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48U - 벌통 출입구 구조 - Google Patents

벌통 출입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48U
KR20190001048U KR2020170005485U KR20170005485U KR20190001048U KR 20190001048 U KR20190001048 U KR 20190001048U KR 2020170005485 U KR2020170005485 U KR 2020170005485U KR 20170005485 U KR20170005485 U KR 20170005485U KR 20190001048 U KR20190001048 U KR 20190001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ehive
opening
entra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26Y1 (ko
Inventor
조상균
Original Assignee
조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균 filed Critical 조상균
Priority to KR2020170005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2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Abstract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는, 벌통의 출입구가 있는 전면벽체에 고정되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제1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제1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문과, 제1개폐문의 좌측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전면벽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개폐문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출입구의 좌측 부분을 개폐하는 제2개폐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벌통 출입구 구조{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본 고안은 벌통 출입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개폐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접한 벌통과 간섭되지 않고 벌통 출입구의 개폐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벌통 출입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양봉용 벌통은 통상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사각함체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하부에는 내 외부를 연락하는 출입구, 즉 소문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를 통하여 꿀벌들은 출입하며 인근의 밀원식물로부터 꽃꿀을 채집하여 본 체의 내부 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된 벌집, 즉 소비에 벌꿀 등을 저장하며 봉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꿀벌들은 온도에 상당히 민감하여 육아를 할 때는 35도 정도를 꾸준히 유지하기 때문에 촘촘히 붙는다든가 더우면 느슨하게 붙어 소문 앞으로 기어 나와 붙게 되며, 습도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소문 앞에서 날개로 바람을 일으켜 열이나 습기를 내보내는 등 군세나 외부 온도 따라 벌통 출입구의 개폐량을 조절해주어야 한다.
또한, 꿀의 생산량에도 영향을 받게 되고 때론 도둑벌이 침범할 때는 출입문을 좁혀 방어하기 수월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벌통의 출입구 개폐량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벌통의 출입구에 철제 판재를 못으로 박아 설치하여 계절 등의 변화에 따른 도봉 방지나,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였는데, 출입구에 개폐량에 대한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8517호에서는 벌통의 소문에 대해 출입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 프레임의 후측으로 가변 프레임을 설치하되, 고정 프레임에 대해 가변적으로 이동되게 설치하여, 이 가변 프레임의 이동으로 의해 고정 프레임의 출입구를 조절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5782호에서는 벌통의 출입구인 소문에 소문마개를 소문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하여 소문을 조절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개폐판은 출입구를 어느 정도 열게 되면 약 10~15cm정도가 벌통 옆으로 튀어나오다 보니 벌통을 붙여 놓는 봄철에는 옆에 벌통에 달아놓은 사양기나 벌통에 닿아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벌통의 간격을 띄워놓는 여름철의 경우 개폐판이 옆의 벌통에 걸리지는 않으나, 벌통의 좌 또는 우측으로 개폐판의 일부가 돌출되어 벌통과 벌통 사이를 통행하는 통행자의 다리에 걸리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에 불편함이 있고, 통행자의 다리에 돌출된 개폐판이 걸려 개폐판 및 출입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프레임이나 가이드판이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출입구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벌통의 출입구인 소문에는 물이나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공급하여 부족한 식량을 충당할 수 있도록 벌통 뚜껑을 열지 않고 외부에서 출입구를 통해 삽입시켜 사용하는 급수기가 설치되기도 한다.
보통 벌통은 비가 올 때 빗물이 벌통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소문 쪽이 대략 2~3% 정도 기울어지도록 놓는데, 소문의 높이가 높은 경우 소문에 삽입되는 급수기가 소문의 상단에 걸리지 않아 급수기가 뒤로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851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5782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15488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할 때 인접한 벌통과 간섭되지 않고 개폐할 수 있고, 벌통 출입구의 높이에 상과 없이 급수기가 전도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는 벌통의 출입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벌통의 출입구가 있는 전면벽체에 고정되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문; 및 상기 제1개폐문의 좌측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전면벽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개폐문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출입구의 좌측 부분을 개폐하는 제2개폐문;을 포함하는 벌통 출입구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지지대와, 상기 제1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제5 내지 제8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9 내지 제12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문을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개폐문의 우측단이 상기 제3지지대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개폐문의 좌측단이 벌통 전면벽체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는 테이펴 형상이며,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대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벽체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개폐문 보관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출입구를 주 출입구와 부 출입구로 나누어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접한 벌통과 간섭되지 않고 벌통 출입구의 개폐범위를 조절할 수 있고 벌통 사이로 통행 시에 발에 걸려 부서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양한 벌통의 출입구의 높이와 상관없이 벌통 발판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대가 형성되도록 하여 급수기를 출입구에 삽입할 때 지지대에 급수기가 걸리도록 하여 뒤로 전도되지 않도록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벌통 발판대로부터 10mm이내로 지지대가 내려오도록 형성되어 있어 산쥐가 벌통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가 장착된 상태의 벌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개폐문이 일부 개방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다.
도 5는 제1개폐문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에 급수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가 장착된 상태의 벌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의 분해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제1개폐문이 일부 개방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며, 도 5는 제1개폐문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에 급수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10)는, 벌통의 출입구(4)가 있는 전면벽체(2)에 고정되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제1프레임(11)과, 제1프레임(11)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제2프레임(12)과,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13~24)와, 제1프레임(1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제1프레임(11)의 길이에 대응하는 출입구(4)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문(26) 및 제1개폐문(26)의 좌측단에 연결되도록 제2프레임(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전면벽체(2) 사이에 삽입되며 제1개폐문(26)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출입구(4)의 좌측 부분을 개폐하는 제2개폐문(27)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1)에는 전면벽체(2)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고정홀(111)이 다수개 마련된다. 또한, 제1프레임(11)의 상부에는 벌통 출입구(4)를 최대로 개방하기 위해 제1개폐문(26) 또는 제2개폐문(27)을 제거했을 때 이를 보관하기 위한 개폐문 보관대(25)가 마련된다.
제2프레임(12)은 제1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출입구(4) 상부의 전면벽체(2)에 고정된다.
제1프레임(1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는 제1프레임(11)의 전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제5 내지 제8지지대(17~20)는 제1프레임(11)의 후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다. 즉,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는 전방에 위치하고 제5 내지 제8지지대(17~20)는 후방에 위치한다. 전방의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와 후방의 제5 내지 제8지지대(17~20) 사이의 간극으로 제1개폐문(2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가장 우측의 제1지지대(13)는 벌통의 발판대(3)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제1지지대(13)는 제1개폐문(26)이 더 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스톱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최 우측단은 후방으로 'ㄱ'형태로 절곡된다.
제2지지대(14)는 제1지지대(13)와 급수기(30, 도 6 참조)의 급이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4지지대(16) 또한 제2지지대(14)와 급수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3지지대(15)는 하부에 급수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제2, 제4지지대(13, 14, 16) 보다 짧은 크기로 형성된다.
후방의 제5지지대(17)는 급수기(30)의 급이대(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형태로 마련된다. 급수기(30)는 주로 출입구(4)의 가장 우측에는 삽입하여 사용하므로 제5지지대(17)의 폭을 넓혀 급수기(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6 내지 제8지지대(18~20) 또한 급수기(3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 삽입될 수 있도록 제5지지대(17) 및 전방의 제3지지대(15)와 같은 높이까지 내려오는 크기로 마련된다.
제9 내지 제12지지대(21~24)는 제2개폐문(27)이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한다. 제9 내지 제12지지대(21~24)와 벌통의 출입구(4)가 있는 전면벽체(2)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 제2개폐문(27)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제9지지대(21)는 제1지지대(13)와 같이 제2개폐문(27)이 더 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스톱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 우측단은 후방으로 'ㄱ'형태로 절곡된다. 절곡된 부분은 전면벽체(2)와 간격을 띄우는 역할도 한다.
제10, 11지지대(22, 23)는 급수기(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크기로 연장된다. 제12지지대(24)는 벌통 발판대(3)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9지지대(21)와 같은 길이로 연장된다.
이상의 지지대(13~24)는 모두 벌통 발판대(3)으로부터 10mm 이하로 형성된다. 벌통 발판대(3)와의 높이가 10mm 이상이 되면 산쥐가 침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급수기(30)가 삽입되는 부분은 벌통 발판대(3)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지지대가 형성된다. 따라서, 벌통마다 출입구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이에 상관없이 급수기(30)의 급이대(31)를 삽입시킨 후 지지대에 걸리게 하여 급수기(3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1개폐문이 일부 개방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며, 도 5는 제1개폐문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벌통 출입구 구조이다.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10)를 출입구(4)에 설치하면, 출입구(4)는 제1개폐문(26)과 제2개폐문(27)에 의해 주 출입구와 부 출입구로 나누어진다.
제1개폐문(26)은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대(13~20)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제1개폐문(26)의 길이는 제1개폐문(26)을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개폐문(26)의 우측단이 상기 제3지지대(15)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개폐문(26)의 좌측단이 벌통 전면벽체(2)의 좌측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개폐문(26)을 좌측으로 밀어 출입구(4)를 제1개폐문(26)이 결합된 상태에서 최대로 출입구(4)를 개방하여도 제1개폐문(26)이 인접한 벌통과 간섭되지 않는다.
제1개폐문(26)을 완전히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개폐문 지지대(5) 사이에 삽입시켜 보관하면 된다.
제2개폐문(27)은 제1개폐문(26)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4)를 제외한 좌측 출입구(4) 부분을 개폐한다. 제2개폐문(27)의 길이 또한, 제2개폐문(27)을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2개폐문(27)의 우측단이 상기 제11지지대(23)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2개폐문(26)의 좌측단이 벌통 전면벽체(2)의 좌측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개폐문(26)을 제거하고, 제2개폐문(27)을 최대로 개방시켜도 제2개폐문(27)도 벌통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10)는 벌통 출입구(4)를 제1개폐문(26)과 제2개폐문(27)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개폐하는 구조이고,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함으로써 개폐문이 벌통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인접 벌통과 간섭되거나 벌통 사이로 통행 시에 방해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벌통 출입구 구조에 급수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급수기(30)는 제5지지대(17)에 급이대(31)가 걸릴 수 있도록 삽입된다. 제5지지대(17)는 일반적인 벌통의 다양한 소문의 높이에 상관없이 벌통 발판대(3)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급수기(30)의 급이대(3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기(30)의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는 경우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제3지지대(15), 제7지지대(19), 제8지지대(20) 사이 또는 제10지지대(22)와 제11지지대(23)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통 출입구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전 실시예에서 제1개폐문(26)을 슬라이딩시켜 출입구(4)를 개방할 때 제2개폐문(27)의 손잡이 부분과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개폐문(26)을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제2개폐문(27)의 손잡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프레임(11)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는 테이펴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전방의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와 후방의 제5 내지 제8지지대(17~20) 또한 사선형태로 형성된다.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전면벽체(2)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마련되고, 이에 삽입되는 제1개폐문(26)은 슬라이딩 되며 전면벽체(4)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개폐문(27)의 손잡이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 제1프레임 12: 제2프레임
13~24: 제1지지대 내지 제12지지대
26: 제1개폐문 27: 제2개폐문

Claims (5)

  1. 벌통의 출입구(4)가 있는 전면벽체(2)에 고정되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제1프레임(11);
    상기 제1프레임(11)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제2프레임(12);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2프레임(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제1프레임(1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제1프레임(11)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문(26); 및
    상기 제1개폐문(26)의 좌측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전면벽체(2)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개폐문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출입구의 좌측 부분을 개폐하는 제2개폐문(27);을 포함하는 벌통 출입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와, 상기 제1프레임(11)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대(13~16)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제5 내지 제8지지대(17~20)와, 상기 제2프레임(12)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9 내지 제12지지대(21~24)를 포함하는 벌통 출입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제1개폐문(26)을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개폐문(26)의 우측단이 상기 제3지지대(15)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개폐문(26)의 좌측단이 벌통 전면벽체(2)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길이로 마련되는 벌통 출입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는 테이펴 형상이며,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대(13~20)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벽체(2)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되는 벌통 출입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의 상부에 개폐문 보관대(25)가 마련되는 벌통 출입구 구조.
KR2020170005485U 2017-10-24 2017-10-24 벌통 출입구 구조 KR200492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85U KR200492026Y1 (ko) 2017-10-24 2017-10-24 벌통 출입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85U KR200492026Y1 (ko) 2017-10-24 2017-10-24 벌통 출입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48U true KR20190001048U (ko) 2019-05-03
KR200492026Y1 KR200492026Y1 (ko) 2020-07-21

Family

ID=6653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85U KR200492026Y1 (ko) 2017-10-24 2017-10-24 벌통 출입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28B1 (ko) 2019-08-12 2020-07-15 윤준민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 개폐장치
WO2022146401A3 (en) * 2020-12-31 2022-08-04 Yildirim Plasti̇k Maki̇ne Ve Kalip İmalat İnşaat Turi̇zm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A multipurpose separator used to provide bee entrance to and exit from a beehive and colony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782Y1 (ko) 1998-04-14 2000-04-15 장선백 소상의 소문마개
KR200298517Y1 (ko) 2002-09-19 2002-12-16 이경만 벌통의 소문 구조
KR20040091972A (ko) * 2003-04-23 2004-11-03 김향숙 벌통의 소문구조
KR20110015488A (ko) 2009-08-09 2011-02-16 장봉환 이중바닥 벌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782Y1 (ko) 1998-04-14 2000-04-15 장선백 소상의 소문마개
KR200298517Y1 (ko) 2002-09-19 2002-12-16 이경만 벌통의 소문 구조
KR20040091972A (ko) * 2003-04-23 2004-11-03 김향숙 벌통의 소문구조
KR20110015488A (ko) 2009-08-09 2011-02-16 장봉환 이중바닥 벌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28B1 (ko) 2019-08-12 2020-07-15 윤준민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 개폐장치
WO2022146401A3 (en) * 2020-12-31 2022-08-04 Yildirim Plasti̇k Maki̇ne Ve Kalip İmalat İnşaat Turi̇zm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A multipurpose separator used to provide bee entrance to and exit from a beehive and colony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26Y1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048U (ko) 벌통 출입구 구조
KR101068412B1 (ko) 꿀벌보호장치
US8458957B2 (en) Sliding pocket door system
JP5025770B2 (ja) 箱形罠装置
US10531644B2 (en) Suet feeder
TW201226683A (en) Fitting for a sliding door
NO313250B1 (no) Dörmontert klemskadebeskytter for hindring av klemskader ved lukning av dörer
ITVR20010068U1 (it) Portina basculante per il passaggio di animali domestici.
JP2020115836A (ja) 養蜂箱保温容器
CN201797845U (zh) 一种鸟屋
JP3214437U (ja) 粒状排泄物処理材の貯蔵補給装置
WO2011079919A3 (de)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hufe und klauen von nutztieren
KR200491066Y1 (ko) 벌통의 소문구조
KR20210095984A (ko) 벌통 가습기 겸용 자동 급이기
KR101217346B1 (ko)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KR200379573Y1 (ko) 벌통 지지장치
US837390A (en) Feed reservoir and box for horses and the like.
KR101653093B1 (ko) 월동용 꿀벌 소문 터널구조
KR200342090Y1 (ko) 벌통 소문의 개폐장치
KR200353522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DK1692934T3 (da) Port til en fuglefoderautomat
KR200298517Y1 (ko) 벌통의 소문 구조
CN208402956U (zh) 昆虫饲养装置
US1066208A (en) Self-setting trap.
KR100978341B1 (ko) 훈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