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66A -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66A
KR20190000266A KR1020170079401A KR20170079401A KR20190000266A KR 20190000266 A KR20190000266 A KR 20190000266A KR 1020170079401 A KR1020170079401 A KR 1020170079401A KR 20170079401 A KR20170079401 A KR 20170079401A KR 20190000266 A KR20190000266 A KR 2019000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mag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환
Original Assignee
조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환 filed Critical 조민환
Priority to KR102017007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266A/ko
Publication of KR2019000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를 분실 등의 사유로 인하여 원격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제3자 소유의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열 및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간단하게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의 화면 잠금, 개인 정보 삭제, 초기화, 회수 지원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Termina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분실된 단말 장치를 다른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 등을 방지하고 분실된 단말 장치의 회수를 용이토록 하는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명 스마트 폰이라고 호칭되는 단말 장치는 휴대폰 기능에 인터넷(internet) 접속 등의 데이터(data)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정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천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 기존 휴대폰 대비 큰 장점으로 부각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그 보급이 크게 확대된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기존에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에서 하던 작업을 내 손바닥 내의 스마트 폰 안에서 가능토록 함으로써 우리의 일상 생활의 패러다임(paradigm)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 폰의 급속한 보급 확대와 함께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 절도 등의 범죄 행위로 인한 분실 건수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스마트 폰은 일반적인 개인 소지품과는 달리 전화 번호부, 공인 인증서, 암호 등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분실할 경우 금전적 피해와 더불어 개인 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도 유발될 수 있는 점에서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실 등이 된 스마트 폰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원격 제어를 통하여 개인 정보나 사생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문자열과 얼굴 또는 귀 사진 전송을 통하여 간단하게 본인 인증을 수행하면서도, 제3자의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과 이미지(im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이 상기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이 상기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문자열을 수신한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한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의 시간차가 기설정된 시간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촬영 시각, 생성 시각, 수정된 시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촬영 시각, 상기 생성 시각 및 상기 수정된 시각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촬영 시각, 상기 생성 시각 및 상기 수정된 시각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에서 위치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문자열 중에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단말 장치인 경우에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문자열 중에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의 실행 결과를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도 조정을 포함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와 매칭(matching)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도 조정을 포함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간의 상관관계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소유자의 얼굴 사진 또는 귀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인 인증 문자열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소유자의 이름, 생년월일, 기억하고 싶은 날, 비밀번호, 추억의 장소, 주민등록번호, 주소, 기타 등등 소유자가 본인만 알 수 있는 고유한 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명령어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화면 잠금 실행, 개인정보 삭제 실행,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삭제 실행, 기기 초기화 실행, 문자 알림 기능 실행, 음성 알림 기능 실행, 전화번호부 이메일(email) 백업(backup) 기능 실행, 카메라(camera) 촬영 기능 실행, 경광음 발송 기능 실행, 위치 정보 전송 기능 실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이미지의 교환이미지 파일 형식(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을 이용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인 인증 문자열을 저장하는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module); 본인 인증 이미지를 저장하는 있는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 기설정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명령어 저장 모듈; 문자열, 이미지, 식별 정보, 본인 인증 문자열 및 본인 인증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문자열 중에 상기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에 저장된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이미지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 상기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과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이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문자열 중에 명령어 저장 모듈에 저장된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어 확인 모듈; 상기 명령어 확인 모듈이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 저장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명령어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명령어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이미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미지 조작 여부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명령어 실행 모듈이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정보 획득 저장 모듈;상기 식별 정보 획득 저장 모듈이 획득한 식별 정보에 따른 기설정된 명령어 실행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권한 설정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장치가 회수 확인 버튼(button)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회수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명령어를 실행시킨 제2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장치가 본인 인증 문자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본인 인증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복인 확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복인 확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조도 조정을 포함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문자열과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실된 스마트 폰의 단말 장치를 다른 사람의 스마트 폰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개인 정보 또는 사생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른 사람 소유의 폰에 별도의 프로그램(program)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문자열과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분실된 스마트 폰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편의성이 극대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는 점에서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를 빌려주는 사람의 거부감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활용하여 중복으로 본인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권원이 없는 제3자에 의하여 분실된 스마트 폰이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인 인증 이미지로 얼굴 사진 또는 귀 사진이 사용됨으로써 본인 인증 과정이 훨씬 강화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넷째, 분실 등이 된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의 소유자가 항상 기억하는 정보가 본인 인증 문자열로 설정되는 점에서 원격 제어를 위하여 비밀 번호를 기억해 내기 위한 과도한 노력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 본인만 알 수 있는 고유한 문자 또는 숫자 등이 본인 인증 문자열로 설정되므로, 비밀 번호를 기억해 내기 위한 과도한 노력 없이 간편하게 원격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메타(meta) 데이터에 기록된 시간, 위치 정보 또는 문자열 수신 시간과 이미지에 기록된 시간 비교를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단말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여섯째, 별도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버 없이 제3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직접 분실 등의 사유로 원격 제어가 필요한 단말 장치를 제어하므로, 사전 등록 등의 절차가 없이도 단말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긴급 상황 시에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시스템도 단순하게 설계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문자열 및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각 단말 장치별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차별화 함으로서, 회수 이후 무단으로 원격 제어를 시도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원격으로 제어된 결과를 다시 문자열 및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나 제1 단말 장치에 기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로 이메일이나 문자를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원격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홉째,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메타 데이터 확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중복 체크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더욱 확실한 본인 인증 절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번째,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된 이후에도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 대조의 중복 확인 절차를 거친 이후에야 비로소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를 허용하기 때문에, 사진과 문자 전송만을 통한 간편한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완벽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스마트 폰이라 호칭되는 단말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가 분실되는 상황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스마트 폰 등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사진 등의 개인 정보를 동기화하여 보관하는 종래의 기술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제3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개념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인의 얼굴 사진을 찍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제3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얼굴 사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본인 인증 이미지로서 귀 사진을 사용하여 본인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본인 인증 이미지로서 귀 사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본인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순서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이 수신된 이미지를 조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의 시각 태그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이 수신된 이미지를 조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위치 정보를 수록한 메타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서 수신한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된 단말 장치를 회수한 경우 문자열 및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권한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로 문자열과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 또는 기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가 이메일이나 문자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제1 단말 장치에서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가 매칭되었을 때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들의 예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는 스마트 폰이라 호칭되는 단말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마트 폰(10)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computer)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이다. 높은 확장성으로 인하여 스마트 폰(10)의 사용자는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을 뿐 아니라, 스마트 폰(10)을 이용한 작업도 초기의 문자, 팩스(fax), 이메일(e-mail), 일정 관리 등의 단순 작업을 넘어서 주식 매매, 자금 이체, 은행 계좌 신설 등으로 점점 고도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스마트 폰(10)에 저장되고 있는 개인 정보의 양도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면 2도는 이러한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가 분실되는 상황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마트 폰(10)을 사용하다 보면 다양한 상황 및 환경에서 스마트 폰(10)을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도면 2도는 그러한 분실 상황 중의 한 예로서 택시(taxi) 등에서 하차 시에 뒷주머니 등에서 스마트 폰(10)이 흘러 나와 분실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황 이외에 회식 장소, 화장실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스마트 폰(10)이 분실되고 있는 상황이며, 미국의 경우 한해 동안 약 900 만대의 스마트 폰(10)이 분실되었으며 그 손실액만 300억 달러(dollar)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연간 약 250 만대의 스마트 폰(10)이 분실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분실 외에도 스마트 폰(10)이 점차 고가화되는 것을 노려서 해외 등지에 판매하기 위하여 절도 취득하는 건수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 폰(10)을 분실한 사람은 값비싼 소지품을 잃어버린 것 이상의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지인의 연락처 목록인 전화 번호부 분실 외에 스마트 폰(10)에 저장된 대량의 사생활 정보 유출에 대한 각종 걱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 폰(10)에 저장된 금융 정보 등의 데이터는 또 다른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도 높다. 영국 생리학회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스마트 폰(10)을 분실하였을 때 스트레스(stress)의 강도가 테러(terror) 위협과 비슷한 정도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폰(10)을 분실한 경우 그 안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불과하고, 원격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본인 인증 부분도 매우 취약하여 해킹(hacking) 등에 악용될 염려가 있는 실정이다.
도면 3도는 스마트 폰 등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사진 등의 개인 정보를 동기화하여 보관하는 종래의 기술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 폰(10)의 분실은 일반적인 소지품의 분실과는 달리 그 안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로 인하여 분실자에게 매우 큰 스트레스를 안겨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 개인이 소유한 스마트 폰, 컴퓨터, 태블릿 피씨 사이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나 사진 등의 개인 정보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동기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동기화 기술은 어느 한 기기를 분실하였을 때, 동기화되는 타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은 되나, 제3자가 분실된 기기 내의 개인 정보나 사진 등의 사생활 정보에 접근하여 불법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동기화 기술을 넘어서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의 화면의 원격 잠금, 원격 초기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 폰의 운영체제나 펌웨어(firmware)에 설치되어 해당 단말을 초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킬 스위치(kill switch)가 보급되고 있으나, 킬 스위치의 경우 스마트 폰의 제조사나 통신사에 미리 킬 스위치 사용을 위한 등록을 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분실 등이 된 자신의 단말 장치 외에도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제3자의 단말 장치에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와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단말 장치 사이에 중개 역할을 하는 서버(server) 등이 존재해야 하는 점에서 그 수행 기능 면에서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스마트 폰의 제조사나 통신사의 웹 페이지(web page)에 접속해야 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제3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하고 등록하는 과정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소중한 개인 정보가 원격 기능이 작동되기 전에 노출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제3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개념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단말 장치라 함은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기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의 용어이며, 전화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문자 및 이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면 그 용어를 불문하고 모두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구별의 편의성을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분실 등이 된 소유자의 단말 장치로서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는 제1 단말 장치(100)로, 제1 단말 장치(100)의 화면 잠금, 개인 정보 삭제, 초기화 등을 목적으로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전송하여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는 제2 단말 장치(200)로 지칭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제2 단말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 그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나, 삭제 등의 일부 기능의 실행을 위하여는 전화 번호 등의 그 식별 정보가 사전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가 분실되거나 원격으로 제어하여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는 제3자로부터 제2 단말 장치(200)를 빌려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문자나 사진의 전송이 가능한 기기이면 피처 폰(feature phone), 태블릿 피씨 등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는 제3자 소유의 제2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로 문자열과 이미지(image)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문자열과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가 보낸 문자열과 이미지임을 확인하면, 문자열에 포함된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송된 문자열에 포함된 기설정된 명령어가 제1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전송 명령어인 경우에는 제1 단말 장치(100)의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module)을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다시 제2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다른 사람 소유의 제2 단말 장치(200)에 어떠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없이도 단순히 문자열과 이미지의 전송만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제1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그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200)가 전송한 문자열과 이미지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제1 단말 장치(100)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과정은 이후 도면을 통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인의 얼굴 사진을 찍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본인 인증 이미지로 본인의 얼굴 사진을 사용하기로 설정된 경우,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는 제3자 소유의 제2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본인의 얼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얼굴 사진은 여권 사진과 같이 양 귀가 모두 보이도록 찍힌 사진일 수 있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본인 인증 이미지로 얼굴 사진을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단말 장치로의 원격 접속을 허용하면서도 제3자의 불법적인 접근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6도는 제3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는 자신이 사용하던 제1 단말 장치(100)를 분실 등의 사유로 원격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3자 소유의 제2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도면과 같이 문자열과 함께 자신의 얼굴 사진 등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문자열에는 제1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본인 인증 문자열과 매칭(matching)되는 문자열과 함께 제1 단말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 "010-9999-0000" 부분은 본인 인증을 위한 문자열 부분일 수 있으며, "잠금"은 제1 단말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명령어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도면상으로는 이미지가 문자열이 송신된 이후에 송신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문자열의 송신 이전에 송신될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이러한 문자열과 이미지를 수신한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문자열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본인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본인임이 확인되는 경우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면과 같이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습니다"라고 제2 단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문자와 이미지를 전송함에 따라 단말 장치를 간편하게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면서도,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활용하여 중복으로 본인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권한이 없는 제3자에 의하여 분실된 스마트 폰이 비정상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7도와 도면 8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본인 인증 이미지로 얼굴 사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얼굴 사진은 인식의 정확도를 위하여 양 귀가 노출되도록 하여 촬영된 얼굴 사진일 수 있다.
수신된 얼굴 사진을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대표적으로 수신된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만을 분리해 내고, 얼굴영역 내에서 눈, 코, 입, 턱 선 등의 특징점을 추출해 낸 다음, 추출한 특징점 사이의 거리, 각도 등의 상관 관계를 계산하여 수치화된 데이터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얼굴 사진에서 이러한 특징점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된 본인 인증 이미지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 9도와 도면 10도는 본인 인증 이미지로서 귀 사진을 사용하여 본인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본인 여부를 확인 또는 인증하는 과정에서 얼굴 사진과 더불어 귀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귀 사진은 얼굴 사진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귀 영역을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앞서 살펴본 얼굴 인식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단말 장치(100)는 음파를 모아 귓구멍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외이의 귓바퀴 부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서 귓바퀴 내의 특징점을 추출해 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점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가 제1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의 귀 역시 다른 생체 정보들과 마찬가지로 지속성, 유일성,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얼굴 사진과는 달리 귀 영역에 대한 사진은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나 인터넷 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이러한 귀 사진을 활용함으로써 더 강력한 본인 인증 과정이 훨씬 강화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순서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열과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11-2), 이 과정과 동시 또는 이시로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1)
이렇게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열과 이미지를 수신한 이후에,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이미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S11-3),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가 조작된 것이 아님이 확인되면, 그 다음으로 수신된 문자열 중에 제1 단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4) 여기서 사용되는 본인 인증 문자열은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가 기억하기 쉬운 것들이 본인 인증 문자열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소유자의 이름, 생년원일, 기억하고 싶은 날,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앞의 단계에서 수신된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다음으로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인 얼굴 사진 또는 귀 사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11-5), 수신된 이미지와 본인 인증 이미지가 일치되는 경우 수신된 문자열 중에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6) 이 과정에서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이러한 기설정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1-7), 제2 단말 장치(200)가 요청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인 경우 제1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기설정된 명령어의 기능을 실행하고(S11-8), 제2 단말 장치(200)로 그 실행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9)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제1 단말 장치(100)가 제2 단말 장치(200)의 전화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기설정된 명령어를 수행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1 단말 장치(100)가 수행하게 될 기설정된 명령어는 화면 잠금 실행, 개인 정보 삭제 실행, 어플리케이션 삭제 실행, 기기 초기화 실행, 문자 알림 기능 실행, 음성 알림 기능 실행, 전화번호부 이메일 백업(backup) 기능 실행, 카메라(camera) 촬영 기능 실행, 경광음 발송 기능 실행, 위치 정보 전송 기능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에 개인 정보 삭제 실행, 기기 초기화 실행 등 제1 단말 장치(100)가 그 기능을 수행시 제1 단말 장치(100)에 회복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치는 명령어에 대하여는 특정인이 소유한 제2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서만 해당 기능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제2 단말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따라 권한 차이를 두어 해당 기설정된 명령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초기화나 개인 정보 삭제 등의 기능은 가족 소유의 제2 단말 장치(200)에 의해서만 작동되고, 친구가 소유한 제2 단말 장치(200)에서는 화면 잠금 기능만 수행토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수행 권한을 여부를 부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유도 있다.
최초 제1 단말 장치(100)가 분실 등의 사유로 원격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는 제3자로부터 제2 단말 장치(200)를 빌려서 제1 단말 장치(100)에 원격 잠금, 카메라 촬영 기능 수행 등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제1 단말 장치(100)들을 회수 등을 한 이후에도, 제2 단말 장치(200)의 소유자가 제2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문자열 및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를 무단으로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고자 수신되는 이후 자세히 살펴볼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 이러한 접근을 더 강력히 차단하고자 제1 단말 장치(100)가 회수된 이후에는 제2 단말 장치(200)의 권한을 낮추어서 이러한 불법적인 접근 및 실행에 대한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열을 수신한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저장하고(S12-2),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 신간을 제2 시간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2-2) 다음으로, 이렇게 저장된 제1 시간과 제2 시간의 시간 차가 기설정된 시간차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12-3), 이 과정에서 제1 시간과 제2 시간의 시간 차가 기설정된 시간차 이상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가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고(S12-4), 수신된 문자열을 무시하여 제1 단말 장치(100)가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즉, 제1 단말 장치(100)가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문자열과 이미지 사이의 시간 차가 일반적으로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너무 길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 등에 조작이 있다고 판단하여 제2 단말 장치(200)가 송신한 문자열과 이미지의 본인 인증을 거부하고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수신된 이미지의 메타(meta)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이미지의 촬영 시각, 생성 시각, 수정된 시각을 획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3-1) 그리고, 획득된 촬영 시각, 생성 시각, 수정된 시각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S13-2), 획득한 촬영 시각, 생성 시각, 수정된 시각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가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3-3) 즉, 일반적으로 카메라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그대로 전송하는 경우 해당 사진의 메타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 시각, 생성 시각, 수정된 시각은 서로 일치하는데, 이러한 시각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된 이미지가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수신된 이미지를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것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이 수신된 이미지를 조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의 시각 태그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메타 데이터라 함은 데이터에 관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를 지칭하며, 사진과 함께 저장되는 메타 데이터는 사진이 촬영된 시각, 위치, 카메라 종류, 조리개 속도 등의 정보를 사진과 함께 제공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정보를 주는 메타 데이터는 다양한 종류의 포맷(format)이 존재하나, 최근의 스마트 폰이나 카메라는 일본전자산업진흥협회에서 개발한 교환이미지 파일형식교환이미지 파일형식(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포맷의 메타 데이터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Exif 메타 데이터에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GPS 정보, 촬영 환경 정보와 함께 도면과 같이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Exif 메타 데이터의 이러한 태그를 확인함으로써 사진의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외의 메타 데이터의 활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수신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써 수신된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여 메타 데이터에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S15-1), 수신된 이미지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5-2), 해당 이미지가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5-3) 즉, 카피(copy)하거나 캡쳐(capture)한 이미지는 위치 정보 값이 존재하지 않는데,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수신된 이미지의 이러한 값을 확인하여 없는 경우, 조작된 이미지로 판단하고 제1 단말 장치(100)가 수신된 문자열에 포함된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 수행을 무시토록 한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앞서 살펴본 이러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각각의 방법이 별개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다른 방법과 병합하여 크로스 체크(cross check)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크로스 체크의 방식으로 적용됨으로써,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간편하면서도 더욱 확실하게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이 수신된 이미지를 조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위치 정보를 수록한 메타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촬영되어 전송된 이미지의 Exif 메타 데이터에는 도면과 같이 많은 위치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나, 인터넷에서 캡쳐하거나 카피하여 전송한 이미지는 Exif 메타 데이터 내에 아무런 위치 정보도 저장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의 확인으로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가 전송한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서 수신한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앞서 살펴본 방법 등에 의하여 제1 단말 장치(100)가 수신한 이미지가 조작된 이미지가 아님이 확인된 경우,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이미지의 원활한 분석을 위하여 조도 조정을 포함한 이미지 보정 과정 등의 사진 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7-1) 그리고, 수신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 사이의 거리, 각도 등의 상관 관계를 계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S17-2), 이렇게 추출된 상관 관계가 본인 인증 이미지의 상관 관계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7-3) 수신된 이미지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와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가 일치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이미지와 본인 인증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고(S17-4), 이후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가 기능을 수행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이미지의 조작 여부를 확인된 이후에도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와의 대조를 거친 중복 확인 절차를 거친 이후에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를 허용함으로, 사진과 문자 전송만으로 간편한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완벽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된 단말 장치를 회수한 경우 문자열 및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권한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분실 등이 사유로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 제어 한 이후에, 소유자는 제1 단말 장치(100)의 회수 확인 버튼을 선택함으로서(S18-1), 제2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 제어하던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에서 회수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제1 단말 장치(100)는 그동안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문자열 및 이미지를 전송하였던 제2 단말 장치(200)들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고(S18-2), 해당 제2 단말 장치(200)들의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수행 권한을 제거함으로써(S18-3), 이후 제1 단말 장치(100) 소유자 본인이 아닌 제3자에 의한 허락 없는 접근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제1 단말 장치의 설정 변경을 통하여 수정이 가능하며 이 경우는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 제어를 수행하여 식별 정보가 저장된 기존의 제2 단말 장치(200)도 계속하여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제1 단말 장치(100)가 제3자의 제2 단말 장치(200)에 의하여 원격 제어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들이 제1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 장치(100)는 먼저 본인 인증 문자열을 입력받는 과정과(S19-1),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의 얼굴 또는 귀 사진 등의 본인 확인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9-2) 그 다음으로, 제1 단말 장치(100)는 본인 확인 이미지의 조도 조정을 포함한 이미지 보정 과정을 수행하고(S19-3), 본인 인증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관 관계를 계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9-4)
제1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는 본인 인증 문자열은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의 이름, 생년월일, 기억하고 싶은 날, 비밀번호, 추억의 장소, 주민등록번호, 주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억하기 쉬운 정보로 본인 인증 문자열을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특정 비밀번호를 생각해내는데 과도한 노력이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에서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로 문자열과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 또는 기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가 이메일이나 문자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제2 단말 장치(200)에서 제1 단말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문자열 및 이미지를 송신하면(S20-1), 제1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200)가 송신한 이미지가 조작된 것이 아니고, 송신한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며 송신한 이미지가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면, 수신된 문자열 중에 포함된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제2 단말 장치(200) 또는 이러한 실행 결과를 수신 받도록 제1 단말 장치(100)에 기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단말 장치(200) 또는 기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는 그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제2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 등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S20-2) 즉, 제1 단말 장치(100)로부터 원격 제어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는 원격 제어를 위하여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를 전송한 단말 장치와 동일한 단말 장치일 수도 있으나, 원격 제어를 시도한 단말 장치와는 별개의 단말 장치로서 제1 단말 장치(100)에 그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제2 단말 장치(200)를 이용한 제1 단말 장치(100)의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제1 단말 장치(100)는 수신 모듈(111),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142),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143), 명령어 저장 모듈(145),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121),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122), 명령어 확인 모듈(131), 명령어 실행 모듈(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이미지 조작 여부 확인 모듈(123), 송신 모듈(112), 식별 정보 획득 저장 모듈(141), 권한 설정 저장 모듈(1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 장치(100)는 물리적인 장치일 수도 있으며, 물리적인 장치에 저장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듈도 물리적으로 실체화된 부품 등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적으로 함수화된 모듈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역할과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142)은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의 본인 인증 문자열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143)은 제1 단말 장치(100)의 소유자의 얼굴이나 귀 사진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그 특징점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명령어 저장 모듈(145)은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 장치(100)의 수신 모듈(111)은 문자열, 이미지, 식별 정보, 본인 인증 문자열 및 본인 인증 이미지를 수신하여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의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121)은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142)에 저장된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121)과 더불어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122)는 수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특징을 분석하여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143)에 저장된 본인 인증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122)이 수신된 이미지와 본인 인증 이미지가 일치하고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121)이 수신한 문자열 중에 본인 인증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명령어 확인 모듈(131)은 수신 모듈(111)을 통하여 수신된 문자열 중에 명령어 저장 모듈(145)에 저장된 기설정된 명령어와 일치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치되는 명령어가 존재시, 명령어 실행 모듈(132)는 명령어 저장 모듈(145)로부터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송신 모듈(112)을 통하여 제2 단말 장치(200) 등의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더불어, 이미지 조작 여부 확인 모듈(123)은 앞서 살펴본 이미지 조작 여부 확인의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를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12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장치(100)의 식별 정보 획득 저장 모듈(141)은 수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이렇게 저장된 식별 정보에 따른 기설정된 명령어 실행에 대한 권한 정보는 권한 설정 저장 모듈(14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단순히 문자열과 이미지의 수신을 통하여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에 화면 잠금, 기기 초기화 등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개인 정보 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당 기기가 조기에 회수되도록 한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의 제1 단말 장치에서 본인 인증 문자열과 본인 인증 이미지가 매칭되었을 때 기설정된 명령어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들의 예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은 제1 단말 장치(100)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중에 제2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 알림 기능 실행 명령어를 수신하여 문자 알림이 화면에 표시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자 알림이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분실 등이 된 제1 단말 장치(100)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는 문자 알림 창에 표시된 번호로 연락을 취하여 해당 제1 단말 장치(100)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자 알림 기능과 함께 제1 단말 장치(100)는 음성 알림 기능, 진동 기능, 사진 촬영 기능, 경광음 기능 등이 실행되어, 반복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분실 등이 된 단말 장치임을 현재 보유자 또는 주변에 전파하거나 그 위치를 소유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적인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인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은 분실 등의 사유로 이탈된 제1 단말 장치(100)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0)의 위치나 내장된 전화번호 등을 이메일이나 문자 등으로 제2 단말 장치(200)나 기설정되어 저장된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분실시의 피해를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초기화 기능 등을 수행하여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마트 폰
100 : 제1 단말 장치
111 : 수신 모듈
112 : 송신 모듈
121 : 본인 인증 문자열 확인 모듈
122 : 본인 인증 이미지 확인 모듈
123 : 이미지 조작 여부 확인 모듈
131 : 명령어 확인 모듈
132 : 명령어 실행 모듈
141 : 식별 정보 획득 저장 모듈
142 : 본인 인증 문자열 저장 모듈
143 : 본인 인증 이미지 저장 모듈
144 : 권한 설정 저장 모듈
145 : 명령어 저장 모듈
200 : 제2 단말 장치

Claims (5)

  1. 제1 단말 장치가 회수 확인 버튼(button)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회수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명령어를 실행시킨 제2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 단말 장치가 본인 인증 문자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본인 확인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복인 확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복인 확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본인 확인 이미지의 조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본인 확인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4.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문자열과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명령어에 대한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170079401A 2017-06-22 2017-06-22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KR20190000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01A KR20190000266A (ko) 2017-06-22 2017-06-22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01A KR20190000266A (ko) 2017-06-22 2017-06-22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66A true KR20190000266A (ko) 2019-01-02

Family

ID=6502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01A KR20190000266A (ko) 2017-06-22 2017-06-22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8533A (zh) * 2019-05-30 2019-08-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防止异常解锁的方法、装置及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8533A (zh) * 2019-05-30 2019-08-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防止异常解锁的方法、装置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961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JP5890033B2 (ja) 虹彩イメージ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の強化された施錠装置
EP1860613B1 (en) Portable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match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US20060104483A1 (en) Wireless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with biometric readers
WO2015172515A1 (zh) 用于移动终端的虹膜识别方法和装置
US20120032781A1 (en) Remote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ometrics
CN105515777B (zh) 一种usbkey设备的双重认证系统和方法
JP2019137972A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132158A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KR20170011305A (ko)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EP1835433B1 (en) Authentification device, authentification method, authentif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233609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0266A (ko)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JP2009251951A (ja) 監視制御端末装置
KR20190000265A (ko)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KR20190061851A (ko) 중계 장치, 단말 장치 및 이들의 원격 제어 방법
JP2008059575A (ja) 利用者離席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539533B1 (ko) 타인의 신분증 불법 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90061886A (ko) 중계 장치, 단말 장치 및 이들의 원격 제어 방법
WO2018235975A1 (ko) 단말 장치 및 이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353310B1 (ko)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7140771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JP7238617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7279159B2 (ja) 個人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