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39U - 기능성 안전모 - Google Patents

기능성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39U
KR20190000339U KR2020170003946U KR20170003946U KR20190000339U KR 20190000339 U KR20190000339 U KR 20190000339U KR 2020170003946 U KR2020170003946 U KR 2020170003946U KR 20170003946 U KR20170003946 U KR 20170003946U KR 20190000339 U KR20190000339 U KR 20190000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kin
air
helmet
he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509Y1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2020170003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0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능성 안전모는 에어패드를 완충재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모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고,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재료비가 저가이기 때문에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강화 플라스틱과 에어패드를 이용하여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능력이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완충부와 외피부에 형성된 통기 구멍을 통하여 내부 열기의 배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안전모{Functional Safety Helmet}
본 고안은 기능성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성이 개선되고, 경량이며, 충격 흡수가 우수한 기능성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공장이나 공사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에서 각종 물체가 작업자의 머리에 부딪힐 때,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 장구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안전모는 외부의 충격 시 그 충격을 견뎌내기 위해 강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내부에 지대끈 및 지지대가 설치되는 형태가 보통이며, 그 외형 또한 통풍구의 구성이 없이 완전히 밀폐된 반구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풍구가 없는 일반적인 안전모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고 작업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안전모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머리 부분에 과다한 열기가 발생하여 땀을 유발하므로 자주 벗었다 썼다 하면서 열기를 식혀 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모 착용을 기피하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안전모를 착용한 후 머리 부분에 발생하는 과다한 열기는 어지럼증이나 두통을 유발시키고, 심할 경우 두피 피부질환이나 탈모증까지 발생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작업을 중단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의 저하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공기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였다.
특히, 더운 여름철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안전모 내부에서 발생한 땀이 얼굴 쪽으로 흘러 내려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운전 및 작업에 방해가 되며, 이러한 이유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아 더 큰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냉난방 수단이 구비된 안전모(실용신안등록 제286311호)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는 외캡에 냉각팬을 구비하고, 내캡에 방열기를 결합시킨 구조로, 여름철 안전모 내부를 시원하게 할 수 있으나, 고장이 잦고 비용이 고가이며, 안전모의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효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게가 가볍고,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도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이고,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충격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뛰어난 기능성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반구 형상의 외피부(10); 및 상기 외피부(1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피부(10)에 가해진 충격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20)를 포함하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는 다수 개의 에어캡(22)이 형성된 에어패드(21)가 1 내지 5겹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0) 및/또는 에어패드(21)는 다수 개의 통기 구멍(11, 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11, 23)은 0.1 내지 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0)는 외부에 기능성 피복층(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는 내부에 내피층(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2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22)은 3 내지 20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외피부(1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 구현예에서, 조절 크립(14), 턱끈(50),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기능성 안전모는 에어패드를 완충재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모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고,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재료비가 저가이기 때문에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강화 플라스틱과 에어패드를 이용하여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능력이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완충부와 외피부에 형성된 통기 구멍을 통하여 내부 열기의 배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모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모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고안의 에어패드(21)의 입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에어패드(2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가 적용된 안전모의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가 적용된 안전모의 측면도의 일부 투과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가 적용된 안전모의 후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반구 형상의 외피부(10); 및 상기 외피부(1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피부(10)에 가해진 충격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안전모는 또한, 상기 외피부(10)의 외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기능성 피복층(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20)의 내부에 결합된 내피층(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는 외피부(10)의 내부에 결합된 완충부(2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충격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0)는 다수 개의 에어캡(22)이 형성된 에어패드(21)가 1 내지 5겹 적층된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에어캡”이란 필름과 필름 사이에 공기를 충전하여 구형 또는 반구형의 공기 충전부를 갖는 필름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에어패드(21)는 상기 에어캡(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필름으로서, 반구형의 에어캡(22)이 서로 인접하여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패드(21)는 에어캡(22)과 에어캡(22) 사이에 다수 개의 통기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 구멍(23)은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시원한 공기를 사용자의 머리로 공급할 수 있도록 0.1 내지 2mm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에어캡(22) 및 다수 개의 통기 구멍(23)이 형성된 에어패드(21)를 1 내지 5겹 적층하여 완충부(20)를 구성함으로써, 안전모의 무게가 가벼우면서, 외부의 충격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21)는 2개의 얇은 필름을 겹치되, 중간에 공기를 가두어 다수 개의 에어캡이 형성되도록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약 5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일측 필름은 평면의 형태를 갖고, 다른 일측의 필름은 다수 개의 에어캡(22)이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캡(22)은 약 3 내지 20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5 내지 15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캡(22)의 표면은 엠보싱(24)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캡(22)의 표면을 엠보싱(24) 처리함으로써 통기 구멍(23)을 통과한 공기 또는 열기가 에어캡(22)에 막히지 않고 엠보싱(24)의 사이사이를 통과하여 수월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캡(22)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수축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큰 충격을 받을 경우 파열되면서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21)는 1 내지 5겹으로 적층되어 완충부(2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겹으로 적층되어 완충부(2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은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0)는 에어패드(21)가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내부에 내피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피층(40)은 직물,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층(40)은 접착제, 벨크로, 단추, 스냅 등의 방식으로 완충부(20)와 탈착 가능하거나 탈착이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내피층(40)은 여름철에는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고, 겨울철에는 보온성 원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완충부(2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외피부(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1차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딱딱하고 뾰족한 모서리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부(10)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부(10)는 다수 개의 통기 구멍(11)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시원한 공기를 사용자의 머리로 공급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통기 구멍(11)은 통기성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0.1 내지 2mm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외피부(10)에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수리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별 모양의 돌기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돌기부(12)가 찌그러지거나 깨어지면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돌기부(12)는 정수리 부분으로부터 5 내지 15개의 방향으로 확장되는 별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2)는 외피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외피부(1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외피부(10)는 사용자가 햇빛에 의하여 눈이 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캡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크립(1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크립(14)은 안전모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외피부(1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피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완충부(20)가 내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은 접착제, 벨크로, 단추, 스냅 등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거나 탈착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20)는 외피부(10)와 탈착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에어캡(22)이 파열되어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 새로운 완충부(20)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피부(10)는 또한, 외부에 기능성 피복층(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피복층(30)은 우천 시 빗물이 외피부(10) 또는 완충부(20)에 형성된 통기 구멍을 통하여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방수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한 햇빛에 의한 열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피복층(30)은 방수 성능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피복층(30)은 외피부(10)와 접착제, 벨크로, 단추, 스냅 등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거나 탈착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기능성 피복층(30)만을 세탁하여 깨끗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는 또한, 도 1 및 도 4 내지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현예에 따라, 턱끈(50), 햇빛가리개(60), 마스크(70)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끈(50)은 외피부(10)의 양측 말단에 결합되어 안전모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턱끈(50)은 안전모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외피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햇빛가리개(60)는 벨크로, 단추, 스냅 등의 결합 방식으로 외피부(1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귀, 뒷목 등이 장시간 노출로 인하여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70)는 햇빛가리개와 벨크로, 단추, 스냅 등의 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분진이나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환경에서 사용자의 기관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는 안전모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턱끈(50),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는 탈착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작업환경에 적합하게 선택하여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부 구현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현형태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외피부 11 통기 구멍
12 돌기부 13 캡부
14 조절 크립
20 완충부 21 에어패드
22 에어캡 23 통기 구멍
24 엠보싱
30 기능성 피복층
40 내피층
50 턱끈
60 햇빛가리개
70 마스크

Claims (10)

  1.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반구 형상의 외피부(10); 및
    상기 외피부(1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피부(10)에 가해진 충격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20);
    를 포함하는 안전모로서,
    상기 완충부(20)는 다수 개의 에어캡(22)이 형성된 에어패드(21)가 1 내지 5겹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21)가 다수 개의 통기 구멍(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0)가 다수 개의 통기 구멍(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0)의 외부에 기능성 피복층(30)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모.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의 내부에 내피층(40)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모.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21)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22)이 3 내지 20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0)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11, 23)이 0.1 내지 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크립(14), 턱끈(50), 햇빛가리개(60) 및 마스크(70)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모.
KR2020170003946U 2017-07-27 2017-07-27 기능성 안전모 KR200489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46U KR200489509Y1 (ko) 2017-07-27 2017-07-27 기능성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46U KR200489509Y1 (ko) 2017-07-27 2017-07-27 기능성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39U true KR20190000339U (ko) 2019-02-11
KR200489509Y1 KR200489509Y1 (ko) 2019-06-28

Family

ID=6536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46U KR200489509Y1 (ko) 2017-07-27 2017-07-27 기능성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763A (zh) * 2022-01-05 2022-04-12 福建省南安市煌达服饰有限公司 一种具有裆部打开结构的哈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991B1 (ko) * 1997-09-11 2000-04-01 백전호 공기가 주입된 에어모자를 이용한 다용도 안전모자와 헬멧
KR20090005629U (ko) * 2007-12-05 2009-06-10 이상근 완충패드가 설치된 헬멧
JP2014080693A (ja) * 2012-10-12 2014-05-08 n−tech株式会社 遮熱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991B1 (ko) * 1997-09-11 2000-04-01 백전호 공기가 주입된 에어모자를 이용한 다용도 안전모자와 헬멧
KR20090005629U (ko) * 2007-12-05 2009-06-10 이상근 완충패드가 설치된 헬멧
JP2014080693A (ja) * 2012-10-12 2014-05-08 n−tech株式会社 遮熱ヘル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763A (zh) * 2022-01-05 2022-04-12 福建省南安市煌达服饰有限公司 一种具有裆部打开结构的哈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09Y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350B2 (en) Universal safety cap
US20170224042A1 (en) Head protective insert technology for significantly reducing subconcussive level impacts to protective headgear used in contact and collision sports
US9591885B2 (en) Bicycle helmet with visor
US9462843B2 (en) Cushioning helmet liner
US20130247283A1 (en) Safety Hat System
US20120324634A1 (en) Natural Fiber Impact Attenuation System
SE500366C2 (sv) Sätt att förse ett hjälmskal eller liknande med en stötupptagande inredning, samt hjälm försedd med sådan inredning
US20100138980A1 (en) Combination baseball cap sweat protector and front crown shaper
US6978487B2 (en) Apparatus for enhancing absorption and dissipation of impact forces for sweatbands used in connection with helmets
US20050028253A1 (en) Decorative protective helmet
KR200489509Y1 (ko) 기능성 안전모
KR20130003015U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JP2007217846A (ja) ヘルメット
US20100132092A1 (en) Water Absorbant Evaporative Cooling Hat
KR20060089967A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0326155Y1 (ko) 머리 보호용 모자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US3706101A (en) Head protecting headwear
JP3114866U (ja) 夏季用保護帽子
JP4540152B2 (ja) ヘルメット
WO2020242373A1 (en) Protective head device
KR20090011189U (ko) 헬멧의 통풍구조
AU2015316183B2 (en) Protective headdress for use with a safety helmet
CN217446829U (zh) 一种安全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