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48U -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48U
KR20190000148U KR2020170003545U KR20170003545U KR20190000148U KR 20190000148 U KR20190000148 U KR 20190000148U KR 2020170003545 U KR2020170003545 U KR 2020170003545U KR 20170003545 U KR20170003545 U KR 20170003545U KR 20190000148 U KR20190000148 U KR 201900001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em
cosmetic
guide body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671Y1 (ko
Inventor
이혜민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70003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7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며, 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부가 마련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솔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device and a cosmetic vessel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이 묻은 솔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포부에 인접한 솔대 부위를 파지한 상태에서 화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 눈썹, 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은 가루와 파운데이션, 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 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스틱 등으로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중, 컨실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글로즈, 립틴트 등과 같은 겔 상의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을 찍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도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 도구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및 일단이 몸체부(10)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부(21)가 마련되는 솔대(2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장용 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찍어 바르는 경우, 통상적으로 도포부(21) 뿐만 아니라 도포부(21)에 인접한 솔대(20)의 일부분에도 화장품이 도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포부(21)에 인접하게 솔대를 파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도포부(21)와 사용자의 파지 부분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사용자가 도포부(21)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없으므로 섬세한 화장이 불가능하여 화장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솔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솔대가 화장품에 의해 오염된 경우라도 사용자가 가이드부를 파지하여 섬세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며, 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부가 마련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솔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솔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본체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솔대는,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에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 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가 관통되는 직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내벽에 상기 솔대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직선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 일단이 상기 솔대와 결합하고,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과 결합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의 타단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며 출입구가 마련되는 용기 본체 및 상술한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용 도구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는, 뚜껑부에 형성되는 솔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솔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솔대가 화장품에 의해 오염된 경우라도 사용자가 가이드부를 파지하여 섬세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화장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파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뚜껑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 내에 위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0) 및 화장용 도구(20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이를 위해 출입구(110)와 원통 또는 다각면체의 통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부재(120)는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통부재(12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겔 또는 젤 상의 화장품으로써 컨실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글로즈, 립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용 도구(200)는 뚜껑부(210) 및 가이드부(220)를 포함한다.
뚜껑부(210)는 용기 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화장품을 묻혀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뚜껑부(210)는 몸체부(211) 및 솔대(21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뚜껑부(210)를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솔대(212)에 묻은 화장품을 사용자의 눈썹, 속눈썹, 아이라인, 입술, 트러블 부위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 바를 수 있다.
몸체부(211)는 용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통부재(120)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솔대(212)는 일단이 몸체부(211)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부(2121)가 마련된다. 도포부(2121)에는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화장품 내로 침수되어 화장품이 도포된다. 도포부(2121)가 화장품에 침수될 때, 도포부(2121)에 인접한 솔대(212)의 일부분이 함께 침수되어 화장품이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0)는 화장품이 도포된 솔대(212)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포부(2121)에 인접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가이드부(220)는 솔대(2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에는 뚜껑부(210)의 몸체부(211) 내로 이동함으로써 화장품에 침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가이드부(2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0)는 탄성부재(221) 및 가이드 본체(22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21)는 뚜껑부(210)의 몸체부(211)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탄성부재(221)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내측 공간에 솔대(212)를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2)는 솔대(212)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솔대(212)는 가이드 본체(222)에 형성되는 관통공(2221)을 통해 가이드 본체(222) 내로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본체(22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2)와 솔대(212)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이드 본체(222)의 내벽에는 솔대(212)가 진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222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222)가 세 개 마련되는 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돌출부(2222)의 개수 또는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가이드 본체(222)는 탄성부재(221)에 의해 솔대(212)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와 결합할 때, 가이드 본체(222)가 용기 본체(100)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본체(222)는 용기 본체(100)의 출입구(110)에 체결되는 말단부(2223)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부(2223)는 외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끝단에서 용기 본체(100)의 출입구(110)의 내경보다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말단부(2223)는 솔대(212)의 외측 일부를 식각함으로써 전체가 용기 본체(100)의 출입구(1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말단부(2223)의 일부 또는 전체가 용기 본체(100)의 출입구(110)로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 본체(222)는 용기 본체(100)와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2)가 용기 본체(100)와 체결되면, 가이드 본체(222)는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와 결합하는 동안 용기 본체(100)에 의해 가압되어 도포부(2121)로부터 몸체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와 완전히 결합되면, 가이드 본체(222)는 몸체부(211)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2)가 몸체부(211) 방향으로 이동하면, 몸체부(211) 내에 마련된 탄성부재(221)가 압축된다.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와 분리될 때, 압축되었던 탄성부재(221)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본체(222)는 몸체부(211)로부터 도포부(2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 가이드 본체(222)는 도포부(2121)에 인접한 솔대(21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부(210)가 용기 본체(100)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 가이드 본체(222)는 도포부(2121)를 제외하고 외부로 노출된 솔대(212)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뚜껑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 내에 위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0)는 가이드 본체(223)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223)는 솔대(212)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솔대(212)는 가이드 본체(223)에 형성되는 관통공(2231)을 통해 가이드 본체(223) 내로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본체(223)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솔대(212)의 외주면에는 나선홈(또는 나사산)(2122) 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솔대(212)의 일단에는 손잡이부(225)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25)는 솔대(212)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동시에 몸체부(211)의 일단에 접하게 마련된다. 손잡이부(225)는 몸체부(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몸체부(2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25)를 회전하여 솔대(2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본체(223)는 솔대(212)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또는 나선홈)(2232)이 형성되어, 솔대(212)의 나선홈(2122)과 결합한다. 손잡이부(225)가 회전함에 따라 솔대(212)가 회전하면, 가이드 본체(223)가 나사 결합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 본체(223)의 외주면에는 돌기(22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2233)는 두 개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본체(223)의 외측에는 몸체부(211)가 결합된다. 몸체부(211)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본체(223)와 평행하며 길게 형성되는 직선홈(2111)이 형성될 수 있다. 직선홈(2111)에는 하단 고정 홈(2112)과 상단 고정 홈(2113)이 형성된다. 직선홈(2111)에는 가이드 본체(223)의 돌기(2233)가 결합한다. 솔대(212)가 몸체부(211)에 결합된 채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가이드 본체(223)는 직선홈(2111)에 결합된 돌기(234)에 의해 회전하지 않으나, 돌기(234)가 결합된 직선홈(21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하단 고정 홈(2112)에 가이드 본체(223)의 돌기(2233)가 위치하게 되면 돌기(2233)가 직선홈(2111)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가이드 본체(223)는 몸체부(211)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단 고정 홈(2113)에 가이드 본체(223)의 돌기(2233)가 위치하게 되면 돌기(2233)가 직선홈(2111)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가이드 본체(223)는 도포부(2121)에 인접한 솔대(212)의 일 영역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가이드 본체(223)는 손잡이부(225)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211)로부터 도포부(2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도포부(2121)로부터 몸체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몸체부로부터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가이드 본체가 도포부 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0)는 가이드 본체(226), 내측관(227) 및 손잡이부(228)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226)는 뚜껑부(210)의 내측에 삽입되며, 관체로 형성되어 솔대(212)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솔대(212)는 가이드 본체(226)가 도포부(212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솔대(212)의 관통공(2261)을 통해 가이드 본체(226) 내로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본체(226)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226)와 뚜껑부(210)의 몸체부(211)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몸체부(211)의 내벽에는 가이드 본체(226)가 진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21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돌출부(2114)의 일부에 돌기부(21141)가 더 형성되어, 가이드 본체(226)가 도포부(2121)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 가이드 본체(226)를 더 단단히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돌출부(2114)의 개수 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가이드 본체(226)는 외주면에 솔대(212)와 평행하며 길게 형성되는 직선홈(226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직선홈(2262)은 복수 개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직선홈(2262)에는 몸체부(2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2115)가 결합되어 가이드 본체(226)가 뚜껑부(210) 내에서 직선홈(226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가이드 본체(226)가 도포부(2121)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돌기(2115)가 직선홈(2262)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가이드 본체(226)는 더 이상 도포부(212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도포부(2121)에 인접한 솔대(212)의 일 영역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측관(227)은 가이드 본체(226)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내측관(227)의 일단에는 솔대(21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관(227)과 솔대(212)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관(227) 내에 솔대(212)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내측관(227)의 타단에는 손잡이부(228)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28)는 뚜껑부(210)의 몸체부(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뚜껑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28)를 회전하여 내측관(22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내측관(227)의 외주면에는 돌기(227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기(2271)는 두 개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2271)는 가이드 본체(226)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홈(226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2271)가 두 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 본체(226)의 내주면에는 두 개의 돌기(2271) 각각에 결합되는 이중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28)의 회전에 의하여 내측관(227)이 뚜껑부(210)에 대해 회전할 때, 가이드 본체(226)는 직선홈(2263)이 뚜껑부(210)의 돌기(2115)에 결합되어 회전하지는 않으나, 내측관(227)과의 나사 결합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돌기(2115)에 결합된 직선홈(2263)을 따라 도포부(21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가이드 본체(226)는 손잡이부(228)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211)로부터 도포부(2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도포부(2121)로부터 몸체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부(210)에 형성되는 솔대(212)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솔대(2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220)를 포함함으로써, 솔대(212)가 화장품에 의해 오염된 경우라도 사용자가 가이드부(220)를 파지하여 섬세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화장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0: 용기 본체 110: 출입구
120: 통부재
200: 화장용 도구
210: 뚜껑부 211: 몸체부
2111: 직선홈 2112: 하단 고정 홈
2113: 상단 고정 홈 2114: 돌출부
21141: 돌기부 2115: 돌기
212: 솔대 2121: 도포부
2122: 나선홈
220: 가이드부 221: 탄성부재
222: 가이드 본체 2221: 관통공
2222: 돌출부 2223: 말단부
223: 가이드 본체 2231: 관통공
2232: 나사산 2233: 돌기
225: 손잡이부
226: 가이드 본체 2261: 관통공
2262: 직선홈 2263: 나선홈
227: 내측관 2271: 돌기
228: 손잡이부

Claims (11)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며, 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도포부가 마련되는 솔대를 포함하는 뚜껑부; 및
    상기 솔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솔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본체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솔대는,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에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가 관통되는 직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도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벽에 상기 솔대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직선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
    일단이 상기 솔대와 결합하고,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과 결합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의 타단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1. 화장품이 수용되며 출입구가 마련되는 용기 본체;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용 도구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70003545U 2017-07-07 2017-07-07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88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45U KR200488671Y1 (ko) 2017-07-07 2017-07-07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45U KR200488671Y1 (ko) 2017-07-07 2017-07-07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48U true KR20190000148U (ko) 2019-01-16
KR200488671Y1 KR200488671Y1 (ko) 2019-03-08

Family

ID=6526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45U KR200488671Y1 (ko) 2017-07-07 2017-07-07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657A (zh) * 2019-04-03 2019-06-2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自带按摩功能的化妆笔笔头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070A1 (fr) 2021-04-26 2022-10-28 L'oreal Appareil pour stocker et appliquer un produit
EP4312657A1 (en) 2021-03-29 2024-02-07 L'oreal Apparatus for storing and applying a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023Y1 (ko) 2004-03-18 2004-10-19 배명학 마스카라 용기
KR200375537Y1 (ko) 2004-11-09 2005-03-11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용구
JP5286015B2 (ja) 2008-10-03 2013-09-11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101157017B1 (ko) * 2011-10-17 2012-06-21 백운 화장용 솔
KR200467820Y1 (ko) * 2012-05-04 2013-07-05 (주)아모레퍼시픽 아이라이너 겸용 마스카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657A (zh) * 2019-04-03 2019-06-2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自带按摩功能的化妆笔笔头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671Y1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2499A (ko) 속눈썹용 화장품 도포기
TWI511685B (zh) 多用途化妝器具
KR200488671Y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US11882926B2 (en) Adjustable applicator
US10575620B2 (en) Applicator with interchangeable wands
JP2012075556A (ja) 化粧料塗布具及び化粧料容器
KR101226754B1 (ko) 액체 화장료 도포 용기
KR101862858B1 (ko) 핑거 마스카라
US9149107B2 (en) Multiple cosmetics press-to-dispense cosmeticizing device
JP6922083B2 (ja) バイオネットクロージャを備えたステムおよびそれを装備されているデバイス
JP2007236456A (ja) 液塗布具
KR20170081975A (ko) 화장용 도구
KR200375537Y1 (ko) 화장용구
WO2018051219A1 (en) Cosmetic applicator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JPS628827Y2 (ko)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US20190335876A1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CN111246770A (zh) 化妆工具
KR102311515B1 (ko) 화장 도구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200233910Y1 (ko) 화장용 펜슬
KR102128572B1 (ko) 화장품 용기
KR101951238B1 (ko) 핑거 마스카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