scab flower extract AA 100100 1One 1One -- -- BB 100100 0.50.5 0.50.5 0.010.01 0.010.01 CC 100100 1One 1One 0.10.1 0.10.1 DD 100100 1010 1010 1One 1One EE 100100 1515 1515 1.51.5 1.51.5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치아 스티커의 테스트]: Test of tooth sticker]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치아 스티커에 제조된 미백활성 조성물 A 내지 E가 포함되게 하였고, 이를 10인의 시험자가 각각 10일 간 부착 사용하게 하였고 과산화수소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치아 미백 정도를 평가하여 지수로 나타내었다. 과산화수소만을 사용한 경우를 지수 5로 고정하고 각 추출물을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미백활성이 우수한 것이다.The whitening active ingredients A to E prepared in the same tooth sticker as in Example 2 were included, and 10 test subjects were allowed to use the adhesive for 10 days each. The tooth whitening degree was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using only hydrogen peroxide, Respectively. The case where only hydrogen peroxide was used was fixed at an index of 5, and each extract was evaluated by an index of 1 to 10 as compared with this. The higher the number, the better the whitening activity.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AA BB CC DD EE 미백효과Whitening effect 55 66 66 77 88 66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과산화수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백활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에 의한 치아표면의 손상이 없고, 과산화물이 치아 이외에 잇몸 등 구강구조물에 닿아 발생하는 부작용이 없었다.Referring to Table 4, when the natur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hydrogen peroxide, whitening activity is enhanced. In particular, there was no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teeth caused by hydrogen peroxide, and no side effects were caused by peroxides coming into contact with oral structures such as gums.

한편, C, D를 사용하는 경우 미백활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량의 과산화수소 또는 저농도의 과산화수소의 사용으로도 치아 미백활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C and D were used, it was confirmed that whitening activity was greatly enhanc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a smaller amount of hydrogen peroxide or a low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can maintain tooth whitening activ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점착층
200: 실리카층
300: 약제층
400: 표지층
500: 코팅층
100: Adhesive layer
200: silica layer
300: drug layer
400: Cover layer
500: Coating layer

Claims (9)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 나트륨(sodium peroxid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oxoborate), 과산화 피로인산 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An adhesive layer;
A silica layer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A chemical agent layer laminated on the silica layer;
And a label layer laminated on the drug layer,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pressure-
Wherein the silica layer comprises silica (SiO 2) particles,
The weak layer is formed with pores,
The medicament layer may compri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oxide, sodium peroxobor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e, And mixtures thereof. ≪ RTI ID = 0.0 >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lica contained in the silica lay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0 m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lica is on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coated with wax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층은 벼룩나물(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추출물,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dicament layer further comprises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extract, Clematis apiifolia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층은 생달나무(Cinnamomum yabunikkei)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dicament layer further comprises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nnamomum yabunikkei extract,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and mixtures thereof.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said natural extract is nano-encapsulated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층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abel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uorine resin,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polyethylene (PE), vinylidene chloride (PVDC), PET, PVC, Lt; RTI ID = 0.0 >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및 천연추출물은 1: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eroxide and the natural extract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0 to 10: 1
Sticker for tooth whiteni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인
치아 미백용 스티커.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attern or color is printed on either side of the coating layer
Sticker for tooth whitening.
KR1020170080929A 2017-06-27 2017-06-27 Teeth whitening sticker KR101978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29A KR101978377B1 (en) 2017-06-27 2017-06-27 Teeth whitening sti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29A KR101978377B1 (en) 2017-06-27 2017-06-27 Teeth whitening sti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39A true KR20190001639A (en) 2019-01-07
KR101978377B1 KR101978377B1 (en) 2019-05-15

Family

ID=6501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29A KR101978377B1 (en) 2017-06-27 2017-06-27 Teeth whitening sti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3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7280A (en) * 2021-02-04 2021-06-15 南昌思麦科技有限公司 Dry tooth whitening adhesive fil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784A (en)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tooth whitening strips
KR200388592Y1 (en) 2005-04-02 2005-06-29 주식회사 태평양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KR20100080972A (en)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Fermentation sap of tree sap and using means
KR20150058208A (en) * 2012-09-21 2015-05-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Support body for transdermal patch or transdermal preparation, and transdermal patch and transdermal preparation using same
KR20150057727A (en)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ost-treatment composition for maintaining teeth-whitening effect and kit comprising the same
KR20160010936A (en) * 2014-07-21 2016-01-29 배진석 Sticker cover for anterior dentition and sticker cover package
KR20160032801A (en) * 2014-09-16 2016-03-25 주식회사 메디바이오랩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Garcinia Mangostana or Alpha, Gamma-mangosti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784A (en)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tooth whitening strips
KR200388592Y1 (en) 2005-04-02 2005-06-29 주식회사 태평양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KR20100080972A (en)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Fermentation sap of tree sap and using means
KR20150058208A (en) * 2012-09-21 2015-05-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Support body for transdermal patch or transdermal preparation, and transdermal patch and transdermal preparation using same
KR20150057727A (en)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ost-treatment composition for maintaining teeth-whitening effect and kit comprising the same
KR20160010936A (en) * 2014-07-21 2016-01-29 배진석 Sticker cover for anterior dentition and sticker cover package
KR20160032801A (en) * 2014-09-16 2016-03-25 주식회사 메디바이오랩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Garcinia Mangostana or Alpha, Gamma-mangost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7280A (en) * 2021-02-04 2021-06-15 南昌思麦科技有限公司 Dry tooth whitening adhes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377B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447B1 (en) Hair growth stimulants and the method thereof
TW529955B (en) Toothpaste composition including rose-seed oil
WO2015034252A1 (en) Toothpaste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nd propolis
KR101955468B1 (en) Preparing method for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xtracts
DE10394357T5 (en) Oro-dental herbal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978377B1 (en) Teeth whitening sticker
KR101978365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porphyra tenera extract
KR10148876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the Seven Flower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90001228A (en) Teeth sticker for tooth decay prevention
KR101916377B1 (en) Composition for teeth whiten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203165B1 (en) Oral sponge brush
KR101293335B1 (en) The liquefied dentifrice making method besides
KR101236348B1 (en) Pack Composition
KR10143839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air growth promotion/hair loss prevention shampoo.
JP6631223B2 (en) Oral antibacterial agent and oral composition
KR101793822B1 (en) Composition of toothpaste containing extract of euphorbia supina
KR102230888B1 (en) Toothpaste composition
KR102022364B1 (en) Foaming tablet for mouthwa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44435B1 (en) Non-alcohol or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dandelion extract
KR20190117975A (en) A functional toothbrush for children
KR102263687B1 (en)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
KR102520633B1 (en) Dental membrane filter with improved absorp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04331A (en) Mouth spray composition comprising cypress extracts and medical herb extra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94986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ral disease comprising Epimedium Herb extract
KR102061610B1 (en) Or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peppermint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